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49Y1 - 현수막 게시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49Y1
KR200475149Y1 KR2020140004140U KR20140004140U KR200475149Y1 KR 200475149 Y1 KR200475149 Y1 KR 200475149Y1 KR 2020140004140 U KR2020140004140 U KR 2020140004140U KR 20140004140 U KR20140004140 U KR 20140004140U KR 200475149 Y1 KR200475149 Y1 KR 200475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support
hanger
wire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주)형제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제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형제종합건설
Priority to KR2020140004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수막 설치시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풍압에 의한 지지대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 장치로서, 각 기둥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체이고 서로 마주하는 면들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기둥과 접촉하는 제1부분 및 제1부분의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제2부분을 보강하도록 설치된 보강부재; 상기 지지대들의 각 가이드슬롯에 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현수막이 연결되는 현수막 걸이대; 상기 현수막 걸이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현수막이 연결된 현수막 걸이대를 지지대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승강 및/또는 하강시키는 걸이대 이동부재; 및 상기 걸이대 이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시장치{Apparatus for hanging placard}
본 고안은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 설치시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풍압에 의한 지지대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수막은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해 실내외, 이를테면 주로 건물 입구나 길거리에 게시하여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한 것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천 등의 소재에 광고 또는 홍보 문구나 그림, 문양 등을 인쇄하여 게시하는 일종의 광고 수단이다. 이러한 현수막은 통상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곳에 철사나 끈 등을 이용하여 고정지주에 단단하게 결속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현수막을 게시하거나 교체 또는 철거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현수막 게시대에 사다리를 설치한 후, 직접 올라가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위험한 단점이 있다. 특히, 현수막 설치 직전에 비가 왔거나 겨울철에는 현수막 게시대가 미끄러울 수밖에 없으므로 작업자가 낙상을 하는 등,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현수막을 한 사람이 아닌 최소 두 사람 이상이 서로 협력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도 있다.
게다가, 현수막을 게시한 후, 바람이 세게 부는 경우에는 현수막 게시대가 휘어지거나 심한 경우에 부러지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특히, 현수막 게시대의 부러짐으로 인해 인명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등의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되는 단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134991 등록특허공보 10-0964739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지상에서 보조기구 없이도 혼자서 현수막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낙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은 풍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 장치로서, 각 기둥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체이고 서로 마주하는 면들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기둥과 접촉하는 제1부분 및 제1부분의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제2부분을 보강하도록 설치된 보강부재; 상기 지지대들의 각 가이드슬롯에 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현수막이 연결되는 현수막 걸이대; 상기 현수막 걸이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현수막이 연결된 현수막 걸이대를 지지대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걸이대 이동부재; 및 상기 걸이대 이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기둥과 지지대 제2부분의 경계면에 설치된 하부 보강재; 상기 지지대의 최상부에 설치된 상부 보강재; 상기 지지대 제2부분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일단들은 지지대의 중심부들과 각각 결속되고 타단들은 상호 결속되며, 상호 결속된 타단들에 도르레가 설치된 중간 보강재; 상기 상단 보강재로부터 중간 보강재의 도르레를 거쳐 하단 보강재에 도달하도록 설치된 보강 와이어; 및 상기 하부 보강재에 인접한 보강 와이어 부분에 설치된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현수막 걸이대는, 상기 지지대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연직 선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두 쌍의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와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들; 상기 연결와이어들의 타단이 연결되고 현수막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삽입되는 고정바; 및 상기 연결고리들에 각각에 설치된 덤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상단 도르레; 일단이 현수막 걸이대의 상단측과 연결된 채로, 상기 제1 상단 도르레를 거쳐 타단이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 배치된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지지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 제1부분에 설치된 제1회전축; 상기 지지대의 저면 부분에 설치된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에 연결된 체인;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각 지지대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들의 타단들이 상호 구획되어 감기는 와이어 릴;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저면 부분에 배치된 하단 도르레; 상기 상단 도르레를 거쳐 나온 와이어 부분에 설치된 무게추; 상기 제1 상단 도르레에 이격 배치된 제2 상단 도르레; 상기 하단 도르레에 인접한 와이어 부분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수동 조작 핸들 또는 자동 조작 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 조작 핸들은, 승강버튼, 정지버튼 및 하강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버튼; 상기 조작버튼의 신호를 받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배전반;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된 회전조절기어; 상기 회전조절기어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양측에 기어가 체결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기어에 연결된 체인; 및 상기 현수막 걸이대의 승,하강을 자동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상단이동 자동정지기 및 하단이동 자동정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저면들을 잇는 지면 부분 내에 매설된 와이어 가이드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가 지상에서 양쪽 현수막 지지대에 삽입된 현수막 걸이대에 현수막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한 상태로 현수막을 원하는 높이에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작업자가 현수막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지상에서 작업하는 것을 통해 낙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가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고정기둥 윗부분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부분에 보강부재를 설치해 줌으로써 풍압에 의해 현수막 지지대가 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현수막 지지대의 부러짐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 또한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현수막 걸이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걸이대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높이조절 부재의 와이어 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자동조작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즉,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현수막 걸이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높이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자동조작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100)는 지지대(10), 보강부재(20), 현수막 걸이대(30), 걸이대 이동부재(40) 및 조작수단(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100)는 지면(E) 아래에 매설되는 와이어 가이드 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100)의 기본 뼈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교문 또는 출입문의 양측 기둥들(2)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또는 정면 등에 설치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각 지지대(10)는 사각 단면을 가지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체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들(10)은 서로 마주하는 면들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슬롯(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슬롯(12)은, 이후에 다시 설명되겠지만, 현수막(150)이 연결되는 현수막 걸이대(20)가 지지대(10)의 내부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각 지지대(100)는 대응하는 기둥(2)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1부분(10-1)과 제1부분(10-1)으로부터 기둥(2)의 상면 위쪽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제2부분(10-2)을 포함한다. 예컨대, 기둥(2)의 높이가 2.5∼3M라고 가정할 때, 지지대(10)의 전체 높이는 5M 정도일 수 있고, 이 중에서 제1부분(10-1)은 2.5∼3M의 높이, 그리고, 제2부분(10-2)이 나머지 2∼2.5M의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각 지지대(10)의 제1부분(10-1)은 다양한 형태의 결속부재(4)에 의해 기둥(2)에 결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속부재(4)는 기둥(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결속부재(4)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기둥(2)의 상면 위쪽으로 연장된 지지대(10)의 제2부분(10-2)을 풍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기둥(2)과 지지대(10) 제2부분(10-2)의 경계면에 설치된 하단 보강재(22), 지지대(10)의 최상단 면에 설치된 상단 보강재(24) 및 지지대(10) 제2부분(10-2)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중간 보강재(26)를 포함한다.
하단 보강재(22)는 지지대(10)의 제2부분(10-2)과 기둥(2)의 상면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예컨대, 1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강판 조각일 수 있으며, 지지대(10)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단 보강재(22)와 지지대(10) 사이의 결속은, 예컨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단 보강재(22)와 기둥(2) 상면 사이의 결속은, 예컨대, 추가 결속부재(도시안됨)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단 보강재(24)는 하단 보강재(22)와 마찬가지로 지지대(10)와 같거나 약간 큰 폭을 가지면서 1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강판 조각일 수 있다. 이러한 상단 보강재(24)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지지대(10)의 최상단 면에 결속될 수 있다.
중간 보강재(26)는 일단들이 지지대(10)의 중심부에 서로 이격해서 결속되고 타단부들이 상호 결속된 3개의 강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보강재(26)는, 예컨대, 1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지지대(10)의 제2부분(10-2) 중심부 및 상호 간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중간 보강재(26)의 상호 결속된 타단부들에는 도르레(27)가 설치되며, 이러한 도르레(27)의 구조 및 설치 방법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0)에 있어서, 보강부재(20)는 상단 보강재(24)로부터 중간 보강재(26)의 도르레(27)를 거쳐 하단 보강재(22)에 도달하도록 설치된 보강 와이어(28)를 더 포함한다. 이때, 하단 보강재(22)에 인접한 보강 와이어(28) 부분에는 보강 와이어(28)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으로서 제1덤버클(29)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 장치(100)는 제1덤버클(29)을 회전시켜 보강 와이어(28)를 조이는 것을 통해서 지지대(10)의 제2부분(10-2)을 풍압으로부터 보다 신뢰성 있게 견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현수막 걸이대(30)는 현수막(150)을 걸기 위한 실질적인 수단으로, 지지대(10)의 내부에서 가이드슬롯(12)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현수막 걸이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중공부인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하는 이동바(32) 및 이동바(32)에 연직 선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두 쌍의 연결고리들(34)을 포함한다. 이때, 연결고리들(34)의 각 쌍은 현수막(150)의 폭보다 큰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 쌍들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현수막 걸이대(30)는 지지대(10) 내부에서의 이동바(32)의 용이한 이동과 지지대(10)의 내부 배면과 이동바(32) 사이의 공간 확보를 위해 이동바(32)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회전바퀴(35)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현수막 걸이대(30)는 현수막(15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들 각각에 삽입되는 고정바(36) 및 상기 고정바(36)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이들에 대응하는 연결고리들(34)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8)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고정바(36)는 현수막(150)의 양측 가장자리들 각각을 홈을 갖도록 만든 상태에서 이러한 홈 내에 삽입 배치하며, 연결와이어(38)는 각 연결고리(34) 쌍의 상측에 배치된 연결고리(34)와 고정바(36)의 상측 사이 및 하측에 배치된 연결고리(34)와 고정바(36)의 하측 사이를 상호 연결한다. 이때, 연결와이어(38)의 양단부에는 각각 고리가 설치됨으로써 연결고리(34) 및 고정바(36)에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해서, 연결와이어들(38) 각각에는 제2덤버클(39)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덤버클(39)의 회전을 통해 연결와이어(38)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현수막(150)이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100)에 팽팽하게, 또는, 느슨하게 걸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현수막 걸이대(3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및 형상 이외에 다양한 구성 및 형상을 갖도록 설계 변경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걸이대 이동부재(40)는 지지대(10)의 내부에서 현수막 걸이대(3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내부 상단부에 이격 설치되는 제1 및 제2 상단 도르레들(42a, 42b)과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 도르레(42c), 그리고, 일단이 현수막 걸이대(30)의 상단측과 연결된 채로 어느 하나의 제1 상단 도르레(42a)와 하단 도르레(42c) 및 제2 상단 도르레(42b)를 차례로 거쳐 타단이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와이어(44)를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걸이대 이동부재(40)는 세 개의 도르레들(42a, 42b, 42c) 중에서 어느 하나, 예컨대, 제1 상단 도르레(42a)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걸이대 이동부재(40)는 한 쌍의 지지대들(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10) 제1부분(10-1)의 소정 위치, 예컨대,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편리한 위치에 설치된 제1회전축(46a)과, 지지대(10)의 저면 부분에 설치된 제2회전축(46b), 상기 제1회전축(46a)과 제2회전축(46b)에 연결된 체인(48), 그리고, 제2회전축(46b)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와이어(44)의 타단이 감기는 와이어 릴(49)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 릴(4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이면서 중간 부분이 돌출하여 양측이 구획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지대(10)에 설치되는 걸이대 이동부재(40)의 와이어들(44)은 하나의 와이어 릴(49)에서 구획된 양측 공간들 각각에 감기게 된다.
게다가, 걸이대 이동부재(40)는 제1 상단 도르레(42a)를 거쳐 나온 와이어(44) 부분에 설치되는 무게추(43) 및 무게추(43) 아래의 하단 도르레(42c)에 인접한 와이어(44)의 부분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45)를 더 포함한다. 무개추(43)는 현수막 걸이대(30)의 70%에 해당하는 무게를 갖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높이조절수단(45)은, 예컨대, 덤버클로 마련될 수 있다. 덤버클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45)은 현수막(150)이 게시된 후, 각 지지대(10)에서의 현수막(150)의 미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현수막(150)의 좌,우측 수평 높이가 일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축(46a)의 단부 및 제2회전축(46b)의 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기어(47a, 47b)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 기어들(47a, 47b)에 체인(48)이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축(46a)의 회전에 따라 제2회전축(46b)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축(6b)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 릴(49)에 와이어(44)가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며, 이 결과로서, 현수막 걸이대(30)에 연결되어 있는 현수막(150)이 상기 현수막 걸이대(30)의 승,하강에 따라 지지대(10)의 상측으로 승강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체인(48) 대신에 밸트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가해서,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100)에서의 걸이대 이동부재(40)는 제1회전축(46a)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수단(5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조작수단(50)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수동 조작 핸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동 조작 핸들은 제1회전축(46a)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회전시키기에 편리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수동 조작 핸들은 그의 끝단이 스프링 등을 이용해서 접이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작수단(50)은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편리한 높이, 예컨대, 지면으로부터 600∼700㎜ 정도 높이의 지지대(10) 부분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다르게, 수동 조작 핸들은 그 밖에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이들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동 조작 핸들의 회전을 통해 제1회전축(46a)이 회전함으로써 와이어(44)가 와이어 릴(49)에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할 수 있고, 이 결과로서, 현수막 걸이대(30)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현수막(15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조작수단(50)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수동 조작 핸들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100)에서의 조작수단(50)은 전원이 공급되는 자동 조작 핸들로도 구성 가능하다.
이러한 자동 조작 핸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버튼(62a), 정지버튼(62b) 및 하강버튼(62c)을 포함하는 조작버튼(62), 조작버튼(62)의 신호를 받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배전반(64), 배전반(64)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66) 및 모터(66)에 연결된 회전조절기어(68), 회전조절기어(68)와 연결되어 모터(66)의 회전속도를 크게, 예컨대, 60분의 1로 감소시키며 양측에 제3 및 제4 기어(72a, 72b)가 체결된 감속기(70), 그리고, 감속기(70)의 제4기어(72b)와 제1회전축(46a)의 제1기어(47a)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추가 체인(74)을 포함한다. 여기서, 추가 체인(72) 대신에 밸트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동 조작 핸들은 이동바(32)의 승하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62) 이외에, 이동바(32)의 승강이 자동으로 멈춰지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10)에 설치되는 상단이동 자동정지기(76a) 및 이동바(32)의 하강이 자동으로 멈춰지도록 하기 위해 상단이동 자동정지기(76a) 아래의 지지대(10) 부분에 설치되는 하단이동 자동정지기(7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이동 자동정지기(76a) 및 하단이동 자동정지기(76b)는 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 조작 핸들은 수동 조작 핸들과 함께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이와 다르게, 수동 조작 핸들의 설치 없이 단독으로도 설치 가능하다. 즉, 자동 조작 핸들은 편리성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동력원으로 전원을 사용해야 하므로 전기에너지 소비가 크고, 배선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갖춰야 하므로 게시대 설치에 따른 비용이 급증할 수 있으며, 또한, 장마철 등과 같은 때에 누전될 경우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 또 다른 문제가 파생될 수 있다. 따라서, 무전원 구동방식과 전원 구동방식 모두를 적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조작 핸들을 이용하는 경우는 감속기(70)의 제4기어(72b)와 제1회전축(46a)의 제1기어(47a)를 연결하도록 추가 체인(74)을 설치하면 되고, 반면, 수동 조작 핸들을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의 추가 체인(74)을 해체하면 된다.
계속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관(80)은 한 쌍의 지지대(10) 저면들을 잇는 지면(E) 부분 내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와이어 릴(49)이 설치되지 않은 지지대(10) 쪽의 와이어(44)가 와이어 릴(49)이 설치된 지지대(10) 쪽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 관(80)의 설치에 따라 게시된 현수막 아래로 차량 등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 이동으로 인해 와이어(44)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유발되지 않으면서 와이어 릴(49)에 와이어(44)가 용이하게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 관(80)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들(10)의 저면을 서로 잇는 가상선의 지면(E) 아랫부분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에서와 같이, 와이어 릴(49)은 양측 부분이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 릴(49)의 어느 한쪽은 바로 위에서 내려오는 와이어(44)가 감기게 되고, 다른 한쪽은 지면에 매설된 와이어 가이드 관(80)을 통해 도달하는 다른 와이어(44)가 감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를 이용한 현수막 게시의 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지지대(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수단(50)을 조작하여, 예컨대, 수동 조작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수동 조작 핸들이 연결되어 있는 제1회전축(46a)이 회전함에 따라 체인(48)을 통해 제2회전축(46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회전축(46b)의 외측면에 설치된 와이어 릴(49)에서 서로 구획되어 감겨져 있는 와이어들(44)이 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들(44)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바(32)가 아래로 하강함으로써 이동바(32)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고리들(34)이 하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게시하고자 하는 현수막(15)의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바(36)를 끼운 상태로 이러한 고정바(36)의 상,하측과 대응하는 연결고리들(34)을 연결와이어(38)로 상호 연결한 후, 각 연결고리(38)에 설치되어 있는 제2덤버클(39)을 조절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어 있는 지지대(10)들 사이에서 현수막(150)이 팽팽하게 연결되도록 만든다.
다음으로, 조작수단(5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조작수단(50)이 연결되어 있는 제1회전축(46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인(48)에 의해 제2회전축(46b)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회전축(46b)의 회전에 따라 제2회전축(46b)의 외측면에 설치된 와이어 릴(49)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위에 설치된 지지대(10)로부터 도달하는 와이어(44) 및 와이어 가이드 관(80)을 통과하여 도달하는 와이어(44)가 상기 와이어 릴(49)에 감기게 되고, 이에 따라, 각 와이어(44)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바(32)가 지지대(10)의 가이드슬롯(12)을 따라 위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후, 이동바(32)가 상승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현수막(150)이 상승되면, 조작수단(50)의 회전을 중단하여 현수막(150)의 상승을 차단한다. 그런 다음, 각 지지대(10) 내부의 하단 도르레(42c)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덤버클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들(45)을 조절하여 현수막(150)의 미세한 좌우 수평높이를 맞추고, 이 결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를 이용한 현수막(150)의 게시 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현수막의 해체는 상기한 과정의 반대 순서로 진행함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지상에서 현수막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낙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 본인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혼자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현수막 게시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지지대의 윗부분을 보강부재로 보강해줌으로써 풍압에 의해 현수막 지지대가 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무론 현수막 지지대의 부러짐에 기인하는 사고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2: 기둥 4: 결속부재
10: 지지대 12: 가이드슬롯
20: 보강부재 22: 하단 보강재
24: 상단 보강재 26: 중간 보강재
27: 도르레 28: 보강 와이어
29: 제1덤버클 30: 현수막 걸이대
32: 이동바 34: 연결고리
36: 고정바 38: 연결와이어
39: 제2덤버클 40: 걸이대 이동부재
42a: 제1 상단 도르레 42b: 제2 상단 도르레
42c: 하단 도르레 43: 무게추
44: 와이어 45: 높이조절수단
46a: 제1회전축 46b: 제2회전축
47a: 제1기어 47b: 제2기어
48: 체인 49: 와이어 릴
50: 조작 핸들 60: 자동 조작 핸들
62: 조작버튼 64: 배전반
66: 모터 68: 회전조절기어
70: 감속기 72a: 제3기어
72b: 제4 기어 74: 추가 체인
76a: 상단이동 자동정지기 76b: 하단이동 자동정지기
80: 와이어 가이드 관 100: 현수막 거치장치
150: 현수막

Claims (7)

  1.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 장치로서,
    각 기둥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체이고 서로 마주하는 면들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기둥과 접촉하는 제1부분 및 제1부분의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들의 제2부분을 보강하도록 설치된 보강부재;
    상기 지지대들의 각 가이드슬롯에 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현수막이 연결되는 현수막 걸이대;
    상기 현수막 걸이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현수막이 연결된 현수막 걸이대를 지지대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걸이대 이동부재; 및
    상기 걸이대 이동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기둥과 지지대 제2부분의 경계면에 설치된 하부 보강재;
    상기 지지대의 최상부에 설치된 상부 보강재;
    상기 지지대 제2부분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일단들은 지지대의 중심부들과 각각 결속되고 타단들은 상호 결속되며, 상호 결속된 타단들에 도르레가 설치된 중간 보강재;
    상기 상부 보강재로부터 중간 보강재의 도르레를 거쳐 하부 보강재에 도달하도록 설치된 보강 와이어; 및
    상기 하부 보강재에 인접한 보강 와이어 부분에 설치된 장력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걸이대는,
    상기 지지대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연직 선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두 쌍의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와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들;
    상기 연결와이어들의 타단이 연결되고 현수막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삽입되는 고정바; 및
    상기 연결고리들에 각각에 설치된 덤버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상단 도르레;
    상기 지지대의 내부 저면 부분에 배치된 하단 도르레;
    상기 지지대 내부의 제1 상단 도르레에 이격 배치된 제2 상단 도르레;
    일단이 현수막 걸이대의 상단측과 연결된 채로, 상기 제1 상단 도르레, 하단 도르레 및 제2 상단 도르레를 거쳐 타단이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 배치된 와이어;
    상기 제1 상단 도르레를 거쳐 나온 와이어 부분에 설치된 무게추;
    상기 하단 도르레에 인접한 와이어 부분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
    상기 한 쌍의 지지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 제1부분에 설치된 제1회전축;
    상기 지지대의 저면 부분에 설치된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에 연결된 체인;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각 지지대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들의 타단들이 상호 구획되어 감기는 와이어 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수동 조작 핸들 또는 자동 조작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조작 핸들은
    승강버튼, 정지버튼 및 하강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버튼;
    상기 조작버튼의 신호를 받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배전반;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된 회전조절기어;
    상기 회전조절기어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양측에 기어가 체결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기어에 연결된 체인; 및
    상기 현수막 걸이대의 승,하강을 자동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상단이동 자동정지기 및 하단이동 자동정지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저면들을 잇는 지면 부분 내에 매설된 와이어 가이드 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KR2020140004140U 2014-05-30 2014-05-30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75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40U KR200475149Y1 (ko) 2014-05-30 2014-05-30 현수막 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40U KR200475149Y1 (ko) 2014-05-30 2014-05-30 현수막 게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49Y1 true KR200475149Y1 (ko) 2014-11-13

Family

ID=5229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140U KR200475149Y1 (ko) 2014-05-30 2014-05-30 현수막 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5Y1 (ko) 2014-12-03 2015-04-08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US20210217333A1 (en) * 2019-11-20 2021-07-15 Colonial Specialty Co., Inc. Cross Street Banner Suspension System
KR102386340B1 (ko) * 2020-11-23 2022-04-13 배근우 정문커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86B1 (ko) * 2011-09-30 2012-01-06 전정숭 다단 접철 타입의 회전형 현수막 게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86B1 (ko) * 2011-09-30 2012-01-06 전정숭 다단 접철 타입의 회전형 현수막 게시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5Y1 (ko) 2014-12-03 2015-04-08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US20210217333A1 (en) * 2019-11-20 2021-07-15 Colonial Specialty Co., Inc. Cross Street Banner Suspension System
KR102386340B1 (ko) * 2020-11-23 2022-04-13 배근우 정문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106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KR200475149Y1 (ko) 현수막 게시장치
EP2395498A1 (en) Supporting pole for advertising strips, panels, flags or banners
CN102596786A (zh) 升降机
KR101449654B1 (ko)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 안전점검시설
KR20090039880A (ko) 아케이드 지붕청소 및 점검장치
KR101025936B1 (ko) 현수막게시대
KR20070019075A (ko) 광고의 교체가 용이한 옥외용 광고 게시대
KR100855906B1 (ko)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US5471774A (en) Lowerable changeable message and maintenance sign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20888B1 (ko) 자중 낙하식 현수막 게시대
CN214006678U (zh) 一种结构稳固的大跨度桁架
CN202023149U (zh) 建筑用挂篮
KR20100030720A (ko)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KR102543923B1 (ko) 반자동 현수막 게시대
KR100485372B1 (ko) 현수막 게시대
JP4158954B2 (ja) 吹き払い式防雪柵
KR200412071Y1 (ko)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KR101025939B1 (ko) 현수막게시대
KR101194304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20110134991A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KR102540016B1 (ko)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