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486B1 -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0486B1 KR101060486B1 KR1020100129636A KR20100129636A KR101060486B1 KR 101060486 B1 KR101060486 B1 KR 101060486B1 KR 1020100129636 A KR1020100129636 A KR 1020100129636A KR 20100129636 A KR20100129636 A KR 20100129636A KR 101060486 B1 KR101060486 B1 KR 101060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ixed
- spring
- stopper member
- main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3—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써, 포크부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스토퍼부재가 주축이 와이어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상기 포크부가 전도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포크부에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하는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포크부와 승강부에 무리가 가 파손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크부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스토퍼부재가 주축이 와이어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상기 포크부가 전도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포크부에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하는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포크부와 승강부에 무리가 가 파손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포크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승강부의 와이어윈치를 회전시켜 한쌍의 포크에 연결된 와이어와 함께 상기 포크를 승강시킬 시 상기 포크가 전도될 우려가 다분함은 물론 전도된 상기 포크에서 낙하하는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부와 상기 포크에 무리가 가 파손될 우려 또한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포크부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스토퍼부재가 주축이 와이어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상기 포크부가 전도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포크부에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하는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포크부와 승강부에 무리가 가 파손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롤러가 구비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측부에 각각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에 전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전면판과, 선단부가 상기 전면판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에 축고정되고 주기어가 구비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의 선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 사이에 축고정되고 종기어가 구비되는 권취드럼과, 선단부가 상기 포크부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를 경유한 상태로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주축의 주기어와 상기 권취드럼의 종기어 사이에 치합되는 감속기어와, 상기 주축이 권취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강부;로 구성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축이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일정높이 상승하도록 상기 전면판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축을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주축의 선측부에 구비되는 레칫기어와;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커 상기 권취드럼의 축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상기 레칫기어의 기어치에 삽입되도록 회동 또는 상승되어 상기 주축이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의 가이드슬릿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스토퍼부재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판의 가이드슬릿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연결부재에 접촉되고,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재의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면판에 중간부가 축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승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면판의 가이드슬릿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지지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되는 일측이동바와, 상기 일측이동바의 중간부에 상부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향경사판으로 구성되는 일측 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일측이동바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이동바와, 상기 일측이동부재의 하향경사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이동바에 고정되고 하부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향경사판과, 상기 일측이동부재의 하향경사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이동바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편과, 상기 타측이동바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걸림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재의 타측이동바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전면판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부재의 상부걸림편이 걸림고정되어 상기 타측이동바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포크부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스토퍼부재가 주축이 와이어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상기 포크부가 전도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포크부에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서 낙하하는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포크부와 승강부에 무리가 가 파손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권취드럼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스토퍼부재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상기 스토퍼부재가 주축이 상기 와이어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부재로 인해 상기 포크부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상기 스토퍼부재가 주축이 상기 와이어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타측이동바, 상향경사판, 하부고정편 및 상부걸림편으로 구성되는 상기 스토퍼부재를 통해 상기 포크부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주축이 상기 와이어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예인 스토퍼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다른예인 스토퍼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또 다른예인 스토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스토퍼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예인 스토퍼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다른예인 스토퍼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또 다른예인 스토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스토퍼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승강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직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포크부(30), 승강부(40), 스프링(50), 레칫기어(60) 및 스토퍼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부에는 롤러(110)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수평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전후측부에는 각각 이동바퀴(210)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포크부(30)는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구비된다.
상기 포크부(30)는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상하이동한다.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는 운반하고자 하는 중량물이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40)는 후면판(410), 전면판(420), 주축(430), 손잡이부(440), 권취드럼(450), 와이어(460), 감속기어(471) 및 회전방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판(41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중간부 후측면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420)은 상기 후면판(4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판(410)과 상기 전면판(420)을 감싼 상태로 상기 후면판(410)과 상기 전면판(420) 사이에 커버(도 1의 409)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축(430)은 상기 후면판(410) 및 상기 전면판(420)에 축고정된다.
상기 주축(430)의 선단부는 상기 전면판(420)의 전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외부로 상기 전면판(4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축(430)의 선단부에는 상기 전면판(4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주기어(431)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축(430)의 선단에는 손잡이부(440)가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드럼(450)은 상기 전면판(420) 및 후면판(410) 사이에 축고정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의 선단에는 상기 전면판(4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종기어(451)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460)의 중간부는 상기 롤러(110)를 경유한다.
상기 와이어(460)의 선단부는 상기 포크부(30)에 연결고정된다.
상기 와이어(460)의 후단부는 상기 권취드럼(450)에 권취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축(430)의 주기어(431)와 상기 권취드럼(450)의 종기어(451) 사이에는 상기 전면판(4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감속기어(471)가 상기 전면판(420)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471)는 상기 주기어(431) 및 상기 권취드럼(450)의 종기어(451)와 각각 치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471)는 상기 주기어(431)와 치합되는 상측 감속기어(471a)와, 상기 권취드럼(450)의 종기어(451)와 치합되는 하측 감속기어(47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감속기어(471a)는 제 1상측 감속기어(471a1)와 제 2상측 감속기어(471a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측 감속기어(471a1)의 외경크기는 상기 제 2상측 감속기어(471a2)의 외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측 감속기어(471a2)는 상기 주축(430)의 주기어(431)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감속기어(471b)는 제 1하측 감속기어(471b1)와 제 2하측 감속기어(471b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하측 감속기어(471b1)의 외경크기는 상기 제 2하측 감속기어(471b2)의 외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하측 감속기어(471b1)는 상기 권취드럼(450)의 종기어(451)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측 감속기어(471b2)는 상기 제 1상측 감속기어(471a1)와 치합될 수 있다.
가령, 작업자가 상기 주축(430)의 선단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4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주축(430)은 상기 손잡이부(44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주축(430)의 회전력은 상기 감속기어(471)를 통해 상기 권취드럼(450)으로 감속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권취드럼(450)에 상기 와이어(460)가 권취될 수 있다.
반면에, 작업자가 상기 주축(430)의 선단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4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주축(430)은 상기 손잡이부(440)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주축(430)의 회전력은 상기 감속기어(471)를 통해 상기 권취드럼(450)으로 감속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권취드럼(450)에서 상기 와이어(460)가 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미도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주축(430)이 상기 와이어(460)의 권취방향의 반대방향, 즉 상기 주축(4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방지부(미도시)는 공지된 브레이크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일예인 스토퍼부재(7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이 상기 와이어(46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일정높이 상승하도록 상기 전면판(420)에 호형상의 가이드슬릿(421)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을 하측으로 탄성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레칫기어(60)는 상기 전면판(4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축(430)의 선측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퍼부재(70)는 상기 와이어(460)에 작용하는 장력이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커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이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에 삽입되도록 회동 또는 상승되어 상기 주축(430)이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420)의 가이드슬릿(42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판(420)에는 고정판(8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평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0)의 하단부에는 지지판(90)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90)은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의 상부 외주연과 접하여 상기 축(450a)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90)과 상기 스토퍼부재(70)는 와이어(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9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5)의 타단부는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중간부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70)와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판(420)에는 고정축(7)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의 중간부는 상기 고정축(7)의 하측 외주연과 접하도록 상기 고정축(7)을 경유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초 상하방향으로 팽창된 상태인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은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한중량의 중량물과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중량물이 제한중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와이어(460)에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큰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0)은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은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5)의 타단부는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중간부 상측을 상기 고정축(7)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타단부는 상기 레칫기어(60)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 사이에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타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주축(430)이 상기 와이어(460)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즉, 상기 주축(4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제한중량 이하의 중량물을 안착시킬 시 상기 와이어(460)에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작은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축되었던 상기 스프링(50)은 팽창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은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5)의 당김력은 점차 약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타단부는 상기 레칫기어(60)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 사이에서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판(90)과 상기 스토퍼부재(70)가 상기 와이어(5)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30)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상기 스토퍼부재(70)가 상기 주축(430)이 상기 와이어(460)의 권취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다른예인 스토퍼부재(7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동부재(120)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판(90)의 타단부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20)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판(90)의 에 고정된 연결부재(1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수직축(101)과 수평판(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101)은 상기 지지판(90)의 타단부 하부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102)은 상기 수직축(101)의 하단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20)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수평판(102) 타측 상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20)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하단부 상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동부재(120)의 중간부는 상기 전면판(420)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상단부와 상기 전면판(420)의 중간부 타측면은 스프링(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9)의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9)의 타단부는 상기 전면판(420)의 중간부 타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20)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판(90)의 상승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재(7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중량물이 제한중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와이어(460)에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큰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0)은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과 상기 지지판(90)은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20)의 하단부는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부재(120)의 상단부는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하단부 역시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반면에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상단부는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9)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제한중량 이하의 중량물을 안착시킬 시 상기 와이어(460)에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작은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축되었던 상기 스프링(50)은 팽창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과 상기 지지판(90)은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9)은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상단부는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 사이에서 이탈되고,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하단부는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부재(120)의 상단부는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반면에 상기 회동부재(120)의 하단부는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수평판(102)의 타측 상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20)로 인해 상기 포크부(30)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상기 스토퍼부재(70)가 상기 주축(430)이 상기 와이어(460)의 권취방향, 즉 상기 주축(4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또 다른예인 스토퍼부재(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이동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이동부재(140)는 일측 이동바(141)와 하향경사판(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상태인 상기 일측 이동바(141)의 상측은 상기 지지판(90)의 타측 하부면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인 상기 일측 이동바(141)의 상측은 상기 지지판(90)의 타측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수평연결된 연결부재(130)의 타단부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9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420)에는 상기 일측 이동바(141)의 양측방향에 수직으로 각각 위치하는 가이드판(143, 144)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향경사판(142)은 상기 일측이동바(141)의 중간부 내주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향경사판(142)의 상부면은 상기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후술할 타측이동바(710)의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7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이동바(710), 상향경사판(720), 하부고정편(730) 및 상부걸림편(7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이동바(710)는 상기 일측 이동바(14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일측이동바(141)의 타측에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타측이동바(7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판(420)의 타측에는 수직상태인 가이드판(711, 712)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경사판(720)은 상기 일측이동부재(140)의 하향경사판(14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중간부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고정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경사판(720)의 하부면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이동바(141)의 내주면 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편(730)은 상기 일측이동부재(140)의 하향경사판(14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내주면 하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걸림편(740)은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내주면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150)과 걸림고정판(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은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타측이동바(710)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판(71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150)의 하단부는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외주면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160)은 상기 일측이동바(141)의 상부와 상기 타측이도바(71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판(42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160)에는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상부걸림편(740)이 걸림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타측이동바(710)가 상기 스프링(15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스토퍼부재(7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중량물이 제한중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와이어(460)에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큰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0)은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 상기 지지판(90) 및 상기 일측이동바(141)는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향경사판(142)은 상기 일측이동바(141)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상향경사판(720)을 상부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걸림편(740)의 걸림고정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수축되는 상기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측이동바(710)는 상기 레칫기어(60)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레칫기어(60)방향으로 상승하는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상단부는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포크부(30)의 상부면에 제한중량 이하의 중량물을 안착시킬 시 상기 와이어(460)에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작은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축되었던 상기 스프링(50)은 팽창됨과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 상기 지지판(90) 및 상기 일측이동바(141)는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향경사판(142)은 상기 일측이동바(141)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고정편(730)과 접하여 상기 하부고정편(730)을 하부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타측이동바(710)는 상기 일측이동바(141)를 따라 하강하여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상단부가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 사이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걸림편(740)은 상기 걸림고정판(160)의 하부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고정판(160)과 접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프링(150)은 팽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측이동바(710), 상향경사판(720), 하부고정편(730) 및 상부걸림편(740)으로 구성되는 상기 스토퍼부재(70)를 통해 상기 포크부(30)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상기 주축(430)이 상기 와이어(460)의 권취방향 즉, 상기 주축(4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포크부(30)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안착될 시 상기 스토퍼부재(70)가 상기 주축(430)이 상기 와이어(460)의 권취방향으로 회전 즉, 상기 주축(4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상기 포크부(30)가 전도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포크부(30)에서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이 상기 포크부(30)에서 낙하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30)에서 낙하하는 제한중량을 초과한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포크부(30)와 승강부(40)에 무리가 가 파손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수직프레임, 20; 하부프레임,
30; 포크부, 40; 승강부,
50; 스프링, 60; 레칫기어,
70; 스토퍼부재.
30; 포크부, 40; 승강부,
50; 스프링, 60; 레칫기어,
70; 스토퍼부재.
Claims (4)
- 상부에 롤러(110)가 구비된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측부에 각각 이동바퀴(210)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30)와;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고정되는 후면판(410)과, 상기 후면판(410)에 전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전면판(420)과, 선단부가 상기 전면판(420)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후면판(410) 및 상기 전면판(420)에 축고정되고 주기어(431)가 구비되는 주축(430)과, 상기 주축(430)의 선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40)와, 상기 전면판(420) 및 후면판(410) 사이에 축고정되고 종기어(451)가 구비되는 권취드럼(450)과, 선단부가 상기 포크부(30)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110)를 경유한 상태로 상기 권취드럼(450)에 권취되는 와이어(460)와, 상기 주축(430)의 주기어(431)와 상기 권취드럼(450)의 종기어(451) 사이에 치합되는 감속기어(471)와, 상기 주축(430)이 권취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강부(40);로 구성되고,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이 상기 와이어(46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일정높이 상승하도록 상기 전면판(420)에 가이드슬릿(421)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을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0)과;
상기 주축(430)의 선측부에 구비되는 레칫기어(60)와;
상기 와이어(460)에 작용하는 장력이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보다 커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이 상기 가이드슬릿(421)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상기 레칫기어(60)의 기어치(61)에 삽입되도록 회동 또는 상승되어 상기 주축(430)이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420)의 가이드슬릿(42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0)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80)과;
상기 스프링(5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을 지지하는 지지판(9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90)과 상기 스토퍼부재(70)는 와이어(5)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420)의 가이드슬릿(42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0)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80)과;
상기 스프링(5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을 지지하는 지지판(90);이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기 지지판(9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상기 지지판(90)에 고정된 연결부재(100)에 접촉되고,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면판(420)에 중간부가 축고정되고, 상기 지지판(90)의 상승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재(7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420)의 가이드슬릿(42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0)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판(80)과;
상기 스프링(5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450)의 축(450a)을 지지하는 지지판(9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90)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지지판(90)에 연결된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9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되는 일측이동바(141)와, 상기 일측이동바(141)의 중간부에 상부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향경사판(142)으로 구성되는 일측 이동부재(140);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부재(70)는 상기 일측이동바(14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이동바(710)와, 상기 일측이동부재(140)의 하향경사판(14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이동바(710)에 고정되고 하부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향경사판(720)과, 상기 일측이동부재(140)의 하향경사판(14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이동바(710)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편(730)과, 상기 타측이동바(7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걸림편(7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재(70)의 타측이동바(710)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50)과;
상기 전면판(420)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부재(70)의 상부걸림편(740)이 걸림고정되어 상기 타측이동바(710)가 상기 스프링(15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고정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9636A KR101060486B1 (ko) | 2010-12-17 | 2010-12-17 |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9636A KR101060486B1 (ko) | 2010-12-17 | 2010-12-17 |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0486B1 true KR101060486B1 (ko) | 2011-08-30 |
Family
ID=4493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9636A KR101060486B1 (ko) | 2010-12-17 | 2010-12-17 |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048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625B1 (ko) | 2012-09-24 | 2013-02-13 | 수림엘리베이터(주) |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
KR20200004994A (ko) | 2018-07-05 | 2020-01-15 | 김정민 |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
KR20200056691A (ko) | 2018-11-15 | 2020-05-25 |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
KR102369290B1 (ko) * | 2020-09-18 | 2022-03-02 |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 착용형 로봇의 거치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8489A (ja) | 2000-10-31 | 2002-05-09 | Green Service:Kk | 伸縮支柱用ウインチ及び投光機 |
JP2007008688A (ja) | 2005-07-01 | 2007-01-18 | Super Tool Co Ltd | 昇降装置 |
KR200443582Y1 (ko) | 2007-04-11 | 2009-02-26 | 신영호 | 이동식 리프트장치 |
-
2010
- 2010-12-17 KR KR1020100129636A patent/KR1010604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8489A (ja) | 2000-10-31 | 2002-05-09 | Green Service:Kk | 伸縮支柱用ウインチ及び投光機 |
JP2007008688A (ja) | 2005-07-01 | 2007-01-18 | Super Tool Co Ltd | 昇降装置 |
KR200443582Y1 (ko) | 2007-04-11 | 2009-02-26 | 신영호 | 이동식 리프트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625B1 (ko) | 2012-09-24 | 2013-02-13 | 수림엘리베이터(주) |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
KR20200004994A (ko) | 2018-07-05 | 2020-01-15 | 김정민 |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
KR20200056691A (ko) | 2018-11-15 | 2020-05-25 |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
KR102369290B1 (ko) * | 2020-09-18 | 2022-03-02 |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 착용형 로봇의 거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0486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 |
ES2504094T3 (es) | Mecanismos de anclaje para calzos retirables | |
EP2310311B1 (en) | Mast lift and mast lift system | |
EP1999056B1 (en) | Mast lift and mast lift system | |
JP2010202323A (ja) | 工事用リフトの安全装置 | |
US3638804A (en) | Hoisting apparatus | |
KR20140022484A (ko) |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 | |
JP3367639B2 (ja) | フォークリフトの安全装置 | |
EP2107034A1 (en) | Stabilizing apparatus for vehicles | |
KR101670614B1 (ko) |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 |
JP2009018922A (ja) | 台車傾転装置 | |
KR101805127B1 (ko) |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 |
KR101318018B1 (ko) | 핑거 프레임 기구 | |
JP2021169294A (ja) |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 |
KR100902005B1 (ko) | 승강식 철도용 신호기 | |
CN211257977U (zh) | 一种机械防坠落装置 | |
KR100217648B1 (ko) | 엔진 지지 장치 | |
CN220578851U (zh) | 一种抱桶翻转装置 | |
JPS606062Y2 (ja) | 移動止め機構の解除装置 | |
JPH05162991A (ja) | 昇降搬送装置の安全装置 | |
CN212500438U (zh) | 一种电缆井盖板搬运车 | |
US1853837A (en) | Stone cart | |
KR20180098023A (ko) | 소금적재장치 | |
JPS6328282Y2 (ko) | ||
JP3199217U (ja) | スライド式ダンプトラ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