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582Y1 - 이동식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582Y1
KR200443582Y1 KR2020070005940U KR20070005940U KR200443582Y1 KR 200443582 Y1 KR200443582 Y1 KR 200443582Y1 KR 2020070005940 U KR2020070005940 U KR 2020070005940U KR 20070005940 U KR20070005940 U KR 20070005940U KR 200443582 Y1 KR200443582 Y1 KR 200443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gear
struts
brake lever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638U (ko
Inventor
신영호
Original Assignee
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호 filed Critical 신영호
Priority to KR2020070005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58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좁은 작업현장에서 쉽게 이동해가면서 중량물을 원하는 높이의 작업공간으로 들어줄 수 있는 승강대를 전동 와이어방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승강대는 별도의 브레이크수단을 마련하여 대상물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며, 가볍고 부피가 큰 대상물의 경우 상기 승강대에 구비된 보조받침대를 이용하여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이동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으로 바퀴를 갖는 몸체의 전면에 한쌍의 지주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에 슬리브를 통하여 끼워지는 승강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승강대의 롤러를 상기 지주 상단의 행거에 와이어로 매달아 상기 와이어를 권회시키면서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전동 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지주의 한쪽 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에 치합되는 치차가 상기 승강대에 구비되며, 상기 치차에 치합되면 상기 승강대가 상승되는 쪽으로만 상기 치차의 회전을 허용하는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대, 브레이크레버, 치차, 톱니, 보조받침대

Description

이동식 리프트장치{A movable type lift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브레이크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받침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몸체 11 : 손잡이
12 : 바퀴 20 : 지주
21 : 톱니 30 : 승강대
31 : 슬리브 32 : 롤러
40 : 드럼 41 : 모터
50 : 치차 51 : 브레이크레버
52 : 힌지핀 53 : 돌기
54 : 스프링 60 : 보조받침대
본 고안은 이동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사람이 좁은 공간을 쉽게 밀고 다니면서 중량물을 원하는 작업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특히 브레이크수단을 마련하여 승강대에 놓인 물건의 추락이 방지되고, 가볍고 부피가 큰 물건의 경우 보조받침대를 이용하여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이동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장치는 승강대를 와이어방식 또는 유압실린더방식으로 들어올려 대상물을 원하는 높이의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한다. 이러한 리프트장치는 대부분 바닥이 평탄하고 넓은 작업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계단이 많고 폭이 좁으면서 여러 개의 방으로 구획된 공간의 경우 이러한 리프트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 즉 실내 인테리어나 천장의 덕트공사가 많은 작업 현장은 바닥에 턱이나 계단이 많고 각 층마다 이동해가면서 작업해야 되므로 이러한 리프트장치의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실내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용 발판을 별도로 제작하여 그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고 밑에서 다른 작업자가 물건을 들어주면 이를 천장에 매달거나 설치해야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무거운 물건의 경우 들어올리는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좁은 작업현장에서 쉽게 이동해가면서 중량물을 원하는 높이의 작업공간으로 들어줄 수 있는 승강대를 전동 와이어방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승강대는 별도의 브레이크수단을 마련하여 대상물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며, 가볍고 부피가 큰 대상물 의 경우 상기 승강대에 구비된 보조받침대를 이용하여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이동식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으로 바퀴를 갖는 몸체의 전면에 한쌍의 지주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에 슬리브를 통하여 끼워지는 승강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승강대의 롤러를 상기 지주 상단의 행거에 와이어로 매달아 상기 와이어를 권회시키면서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전동 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지주의 한쪽 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에 치합되는 치차가 상기 승강대에 구비되며, 상기 치차에 치합되면 상기 승강대가 상승되는 쪽으로만 상기 치차의 회전을 허용하는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정면도 이다.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는 양측으로 바퀴(12)를 가지며 상부에 손잡이(11)를 갖는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에는 서로 떨어진 한쌍의 지주(20)를 갖는 발판(13)이 구비된다.
상기 지주(20)에는 슬리브(31)를 통하여 연결되는 승강대(30)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대(30)는 상기 지주(20)를 따라 승강되면서 중량물을 원하는 작업 높이로 올려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주(20)는 새로운 지주를 연결구(22)로 연결하여 상 기 승강대(30)의 승강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모터(41)로 회전되는 드럼(40)이 구비되며, 상기 지주(20)의 상단에는 행거(23)가 가설되고, 상기 드럼(40)에 감긴 와이어(42)는 상기 행거(23) 중앙의 롤러(24) 및 상기 승강대(30) 후면의 롤러(32)를 거쳐 상기 행거(23)에 그 끝단이 고정된다. 결국 드럼(40)이 회전되면 와이어(42)가 드럼(40)에 감기면서 당겨지는데, 그 끝단이 상기 행거(23)에 고정돼 있으므로 상기 승강대(30)는 당겨지는 와이어(42)와 구름접촉되는 롤러(32)를 통하여 상기 지주(20)를 따라 강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40)이 역회전되면 상기 와이어(42)가 풀리는데 이때는 상기 승강대(30)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풀리는 와이어(42)를 당겨주므로 와이어(42)의 꼬임이나 처짐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브레이크수단의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이동식 리프트장치의 받침부 단면도 이다.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는 상기 승강대(30)의 추락을 방지하는 브레이크수단이 구비된 점이다.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한방향 래칫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어느 한 지주(20)의 외주면에 나사산 모양의 톱니(21)가 반복 형성되고, 상기 톱니(21)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치차(50)가 구비된다. 상기 톱니(21)는 별도로 제작하여 지주 외주면에 용접하거나 또는 지주의 외주면을 직접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치차(50)는 상기 승강대(30)의 후면으로 구비된 브래킷(55)에 축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치차(50)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55)에 힌지핀(52)으로 축지지되는 브레이크레버(51)가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크레버(51)에는 상기 치차(50)의 치형에 끼워들어가 걸리는 돌기(53)가 형성되어 상기 치차(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브레이크레버(51)가 벌어지면서 상기 돌기(53)를 타고 넘으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브레이크레버(51)가 상기 치차(50) 쪽으로 당겨지면서 돌기(53)에 걸려 정지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브레이크레버(51)에는 양방향으로 힘을 주는 스프링(54)이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레버(51)를 상기 치차(50) 쪽으로 또는 반대쪽으로 밀어주며, 상기 힌지핀(52)은 상기 치차(50)의 축보다 상기 지주(20) 쪽으로 엇갈리게 근접되어 상기 치차(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치차(50) 쪽으로 당겨져 제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승강대(30)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브레이크레버(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돌기(56)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대(30)에는 저면의 레일(61)을 따라 출입되는 보조받침대(6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받침대(60)는 가볍고 부피가 큰 물건을 받칠 때 사용하며, 상기 승강대(30)의 후면 하부에는 상기 지주(20)와 구름접촉되면서 상기 승강대(30)를 받쳐주는 받침롤러(33)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는 작업장이 좁고 계단 및 턱이 많은 실내 인테리어 또는 실내 덕트공사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한사람이 손잡이(11)를 이용하여 몸체(10)를 기울인 뒤 바퀴(12)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밀고 갈 수 있으며, 특히 계단이나 턱이 있을 경우 이를 타고 넘을 수 있는 바퀴(12)가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이동이 편리하다.
본 고안은 작업위치에서 몸체(10)를 세우면 발판(13)이 지면에 닿아 지탱되므로 전복의 위험이 없으며, 발판(13) 위쪽의 승강대(30)에 원하는 물건을 올려 놓고 별도의 스위치로 모터(41)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 드럼(40)이 회전되면서 와이어(42)를 당긴다. 이때 와이어(42)의 끝단은 헹거(2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42)가 당겨지는데 상기 승강대(30)는 롤러(32)를 통하여 와이어(42)와 연결되므로 자연스럽게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치차(50)는 지주(20)에 형성된 톱니(21)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브레이크레버(51)의 돌기(53)를 타고 넘으며, 상기 브레이크레버(51)는 스프링(54)에 의해 상기 치차(50) 쪽으로 힘을 받으므로 상기 돌기(53)는 상기 치차(50)의 치형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승강대(30)가 원하는 높이로 정지되면 상기 브레이크레버(51)의 돌기(53)가 치차(50)에 물린 상태가 되므로 상기 와이어(42)가 끈어지는 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승강대(30)의 추락이 방지된다. 상기 승강대(30)가 하강되기 위해선 상기 치차(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나, 상기 브레이크레버(51)의 돌기(53)와 맞물려서 그 회전이 정지되므로 추락이 방지된다.
상기 승강대(30)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는 수동으로 상기 브레이크레버(51)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이의 돌기(53)가 치차(50)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된다. 이때 스프링(54)은 상기 눌려진 브레이크레버(51)를 계속 누르는 쪽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작업자가 한번 눌러주면 상기 브레이크레버(51)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다. 상기 스 프링(54)은 양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으로서 스프링(54)의 상사점 이상으로 상기 브레이크레버(51)를 이동시키면 그 상태를 유지시킨다.
승강대(30)가 최대한 하강되면 몸체(10)에 마련된 복귀돌기(56)에 상기 브레이크레버(51)가 눌리면서 회동되고 돌기(53)가 상기 치차(50)와 맞물리는 쪽으로 상기 브레이크레버(51)가 이동되어 초기화된다.
그리고 가볍고 부피가 큰 물건을 실을 때에는 상기 승강대(30) 하부의 보조받침대(60)를 당겨주면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주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승강대를 원하는 작업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특히 승강대에는 브레이크수단이 마련되어 와이어가 끊어지더라도 승강대의 추락이 방지되므로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승강대에는 보조받침대가 구비되어 가볍고 부피가 큰 물건도 쉽게 올릴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좁은 공간에서 쉽게 이동 가능하며 분해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양측으로 바퀴를 갖는 몸체의 전면에 한쌍의 지주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에 슬리브를 통하여 끼워지는 승강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승강대의 롤러를 상기 지주 상단의 행거에 와이어로 매달아 상기 와이어를 권회시키면서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전동 드럼이 구비된 이동식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한쪽 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에 회전가능하게 치합되는 치차가 상기 승강대에 구비되며,
    상기 치차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가 상승되는 쪽으로만 상기 치차의 회전을 허용하는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치차 및 상기 브레이크레버는 상기 승강대의 브래킷에 축지지되며,
    상기 브레이크레버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가 상승되는 동안 상기 치차가 상기 돌기를 타고 넘도록 해주고 또한 상기 브레이크레버가 강제로 당겨지면 상기 돌기가 상기 치차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브레이크레버를 눌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는 가볍고 부피가 큰 물건을 받쳐주는 보조받침대가 출입식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트장치.
KR2020070005940U 2007-04-11 2007-04-11 이동식 리프트장치 KR200443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940U KR200443582Y1 (ko) 2007-04-11 2007-04-11 이동식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940U KR200443582Y1 (ko) 2007-04-11 2007-04-11 이동식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38U KR20080004638U (ko) 2008-10-15
KR200443582Y1 true KR200443582Y1 (ko) 2009-02-26

Family

ID=4134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940U KR200443582Y1 (ko) 2007-04-11 2007-04-11 이동식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5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486B1 (ko) 2010-12-17 2011-08-30 이두현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406B1 (ko) 2020-09-16 2022-05-20 (주) 늘푸른동방 덕트 리프트 장치
KR102469349B1 (ko) * 2021-01-19 2022-12-07 김창주 리프트 추락 방지 장치
CN116477527B (zh) * 2023-04-07 2023-10-31 安徽舜叉智能装备有限公司 平稳移动式全电动托盘堆垛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486B1 (ko) 2010-12-17 2011-08-30 이두현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38U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8652A (en) Mobile ladders and platforms
US7370725B1 (en) Motorized rungless ladder
US20070169996A1 (en) Powered lift platform
US20130240296A1 (en) Mast lift and mast lift system
CN105507572B (zh) 可行走的脚手架
KR200443582Y1 (ko) 이동식 리프트장치
US20070029267A1 (en) Bicycle support rack
KR20110135476A (ko) 턱을 승강하는 이동식 체어
JP2016121014A (ja) 昇降作業台及びこの昇降作業台における昇降方法
JP2010115758A (ja) 可搬式作業台装置
US3630315A (en) Seat scaffold
US3428191A (en) Vehicle hoist assembly
US8602389B2 (en) Curtain door installation system
EP2559412B1 (de) Personenhubgerät mit Zusatzfunktionen
CN111422229B (zh) 一种爬楼梯运输小推车
KR101852545B1 (ko) 리프트 겸용 운반 사다리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KR20200111914A (ko) 무동력 수동 리프트 장치
TWM498752U (zh) 自走式人員升降工作台
JP3082743U (ja) 高所作業車
KR102524889B1 (ko) 중량물 인상기
KR102516845B1 (ko) 안정성이 향상된 고소 작업대
KR102358213B1 (ko) 수동 리프터
KR200479648Y1 (ko) 전동 핸드카
KR20160110289A (ko) 전자동 승하강 지팡이 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