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96B1 -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596B1
KR102218596B1 KR1020200095765A KR20200095765A KR102218596B1 KR 102218596 B1 KR102218596 B1 KR 102218596B1 KR 1020200095765 A KR1020200095765 A KR 1020200095765A KR 20200095765 A KR20200095765 A KR 20200095765A KR 102218596 B1 KR102218596 B1 KR 10221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ork
hanger
coupled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복순
Original Assignee
유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복순 filed Critical 유복순
Priority to KR102020009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4Single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one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는 후방에 구비되는 리프트 구조물(1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포크수단(2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중간에 결합되는 행거축(300)과; 상기 행거축(3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행거암(400)과; 상기 행거암(400)에 결합되는 크레인 결합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간이 협소한 공장 또는 창고 등에서 천장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에 연결되어 지게차 역할을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리프트 장치로 물건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Portable lift for crane}
본발명은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크레인 행거에 결합되어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하여 하역할 때 사용되는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터블 리프트는 중량물인 물건을 이동할 때 사용되며, 물건을 승하차 할 수 있는 포크를 갖춘 리프트를 가리킨다. 한편으로는 포크암에 연결된 포크(fork)를 상하로 움직여 적재 또는 하역하며 주행하는 하역기계를 말하기도 한다. 그리고 물건을 이동하는 곳에는 포크리프트로 불리는 지게차가 많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지게차는 전방에는 수직 마스트가 있고, 수직 마스터에 결합된 좌우 2개의 포크를 중량물이 적재된 파레트의 하부에 삽입하고, 물건이 적재된 파레트를 들어올리게 된다. 포크는 보통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보통 포크리프트의 전방에는 보다 더 큰 하중이 걸리게 된다. 또한 포크에는 취급하는 화물에 따라 여러가지 부속품을 결합하여 물건의 승하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게차는 회전 반경이 커서 좁은 공간을 사용하는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는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하여 하역할 때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물건을 높게 적재 할 때에도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881125에는 크레인 장치를 이용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에 연결되어 지게차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지게차가 작동되기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서도 적재함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안전한 이동 작업이 가능한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 적재함을 들어올리기 위한 한 쌍의 지게발과; 상기 지게발이 수평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각 지게발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연결부에 형성되는 체결 구멍;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 구멍을 통해 크레인 장치에 연결되어 적재함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산업 현장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적재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게차를 사용하기 어려운 협소한 작업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적재함을 이동시킬 수 있고, 체결 구멍을 이용하여 적재함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리프트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67788에는 천정 크레인용 지게발 지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훅이 닿지 않는 위치에 부재를 옮길 때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지그 구조이다. 이러한 천정 크레인용 지게발 지그 구조는 천정 크레인에 체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홀을 포함하는 판형의 리프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의 하단과 결합되고 수직 지지대 및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며, 꼭지점 부위가 상기 리프팅부 방향으로 굴곡된 삼각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삼각발의 양단에서 상기 리프팅부 방향과 수평되게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천정 크레인용 지게발 지그 구조이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천정 크레인용 지게발 지그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크레인 훅이 닿지 않는 위치로 부재를 이동 시킬 때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는 천정 크레인용 지게발 지그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인 지게차는 회전 반경이 커서 좁은 공간을 사용하는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는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하여 하역할 때에 어려움이 많고, 또한 물건을 높게 적재 할 때에도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크레인을 이용한 리프트를 사용하여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하여 하역할 때에도 중량물의 물건은 안정성이 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리프트 구조물에 돌출되는 한 쌍의 포크와 행거축 및 행거암이 구비되어 공간이 협소한 공장 또는 창고 등에서 천장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에 연결되어 지게차 역할을 할 수 있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하여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는 후방에 구비되는 리프트 구조물(1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포크수단(2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중간에 결합되는 행거축(300)과; 상기 행거축(3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행거암(400)과; 상기 행거암(400)에 결합되는 크레인 결합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공간이 협소한 공장 또는 창고 등에서 천장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에 연결되어 지게차 역할을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하여 하역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측면도
도 5는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행거축도
본말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는 후방에 구비되는 리프트 구조물(1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포크수단(2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중간에 결합되는 행거축(300)과; 상기 행거축(3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행거암(400)과; 상기 행거암(400)에 결합되는 크레인 결합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 결합수단(500)은 행거암(400)에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에는 조절봉(150)이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조절봉(150)의 외면에는 중앙에서 좌측부위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우측부위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포크(230)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발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의 행거축도이다.
본말명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는
후방에 구비되는 리프트 구조물(1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포크수단(2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의 중간에 결합되는 행거축(300)과; 상기 행거축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행거암(400)과; 상기 행거암에 결합되는 크레인 결합수단(50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은 상부축(110)과 하부축(120) 및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부축(110)은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원형축 형태로 수평으로 구비된다.
하부축(120)은 원형축 형태로 상부축(110)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축(110)과 하부축(120)은 평행으로 형성된다.
좌측 지지축(130)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각판 형태로, 상기 상부축(110)과 하부축(120)의 좌측면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좌측 지지축(130)의 상부에는 상부축(110)의 좌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되고, 하부에는 하부축(120)의 좌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된다.
우측 지지축(140)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각판 형태로, 상기 상부축(110)과 하부축(120)의 우측면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에는 상부축(110)의 우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되고, 하부에는 하부축(120)의 우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된다.
그리고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의 사이에는 조절봉(310)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절봉(150)의 외면은 중앙에서 좌측부위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우측부위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에 구멍을 뚫고 베어링을 결합한 후 베어링에 조절봉을 삽입하고 핸들(160)을 고정하는 관용의 기술로 구비하면 실현이 가능하다.
상기 포크수단(200)은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 및 포크(2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좌측 포크암축(210)은 상기 좌측 지지축(130)과 행거축(300)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은 상부축(110)에 결합구로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축(120)에 안착된다.
우측 포크암축(220)는 상기 우측 지지축(140)과 행거축(300)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은 상부축(100)에 결합구로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축(120)에 안착된다.
따라서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의 상단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되, 상부축(110)과 결합구는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의 후면에는 너트형으로 나산산이 형성되어 조절봉(150)의 나사산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조절몸체(21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봉(150)의 외면은 중앙에서 좌측부위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우측부위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을 좌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핸들(160)로 조절봉(150)을 회전시켜면 조절봉에 나사결합으로 구비된 조절몸체(211)가 이동하게 되고, 조절몸체와 결합된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이 중앙 또는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포크(230)는 상기 좌측 포크암축(500)과 우측 포크암축(500)의 하단에서 각각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화물은 포크에 적재되어 이동된다.
상기 행거축(300)은 사각판 형태로 상기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부는 상부축(110)에 연결되고, 하부는 하부축(120)에 연결된다.
행거암(400)은 상기 행거축(3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전방의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행거암(40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행거암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행거암(400)의 중간에는 크레인 결합수단(500)이 결합되며, 상기 행거암(400)의 말단에는 스토퍼(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 결합수단(500)은 상판과 하판 및 양측판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각공에 행거암(400)이 삽입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판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행거가 결합되는 행거고리(510)가 구비되고, 상판의 하면에는 가이드용 롤러(520)가 구비된다. 또한 하판 상면에는 행거암홈(410)과 결합되는 결합홈(5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 결합수단(500)은 행거암(400)에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물건을 적재하기 위하여, 파레트의 하부에 포크를 삽입할 때에는 크레인 결합수단을 행거암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포크가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포크가 쉽게 파레트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할 때에는 크레인 결합수단을 행거암의 전방으로 이동켜 포크가 전방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이동시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이동 후 파레트를 하차 할 때에는 크레인 결합수단을 행거암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포크가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포크가 쉽게 파레트 하부에 빠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실시례로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행거축에 결합된 크레인결합수단(500)의 위치가 조절되는 장치를 추가할 수도 있다. 즉 행거암(400) 상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행거암 하면에는 롤러가 이동하는 레일을 구비한다. 그리고 크레인결합수단(500) 상판의 하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롤러기어를 장착하고, 크레인결합수단(500) 하판의 상면에는 롤러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기어의 측면에 모터를 연결하고, 크레인의 상부축 또는 트로리에 설치된 무게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제어부에서 모터의 시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 롤러기어를 회전시키고, 롤러기어는 크레인결합수단(500)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크레인결합수단(500)은 모터가 설치될 수 있게 공간을 충분히 크게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물건이 적재된 파레트 앞에 포크(230)를 위치시킨 후, 콘트롤 박스의 동작1 스위치를 누르면 크레인결합수단(500)은 행거암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포크가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작업자는 쉽게 파레트 하부로 포크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동작2 스위치를 누르면 크레인의 체인이 약간 풀리면서 포크는 파레트 하부에 안치되고, 크레인결합수단(500)은 행거암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 파레트를 약간 들어올리게 되고, 이 때 크레인 트로리에 구비된 무게감지센서가 파레트에 적재된 물건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파레트가 다시 바닥에 안치된다. 그리고 동작3 스위치를 누르면 제어부의 신호를 받은 크레인결합수단(500)의 모터가 롤러기어를 회전시키게 되고, 롤러기어는 크레인결합수단(500)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크레인을 작동시켜 물건이 적재된 파레트를 이동시키면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례로는 파레트에 적재된 물건의 무게를 무게측정기로 측정하거나 또는 화물표시란에 표시된 무게를 확인 후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에 설치되는 통신모듈을 통하여 무선으로 크레인의 제어부에 신호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수신한 무게에 맞는 적정수치를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크레인결합수단(5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모터에 신호를 보내고, 모터는 시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 롤러기어를 회전시키고, 롤러기어는 크레인결합수단(500)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공간이 협소한 공장 또는 창고 등에서 천장에 설치된 크레인 장치에 연결되어 지게차 역할을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리프트 장치로 물건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리프트 구조물 110 : 상부축
120 : 하부축 130 : 좌측 지지축
140 : 우측 지지축 150 : 조절봉
160 : 핸들 200 : 포크수단
210 : 좌측 포크암축 211 : 조절몸체
220 : 우측 포크암축 230 : 포크
300 : 행거축 400 : 행거암
410 : 행거암홈 420 : 스토퍼
500 : 크레인 결합수단 510 : 행거고리
520 : 가이드용 롤러 530 : 결합홈

Claims (3)

  1. 후방에 구비되는 리프트 구조물(1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포크수단(200)과;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에 결합되는 행거축(300)과;
    상기 행거축(30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행거암(400)과;
    상기 행거암(400)에 결합되는 크레인 결합수단(500)을;
    포함하는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은 상부축(110)과 하부축(120) 및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부축(110)은 상기 리프트 구조물(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원형축 형태로 수평으로 구비되고,
    하부축(120)은 원형축 형태로 상부축(110)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상부축(110)과 하부축(120)은 평행으로 형성되고, 좌측 지지축(130)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각판 형태로, 상기 상부축(110)과 하부축(120)의 좌측면이 각각 연결되어, 좌측 지지축(130)의 상부에는 상부축(110)의 좌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되고, 하부에는 하부축(120)의 좌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되며, 우측 지지축(140)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각판 형태로, 상기 상부축(110)과 하부축(120)의 우측면이 각각 연결되므로 상부에는 상부축(110)의 우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되고, 하부에는 하부축(120)의 우측면이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이고,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의 사이에는 조절봉(150)이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조절봉(150)의 외면은 중앙에서 좌측부위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우측부위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에 구멍을 뚫고 베어링을 결합한 후 베어링에 조절봉을 삽입하고 핸들(160)을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포크수단(200)은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 및 포크(230)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좌측 포크암축(210)은 상기 좌측 지지축(130)과 행거축(300)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은 상부축(110)에 결합구로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축(120)에 안착되고, 우측 포크암축(220)는 상기 우측 지지축(140)과 행거축(300)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은 상부축(110)에 결합구로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축(120)에 안착되어,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의 상단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되, 상부축(110)과 결합구는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의 후면에는 너트형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봉(150)의 나사산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조절몸체(211)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조절봉(150)의 외면은 중앙에서 좌측부위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우측부위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비되어 있으므로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을 좌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핸들(160)로 조절봉(150)을 회전시키면 조절봉에 나사결합으로 구비된 조절몸체(211)가 이동하게 되고, 조절몸체와 결합된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이 중앙 또는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포크(230)는 상기 좌측 포크암축(210)과 우측 포크암축(220)의 하단에서 각각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화물은 포크에 적재되어 이동되며, 상기 행거축(300)은 사각판 형태로 상기 좌측 지지축(130)과 우측 지지축(140)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부는 상부축(110)에 연결되고, 하부는 하부축(120)에 연결되고, 행거암(400)은 상기 행거축(3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전방의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행거암(40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행거암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행거암(400)의 중간에는 크레인 결합수단(500)이 결합되며, 상기 행거암(400)의 말단에는 스토퍼(420)가 구비되며, 상기 크레인 결합수단(500)은 상판과 하판 및 양측판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각공에 행거암(400)이 삽입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판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행거가 결합되는 행거고리(510)가 구비되고, 상판의 하면에는 가이드용 롤러(520)가 구비되고 하판 상면에는 행거암홈(410)과 결합되는 결합홈(530)이 구비되고 상기 크레인 결합수단(500)은 행거암(400)에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게 되며, 물건을 적재하기 위하여, 파레트의 하부에 포크를 삽입할 때에는 크레인 결합수단을 행거암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포크가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포크가 쉽게 파레트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물건을 적재한 후 이동할 때에는 크레인 결합수단을 행거암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포크가 전방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이동시 안전성을 확보하고, 이동 후 파레트를 하차 할 때에는 크레인 결합수단을 행거암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포크가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포크가 쉽게 파레트 하부에 빠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2. 삭제
  3. 삭제
KR1020200095765A 2020-07-31 2020-07-31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KR10221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65A KR102218596B1 (ko) 2020-07-31 2020-07-31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65A KR102218596B1 (ko) 2020-07-31 2020-07-31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596B1 true KR102218596B1 (ko) 2021-02-19

Family

ID=7468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765A KR102218596B1 (ko) 2020-07-31 2020-07-31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1432A (zh) * 2022-09-16 2022-11-11 北京理工大学深圳汽车研究院(电动车辆国家工程实验室深圳研究院) 一种叉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7486U (ko) * 1989-05-17 1990-12-14
KR20130083141A (ko) * 2012-01-12 2013-07-22 류만열 중량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7486U (ko) * 1989-05-17 1990-12-14
KR20130083141A (ko) * 2012-01-12 2013-07-22 류만열 중량물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1432A (zh) * 2022-09-16 2022-11-11 北京理工大学深圳汽车研究院(电动车辆国家工程实验室深圳研究院) 一种叉车
CN115321432B (zh) * 2022-09-16 2023-12-01 北京理工大学深圳汽车研究院(电动车辆国家工程实验室深圳研究院) 一种叉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025E1 (en) Side-shift limiter
US3854616A (en) Side-loading attachment for forklift trucks
KR20090110315A (ko) 물품 운반 장치
BR102016028291B1 (pt) Aparelho para movimentar uma carga, e, movimentador
JP2014530796A (ja) 昇降装置
EP3441327A1 (en) Overhead travelling stacker crane
US11261069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load stability determination
KR102218596B1 (ko) 크레인용 포터블 리프트
KR102607854B1 (ko) 핸드 파렛트 지게 트럭장치
US20170240397A1 (en) A Load Handling Apparatus For A Forklift
EP3521236B1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JP200424414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ロック装置
JP5105174B2 (ja) 物品搬送装置
US3810551A (en) Stacker crane attachment
KR20130036871A (ko) 하역용 운반기구
KR20170021822A (ko)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JP5376248B2 (ja) 荷受台
CN218841608U (zh) 叉车
KR102512229B1 (ko) 지게차
JP2019073086A (ja) パワーアシスト機能付き作業用台車
JP3209348U (ja) オーバーヘッドホイスト機械装置
CN111665829A (zh) 具有负载稳定性判断的自动导引车辆
KR200414046Y1 (ko) 중량물 이송 대차
JPS638649Y2 (ko)
TR2022008309A2 (tr) Ara adaptör ci̇haz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