KR101099090B1 - 무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무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90B1
KR101099090B1 KR1020110020079A KR20110020079A KR101099090B1 KR 101099090 B1 KR101099090 B1 KR 101099090B1 KR 1020110020079 A KR1020110020079 A KR 1020110020079A KR 20110020079 A KR20110020079 A KR 20110020079A KR 101099090 B1 KR101099090 B1 KR 10109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measuring
weight
unit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완석
Original Assignee
설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완석 filed Critical 설완석
Priority to KR102011002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90B1/ko
Priority to PCT/KR2012/000843 priority patent/WO20121214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2Weigh pans or other weighing receptacles; Weigh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하여 보관하기 위한 팔레트수단, 및 상기 팔레트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을 각각 지지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대상물에 대한 무게를 측정할 경우, 그 대상물을 지지하는 팔레트수단에 상기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거운 대상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어 측정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 이동 중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게 측정장치{Weigh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물을 측정장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여 많은 대상물들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생략함에 따라 이동을 위해 필요한 작업자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과정 중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는 대상물을 측정장치로 이동시켜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거나 별도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되, 운반 시, 파손율이 높은 대상물이나 운반수단을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의 경우, 한 명의 작업자가 운반할 수 없어 여러 명이 함께 운반하게 되는데, 작업자들의 마음이 맞지 않을 경우, 대상물을 떨어트려 파손되거나 떨어진 대상물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 대상물이 된장이나 간장 등이 담겨진 장독이라면, 된장이나 간장을 판매하기 위해 장독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 장독은 외형이 굴곡져 운반이 어려우며, 일정 강도의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파손이 발생되면 1년 이상 어렵게 숙성시킨 내용물이 버려짐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조심성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로드셀과 같은 센서를 갖는 전자저울로 무거운 대상물을 측정할 경우, 대상물을 전자저울 상측에 놓을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센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놓여져 지지되는 팔레트수단과 무게 측정 시 이 팔레트수단에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여 대상물의 이동 없이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무게 측정을 위해 이동 중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하여 보관이나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수단, 및 상기 팔레트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을 각각 지지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대상물에 대한 무게를 측정할 경우, 그 대상물을 지지하는 팔레트수단에 상기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팔레트수단은, 중앙 내부에 상기 측정수단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를 갖는 하부팔레트, 상기 하부팔레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 및 상기 상부팔레트가 하부팔레트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부팔레트와 하부팔레트의 수평을 조절/유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대면되는 두 개의 측면 중앙부에 상기 설치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된 하부팔레트, 상기 하부팔레트의 설치공간부 상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설치공과 연통되되, 상기 측정수단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를 갖는 중간팔레트, 상기 중간팔레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 및 상기 상부팔레트가 중간팔레트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부팔레트와 중간팔레트의 수평을 조절/유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팔레트수단은, 측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운반을 위한 포크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는 승강부, 상기 측정부의 변형 신호를 송신 받아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봉, 및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측정부를 승강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은, 작업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 가이드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게 측정장치에 의하면,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거운 대상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어 측정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 이동 중 파손되거나 전자저울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 측정장치(10)는 팔레트수단(100)과 측정수단(200)으로 구성되어 팔레트수단(100)에 의해 지지된 대상물(20)의 무게를 이동 없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팔레트수단(100)은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20)을 지지하여 일정 장소에서 보관이나 적재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측정수단(200)은 팔레트수단(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팔레트수단(100)은 대상물(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측정하지 않을 때도 그 하측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며, 측정수단(200)은 측정을 하지 않을 경우, 팔레트수단(10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측정을 위해 팔레트수단(100)에 설치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팔레트수단(100)이 강화된 수지나 철재, 목재 등에 의해 제작되어 주변환경에 의해 파손이 적고, 비교적 가격이 싼데 비하여 측정수단(20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됨에 따라 환경변화에 오작동될 수 있으며, 가격이 비싸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측정수단(200)은 다수 개의 팔레트수단(1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각 팔레트수단(100)에 의해 지지된 대상물(20)을 무게를 측정할 수 있어, 이동성(휴대성)이 좋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팔레트수단(100)을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팔레트(110)와 상부팔레트(120) 및 가이드부(130)로 구성된다.
먼저, 하부팔레트(110)는 중앙 내부에 측정수단(200)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상부팔레트(120)는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대상물(2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부(130)는 상부팔레트(120)가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30)는 하부팔레트(110)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부팔레트(12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이드공(122)에 위치되거나 관통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20)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120)가 하부팔레트(110)의 측정공간부(112)에 설치되는 측정수단(200)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상부팔레트(120)를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시켜 지지할 수도 있어 상부팔레트(120)의 수평상태를 조절/유지하며, 대상물(20)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부팔레트(120)를 수평으로 조절/유지하는 일 실시 예로, 가이드부(13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되며 상부팔레트(12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너트가 구비됨에 따라 이 지지너트를 회전시켜 상부팔레트(120)의 수평을 조절/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수단(100')의 다른 실시 예로, 하부팔레트(110')와 중간팔레트(130'), 상부팔레트(120') 및 가이드부(140')로 구성된다.
하부팔레트(11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112')를 갖고, 대면되는 두 개의 측면 중앙부에 설치공간부(112')와 연통되도록 설치공(114')이 각각 형성된다.
중간팔레트(130')는 하부팔레트(110')의 설치공간부(112') 상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두 개의 설치공(114')과 연통되되, 측정수단(200)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132')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측정수단(200)이 하부팔레트(110')의 설치공(114')을 통해 중간팔레트(130')의 측정공간부(132')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중간팔레트(130')는 하부팔레트(110')의 설치공간부(112')의 일부가 비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불필요한 재료 사용을 방지함에 따라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부팔레트(120')는 중간팔레트(130')의 상측에 구비되어 대상물(20)을 지지하게 되고, 가이드부(140')는 상부팔레트(120')가 중간팔레트(130')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 가능하게 가이드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40')는 중간팔레트(130')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부팔레트(12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이드공(122')에 위치되거나 관통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대상물(20)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120')가 중간팔레트(130')의 측정공간부(132')에 설치되는 측정수단(200)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이드부(140')는 상부팔레트(120')를 중간팔레트(13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시켜 지지할 수도 있어 상부팔레트(120')의 수평상태를 조절/유지하며, 대상물(20)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부팔레트(120')를 수평으로 조절/유지하는 일 실시 예로, 가이드부(14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140')를 따라 이동되며 상부팔레트(12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너트가 구비됨에 따라 이 지지너트를 회전시켜 상부팔레트(120')의 수평을 조절/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100, 10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유입공(150)이 형성되어 운반을 위한 포크가 유입되어 팔레트수단(100, 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특히, 대상물(20)과 함께 팔레트수단(100, 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일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100)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유입공(150)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각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100, 100') 하부팔레트(110, 110')에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하부팔레트(110, 110')의 대면되는 두 개의 측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물론, 이 유입공(150)의 위치는 조건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0)의 상단부는 상부팔레트(120)의 가이드공(122)에 위치 또는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부팔레트(120)가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이는, 상부팔레트(120)가 하부팔레트(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무거운 대상물(20)이 적재될 경우, 상부팔레트(1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가이드부(130)는 도 5 내지 6에서 도시한 다른 실시 예의 팔레트수단(100')에도 적용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도 8 내지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수단(200)은 몸체하우징(210)과 측정부(220), 승강부(230), 제어부(240) 및 표시부(25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10)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212)가 형성되고, 측정부(220)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대상물(2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그리고 승강부(230)는 측정부(220)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게 되며, 제어부(240)는 측정부(220)의 변형 신호를 송신 받아 대상물(20)의 무게를 연산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240)에서 연산된 무게는 표시부(250)에 의해 표시됨에 따라 대상물(20)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230)는 일 실시 예로, 회전봉(232)과 링크암(234)으로 구성된다.
회전봉(232)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링크암(234)은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에 구비되어 회전봉(232)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측정부(220)를 승강시킴은 물론, 정지된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봉(232)은 작업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그리고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와 측정부(220) 사이에 가이드(260)가 더 구비되어 승강되는 측정부(220)를 기울어짐 없이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승강부(230)는 일 실시 예이며, 유압이나 공압 등의 압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기어가 치합되어 측정부(22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당연하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20)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팔레트수단(100)을 설치하여 일정기간 진열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대상물(20)의 일 실시 예로, 장기간 숙성이 필요한 된장이나 간장 등이 담겨져 숙성되다 측정수단(200)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대상물(20)의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10 : 무게 측정장치 20 : 대상물
100 : 팔레트수단 110 : 하부팔레트
112 : 측정공간부 120 : 상부팔레트
130 : 가이드부 200 : 측정수단
210 : 몸체하우징 220 : 측정부
230 : 승강부 240 : 제어부
250 : 표시부 260 : 가이드

Claims (8)

  1.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하여 보관이나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수단; 및
    상기 팔레트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을 각각 지지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대상물에 대한 무게를 측정할 경우, 그 대상물을 지지하는 팔레트수단에 상기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중앙 내부에 상기 측정수단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를 갖는 하부팔레트;
    상기 하부팔레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 및
    상기 상부팔레트가 하부팔레트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부팔레트와 하부팔레트의 수평을 조절/유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2. 삭제
  3.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하여 보관이나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수단; 및
    상기 팔레트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을 각각 지지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대상물에 대한 무게를 측정할 경우, 그 대상물을 지지하는 팔레트수단에 상기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대면되는 두 개의 측면 중앙부에 상기 설치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된 하부팔레트;
    상기 하부팔레트의 설치공간부 상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설치공과 연통되되, 상기 측정수단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를 갖는 중간팔레트;
    상기 중간팔레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 및
    상기 상부팔레트가 중간팔레트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부팔레트와 중간팔레트의 수평을 조절/유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수단은,
    측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운반을 위한 포크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는 승강부;
    상기 측정부의 변형 신호를 송신 받아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봉; 및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측정부를 승강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작업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KR1020110020079A 2011-03-07 2011-03-07 무게 측정장치 KR10109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79A KR101099090B1 (ko) 2011-03-07 2011-03-07 무게 측정장치
PCT/KR2012/000843 WO2012121490A1 (ko) 2011-03-07 2012-02-06 무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79A KR101099090B1 (ko) 2011-03-07 2011-03-07 무게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090B1 true KR101099090B1 (ko) 2011-12-26

Family

ID=4550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79A KR101099090B1 (ko) 2011-03-07 2011-03-07 무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9090B1 (ko)
WO (1) WO201212149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49B1 (ko) * 2012-05-04 2014-01-28 이창영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KR101372666B1 (ko) * 2012-06-13 2014-03-11 김진수 옹기 식품의 생산 인증 시스템
KR20140095911A (ko) * 2013-01-25 2014-08-04 설완석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KR101612793B1 (ko) 2014-10-15 2016-04-15 송병욱 검출유닛 및 센서 교체가 용이한 탱크
WO2020197067A1 (ko) * 2019-03-25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79Y1 (ko) * 2007-05-22 2008-08-2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파렛트 계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4554A (en) * 1999-06-01 2000-09-26 Muckle; Thomas A. Portable pallet scale
JP2006017466A (ja) * 2004-06-30 2006-01-19 Teraoka Seiko Co Ltd 計量台、計量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TW200909788A (en) * 2007-05-29 2009-03-01 Loadsense Technologies Corp Pallet with sca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79Y1 (ko) * 2007-05-22 2008-08-2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파렛트 계량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49B1 (ko) * 2012-05-04 2014-01-28 이창영 중량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장치
KR101372666B1 (ko) * 2012-06-13 2014-03-11 김진수 옹기 식품의 생산 인증 시스템
KR20140095911A (ko) * 2013-01-25 2014-08-04 설완석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KR101640501B1 (ko) * 2013-01-25 2016-07-18 설완석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KR101612793B1 (ko) 2014-10-15 2016-04-15 송병욱 검출유닛 및 센서 교체가 용이한 탱크
WO2020197067A1 (ko) * 2019-03-25 2020-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착 장치
KR20200113533A (ko) * 2019-03-25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착 장치
KR102221960B1 (ko) * 2019-03-25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1490A1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090B1 (ko) 무게 측정장치
KR101575195B1 (ko) 테이블 리프트
KR101416972B1 (ko) 자재운반용 대차
KR100930465B1 (ko) 팔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1382195B1 (ko) 자재 보관장치
KR20090062328A (ko) 유압 리프트 동조 장치
KR101284460B1 (ko) 무게 측정장치
KR101330892B1 (ko) 무게 측정장치
KR20110089467A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CN208169989U (zh) 工业气体灌装智能称重系统
CN106017660A (zh) 一种大吨位替代砝码标定校准装置
KR102218596B1 (ko)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CN111232876B (zh) 一种带有自动称重装置的卸货平台
CN212458900U (zh) 一种起重装置测试台
JP201010040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2021130B1 (ko) 저울을 구비한 랩핑장치
KR102051601B1 (ko) 대형복합가공기의 엘리베이터 이송시스템
JP2013218102A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KR101903689B1 (ko) 블록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연결 방법
JP6740811B2 (ja) バンニング・デバンニング装置
KR102398632B1 (ko) 식품 적치용 상하 이동식 턴테이블 장치
JP6371886B1 (ja) パネル運搬台車
KR20050005343A (ko) 코일 평량장치의 교정용 분동 이송장치
JP3893548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搬器における荷台床支持装置
CN216038445U (zh) 一种具有称重结构的液压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