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892B1 - 무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무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892B1
KR101330892B1 KR1020110126029A KR20110126029A KR101330892B1 KR 101330892 B1 KR101330892 B1 KR 101330892B1 KR 1020110126029 A KR1020110126029 A KR 1020110126029A KR 20110126029 A KR20110126029 A KR 20110126029A KR 101330892 B1 KR101330892 B1 KR 10133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pallet
weight
uni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833A (ko
Inventor
설완석
Original Assignee
설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완석 filed Critical 설완석
Priority to KR102011012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8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2Weigh pans or other weighing receptacles; Weigh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형성되되, 측정공간부는 상측으로 개방된 하부팔레트와 하부팔레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를 갖고, 대상물을 보관이나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수단, 팔레트수단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강되는 측정부를 갖고,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팔레트수단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을 위한 측정수단의 작동 시, 측정수단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팔레트수단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을 각각 적재하되,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되는 하나의 팔레트수단에 최소 두 개 이상의 측정수단을 설치하며,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측정 신호를 제어부가 연산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대상물의 무게 측정 후, 팔레트수단에서 각 측정수단을 제거한다.

Description

무게 측정장치{Weigh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물을 측정장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여 많은 대상물들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생략함에 따라 이동을 위해 필요한 작업자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과정 중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상물이 편심되어 적재되어도 측정수단의 수평을 유지시켜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는 대상물을 측정장치로 이동시켜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거나 별도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되, 운반 시, 파손율이 높은 대상물이나 운반수단을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의 경우, 한 명의 작업자가 운반할 수 없어 여러 명이 함께 운반하게 되는데, 작업자들의 마음이 맞지 않을 경우, 대상물을 떨어트려 파손되거나 떨어진 대상물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 대상물이 된장이나 간장 등이 담겨진 장독이라면, 된장이나 간장을 생산관리와 판매를 위해 장독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 장독은 한 장소에서 장시간에 걸쳐 무게를 측정해야 하며, 외형이 굴곡져 운반이 어려우며, 일정 강도의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파손이 발생되면 1년 이상 어렵게 숙성시킨 내용물이 버려짐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조심성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로드셀과 같은 센서를 갖는 전자저울로 무거운 대상물을 측정할 경우, 대상물을 전자저울 상측에 놓을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센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상물이 적재된 위치가 전자저울의 정중앙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전자저울을 누르는 하중이 편중됨에 따라 전자저울 역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이로 인해 무게가 정확히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기울어진 상태로 장시간 무게를 측정하면, 저울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되어도 전자저울의 로드셀이 수평을 유지함에 따라 대상물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측정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놓여져 지지되는 팔레트수단과 무게 측정 시 이 팔레트수단에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여 대상물의 이동 없이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어 종래 무게 측정을 위해 이동 중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평유지수단에 의해 측정수단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대상물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함은 물론, 측정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무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형성되되, 측정공간부는 상측으로 개방된 하부팔레트와 상기 하부팔레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를 갖고, 대상물을 보관이나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수단, 상기 팔레트수단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강되는 측정부를 갖고,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팔레트수단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을 위한 상기 측정수단의 작동 시, 측정수단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을 각각 적재하되,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되는 하나의 팔레트수단에 측정수단을 설치하며,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측정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연산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대상물의 무게 측정 후, 상기 팔레트수단에서 각 측정수단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팔레트수단의 측정공간부는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각 측정공간부에는 상기 측정수단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팔레트수단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으로부터 수신한 각 무게 측정 신호를 합산하거나 각 무게 측정 신호의 평균으로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고, 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연산된 대상물의 무게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는 승강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공간부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키되, 상기 측정부가 상하이동되도록 이동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측정부의 변형 신호를 수신받아 평균값을 연산함에 따라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봉, 및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측정부를 승강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봉은, 작업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설치공간부에 하나가 구비되거나 상기 설치공간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설치공간부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커버 하면과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봉, 및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 이동 시, 상기 다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측정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뒤틀림 없이 이동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팔레트수단의 상부팔레트 하면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안착공간부가 하측으로 개방된 제1측정프레임,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측정프레임의 안착공간부에 안착되는 제2측정프레임, 및 상기 제1측정프레임과 제2측정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팔레트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 시,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측정프레임이 제1측정프레임의 안착공간부에 안착되며, 상기 체결부는 제1측정프레임과 제2측정프레임을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가 수평을 유지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측정프레임의 안착공간부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 돌출된 체결돌기, 상기 각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측정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된 상기 안착공간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홈, 중간부가 상기 제2측정프레임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에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홈의 하측에 위치되어 체결홈에 삽입된 체결돌기가 타단을 하측으로 눌러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단이 상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홈에 걸려 제2측정프레임을 제1측정프레임에 체결시키는 걸림바, 및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홈에 걸리도록 회전된 걸림바의 일단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홈에서 이탈될 경우, 상기 걸림바의 일단을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게 측정장치에 의하면,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거운 대상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어 측정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업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 이동 중 파손되거나 전자저울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편심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수평유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수단에 유입공이 더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팔레트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유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수평유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수단에 유입공이 더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 측정장치(10)는 팔레트수단(100)과 측정수단(200)과 제어부(300) 및 수평유지수단(400)으로 구성되어 팔레트수단(100)에 의해 지지된 대상물(20)의 무게를 이동 없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팔레트수단(100)은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20)을 지지하여 일정 장소에서 보관이나 적재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측정수단(200)은 팔레트수단(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팔레트수단(100)은 대상물(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측정하지 않을 때도 그 하측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며, 측정수단(200)은 측정을 하지 않을 경우, 팔레트수단(10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측정을 위해 팔레트수단(100)에 설치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팔레트수단(100)이 강화된 수지나 철재, 목재 등에 의해 제작되어 주변환경에 의해 파손이 적고, 비교적 가격이 싼데 비하여 측정수단(20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됨에 따라 환경변화에 오작동될 수 있으며, 가격이 비싸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측정수단(200)은 다수 개의 팔레트수단(1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각 팔레트수단(100)에 의해 지지된 대상물(20)을 무게를 측정할 수 있어, 이동성(휴대성)이 좋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팔레트수단(100)은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112) 형성되고, 이 측정공간부(112)에 측정수단(200)이 설치되어 팔레트수단(100)에 의해 지지된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각 측정수단(20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받아 연산하는 것으로, 팔레트수단(100)에 의해 지지된 대상물(20)의 무게를 연산하게 된다.
이때, 수평유지수단(400)은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을 위한 측정수단(200)의 작동 시, 측정수단(200)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측정수단(200)의 측정부(220)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게 측정장치(10)에 의해 대상물을 장기간 적재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대상물의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팔레트수단(100)을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팔레트(110)와 상부팔레트(120)로 구성된다.
하부팔레트(110)는 중앙 내부에 측정수단(200)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이 측정공간부(112)는 상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상부팔레트(120)는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대상물(2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부팔레트(120)가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30)는 하부팔레트(1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부팔레트(120)가 내부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게 측정장치(1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수단(100)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20)을 각각 적재한다.
그리고 적재된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되는 하나의 팔레트수단(100)의 측정공간부(112)에 측정수단(200)을 설치하여 측정수단(200)의 측정 신호를 제어부(300)가 연산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대상물(20)의 무게 측정 후, 팔레트수단(100)에서 각 측정수단(200)을 제거하고, 분리된 측정수단(200)은 다른 팔레트수단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 측정을 위해 설치되거나 별도로 보관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표시부(31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표시부(310)를 통해 측정수단(200)에서 측정된 신호를 연산한 값을 표시함에 따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팔레트수단(10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팔레트(110')와 상부팔레트(120')로 구성된다.
먼저, 하부팔레트(110')는 중앙 내부에 측정수단(200)이 설치되기 위한 측정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상부팔레트(120')는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대상물(2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팔레트수단(100')은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가이드부(130')는 상부팔레트(120')가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30')는 하부팔레트(110')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부팔레트(12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이드공(122')에 위치되거나 관통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대상물(20)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120')가 하부팔레트(110')의 측정공간부(112')에 설치되는 측정수단(200)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상부팔레트(120')를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시켜 지지할 수도 있어 상부팔레트(120')의 수평상태를 조절/유지하며, 대상물(20)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부팔레트(120')를 수평으로 조절/유지하는 일 실시 예로, 가이드부(13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되며 상부팔레트(12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너트가 구비됨에 따라 이 지지너트를 회전시켜 상부팔레트(120')의 수평을 조절/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팔레트수단(100)의 측정공간부(112)는 두 개 이상 형성되고, 각 측정공간부(112)에는 측정수단(200)이 각각 설치된다.
일 실시 예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수단(100)의 하부팔레트(110)는 측정수단(200)이 설치되기 위해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112)가 두 개 형성되되, 각 측정공간부(112)는 상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상부팔레트(120)는 하부팔레트(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대상물(20)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측정공간부(112)는 하부팔레트(1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측정수단(200)이 각각 설치됨에 따라 대상물이 적재된 상부팔레트(120)의 하측으로 지지함은 물론, 대상물의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공간부(112)가 세 개 형성될 경우, 이 측정공간부(112)는 하부팔레트(1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양단부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측정수단(200)이 각각 설치됨에 따라 대상물이 적재된 상부팔레트(120)의 하측으로 지지함은 물론, 대상물의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공간부(112)는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팔레트수단(100)의 크기에 따라 측정공간부(112)의 개수가 결정됨을 뜻하며, 이 측정공간부(112)의 형성 개수에 따라 측정수단(200)의 설치 개수도 결정됨을 뜻한다.
물론, 형성된 측정공간부(112) 중 선택된 측정공간부(112)에만 측정수단(200)이 설치되어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공간부(112)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각 측정공간부(112)에는 측정수단(200)이 각각 설치될 경우, 제어부(300)는 팔레트수단(100)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200)으로부터 수신한 각 무게 측정 신호를 합산하거나 각 무게 측정 신호의 평균으로 대상물(20)의 무게를 연산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각 측정 신호의 평균을 연산할 경우, 평균값에 1.5 ~ 2배를 곱하여 무게를 연산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수신된 각 측정 신호를 합산한 제1연산값과 평균값에 1.5 ~ 2배를 곱한 제2연산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연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표시부(31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표시부(310)를 통해 각 측정수단(200)에서 측정된 신호의 평균을 연산한 값을 표시함에 따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0)의 일 실시 예로, 써밍 박스(summing box)와 정션 박스(junction box)로 구성되어 각 측정수단(20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받아 평균을 연산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20)의 일 실시 예로, 간장이나 된장 및 고추장 등의 숙성시키기 위한 음식물을 저장한 독으로, 일정기간 숙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숙성된 음식물의 생산관리와 판매 시, 내용물이 담긴 독의 무게를 측정하여 관리정보를 얻거나 판매를 함에 따라 팔레트수단(100)의 각 측정공간부(112)에 측정수단(200)을 설치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대상물(20)의 무게는 각 측정수단(200)의 연산부(250)에 의해 각각 연산되며, 각 측정수단(200)에서 연산된 신호를 제어부(300)가 수신받아 합산 또는 평균으로 연산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측정수단(200)은 측정부(220)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연산부(250)는 구비된 측정부(220)의 측정값을 합산하거나 평균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함이 당연하다.
이를 위한, 측정수단(200)의 일 실시 예로, 도 7 내지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210)과 측정부(220), 승강부(230), 커버(240) 및 연산부(25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10)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212)가 형성되고, 측정부(220)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대상물(2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그리고 승강부(230)는 측정부(220)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게 되며, 커버(240)는 몸체하우징(2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설치공간부(212)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키되, 측정부(220)가 상하이동되도록 이동공(242)이 형성된다.
또한 연산부(250)는 측정부(220)의 변형 신호를 수신받아 대상물(20)의 무게를 연산하고, 연산된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부(230)는 일 실시 예로, 회전봉(232)과 링크암(234)으로 구성된다.
회전봉(232)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링크암(234)은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에 구비되어 회전봉(232)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측정부(220)를 승강시킴은 물론, 정지된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봉(232)은 작업자가 정역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이와 같은 승강부(230)는 일 실시 예이며, 유압이나 공압 등의 압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기어가 치합되어 측정부(22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유지수단(400)은 가이드봉(410)과 가이드플레이트(420)로 구성된다.
가이드봉(410)은 커버(240) 하면과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 저면에 다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플레이트(420)는 설치공간부(212)에 구비되어 측정부(220)가 설치되고, 승강부(230)에 의해 상하 이동 시, 다수의 가이드봉(4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측정부(220)가 수평을 이루도록 뒤틀림 없이 이동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420)는 다수의 측정부(220)를 동시에 뒤틀림 없이 승강시킬 수 있어 대상물(20)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측정수단(200)은 몸체하우징(210)과 하나 이상의 측정부(220), 승강부(230), 커버(240) 및 연산부(25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10)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212)가 형성되고, 측정부(220)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대상물(2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그리고 승강부(230)는 측정부(220)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게 되며, 커버(240)는 몸체하우징(2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설치공간부(212)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키되, 측정부(220)가 상하이동되도록 이동공(242)이 형성된다.
또한 연산부(250)는 측정부(220)의 변형 신호를 수신받아 대상물(20)의 무게를 연산하는 것으로, 각 측정부(220)의 변형 신호를 수신받아 합산하거나 평균으로 연산함에 따라 대상물(20)의 무게를 연산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부(220)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설치공간부(21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팔레트수단(100)의 상부팔레트(120) 하면 모서리부에 각각 위치됨에 따라 상부팔레트(120)의 하중을 균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측정부(220)는 설치공간부(212)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각각 구비되어 팔레트수단(100)의 상부팔레트(120) 하면 모서리부와 중간부에 각각 위치됨에 따라 상부팔레트(120)의 하중을 더욱 균일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개수는 경우에 따라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각 측정부(220)에 가해지는 대상물(20)의 하중이 분산됨에 따라 측정부(220)의 파손을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230)는 각 측정부(220)를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링크암(234)은 각 측정부(220)의 하측에 구비되고, 각 링크암(234)은 회전봉(232)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승강되어 각 측정부(220)를 승강시킴은 물론, 정지된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수평유지수단(400)이 측정수단(2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 수평유지수단(400)은 가이드봉(410)과 가이드플레이트(420)로 구성된다.
가이드봉(410)은 커버(240) 하면과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 저면에 다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플레이트(420)는 설치공간부(212)에 구비되어 측정부(220)가 설치되고, 승강부(230)에 의해 상하 이동 시, 다수의 가이드봉(4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측정부(220)가 수평을 이루도록 뒤틀림 없이 이동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420)는 다수의 측정부(220)를 동시에 뒤틀림 없이 승강시킬 수 있어 대상물(20)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수평유지수단(400')은 제1측정프레임(410')과 제2측정프레임(420') 및 체결부(430')로 구성된다.
제1측정프레임(410')은 팔레트수단(100)의 상부팔레트(120) 하면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개방된 안착공간부(412')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측정프레임(420')은 측정수단(200)의 측정부(220) 상단에 구비되되, 제1측정프레임(410')의 안착공간부(412')에 선택적으로 안착되고, 체결부(430')는 제1측정프레임(410')과 제2측정프레임(4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평유지수단(4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부팔레트(120)에 적재된 대상물(20)의 무게를 측정 시, 측정수단(200)의 측정부(220)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측정프레임(420')이 제1측정프레임(410')의 안착공간부(412')에 안착된다.
그리고 체결부(430')는 제1측정프레임(410')과 제2측정프레임(420')을 고정시킴에 따라 측정수단(200)의 측정부(220)가 수평을 유지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430')는 체결돌기(431')와 체결홈(432'), 걸림홈(433'), 걸림바(434') 및 탄성부재(435')로 구성된다.
체결돌기(431')는 제1측정프레임(410')의 안착공간부(412')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 돌출 형성되고, 체결홈(432')은 각 체결돌기(431')가 삽입되도록 제2측정프레임(420')에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홈(433')은 체결돌기(431')가 형성된 안착공간부(412')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턱(433a')이 돌출형성되고, 걸림바(434')는 중간부가 제2측정프레임(420')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에 걸림후크(434a')가 형성되어 걸림홈(433')의 걸림턱(433a')에 걸려지게 된다.
다시 말해, 걸림바(434')의 일단에 걸림후크(434a')가 형성되고, 타단은 체결홈(432')의 하측에 위치되어 체결홈(432')에 삽입된 체결돌기(431')가 타단을 하측으로 눌러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단이 상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걸림후크(434a')가 걸림홈(433')에 걸려 제2측정프레임(420')을 제1측정프레임(410')에 체결시키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435')는 걸림후크(434a')가 걸림홈(433')의 걸림턱(433a')에 걸리도록 회전된 걸림바(434')의 일단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어 체결돌기(431')가 체결홈(432')에서 이탈될 경우, 걸림바(434')의 일단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팔레트수단(100)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유입공(150)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유입공(150)으로 운반을 위한 포크가 유입되어 팔레트수단(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특히, 대상물(20)과 함께 팔레트수단(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공(150)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팔레트수단(100)의 하부팔레트(110)에 형성되되, 다수 개 형성되어 운반을 위한 포크의 간격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형성 위치는 조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됨이 당연하다.
또한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20)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팔레트수단(100)을 설치하여 일정기간 진열 및 보관할 수 있고, 이를 위한 대상물(20)의 일 실시 예로, 장기간 숙성이 필요한 된장이나 간장 등이 담겨져 숙성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20)을 지지한 팔레트수단(100)에 두 개 이상의 측정수단(200)을 설치하여 대상물(20)의 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10 : 무게 측정장치 20 : 대상물
100, 100' : 팔레트수단 110, 110' : 하부팔레트
112, 112' : 측정공간부 120, 120' : 상부팔레트
130, 130 : 가이드부 200 : 측정수단
210 : 몸체하우징 220 : 측정부
230 : 승강부 240 : 커버
250 : 연산부 300 : 제어부
310 : 표시부 400, 400' : 수평유지수단
410 : 가이드봉 420 : 가이드플레이트
410' : 제1측정프레임 420' : 제2측정프레임
430' : 체결부 431' : 체결돌기
432' : 체결홈 433' : 걸림홈
433a' : 걸림턱 434' : 걸림바
434a' : 걸림후크 435' : 탄성부재

Claims (10)

  1.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형성되되, 측정공간부는 상측으로 개방된 하부팔레트와 상기 하부팔레트의 상측에 구비되어 무게 측정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팔레트를 갖고, 대상물을 보관이나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수단;
    상기 팔레트수단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승강되는 측정부를 갖고,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팔레트수단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을 위한 상기 측정수단의 작동 시, 측정수단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팔레트수단은 다수 개 구비되어 대상물을 각각 적재하되,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되는 하나의 팔레트수단에 측정수단을 설치하며, 설치된 각 측정수단의 측정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연산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대상물의 무게 측정 후, 상기 팔레트수단에서 각 측정수단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는 것으로, 대상물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 팔레트수단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며,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팔레트수단의 상부팔레트 하면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안착공간부가 하측으로 개방된 제1측정프레임;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측정프레임의 안착공간부에 안착되는 제2측정프레임; 및
    상기 제1측정프레임과 제2측정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팔레트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 시,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측정프레임이 제1측정프레임의 안착공간부에 안착되며,
    상기 체결부는 제1측정프레임과 제2측정프레임을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가 수평을 유지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수단의 측정공간부는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각 측정공간부에는 상기 측정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팔레트수단에 설치된 각 측정수단으로부터 수신한 각 무게 측정 신호를 합산하거나 각 무게 측정 신호의 평균으로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고,
    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연산된 대상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승강시키고, 위치를 유지시키는 승강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공간부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키되, 상기 측정부가 상하이동되도록 이동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측정부의 변형 신호를 수신받아 평균값을 연산함에 따라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5. 제4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봉; 및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측정부를 승강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6. 제5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작업자가 회전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설치공간부에 하나가 구비되거나 상기 설치공간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설치공간부의 양단부와 중간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커버 하면과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가이드봉; 및
    상기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 이동 시, 상기 다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측정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뒤틀림 없이 이동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측정프레임의 안착공간부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 돌출된 체결돌기;
    상기 각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측정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된 상기 안착공간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홈;
    중간부가 상기 제2측정프레임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에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홈의 하측에 위치되어 체결홈에 삽입된 체결돌기가 타단을 하측으로 눌러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단이 상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홈에 걸려 제2측정프레임을 제1측정프레임에 체결시키는 걸림바; 및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홈에 걸리도록 회전된 걸림바의 일단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홈에서 이탈될 경우, 상기 걸림바의 일단을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게 측정장치.
KR1020110126029A 2011-11-29 2011-11-29 무게 측정장치 KR10133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29A KR101330892B1 (ko) 2011-11-29 2011-11-29 무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29A KR101330892B1 (ko) 2011-11-29 2011-11-29 무게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833A KR20130059833A (ko) 2013-06-07
KR101330892B1 true KR101330892B1 (ko) 2013-11-18

Family

ID=4885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029A KR101330892B1 (ko) 2011-11-29 2011-11-29 무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716B1 (ko) * 2019-06-26 2020-12-17 한국원자력연구원 분포하중 측정장치
KR102339074B1 (ko) * 2020-06-04 2021-12-23 인코스(주) 스마트 iot 공구캐비넷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iot 공구캐비넷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858A (ja) * 1998-03-05 1999-09-14 Terada Seisakusho Co Ltd 製茶機の重量測定装置
JP2006017466A (ja) 2004-06-30 2006-01-19 Teraoka Seiko Co Ltd 計量台、計量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KR20090002230U (ko) * 2007-08-31 2009-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계기용 변압기 설치용 승강기
KR20110128016A (ko) * 2010-05-20 2011-11-28 김태수 차량용 계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858A (ja) * 1998-03-05 1999-09-14 Terada Seisakusho Co Ltd 製茶機の重量測定装置
JP2006017466A (ja) 2004-06-30 2006-01-19 Teraoka Seiko Co Ltd 計量台、計量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KR20090002230U (ko) * 2007-08-31 2009-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계기용 변압기 설치용 승강기
KR20110128016A (ko) * 2010-05-20 2011-11-28 김태수 차량용 계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833A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5036B2 (en) Liquid color cart and method for liquid color dispensing
KR101099090B1 (ko) 무게 측정장치
CN106500819B (zh) 电子秤生产线
CN206146517U (zh) 电子秤校验机
KR101330892B1 (ko) 무게 측정장치
CN113324640B (zh) 大型电子吊秤最小鉴别力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284460B1 (ko) 무게 측정장치
US20210122616A1 (en) Smart Lift Device
CN209367031U (zh) 一种垂直升降库用载物称重及传动安全装置
CN111174892A (zh) 一种自动加卸载校准电子重量衡器砝码设备及其标定方法
CN106017660A (zh) 一种大吨位替代砝码标定校准装置
CN212458900U (zh) 一种起重装置测试台
JP3173693U (ja) 箱型容器の吊り具
CN210619384U (zh) 一种自动输送条码扫描及体积测量装置
CN205537929U (zh) 一种轮椅秤用标定机
CN206751133U (zh) 一种电梯载荷测试装置
KR102021130B1 (ko) 저울을 구비한 랩핑장치
JP5693838B2 (ja) 計量装置
CN219104158U (zh) 一种称量复核装置
KR20190087785A (ko) 철판 로딩장치
CN215064850U (zh) 一种钢筋可称重支架
CN213677687U (zh) 一种工业托盘
US201902041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nd weighing a shipping container
CN213832545U (zh) 一种运输托盘
JP3893548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搬器における荷台床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