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929B1 - 메인 롤러용 리프터 및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 - Google Patents

메인 롤러용 리프터 및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929B1
KR101708929B1 KR1020100020823A KR20100020823A KR101708929B1 KR 101708929 B1 KR101708929 B1 KR 101708929B1 KR 1020100020823 A KR1020100020823 A KR 1020100020823A KR 20100020823 A KR20100020823 A KR 20100020823A KR 101708929 B1 KR101708929 B1 KR 10170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ller
horizontal
roller
pair
horizontal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063A (ko
Inventor
요스케 하세가와
히토시 구시켄
가츠히코 아베
시게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4Roll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메인 롤러의 승강이나 반송, 와이어 소의 베어링 유닛에 대한 메인 롤러의 장착이나 떼어냄에 있어서, 메인 롤러의 높이 방향, 횡 방향 및 수평조정 등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승강 안내용 지주(2)를 구비하는 대차(3)와, 지주(2)에 지지되어 지주(2)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부(4)와, 승강부(4)에 지지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횡 이동부(5)와, 횡 이동부(5)에 대하여 수평방향의 지축(6)에 의해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수평조절부(7)와, 수평조절부(7)에 장착되어 반송·유지 대상으로서의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의 양단의 보스(11)를 지지하는 롤러 받침부(8)를 구비하는 한 쌍의 포크(9)와, 한 쌍의 포크(9)의 롤러 받침부(8)상의 보스(11)를 억제하는 가압 레버(12)에 의해 메인 롤러용 리프터(1)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메인 롤러용 리프터 및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LIFTER FOR MAIN ROLL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THE MAIN ROLLER}
본 발명은 와이어 소(wire saw)의 메인 롤러를 유지하여 반송할 때, 메인 롤러를 와이어 소의 베어링 유닛에 장착할 때, 및 와이어 소의 베어링 유닛으로부터 메인 롤러를 떼어낼 때에 이용하는 리프터, 및 리프터를 이용하는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소는 복수의 메인 롤러 사이에 와이어를 다중으로 권취하여 주행상태의 와이어를 반도체 등의 피가공물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피가공물을 소정의 두께로 절단한다. 당해 와이어 소의 조립에 있어서, 메인 롤러를 베어링 유닛에 장착하는 작업이 있다. 또한, 와이어 소의 사용자측에서는, 메인 롤러가 마모되었을 때, 또는 피가공물의 절단 사양이 바뀌었을 때에, 메인 롤러의 베어링 유닛으로부터 메인 롤러를 떼어내고, 다른 메인 롤러를 베어링 유닛에 장착하는 작업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메인 롤러의 반송을 위한 이동 대차(臺車)(163)를 개시하고 있다. 당해 이동 대차(163)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받침대(165)상의 요부(65a)에 메인 롤러로서의 가공용 롤러(115, 116, 117)를 실어 반송하고, 롤러 받침대(165)를 상승시켜 가공용 롤러(115, 116, 117)를 와이어 소(101)에 장착하기 쉬운 높이의 위치로 안내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롤러 받침대(165)상의 가공용 롤러(115, 116, 117)를 롤러 받침대(165)로부터 하측 레일(62B) 또는 상측 레일(62A)상으로 굴려 그들의 가공용 롤러(115, 116, 117)를 와이어 소(101)의 베어링 유닛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고, 그 위치에서 가공용 롤러(115, 116, 117)를 베어링 유닛에 장착한다.
그러나, 메인 롤러가 무거운 경우 롤러 받침대(165)상이나 레일(62A, 62B)상에서 굴리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대로는 작업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베어링 유닛에 대한 가공용 롤러(115, 116, 117)의 위치 결정도 중량을 수반하는 어려운 작업이 되어, 그 작업에 긴 작업 시간이 소모되는 바와 같은 작업능률상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2002-283209호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용 리프터에 있어서, 중량이 있는 메인 롤러의 승강이나 반송, 와이어 소의 베어링 유닛에 대한 메인 롤러의 장착, 떼어냄에 있어서, 메인 롤러의 높이 방향이나, 횡 방향의 조정 등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대차의 지주에 대하여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부와, 승강부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횡 이동부에 의해, 메인 롤러용 리프터를 구성하고, 횡 이동부에 장착된 포크에 의해 메인 롤러를 지지하고, 포크에 부속되는 가압 레버에 의해 메인 롤러를 움직임정지상태로 함과 함께, 승강부 및 횡 이동부의 기능에 의해 메인 롤러를 높이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본 발명의 메인 롤러용 리프터(1)는 승강 안내용 지주(2)를 구비하는 대차(3)와, 지주(2)에 지지되어 지주(2)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부(4)와, 승강부(4)에 지지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횡 이동부(5)와,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반송·유지 대상으로서의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의 양단의 보스(11)를 지지하는 롤러 받침부(8)를 구비하는 한 쌍의 포크(9)와, 한 쌍의 포크(9)의 롤러 받침부(8)상의 보스(11)를 억제하는 가압 레버(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청구항 1).
횡 이동부(5)는 수평방향의 지축(6)에 의해 수평조절부(7)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고, 한 쌍의 포크(9)는 수평조절부(7)에 장착되어 있다(청구항 1).
수평조절부(7)는 수평조절부(7)의 부속 장치로서 수평조절 구동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조절 구동장치(26)는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회전조작 가능한 수평조절 볼스크류(23), 수평조절부(7)에 수평방향의 연결 축(24)에 의해 장착되어 수평조절 볼스크류(23)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수평조절 볼너트(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청구항 1).
승강부(4)는 승강부(4)의 부속 장치로서 승강 구동장치(17)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구동장치(17)는 대차(3)측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13), 대차(3)의 지주(2)측에 장착되어 배터리(13)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용 모터(14), 대차(3)의 지주(2)측에 장착되고 모터(1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승강부(4)를 승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달수단(15, 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청구항 2).
횡 이동부(5)는 횡 이동부(5)의 부속 장치로서 횡 이동 구동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횡 이동 구동장치(21)는 승강부(4)에 장착되어 회전조작 가능한 횡 이동용 볼스크류(19),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횡 이동용 볼너트(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청구항 3).
삭제
삭제
또한, 가압 레버(12)는 각 포크(9)에 대하여 수평방향의 지점축(27)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가압 레버(12)를 각 포크(9)에 대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청구항 4).
나아가,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은 메인 롤러용 리프터(1) 및 운반상자(50)를 이용하여 메인 롤러(10)를 운반하는 방법이고, 상면 및 앞면을 개방 가능한 운반상자(50) 내에 위치 결정상태로 메인 롤러(10)를 수납하여, 메인 롤러(1)의 운반을 운반상자(50)와 함께 진행하고, 메인 롤러(10)의 보스(11) 하부에 메인 롤러용 리프터(1)의 한 쌍의 포크(9)를 삽입하여 포크(9)의 상승에 의해 운반상자(50) 내로부터 메인 롤러(10)를 반출하고, 또한, 메인 롤러용 리프터(1)의 한 쌍의 포크(9)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메인 롤러(10)를, 운반상자(50) 위에서 한 쌍의 포크(9)의 하강에 의해 운반상자(50) 내에 위치 결정상태로 수납하고, 한 쌍의 포크(9)의 후퇴에 의해 운반상자(50) 내에 메인 롤러(10)를 반입한다(청구항 7).
본 발명의 메인 롤러용 리프터(1)에 의하면, 한 쌍의 포크(9)에 의해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의 양단의 보스(11)를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부(4) 및 횡 이동부(5)에 의해 상하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이동 또는 위치 조정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소의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에 대한 메인 롤러(10)의 위치 결정작업이 쉽게 되어, 메인 롤러(10)의 장착이나, 떼어냄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메인 롤러(10)의 양단의 보스(11)가 한 쌍의 포크(9)의 롤러 받침부(8)상에서 지지되어 있을 때에, 가압 레버(12)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메인 롤러(10)의 낙하나 불안정한 상태가 없어지고, 메인 롤러(10)의 반입, 장착·떼어냄, 반출 작업이 합리화된다(청구항 1).
승강부(4)에 부속되는 승강 구동장치(17)에 의하면, 지주(2) 사이의 전달수단(15, 16)에 의해 승강 이동의 큰 거리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주(2)를 따라 모터(14)에 의한 구동 방식으로 도입할 수 있다(청구항 2).
횡 이동부(5)에 부속되는 횡 이동 구동장치(21)에 의하면, 횡 이동용 핸들(18)의 회전조작에 의해 횡 이동부(5)가 승강부(4)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메인 롤러(10)의 횡 방향의 위치 조정이 쉽고, 와이어 소의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에 대한 메인 롤러(10)의 횡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된다(청구항3). 또,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와 횡 이동용 볼너트(20)의 나사작용(조작시와 역방향의 힘에 대한 정지작용)에 의해, 횡 이동 후에, 횡 이동부(5)가 횡 방향으로 함부로 움직이지 않는다(청구항 3).
횡 이동부(5)가 수평방향의 지축(6)에 의해 수평조절부(7)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한 쌍의 포크(9)가 수평조절부(7)에 장착되어 있으면, 메인 롤러(10)의 경사 수정이나, 수평조절작업이 쉽게 진행된다(청구항 4). 수평조절부(7)에 부속되는 수평조절 구동장치(26)에 의하면, 수평조절부(7)가 경사져 있을 때에, 횡 이동부(5)에 장착된 수평 조정용 핸들(2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평조절 볼스크류(23)와 수평조절 볼너트(25)의 나사결합에 의해, 수평조절부(7)가 수평 조절되고, 이에 의해 메인 롤러(10)도 수평으로 되어, 메인 롤러(10)의 와이어 소에 대한 도입이나, 와이어 소로부터 메인 롤러(10)의 떼어냄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된다(청구항 5). 또한, 수평조절 후, 수평조절부(7)는 수평조절 볼스크류(23)와 수평조절 볼너트(25)의 나사작용, 즉, 조작시와 역방향의 힘에 대한 정지작용에 의해, 메인 롤러(10)의 하중을 받아 경사지지 않는다(청구항 5).
가압 레버(12)의 개방시 및 메인 롤러(10)에 대한 가압 레버(12)의 가압시에, 가압 레버(12)가 한 쌍의 포크(9)에 대하여 결합 고정되기 때문에, 가압 레버(12)의 개방시에, 가압 레버(12)가 뜻하지 않게 닫치지 않고, 또한, 메인 롤러(10)에 대한 가압 레버(12)의 가압시에, 가압 레버(12)의 뜻하지 않는 개방에 의한 메인 롤러(10)의 낙하사고 등이 미리 방지되어, 안전상에도 유리하다(청구항 6).
또한, 메인 롤러용 리프터(1) 및 운반상자(50)를 이용한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에 의하면, 운반상자(50) 내에 메인 롤러(10)가 수납되기 때문에, 반송중의 메인 롤러(10)의 손상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또한, 운반상자(50)의 상면 및 앞면이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운반상자(50)의 내부에 메인 롤러(10)가 위치 결정상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운반상자(50)로부터의 메인 롤러(10)의 반출, 운반상자(50)에 대한 메인 롤러(10)의 반입에 있어서, 메인 롤러용 리프터(1)의 한 쌍의 포크(9)의 삽입, 진퇴 및 승강 동작이 장해 없이할 수 있어, 메인 롤러용 리프터(1)에 의한 메인 롤러(10)의 운반이 효율적으로 진행된다(청구항 7).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에 있어서, 지주에 의한 승강부의 지지구조의 확대 수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에 있어서, 승강부에 대한 승강 구동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에 있어서, 승강부에 의한 횡 이동부의 지지구조의 확대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에 있어서, 횡 이동부에 대한 횡 이동 구동장치의 확대 수평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에 있어서, 횡 이동부에 의한 수평조절부의 지지구조의 확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와이어 소용 리프터에 있어서, 수평조절부에 대한 수평조절 구동장치의 확대 수평 단면도.
도 10은 메인 롤러용 운반상자의 정면도.
도 11은 메인 롤러용 운반상자의 정면에서 본 수평 단면도.
도 12는 메인 롤러용 운반상자의 수평 단면도.
도 13은 메인 롤러용 운반상자의 측면에서 본 수직 단면도.
도 14는 와이어 소의 한 쌍의 베어링 유닛에 메인 롤러를 장착할 때의 수평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이동 대차를 이용하여 와이어 소의 한 쌍의 베어링 유닛에 메인 롤러를 장착할 때의 측면도.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 롤러용 리프터(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도 4 내지 도 9는 각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롤러용 리프터(1)는 반송·유지 대상으로서의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를 지지하기 위하여 대차(3), 승강부(4), 횡 이동부(5), 수평조절부(7), 한 쌍의 포크(9) 및 가압 레버(12)를 구비하고 있다.
대차(3)는 전방의 좌우 위치에서 방향이 고정된 차륜(31), 후방의 좌우 위치중의 일측에 캐스터(32), 타측에 핸들(30)이 부착되어 방향변환 가능한 회전바퀴(33)에 의해 견인 또는 미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간 후방의 위치에서 승강 안내용으로서 좌우 한 쌍의 지주(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30)은 당김용 스프링(69)에 의해 항상 직립하도록 당겨져 있다. 또, 지주(2)의 배면측에 밀기에 사용되는 핸들(61)이 장착되어 있다.
대차(3)의 전방 중앙위치에는, 필요에 따라, 좌우에서 마주보는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 롤러(66)가 전진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위치 결정 가이드 롤러(66)는 대차(3)의 전진시에 후술의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 등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 가이드(65)로 안내된다. 또, 캐스터(32), 회전바퀴(33)의 모두에, 또는 어느 하나에 모터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대차(3)를 자주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부(4)는 예를 들면 C형강에 의한 한 쌍의 지주(2) 사이에 위치하고, 좌우 상하의 가이드 롤러(34)에 의해 지주(2)를 따라 승강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고, 승강부(4)에 부속되는 승강 구동장치(17)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구동장치(17)는 대차(3)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13), 지주(2) 사이의 연결판(35)의 배면에 장착된 승강용 모터(14), 한 쌍의 지주(2) 사이에서 상하의 위치에 장착된 스프로킷 휠(16), 이들의 스프로킷 휠(16)에 권취된 엔드리스 체인(1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체인(15)의 일부는 한 쌍의 지주(2) 사이의 중앙에 있어서 연결부로 되어 있고, 이 연결부의 어태치먼트(60)에 의해 승강부(4)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14)는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이고, 배터리(13)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그 때의 출력 회전을 감속하여 상측의 스프로킷 휠(1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체인(15)을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하고, 체인(15)의 어태치먼트(60)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부(4)를 지주(2)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모터(14)에 내장되어 있는 감속기는 본래의 감속기능 이외에, 승강부(4)에 가해지는 하중에 근거하는 역구동에 의해서도, 체인(15)이나 스프로킷 휠(16)을 회전시키지 않고 승강부(4)를 소정의 높이에 유지하는 자동정지작용(정지기능)을 하고 있다.
상기의 스프로킷 휠(16)이나 체인(15)은 모터(14)에 의해 구동되어 승강부(4)를 승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달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 전달수단은 체인·스프로킷 휠 대신에 타이밍 벨트·타이밍 풀리, 랙·피니언, 볼스크류·볼너트 등으로도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정지기능은 모터(14)에 내장되어 있는 감속기의 자동정지작용에 의하지 않고, 모터(14)를 브레이크 수단을 부착하는 것으로 하여 모터(14)의 정지위치를 브레이크 수단에 의해 확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 이외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 이동부(5)는 승강부(4)의 앞면에 있어서, 상하 좌우의 롤러(36)에 의해 승강부(4)의 앞면에서 평행으로 장착되어 있는 C형강으로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안내 레일(37)을 따라 각 지주(2)에 직행하는 방향, 즉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승강부(4)에 지지되어 있고, 횡 이동부(5)에 부속되는 횡 이동 구동장치(21)에 의해 횡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 이동 구동장치(21)는, 승강부(4)에 지지된 횡 이동용 핸들(18)에 의해 조작 가능한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와,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횡 이동용 볼너트(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횡 이동용 핸들(18)은 배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있고, 배면위치의 작업자에 의해 조작하기 쉽도록 배면을 향한 상태로 기어박스(38)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18)의 회전은 기어박스(38) 내부의 한 쌍의 베벨기어(39, 40)에 의해 핸들(18)의 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인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에 전달되어, 횡 이동용 볼너트(20)를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의 방향으로 횡 이동시킨다. 또,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의 회전조작은 핸들(18) 대신에 전용 모터에 의해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이외에,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조절부(7)는, 한 쌍의 포크(9)를 횡 이동부(5)에 요동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하여 마련되고, 횡 이동부(5)의 앞면에 있어서, 상측에서 볼 때 "ㄷ" 자 모양이고, 횡 이동부(5)에 대하여 중앙의 상측위치에서 수평인 전후 방향의 지축(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축(6)에 의한 지지구조에 의해, 수평조절부(7)는 정면에서 볼 때 횡 이동부(5)에 대하여 진자(pendulum)처럼 요동하여, 수평조절부(7)에 부속되는 수평조절 구동장치(26)의 조작에 의해 수평조절 방향으로 경사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지축(6)은 횡 이동부(5)의 앞면에 고정되어 있고, 수평조절부(7)의 예를 들면 슬라이딩식의 베어링부(7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수평조절부(7)의 배면에 고정되어 횡 이동부(5)의 베어링부(7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수평조절부(7)와 횡 이동부(5)의 사이에 복수의 받침 롤러(73)가 개재되어 있다. 받침 롤러(73)는 수평조절부(7)의 요동을 허용하면서 그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조절부(7)의 배면 또는 횡 이동부(5)의 앞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들의 받침 롤러(73)의 축선은 지축(6)의 중심선에 교차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조절 구동장치(26)는 횡 이동부(5)에 지지된 수평 조정용 핸들(22)에 의해 조작 가능한 수평조절 볼스크류(23)와, 수평조절부(7)에 수평방향의 연결 축(24)에 의해 장착된 수평조절 볼너트(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평조절 볼너트(25)는 수평조절부(7)의 연결 축(24)의 축선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고, 수평조절 볼스크류(23)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된다. 또, 수평조절 볼스크류(23)의 회전조작은 핸들(22) 대신에 전용 모터에 의해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수평 조정용 핸들(22)은 배면에서 볼 때 오른쪽에 있고, 배면위치의 작업자에 의해 조작하기 쉽도록 핸들(18)보다 낮은 위치에서 배면을 향하고, 기어박스(41)에 장착되어 있다. 수평 조정용 핸들(22)의 회전은 기어박스(41) 내부의 한 쌍의 베벨기어(42, 43)에 의해 핸들(22)의 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인 수평조절 볼스크류(23)에 전달되어 수평조절 볼너트(25)를 이동시킨다. 또, 수평조절부(7)에 인디케이터(67)가 장착되고, 그 끝이 가는 지침은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있는 눈금판(68)의 눈금을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수평조절부(7)는 반송·유지 대상으로서의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앞면측에 한 쌍의 포크(9), 및 가압 레버(1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포크(9)는, 그 후부에 의해 수평조절부(7)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또한 앞측 선단의 윗부분에 메인 롤러(10)의 보스(11)를 받아 지지하기 위하여 원호 모양의 롤러 받침부(8)를 형성하고 있고, 보강을 위하여 2개의 로드(71)에 의해 좌우로 연결되어 있다.
가압 레버(12)는 롤러 받침부(8)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보스(11)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고, 각 포크(9)의 외측위치에 있어서, 포크(9)에 대하여 중간위치에서 수평방향의 지점축(27)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고, 일단에 롤러 받침부(8)의 원호 모양의 받침 패드(64)에 대응하는 원호 모양의 가압 패드(44)를 구비하고, 타단에 인덱스 플런저(28)를 구비하고 있다. 인덱스 플런저(28)는 각 포크(9)의 측면에 하나 또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계지 구멍(29)에 내장 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해 삽입되어 가압 레버(12)를 회전정지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은 메인 롤러(10)의 운반상자(50)를 나타내고 있다. 운반상자(50)는 박스 본체(51), 슬라이딩 삽입식 앞판(52), 개폐 뚜껑(53) 등으로 이루어진다. 박스 본체(51)는 앞면 및 상면에서 개방되어 있고, 좌우의 내측면에 하측 롤러 받침판(5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폐 뚜껑(53)은 박스 본체(52)의 배면측에 경첩(55)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고 떼어낼 수 있는 상태로 장착되고, 박스 본체(52)의 상면 개방부분을 막도록 패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고, 롤러 받침판(54)에 상하 대응하는 위치에 상측의 롤러 가압판(56)을 구비하고 있다.
롤러 받침판(54)이나 롤러 가압판(56)은 메인 롤러(10)의 보스(11)의 외주형상에 맞춰 반원호 모양 또는 "V" 자 모양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롤러 받침판(54)과 좌우의 측면판(62)의 내면 사이에 스페이서(74)가 있고, 이 스페이서(74)는 보스(11)의 단면에 닿아 메인 롤러(10)의 축선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 운반상자(50)는 운반용 포크리프트에 의한 들어올림/운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 하역용 팔레트와 마찬가지로 저부의 굽(57) 사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앞판(52)은 좌우의 측면판(62)의 안내홈(63)에 대하여 일례로 슬라이딩 삽입식으로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안내홈(63)에 대한 앞판(52)의 삽입상태(장착상태)에서, 앞판(52)은 상단에서 개폐 뚜껑(53)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상태가 된다.
여기서,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는, 운반상자(50)의 내부에 위치 결정상태로 수납되어 운반상자(50)와 함께 운반된다. 메인 롤러(10)의 수납상태에서, 메인 롤러(10)의 보스(11)는 하측 좌우의 롤러 받침판(54)에 실려 전후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정지상태가 되고, 스페이서(74)에 의해서도 축선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작업자가 개폐 뚜껑(53)을 닫으면, 보스(11)는 상측 좌우의 롤러 가압판(56)에 의해 가압된다. 그 후,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운반상자(50)에 포장용 밴드를 묶어 개폐 뚜껑(53)을 닫은 상태로 고정한다.
운반상자(50)의 반송에 있어서, 작업자는 포크리프트를 운전하여 운반상자(50)의 하부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여 운반상자(50)와 함께 메인 롤러(10)를 들어올려 목표위치로 반송한다. 목표위치에서도 동일한 반송에 의해, 운반상자(50)는 메인 롤러용 리프터(1)의 부근위치에 내려진다. 그 후, 작업자는 개폐 뚜껑(53)을 열고 앞판(52)을 끌어올려 운반상자(50)로부터 떼어내고, 운반상자(50)의 상면 및 앞면을 개방하여 운반상자(50)로부터 메인 롤러(10)를 취출 가능한 상태로 한 후, 메인 롤러용 리프터(1)를 운반상자(50)의 부근까지 이동시켜 메인 롤러용 리프터(1)를 운반상자(50)에 대하여 정면에서 마주보게 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가압 레버(12)를 끌어올려 롤러 받침부(8)를 개방상태로 한 채로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14)를 시동시켜 좌우의 포크(9)를 적당한 높이로 설정한 다음, 대차(3)의 전진에 의해, 한 쌍의 포크(9)를 메인 롤러(10)의 보스(11) 하부에 삽입하고, 포크(9)를 상승시켜 롤러 받침부(8)의 받침 패드(64)의 위치에서 보스(11)를 받아 후퇴시킨 후, 가압 레버(12)를 내려 롤러 받침부(8)의 받침 패드(64)와 가압 레버(12)의 가압 패드(44)로 보스(11)를 집어 운반상자(50)로부터 메인 롤러(10)를 반출한다. 이 상태일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14)의 자동정지작용에 의해, 승강부(4)에 메인 롤러(10)의 하중이 가해져도, 승강부(4)는 그때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메인 롤러(10)를 장착하고자 하는 와이어 소 부근의 작업위치로 메인 롤러용 리프터(1)의 대차(3)를 이동시키고,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14)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승강부(4)를 와이어 소의 좌우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의 높이로 조절한다.
도 14는 와이어 소의 베어링 유닛(45, 46) 사이에 메인 롤러(10)를 도입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롤러용 리프터(1)의 대차(3)의 전진시에, 바닥면 또는 와이어 소의 장치의 베이스 등에 위치 결정 가이드(65)가 형성되어 있으면,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 롤러(66)가 위치 결정 가이드(65)에 위치 규제되면서 전진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대차(3)는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에 대하여 작업하기 쉬운 적절한 위치로 안내된다. 또, 위치 결정 가이드(65)와 위치 결정 가이드 롤러(66)의 장착위치는 바뀌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우선, 화살표 a와 같이, 대차(3)의 전후 이동 조절에 의해, 유지중의 메인 롤러(10)를 베어링 유닛(45, 46) 사이로 안내하고, 그들의 축심을 거의 일치시킨다.
이때, 배수를 위한 경사의 설정 등에 의해, 바닥면에 경사가 있으면, 포크(9)상의 메인 롤러(10)가 수평인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져있는 경우도 있다. 포크(9)상의 메인 롤러(10)가 수평인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정 가능한 범위를 넘어 경사져있다고 인정될 때, 작업자는 수평조절용 핸들(22), 수평조절 볼스크류(23)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조절 볼너트(25)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고, 수평조절부(7)를 지축(6)을 중심으로 요동시켜, 포크(9)상의 메인 롤러(10)의 중심선을 수평인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의 중심선에 거의 일치시켜 수평조절을 진행한다.
이때의 조정량은, 인디케이터(67)와 눈금판(68)의 상대위치의 변화(눈금)로부터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은 정확하게 수평상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인디케이터(67), 눈금판(68)은 시판되고 있는 간이 레벨기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수평조절작업에 의해, 메인 롤러(10)의 와이어 소에 대한 도입이나, 와이어 소로부터 메인 롤러(10)의 떼어냄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또, 수평조절 후, 수평조절 볼스크류(23)와 수평조절 볼너트(25)의 나사작용(조작시와 역방향의 힘에 대한 정지작용)에 의해, 수평조절부(7)는 메인 롤러(10)의 하중을 받아 경사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횡 이동용 핸들(18)을 소정의 방향으로 돌려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와 횡 이동용 볼너트(20)의 나사작용에 의해, 횡 이동부(5)를 횡 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화살표 b와 같이, 메인 롤러(10)를 중심축의 방향으로 횡 이동(수평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일측의 보스(11)의 테이퍼 구멍(47)을 마주하는 베어링 유닛(45)의 테이퍼 축(48)에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와 횡 이동용 볼너트(20)의 나사작용(조작시와 역방향의 힘에 대한 정지작용)에 의해, 횡 이동 후, 횡 이동부(5)는 횡 방향으로 함부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어서, 작업자는 메인 롤러(10)를 사이에 끼우는 방향, 즉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깃(Quill) 모양의 베어링 유닛(46)을 이동시켜 타측의 보스(11)의 테이퍼 구멍(47)에 베어링 유닛(46)의 테이퍼 축(49)을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메인 롤러(10)는 테이퍼 부분의 결합에 의해 심이 노출된 상태로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 사이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횡 이동부(5)에 부속되는 횡 이동 구동장치(21)에 의한 횡 방향의 이동 조작에 의해,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에 대한 메인 롤러(10)의 횡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깃 모양의 베어링 유닛(46)의 중심의 축 구멍(58)에 고정 볼트(59)를 화살표 d와 같이 삽입하고 그 수나사를 베어링 유닛(45)의 암나사(72)에 체결하여 메인 롤러(10)를 두 베어링 유닛(45, 46) 사이에서 조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롤러(10)는 두 베어링 유닛(45, 46)의 사이에 장착되고, 이들의 베어링 유닛(45, 46)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와이어 소에 도입된다.
이상과 같이, 한 쌍의 포크(9)에 의한 메인 롤러(10)의 양단의 보스(11)를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부(4), 횡 이동부(5), 수평조절부(7)에 의해 상하 방향, 횡 방향 및 경상 수정 방향으로 이동 또는 위치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소의 한 쌍의 베어링 유닛(45, 46)에 대한 메인 롤러(10)의 위치 결정이나 수평조절 작업이 쉽게 되어 메인 롤러(10)의 장착이나, 떼어냄 작업이 능률적으로 진행된다.
와이어 소로부터 메인 롤러(10)를 떼어낼 때는, 이상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 즉 메인 롤러(10)를 한 쌍의 포크(9)에 의해 지지하고, 이 메인 롤러(10)를 운반상자(50) 위에서 한 쌍의 포크(9)의 하강에 의해 운반상자(50) 내에 위치 결정상태로 수납하고, 한 쌍의 포크(9)의 후퇴에 의해, 운반상자(50)의 내부에 메인 롤러(10)를 반입하게 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유사한 롤러의 반송, 도입에도 이용할 수 있다.
1 메인 롤러용 리프터 2 지주
3 대차(臺車) 4 승강부
5 횡 이동부 6 지축
7 수평조절부 8 롤러 받침부
9 포크 10 메인 롤러,
11 보스 12 가압 레버
13 배터리 14 모터
15 체인 16 스프로킷 휠
17 승강 구동장치 18 핸들
19 횡 이동용 볼스크류 20 횡 이동용 볼너트
21 횡 이동 구동장치 22 핸들
23 수평조절 볼스크류 24 연결축
25 수평조절 볼너트 26 수평조절 구동장치
27 지점축 28 인덱스 플런저
29: 계지 구멍 30 핸들
31 차륜 32 캐스터
33 회전바퀴 34 가이드 롤러
35 연결판 36 롤러
37 안내 레일 38 기어박스
39 베벨기어 40 베벨기어
41 기어박스 42 베벨기어
43 베벨기어 44 가압 패드
45 베어링 유닛 46 베어링 유닛
47 테이퍼 구멍 48 테이퍼 축
49 테이퍼 축 50 운반상자
51 박스 본체 52 앞판
53 개폐 뚜껑 54 롤러 받침판
55 경첩 56 롤러 가압판
57 굽 58 축 구멍
59 고정 볼트 60 어태치먼트
61 핸들 62 측면판
63 안내홈 64 받침 패드
65 위치 결정 가이드 66 위치 결정 가이드 롤러
67 인디케이터 68 눈금판
69 당김용 스프링 70 베어링부
71 로드 72 암나사
73 받침 롤러 74 스페이서

Claims (7)

  1. 승강 안내용 지주(2)를 구비하는 대차(3)와, 상기 지주(2)에 지지되어 상기 지주(2)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부(4)와, 상기 승강부(4)에 지지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횡 이동부(5)와, 상기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반송·유지 대상으로서의 와이어 소의 메인 롤러(10)의 양단의 보스(11)를 지지하는 롤러 받침부(8)를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포크(9)와, 한 쌍의 상기 포크(9)의 롤러 받침부(8)상의 보스(11)를 억제하는 가압 레버(1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횡 이동부(5)에 대하여 수평인 전후 방향의 지축(6)에 의해 수평조절부(7)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상기 수평조절부(7)에 좌우 한 쌍의 상기 포크(9)를 장착하고, 나아가 상기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회전조작 가능한 수평조절 볼스크류(23)와, 상기 수평조절부(7)에 수평 방향의 연결 축(24)에 의해 장착되어, 수평조절 볼스크류(23)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수평조절 볼너트(25)에 의해, 상기 수평조절부(7)를 요동 방향으로 구동하는 수평조절 구동장치(26)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롤러용 리프터(1).
  2. 제 1항에 있어서,
    대차(3)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13), 대차(3)의 지주(2)측에 장착되어 배터리(13)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용 모터(14), 대차(3)의 지주(2)측에 장착되고 승강용 모터(14)에 의해 구동되어 승강부(4)를 상승시키는 전달수단(15, 16)에 의해, 승강부(4)에 부속되는 승강 구동장치(1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롤러용 리프터(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에 장착되어 회전조작 가능한 횡 이동용 볼스크류(19), 횡 이동부(5)에 장착되어 횡 이동용 볼스크류(19)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횡 이동용 볼너트(20)에 의해, 상기 횡 이동부(5)에 부속되는 횡 이동 구동장치(21)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롤러용 리프터(1).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12)를 각 상기 포크(9)에 대하여 수평방향의 지점축(27)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장착하여, 상기 가압 레버(12)를 각 상기 포크(9)의 측면에 결합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롤러용 리프터(1).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20823A 2009-03-10 2010-03-09 메인 롤러용 리프터 및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 KR101708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55940A JP4859257B2 (ja) 2009-03-10 2009-03-10 メインローラ用リフタ
JPJP-P-2009-055940 2009-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063A KR20100102063A (ko) 2010-09-20
KR101708929B1 true KR101708929B1 (ko) 2017-02-21

Family

ID=4271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823A KR101708929B1 (ko) 2009-03-10 2010-03-09 메인 롤러용 리프터 및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59257B2 (ko)
KR (1) KR101708929B1 (ko)
CN (1) CN101829944B (ko)
TW (1) TWI4887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1613B1 (ja) 2011-03-28 2012-10-03 コマツNtc株式会社 ワイヤソー用リフター
CN102659044B (zh) * 2012-05-17 2013-11-27 北京交通大学 装配用三自由度起重机
CN102806281B (zh) * 2012-09-13 2015-04-01 上海第二工业大学 一种不规则管料自动提升定位夹紧装置
US8820717B2 (en) * 2012-10-26 2014-09-02 Tin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a tarpaulin over a load
CN103022396B (zh) * 2012-12-21 2015-02-04 东莞市天楠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机电池的卡紧结构
JP6369759B2 (ja) * 2015-04-15 2018-08-08 新東工業株式会社 乾式造粒装置における圧縮ロ−ル組付け治具及び圧縮ロ−ル組付け方法
CN106089840A (zh) * 2016-08-30 2016-11-09 苏州市吴中区木渎晓云模具加工厂 阀体上盖加工线的升降组件
CN107500181A (zh) * 2017-09-20 2017-12-22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油箱安装辅助工装
CN108439279A (zh) * 2018-03-29 2018-08-24 泸州品创科技有限公司 一种酒类行业酒曲托盘搬运的稳定保持装置
CN108482936B (zh) * 2018-05-07 2024-01-05 连云港贝斯特机械设备有限公司 育菇环境内的菌筐搬运装置
CN109607426A (zh) * 2019-01-25 2019-04-12 天津朗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agv叉车
CN109694017B (zh) * 2019-03-06 2024-01-05 盘锦中舜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节多功能井口运送装置
CN110788749A (zh) * 2019-12-11 2020-02-14 中环领先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高质量无规则晶棒的搬运系统
CN112850577B (zh) * 2021-01-19 2022-06-17 杭州鑫乐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版辊用吊装系统
CN113264481B (zh) * 2021-06-09 2022-07-08 科派股份有限公司 一种叉式全方位重载搬运车
WO2023147282A1 (en) * 2022-01-26 2023-08-03 Ranpak Corp. Lifting device for a dunnage conversion machine
CN114436154A (zh) * 2022-02-23 2022-05-06 北京半导体专用设备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五研究所) 升降平移搬运装置
CN114852912A (zh) * 2022-04-20 2022-08-05 北京半导体专用设备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五研究所) 一种辅助上料机构
CN116374796B (zh) * 2023-06-02 2023-08-29 山东海洋工程装备研究院有限公司 海上风机整体吊装工装及吊装方法
CN117302666B (zh) * 2023-11-29 2024-02-02 江苏百顺胶粘带有限公司 一种塑胶带切割设备的收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867A (ja) * 1999-11-02 2001-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クレーン装置
JP2002283209A (ja) * 2001-03-26 2002-10-03 Nippei Toyama Corp ワイヤソーのローラ搬送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1A (ko) * 1973-05-07 1975-01-07
JPS6286400A (ja) * 1985-10-11 1987-04-20 ソニー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
JPS6286400U (ko) * 1985-11-18 1987-06-02
JPH0977493A (ja) * 1995-09-18 1997-03-25 Komatsu Forklift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リム装置
JP3790580B2 (ja) * 1996-07-02 2006-06-28 三井造船株式会社 鉄道車輪輪軸搬送ロボット
JPH11292493A (ja) * 1998-04-04 1999-10-26 Bizen Hatsujo Kk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移動操作装置
JP2004035239A (ja) * 2002-07-08 2004-02-05 Atex Co Ltd 昇降体の昇降制御装置
DE10305900C5 (de) * 2003-02-13 2014-04-17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Stapler
CN2923650Y (zh) * 2006-06-20 2007-07-18 许晓华 电动搬运小叉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867A (ja) * 1999-11-02 2001-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クレーン装置
JP2002283209A (ja) * 2001-03-26 2002-10-03 Nippei Toyama Corp ワイヤソーのローラ搬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9944A (zh) 2010-09-15
TW201036909A (en) 2010-10-16
JP2010208790A (ja) 2010-09-24
JP4859257B2 (ja) 2012-01-25
TWI488796B (zh) 2015-06-21
KR20100102063A (ko) 2010-09-20
CN101829944B (zh)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929B1 (ko) 메인 롤러용 리프터 및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
JP2010208790A5 (ko)
CN104803323B (zh) 一种用于输送线切割料的运送车
JP5453555B2 (ja) 板材搬出入棚装置
CN110885011B (zh) 一种大型焊接件加工用吊装装置
TWI394623B (zh) 線鋸機用升降機
JP2001253344A (ja) 輪軸圧抜装置と輪軸圧入装置と輪軸着脱装置
KR102319343B1 (ko) 팔레트 이송장치
EP2500312B1 (en) Heavy load cassette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CN111017553A (zh) 一种轮胎上料装置及自动装胎设备
CN210878769U (zh) 剪机换刀装置
CN114734066A (zh) 一种卷筒外圆柱面加工用自动上下料设备
CN210340233U (zh) 一种工件托运装置
CN211664209U (zh) 一种轮胎上料装置及自动装胎设备
CN210824664U (zh) 一种可辅助钢卷上下料的翻转设备
JPH0967003A (ja) 昇降荷送り装置付き運搬車
CN209906295U (zh) 一种可移动的x射线机升降装置
CN110790026A (zh) 一种用于包衣设备的新型片剂上料机及方法
CN217513117U (zh) 桁车装置及上下料系统
CN220449259U (zh) 一种用于玻纤卸载的agv运载车
CN217098376U (zh) 滚轮上料机构
JP4716403B2 (ja) 移載装置
CN212286351U (zh) 一种大型板材自动对正及输送装置
JPH01118328A (ja) ワーク搬送装置
CN117400045A (zh) 一种火车车轮坯料切头自动收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