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016B1 -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016B1
KR102540016B1 KR1020230015336A KR20230015336A KR102540016B1 KR 102540016 B1 KR102540016 B1 KR 102540016B1 KR 1020230015336 A KR1020230015336 A KR 1020230015336A KR 20230015336 A KR20230015336 A KR 20230015336A KR 102540016 B1 KR102540016 B1 KR 10254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ire
mounting housing
pair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의
Original Assignee
강성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의 filed Critical 강성의
Priority to KR102023001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수막의 고소설치 및 현수막의 교체작업을 작업자가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가 아닌 불특정인에 의한 현수막게시대의 승하강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상측이 조인트지지프레임(110)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측면부에 소정길이의 가이드레일부(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상기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무빙롤러부(250)가 설치된 상태로 현수막(10)의 일측을 홀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홀딩되는 현수막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쐐기구(241)가 형성되는 현수막게시대(200);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와,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를 연결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조인트픽싱구(320)와,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와이어(330)로 구성된 현수와이어부(300);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중 어느 하나의 직립기둥부(100)에 장착되는 장착하우징(510)과,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메인톱니기어편(522)이 장착된 와이어권취드럼(520)과,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가이더(530)와,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가이더(530)의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공구에 연결되는 공구연결헤더(540)와, 상기 공구연결헤더(540)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에 결합되는 헤더보호구(550)와, 상기 메인톱니기어편(522)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회전가이더(530)에 설치되는 구동기어편(560)과, 상기 구동기어편(56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의 양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제어유닛(570)으로 구성된 게시대승강조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BANNER POSTING APPARATUS HIGH PLACE INSTALLATION TYPE OF BANNER}
본 발명은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수막의 고소설치 및 현수막의 교체작업을 작업자가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가 아닌 불특정인에 의한 현수막게시대의 승하강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해 실내외, 이를테면 주로 건물 입구나 길거리에 게시하여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한 것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천 등의 소재에 광고 또는 홍보 문구나 그림, 문양 등을 인쇄하여 게시하는 일종의 광고 수단이다.
이러한 현수막은 양쪽에 구비된 각목과 같은 지지대를 끈으로 묶어서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현수막을 고정하기 위한 끈은 주로 고층건물이나 가로수, 전봇대에 묶는 방식으로 무분별하게 설치되면서 도시미관이 크게 저해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처럼 무분별한 현수막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현수막 게시장치를 지정된 장소에 배치하고 있는바, 대부분의 현수막 게시장치가 한 쌍의 기둥을 서로 대향하게 설치하여 현수막을 끈으로 묶도록 구비됨에 따라 끈의 풀림으로 인한 현수막 장력저하 및 현수막의 제거 후 끈이 지저분하게 잔류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요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또한, 이러한 현수막을 게시하거나 교체 또는 철거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 현수막을 교체 또는 철거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여러 명의 작업인원을 투입하여야 하며 작업 중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090호의 자동 승강식 현수막 게시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립기둥부에 설치되는 게시대승강조작부의 손쉬운 회전조작을 통해 현수막의 고소설치 및 현수막의 교체작업을 작업자가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게시대승강조작부가 불특정인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현수막의 분실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상측이 조인트지지프레임(110)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측면부에 소정길이의 가이드레일부(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상기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무빙롤러부(250)가 설치된 상태로 현수막(10)의 일측을 홀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홀딩되는 현수막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쐐기구(241)가 형성되는 현수막게시대(200);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와,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를 연결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조인트픽싱구(320)와,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와이어(330)로 구성된 현수와이어부(300);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중 어느 하나의 직립기둥부(100)에 장착되는 장착하우징(510)과,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메인톱니기어편(522)이 장착된 와이어권취드럼(520)과,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가이더(530)와,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가이더(530)의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공구에 연결되는 공구연결헤더(540)와, 상기 공구연결헤더(540)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에 결합되는 헤더보호구(550)와, 상기 메인톱니기어편(522)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회전가이더(530)에 설치되는 구동기어편(560)과, 상기 구동기어편(56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의 양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제어유닛(570)으로 구성된 게시대승강조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120)는, 상기 직립기둥부(100)의 일측면부에 용접장착되는 "∪"형상의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과, 상기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와 마주하는 일면부에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왕복이동을 위한 개구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41)와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슬라이딩롤러(25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돌출부(1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형 레일프로파일(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빙롤러부(250)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 마운팅볼트(211)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속너트(252)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바디(251)와, 상기 롤러바디(2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안착돌출부(142)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상기 슬라이딩롤러(253)와, 상기 개구부(141)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바디(2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단부(145)를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립볼베어링(25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다수개의 회전안내슬랫(4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410)와, 상기 가이드롤러(4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다수개의 회전안내슬랫(411)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410)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가 상기 가이드롤러(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면서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시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의 걸림을 통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스틱(420)으로 구성된 다기능가이더(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에는 상기 이탈방지스틱(420)에 걸림되는 걸림고리(321)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가이더(530)와 회전력전달유닛(6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이더(530)의 회전조작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에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권취가이더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시대승강조작부의 손쉬운 조작으로 현수막의 고소설치 및 교체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 게시대승강조작부의 공구연결헤더 및 헤더보호구로 인해 불특정인에 의한 게시대승강조작부의 조작이 방지되어 현수막의 분실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기둥부에 가이드레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부의 내측에 무빙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롤러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게시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기둥부의 상측에 다기능가이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가이더에 현수와이어부가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픽싱구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대승강조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시대승강조작부에 공구연결헤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탠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대승강조작부에 하우징셋팅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권취가이더부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권취가이더부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권취가이더부가 회전력전달유닛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기둥부에 가이드레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부의 내측에 무빙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롤러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게시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기둥부의 상측에 다기능가이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가이더에 현수와이어부가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픽싱구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대승강조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시대승강조작부에 공구연결헤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탠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대승강조작부에 하우징셋팅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권취가이더부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권취가이더부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권취가이더부가 회전력전달유닛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l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현수막게시대(200)에 현수막(10)의 양측이 홀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 현수와이어부(300)를 게시대승강조작부(500)를 통해 권취하거나 풀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에 홀딩될 상기 현수막(10)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직립기둥부(100)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게 설치되도 길이방향 상측이 조인트지지프레임(110)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측면부에 소정길이의 가이드레일부(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인트지지프레임(110)에는 상기 한 쌍의 현수막게시대(200) 중 어느 하나의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현수와이어부(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지지롤(111)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120)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에 설치되는 무빙롤러부(25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가이드레일부(120)는 상기 직립기둥부(100)의 일측면부에 용접장착되는 "∪"형상의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과, 상기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와 마주하는 일면부에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왕복이동을 위한 개구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41)와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슬라이딩롤러(25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돌출부(1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형 레일프로파일(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가이드레일부(120)는 "∪"형상의 상기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의 내측에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을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과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은 상호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의 내측면 양측 모서리부위에는 단면상 "ㄱ"형상을 갖는 안착편(131)이 상호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의 모서리부위에 대한 보강을 통한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의 내구성 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착편(131) 사이의 인서트홈(133)으로 삽입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서포트편(143)이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는, 상기 레일프로파일(140)과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간 접촉면적으로 줄여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편(131)과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사이에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에 장착된 무빙롤러부(250)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재질의 패드(15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41)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와 마주하는 일면부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41)와 대응되는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출부(142)는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측면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무빙롤러부(250)가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측면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상부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게시대승강제한편(18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무빙롤러부(250)가 설치된 상태로 현수막(10)의 일측을 홀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홀딩되는 현수막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또록 하는 고정쐐기구(24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는 상기 무빙롤러부(250)가 장착된 게시대프레임(210)과, 상기 게시대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결속편(220)과, 상기 게시대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하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현수막(10)이 인입출될 수 있는 인입출부(232)가 형성된 관통공(231)을 구비한 하부결속편(230)과, 길이방향 상측이 상기 상부결속편(2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결속편(2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231)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23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현수막걸이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쐐기구(241)는 상기 현수막걸이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립기둥부(10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현수막(1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현수막걸이대(24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딩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홀딩부(11)를 상기 현수막걸이대(240)에 홀딩하게 되면 상기 고정쐐기구(241)가 상기 홀딩부(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현수막(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빙롤러부(250)는 상기 게시대프레임(210)으로부터 연장된 마운팅볼트(211)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속너트(252)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바디(251)와, 상기 롤러바디(2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안착돌출부(142)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상기 슬라이딩롤러(253)와, 상기 개구부(141)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바디(2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상하이동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단부(145)를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립볼베어링(2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바디(251)가 상기 마운팅볼트(211)를 매개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롤러(253)가 상기 안착돌출부(142)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슬립볼베어링(255)이 상기 개구부(141)에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립볼베어링(255)이 상기 개구부(141)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141)의 폭방향 양측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단부(145)를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승하강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롤러(253)와 슬립볼베어링(255)의 구름운동으로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승하강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현수와이어부(300)는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와,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를 연결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조인트픽싱구(320)와,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와이어(3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 중 어느 하나의 현수조인트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중 어느 하나의 직립기둥부에 설치되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되고, 다른 하나의 현수조인트와이어는 다른 하나의 직립기둥부에 설치되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픽싱구(320)는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를 묶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하나의 연장와이어(33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설치되는 다기능가이더(400)에 걸림되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하강 높이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기능가이더(400)는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가 상기 직립기둥부(1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다기능가이더(400)는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다수개의 회전안내슬랫(4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410)와, 상기 가이드롤러(4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다수개의 회전안내슬랫(411)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410)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가 상기 가이드롤러(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면서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시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의 걸림을 통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스틱(4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회전안내슬랫(411)은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형성된 와이어관통공(160)의 인접위치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410)는 상호 마주하는 회전안내슬랫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관통공(160)을 통과한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스틱(420)은 상기 회전안내슬랫(411)의 외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410)와 이탈방지스틱(420)사이에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가 위치됨에 따라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시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현수막게시대(20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인트픽싱구(320)가 상기 이탈방지스틱(420)에 걸림되어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최대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에는 상기 이탈방지스틱(420)에 걸림되는 걸림고리(321)가 설치되어 상기 조인트픽싱구(320)가 상기 이탈방지스틱(420)에 더욱 원활히 걸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게시대승강조작부(500)는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중 어느 하나의 직립기둥부(100)에 장착되는 장착하우징(510)과,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메인톱니기어편(522)이 장착된 와이어권취드럼(520)과,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가이더(530)와,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가이더(530)의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공구에 연결되는 공구연결헤더(540)와, 상기 공구연결헤더(540)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에 결합되는 헤더보호구(550)와, 상기 메인톱니기어편(522)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회전가이더(530)에 설치되는 구동기어편(560)과, 상기 구동기어편(56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의 양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제어유닛(5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하우징(510)은 상기 직립기둥부(100)의 면부에 장착되는 픽싱플레이트(511)와, 상기 픽싱플레이트(511)의 폭방향 양측단에서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는 마운팅측판(513)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픽싱플레이트(511)에는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형성된 초기셋팅홀(170)에 끼워져 걸림되는 다수개의 하우징셋팅편(51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게시대승강조작부(500)를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설치하는 작업과정에서 상기 하우징셋팅편(512)을 상기 초기셋팅홀(170)에 걸림되게 하여 선 장착후, 볼팅결합을 통해 상기 게시대승강조작부(500)를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원활히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은 상기 마운팅측판(51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와이어부(300)의 연장와이어(330)가 권취되는 권취봉(521)과, 상기 권취봉(521)의 길이방향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드럼플랜지(523)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드럼플랜지(523) 중 어느 하나의 드럼플랜지에는 상기 메인톱니기어편(52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공구연결헤더(540)는 회전공구의 홈에 대응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공구를 분리하여 소정의 위치에 보관함으로써 불특정인에 의한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를 승하강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더보호구(550)는 상기 공구연결헤더(540)를 보호함은 물론 불특정인이 손으로 상기 공구연결헤더(540)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불특정인에 의한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승하강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제어유닛(570)은 일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편(560)에 걸림되면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타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편(560)에 걸림되면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이 타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의 양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가이더(530)와 회전력전달유닛(6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이더(530)의 회전조작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에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권취가이더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와이어권취가이더부(600)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와이어(330)를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에 권취하는 경우,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되면서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와이어권취가이더부(600)는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일정깊이의 나선홈(6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하여 형성된 리버스스크류(610)와, 상기 리버스스크류(610)를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에 권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와이어가이더(620)와, 상기 리버스스크류(6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와이어가이더(62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체(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가이더(620)는 상기 리버스스크류(610)를 따라 왕복이동되는 가이더바디(621)와, 상기 가이더바디(62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연장와이어(330)의 관통을 위한 와이어관통홀(623)이 형성되는 권취안내구(6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더바디(621)가 상기 리버스스크류(610)를 따라 왕복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권취안내구(622)의 와이어관통홀(623)을 관통하는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에 균일하게 권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력전달유닛(640)은,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가이더(530)에 기어결합되는 로워베벨기어부(641)와,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리버스스크류(6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어퍼베벨기어부(642)와, 상기 로워베벨기어부(641)와 어퍼베벨기어부(642)를 연결하는 조인트봉(6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회전공구를 상기 공구연결헤더(540)에 연결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력전달유닛(640)을 매개로 상기 회전공구의 회전조작력이 상기 리버스스크류(610)로 전달되어 상기 가이더바디(621)가 상기 리버스스크류(610)를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현수막 100: 직립기둥부
110: 조인트지지프레임 120: 가이드레일부
130: 마운팅베이스프레임 131: 안착편
140: 레일프로파일 141: 개구부
142: 안착돌출부 143: 서포트편
150: 패드 200: 현수막게시대
210: 게시대프레임 220: 상부결속편
230: 하부결속편 231: 관통공
232: 인입출부 240: 현수막걸이대
241: 고정쐐기구 250: 무빙롤러부
251: 롤러바디 253: 슬라이딩롤러
255: 슬립볼베어링 300: 현수와이어부
310: 현수조인트와이어 320: 조인트픽싱구
330: 연장와이어 400: 다기능가이더
410: 가이드롤러 411: 회전안내슬랫
420: 이탈방지스틱 500: 게시대승강조작부
510: 장착하우징 520: 와이어권취드럼
530: 회전가이더 540: 공구연결헤더
550: 헤더보호구 560: 구동기어편
570: 조작제어유닛 600: 와이어권취가이더부
610: 리버스스크류 611: 나선홈
620: 와이어가이더 621: 가이더바디
622: 권취안내구 630: 가이드봉체
640: 회전력전달유닛 641: 로워베벨기어부
642: 어퍼베벨기어부 643: 조인트봉

Claims (6)

  1.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상측이 조인트지지프레임(110)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측면부에 소정길이의 가이드레일부(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상기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무빙롤러부(250)가 설치된 상태로 현수막(10)의 일측을 홀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홀딩되는 현수막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쐐기구(241)가 형성되는 현수막게시대(200);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와, 상기 한 쌍의 현수조인트와이어(310)를 연결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조인트픽싱구(320)와,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와이어(330)로 구성된 현수와이어부(300); 상기 한 쌍의 직립기둥부(100) 중 어느 하나의 직립기둥부(100)에 장착되는 장착하우징(510)과,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메인톱니기어편(522)이 장착된 와이어권취드럼(520)과,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가이더(530)와,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가이더(530)의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공구에 연결되는 공구연결헤더(540)와, 상기 공구연결헤더(540)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상태로 상기 장착하우징(510)에 결합되는 헤더보호구(550)와, 상기 메인톱니기어편(522)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회전가이더(530)에 설치되는 구동기어편(560)과, 상기 구동기어편(56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의 양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제어유닛(570)으로 구성된 게시대승강조작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120)는, 상기 직립기둥부(100)의 일측면부에 용접장착되는 "∪"형상의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과, 상기 마운팅베이스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와 마주하는 일면부에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왕복이동을 위한 개구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41)와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무빙롤러부(250)의 슬라이딩롤러(25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돌출부(1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형 레일프로파일(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빙롤러부(250)는, 상기 현수막게시대(200)로부터 연장된 마운팅볼트(211)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속너트(252)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바디(251)와, 상기 롤러바디(2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안착돌출부(142)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상기 슬라이딩롤러(253)와, 상기 개구부(141)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바디(2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레일프로파일(140)의 단부(145)를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립볼베어링(25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기둥부(100)에 다수개의 회전안내슬랫(4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410)와, 상기 가이드롤러(4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다수개의 회전안내슬랫(411)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410)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가 상기 가이드롤러(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면서 상기 현수조인트와이어(310)의 이동시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의 걸림을 통해 상기 현수막게시대(20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스틱(420)으로 구성된 다기능가이더(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픽싱구(320)에는 상기 이탈방지스틱(420)에 걸림되는 걸림고리(3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가이더(530)와 회전력전달유닛(6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이더(530)의 회전조작시, 상기 장착하우징(510)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연장와이어(330)가 상기 와이어권취드럼(520)에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권취가이더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30015336A 2023-02-06 2023-02-06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KR10254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336A KR102540016B1 (ko) 2023-02-06 2023-02-06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336A KR102540016B1 (ko) 2023-02-06 2023-02-06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016B1 true KR102540016B1 (ko) 2023-06-02

Family

ID=8675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336A KR102540016B1 (ko) 2023-02-06 2023-02-06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0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94Y1 (ko) * 2003-05-28 2003-09-06 최경주 조작부하 경감을 실현한 현수막 게시대 장치
KR20100026160A (ko) * 2008-08-29 2010-03-10 최종만 현수막 게시대
KR102030061B1 (ko) * 2018-08-30 2019-10-08 염규익 현수막 거치장치
KR102014730B1 (ko) * 2019-03-28 2019-10-21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94Y1 (ko) * 2003-05-28 2003-09-06 최경주 조작부하 경감을 실현한 현수막 게시대 장치
KR20100026160A (ko) * 2008-08-29 2010-03-10 최종만 현수막 게시대
KR102030061B1 (ko) * 2018-08-30 2019-10-08 염규익 현수막 거치장치
KR102014730B1 (ko) * 2019-03-28 2019-10-21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556B1 (en) Safety fence used on a building being constructed
CN216444850U (zh) 一种节能建筑施工升降防坠装置
KR102540016B1 (ko)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KR101136813B1 (ko) 현수막 게시대
KR101173408B1 (ko) 벽면 고정형 현수막 게시대
EP0193756B1 (de) Hohlkörpermast
KR200475149Y1 (ko) 현수막 게시장치
CN110259082B (zh) 电动桥式脚手架
CN113216667B (zh) 一种可移动式建筑装饰防护网安装构件
CN213475232U (zh) 一种建筑施工防护网的自动安装设备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CN219387514U (zh) 一种拼接式护栏
KR102602759B1 (ko)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KR20230097484A (ko) 빌딩유지보수장비용 오픈형 도어장치
DE202006001610U1 (de) Vorrichtung zum Heben von langgestreckten Gegenständen und/oder Vorrichtungen
CN211419392U (zh) 塔吊通道
CN211145880U (zh) 一种顶升系统监理监控装置
KR102543923B1 (ko) 반자동 현수막 게시대
KR102515456B1 (ko) 고소작업용 장치
KR102175558B1 (ko) 비계장치
CN219346029U (zh) 一种监控设备固定装置
CN217379713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支架结构
CN220747581U (zh) 一种施工安全防护装置
KR200237756Y1 (ko) 현수막 걸이 장치
KR100910544B1 (ko) 건축공사용 휘장망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