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071Y1 -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071Y1
KR200412071Y1 KR2020060000359U KR20060000359U KR200412071Y1 KR 200412071 Y1 KR200412071 Y1 KR 200412071Y1 KR 2020060000359 U KR2020060000359 U KR 2020060000359U KR 20060000359 U KR20060000359 U KR 20060000359U KR 200412071 Y1 KR200412071 Y1 KR 200412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oles
golf course
fixe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필
Original Assignee
(주)피 알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 알 에스 filed Critical (주)피 알 에스
Priority to KR2020060000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0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7Markers for golf cups or holes, e.g. fl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로 연동할 수 있는 폴을 이용한 골프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장의 프레임이 되는 폴을 동력전달부의 와이어를 통해 승하강시키고, 그 승하강에 의해 폴에 연결된 그물망이 접혔다 펴졌다 할 수 있게 형성한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라이트 폴 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실시가 가능하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고안은 간이 골프장(골프 연습장)으로 설치되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에 골프장이 설치될 위치에 따라 가변적이 높이를 줄 수가 있어 장소 적응능력이 우수하다.
더불어 본 고안은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에 그물망이나 폴이 상부가 찢어지고 고장이 난 경우에도 작업자가 고공으로 올라갈 필요없이 폴을 내려 작업할 수 있게한 유용한 고안이다.
고정후크, 고정폴, 롤링후크, 그물망, 동력전달부, 가이드구, 연결간 등

Description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The device to draw out and draw in pole of golf links}
도 1은 종래의 라이트 폴이 그 폴을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종래의 라이트 폴이 내장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종래의 라이트 폴이 그 폴을 연장시킨 상태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은 본 고안의 골프장 폴 인출장치가 그 폴을 뻗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골프장 폴 인출장치가 그 폴을 접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여러개의 골프장 폴이 서로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그물망을 올려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여러개의 골프장 폴이 수리를 위해 그 그물망을 내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가이드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골프장 폴 인출장치가 설치된 골프장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골프장 폴 인출장치를 작동시키는 동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고정폴 11; 고정후크
20; 제1폴 21; 제1롤링후크
22; 제1고정후크 30; 제2폴
31; 제2롤링후크 32; 제2고정후크
40; 그물망 50; 동력전달부
100; 폴
본 고안은 상하로 연동할 수 있는 폴을 이용한 골프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장의 프레임이 되는 폴을 동력전달부의 와이어를 통해 승하강시키고, 그 승하강에 의해 폴에 연결된 그물망이 접혔다 펴졌다 할 수 있게 형성한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골프장(골프 연습장)이란 골프공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지면에 철재프레임을 세우고, 그물망을 이용하여 철재프레임에 사면과 상부를 친 상태에서 전면에 타석을 구비하여 타격을 할 수 있게 한 구조물이다.
그런데 이러한 간이 골프장은 그 높이를 10-30미터의 높이로 세워지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골퍼들이 날아가는 골프공의 자취를 그려보며 떨어지는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렇게 높이 세우다 보니 그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골프장의 프레임이 높다 보니, 관리상 문제가 많다.
프레임 상층부의 그물망이 찢어진 경우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같은 높이로 인부가 올라가 작업을 해야 한다.
이는 아주 커다란 인명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그물망이 아니라 프레임 자체에 손상이 갔을 경우에도 동일한 높이로 올라가 작업을 해야 하기에 작업이 위험하다.
그럼 본 고안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 골프장의 라이팅 장치로 개발된 신축 연장가능한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이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는 그 기술적 개념이 본 고안의 골프장 폴 인출장치에도 사용되고 있기에 먼저 설명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는 구동수단(A), 라이트폴(20), 폴인출입수단(B) 및 와이어 장력조절수단(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A)은 일측의 와이어(1)가 고정되고, 감기고 풀리게 되는 드라이브(10)와; 드라이브(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로 이루어진다.
이 인출입장치의 경우, 라이트폴(20)은 바닥면에 입설 고정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1플랜지(31)가 구비되며, 제1플랜지(31) 하부에는 제1고정구(32)가 구비된 고정폴(30)과;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2플랜지(41)가 구비되며, 제2플랜지(41) 하부에는 제2고정구(42)가 구비된 제1폴(4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3플랜지(51)가 구비되며, 제3플랜지(51) 하부에는 제3고정구(52)가 구비된 제2폴(50)과; 제2폴(5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 외주연에는 제4플랜지(61)가 구비되며, 제4플랜지(61) 하부에는 제4고정구(62)가 구비된 제3폴(60)과; 제3폴(6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단에는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되는 마감판(72)이 구비되고, 마감판(72) 하부에는 제5고정구(73)가 구비된 제4폴(70)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제2, 3, 4, 5고정구(42, 52, 62, 73)는 제1, 2, 3, 4폴(40, 50, 60, 70)의 하강시 제1, 2, 3, 4플랜지(31, 41, 51, 61) 상부에 걸리게 되어 내부로의 인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고정폴(30), 제1, 2, 3, 4폴(40, 50, 60, 70)은 원형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폴인출입수단(B)은 제1폴(40) 하부에 구비되어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하부안내롤(81)과, 제1하부안내롤(8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 중앙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1하부롤(82)과, 고정폴(30) 상부에 구비되어 드라이브(10)에 감겨진 와이어(1) 일측과 타측 삽입 지지되는 제1상부롤(83)로 이루어진 제1인출입부재(80)와; 제2폴(50) 하부에 구비되어 제1폴(4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2하부안내롤(91)과, 제2하부안내롤(9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중앙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2하부롤(92)과, 제1폴(40)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2상부롤(93)로 이루어진 제2인출입부재(90)와; 제3폴(60) 하부에 구비되어 제2폴(5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3하부안내롤(101)와, 제3하부안내롤(10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중 앙영역이 삽입되어 지는 제3하부롤(102)과, 제2폴(50)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3상부롤(103)로 이루어진 제3인출입부재(100)와; 제4폴(70) 하부에 구비되어 제3폴(6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4하부안내롤(111)과, 제4하부안내롤(111)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중앙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제4하부롤(112)과, 제3폴(60) 상부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제4상부롤(113)과, 제5고정구(73) 상부에 구비된 상부안내롤(114)로 이루어진 제3인출입부재(11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라이트 폴 인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자면,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를 컨트롤러(12)로써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드라이브(10)가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드라이브(10)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1)가 감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수단(A)의 드라이브(10) 상에 일단이 고정되어 감겨지고, 일측 영역이 고정폴(30) 일측의 제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며, 중앙영역이 제1폴(40)의 제1하부롤(82)에 삽입 지지되고, 타측 영역이 고정폴(30) 타측의 제1상부롤(83)에 삽입 지지되며, 타단이 고정폴(30)의 제1고정구(82)에 고정된 상태의 와이어(1)가 드라이브(10) 상에 감기게 됨으로써 제1폴(40)의 제1하부안내롤(81)이 고정폴(30)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고정폴(30) 내부로부터 제1폴(40)이 인출된다.
이에 따라 제1폴(40)의 제1하부롤(82)이 상승하게 되면서 제2폴(50)의 제2하부안내롤(91)을 밀게 되어 제2폴(50)의 제2하부안내롤(91)이 제1폴(4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서 제1폴(40) 내부로부터 제2폴(50)이 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2, 3폴(50, 60)의 제2, 3하부롤(92, 102)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제3, 4폴(60, 70)의 제3, 4하부안내롤(101, 111)을 밀게 되어 제3폴(60)의 제3하부안내롤(101)이 제2폴(5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써 제2폴(50) 내부로부터 제3폴(60)이 인출되고, 제4폴(70)의 제4하부안내롤(111)이 제3폴(60)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제4폴(70)의 제5고정구(73)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안내롤(114)에 안내되어 상승하게 됨으로서 제3폴(60) 내부로부터 제4폴(70)이 인출된다.
따라서, 제4폴(70) 상단에 구비된 마감판(72)의 조명등(71)이 적정높이로 입출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조명등(71)에 점들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폴(30), 제1, 2, 3, 4폴(40, 50, 60, 70)의 인출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고정폴(30)의 내부로부터 제1폴(40)이 완전히 인출됨과 동시에 제2, 3, 4폴(50, 60, 70)의 인출이 순차적으로 완료된다.
한편 제1, 2, 3폴(40, 50, 60) 일측의 제2, 3, 4상부롤(83, 93, 103)에는 와이어(1)의 일측 영역이 삽입 지지되는 동시에 그 일단이 와이어 장력조절장치(C)에 고정되고, 중앙영역이 제2, 3, 4고정구(52, 62, 7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폴(40) 내부로는 제2폴(50)이, 제2폴(50) 내부로는 제3폴(60)이, 제3폴(60) 내부로는 제4폴(70)이 순차적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상하로 연동할 수 있는 폴을 이용한 골프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장의 프레임이 되는 폴을 동력전달부의 와이어를 통해 승하강시키고, 그 승하강에 의해 폴에 연결된 그물망이 접혔다 펴졌다 할 수 있게 형성한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골프장의 그물망을 지지하는 폴에 있어서, 지면의 고정된 고정폴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다수의 고정후크와; 와이어의 당김으로 상기 고정폴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폴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롤링후크와 최상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후크; 와이어의 당김으로 상기 제1폴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폴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롤링후크와 최상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후크; 상기 고정폴과 제1, 2폴의 측면에 형성되는 후크들에 걸려 배열하는 그물망과; 상기 제1, 2폴들을 상부로 연장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와; 골프장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폴들을 배열한 상태에서 동력전달부의 작동으로 상기 다수의 제1폴과 제2폴이 연장되어 그물망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부인 상기 롤링후크는, 제1,2폴의 측면에 "
Figure 112006000832711-utm00001
"자 형상으로 체결된 가이드구와; 좌우측의 원형의 롤과, 상기 롤을 연결하는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의 배후에 연결된 보조롤과, 상기 연결간에 일체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크부와; 상기 가이드구에 상기 좌우측의 롤이 끼워져 폴의 연동시 롤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구를 타고 승하강하는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인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렬로 배열된 폴들의 중 심부에 클러치가 형성된 상태로 배치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축에 결합된 제1권취롤과 제2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감긴 와이어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이 제1권취롤과 제2권취롤로 와이어를 감고 풀어 제1, 2폴을 승하강시키는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간이 골프장(골프 연습장)의 그물망을 지지하는 폴이나 그 프레임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그 프레임이 되는 폴이 상하로 연동가능하여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는 점과 그에 따라 폴이나 그물망이 손상이 간 경우에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는 점 및 수리비용이 적게 발생된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의 고정된 고정폴(10)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다수의 고정후크(11)가 있고, 와이어(60)의 당김으로 상기 고정폴(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폴(2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롤링후크(21)와 최상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후크(22)가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60)의 당김으로 상기 제1폴(2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폴(3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롤링후크(31)와 최상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후크(3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폴(10)과 제1, 2폴(20,30)의 측면에 형성되는 후크(11,21,22,31,32)들에 걸려 배열하는 그물망(40)이 있고, 상기 제1, 2폴(20,30)들 을 상부로 연장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50)가 있다.
따라서 골프장(A)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폴(100)들을 배열한 상태에서 동력전달부(50)의 작동으로 상기 다수의 제1폴(20)과 제2폴(30)이 연장되어 그물망(40)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이다.
즉, 그 작동의 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종래기술의 라이트 폴()과 같이 작동하며, 폴(100)을 연장시킬 수 있는 본 고안의 골프장 폴 인출장치는 도시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 고정폴(10)의 측면에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고정후크(11)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고정폴(10)에 형성된 고정후크(11)에는 도시된 도 5와 6에서처럼, 그물망(40)이 쳐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폴(10)의 상부로 제1폴(20)이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연장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라이트 폴 인출장치에서 설명을 하였기에 생략을 한다.
아무튼 이렇게 연장이 되면, 상기 제1폴(2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롤링후크(21)에 걸린 그물망(40)도 같이 연장되어 상부로 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점은 상기 제1폴(2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고정후크(22)는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 고정된 제1고정후크(22)가 그 그물망(40)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폴(20)의 상부에는 또 다른 제2폴(30)이 끼워진 상태이다.
물론 이 제2폴(30)은 제1폴(20)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연장되고 축소된다.
즉, 만일 상기 제2폴(30)이 연장이 된다면, 상기 제2폴(3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2롤링후크(31)에 걸린 그물망(40)도 같이 연장되어 상부로 퍼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제2폴(30)의 끝단에도 고정된 제2고정후크(32)를 비치하고 있기에 상기 그물망(40)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듯 본 고안의 제1폴(20)과 제2폴(30)에는 그 측면에 연동가능한 제1롤링후크(21)와 제2롤링후크(31)가 비치되고, 각각의 최상단에 제1,2고정후크(22, 3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폴(100)의 연장에 따라 그물망(40)을 상부로 펼치고, 축소될 때 그물망(40)을 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은 그 고안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의 부호를 제2폴(30)까지만 매기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폴(100)이 고정폴(10)과 제1, 2폴(20, 30)로 구성된 3단 형태의 폴만을 청구하는 것이 아니다.
즉, 간이 골프장(골프 연습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폴(30)의 상부로는, 제3 내지 제6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그 측면에 롤링후크와 고정후크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도시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모든 구성에 부호를 메기기 어려워 상기 제2폴(30)까지의 구성에만 부호를 메긴 것이니 청구항의 해석시 청구항에 메겨 진 부호로만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폴(100)들이 연장되거나 축소될 때, 폴(100)의 측면에서 상하로 연동하며 그물망(40)의 상승과 함께 따라 올라갈 수 있는 상기 롤링후크(21,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럼 이를 도시된 도 8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1,2폴(20,30)의 측면에 "
Figure 112006000832711-utm00002
"자 형상으로 체결된 가이드구(70)가 있고, 좌우측의 원형의 롤(71)과, 상기 롤(71)을 연결하는 연결간(72)과, 상기 연결간(72)의 배후에 연결된 보조롤(77)과, 상기 연결간(73)에 일체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크부(7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구(70)에 상기 좌우측의 롤(71)이 끼워져 폴(20,30)의 연동시 롤(71)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구(70)를 타고 승하강하는 것이다.
즉, 상기 폴(1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구(70)에는 도시된 롤링후크(21, 31)들이 끼워진다.
물론 이 롤링후크(21, 31)들은 도시된 것처럼, 좌우측으로 구성된 롤(7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구(70)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여 용이하게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롤(71)을 연결하기 위해 그 축으로 구성된 연결간(72)이 구성되고, 그 연결간(72)의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보조롤(77)이 구성되어 있다.
이 보조롤(77)을 상기 롤링후크(21, 31)들이 상기 가이드구(70)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롤링후크(21, 31)들의 보다 용이한 승하강운동을 돕 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2폴(20, 30)이 연장되게 되면 상기 제1, 2고정후크(22, 32)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그물망(40)이 그 끝단에 결합된 상기 롤링후크(21, 31)를 물은 상태로 끌어 올리는 것이다.
물론 일단 끌어 올려진 그물망(40)은 상기 롤링후크(21, 31)의 후크부(74)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빠지지 않고 롤링후크(21, 31)의 수준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시된 도 9와 10에서 보이듯, 상기 폴(10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50)를 비치하고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일렬로 배열된 폴(100)들의 중심부에 클러치(51)가 형성된 상태로 배치된 회전모터(52)가 있고, 상기 회전모터(52)의 축에 결합된 제1권취롤(53)과 제2권취롤(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롤(53,54)에 감긴 와이어(60)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52)의 회전이 제1권취롤(53)과 제2권취롤(54)로 와이어(60)를 감고 풀어 제1, 2폴(20,30)을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즉, 간이 골프장(골프 연습장)의 경우 도시된 도 9에서처럼, 그 골프장()의 주위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폴(1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폴(10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50)가 필요 위치에 설치되어 폴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10에 도시된 회전모터(52)가 회전을 하면, 그 축에 고정된 클러치부(51)를 통해 그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그 모터축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의 회전은 그 축에 끼워진 제1,2권취롤(53, 54)이 회전을 하여 와이어(60)를 감기도 하고 풀기도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작동에 의해 본 고안의 폴은 승하강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럼 여기서 실지로 간이 골프장(골프 연습장)을 평면으로 도시한 도 9를 통해 작동시키는 시스템을 설명하자면, 폴(100)들의 사이 중 적당한 위치에 상기 동력전달부(5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50)를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의 폴(100)들은 상승을 하며, 그물망(40)을 설치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50)의 회전모터(52)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운동시키면, 그물망(40)을 잡고 있는 폴이 내려와 그물망(40)의 위치를 하향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낮은 높이로 내려온 그물망(40)을 수선하거나 그 폴(100)의 고장을 수리하기가 용이하다.
결국 본 고안에서는 그 폴(100)과 가이드구(70) 및 후크들에 특징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0)의 위치나 폴(100)의 설치 수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설명된 폴(100)이란 고정폴(10)과 제1, 2 및 더 부가될 제 3 내지 6폴을 합친 개념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종래의 라이트 폴 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실 시가 가능하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고안은 간이 골프장(골프 연습장)으로 설치되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에 골프장이 설치될 위치에 따라 가변적이 높이를 줄 수가 있어 장소 적응능력이 우수하다.
더불어 본 고안은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에 그물망이나 폴이 상부가 찢어지고 고장이 난 경우에도 작업자가 고공으로 올라갈 필요없이 폴을 내려 작업할 수 있게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골프장의 그물망을 지지하는 폴에 있어서,
    지면의 고정된 고정폴(10)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다수의 고정후크(11)와;
    와이어(60)의 당김으로 상기 고정폴(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폴(2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롤링후크(21)와 최상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후크(22);
    와이어(60)의 당김으로 상기 제1폴(2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폴(3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롤링후크(31)와 최상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후크(32);
    상기 고정폴(10)과 제1, 2폴(20,30)의 측면에 형성되는 후크(11,21,22,31,32)들에 걸려 배열하는 그물망(40)과;
    상기 제1, 2폴(20,30)들을 상부로 연장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50)와;
    골프장(A)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폴(100)들을 배열한 상태에서 동력전달부(50)의 작동으로 상기 다수의 제1폴(20)과 제2폴(30)이 연장되어 그물망(40)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30)의 상부로는,
    제3 내지 제6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그 측면에 롤링후크와 고정후크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후크(21,31)는,
    제1,2폴(20,30)의 측면에 "
    Figure 112006000832711-utm00003
    "자 형상으로 체결된 가이드구(70)와;
    좌우측의 원형의 롤(71)과, 상기 롤(71)을 연결하는 연결간(72)과, 상기 연결간(72)의 배후에 연결된 보조롤(77)과, 상기 연결간(73)에 일체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크부(74)와;
    상기 가이드구(70)에 상기 좌우측의 롤(71)이 끼워져 폴(20,30)의 연동시 롤(71)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구(70)를 타고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일렬로 배열된 폴(100)들의 중심부에 클러치(51)가 형성된 상태로 배치된 회전모터(52)와;
    상기 회전모터(52)의 축에 결합된 제1권취롤(53)과 제2권취롤(54);
    상기 권취롤(53,54)에 감긴 와이어(60)와;
    상기 회전모터(52)의 회전이 제1권취롤(53)과 제2권취롤(54)로 와이어(60)를 감고 풀어 제1, 2폴(20,30)을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폴 인출 장치.
KR2020060000359U 2006-01-05 2006-01-05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KR200412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59U KR200412071Y1 (ko) 2006-01-05 2006-01-05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59U KR200412071Y1 (ko) 2006-01-05 2006-01-05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434A Division KR20070073480A (ko) 2006-01-05 2006-01-05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071Y1 true KR200412071Y1 (ko) 2006-03-22

Family

ID=4176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359U KR200412071Y1 (ko) 2006-01-05 2006-01-05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0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470B1 (ko) * 2007-03-30 2009-09-28 박영훈 에어실린더 방식의 라이트폴장치
KR20170004424A (ko) * 2015-07-02 2017-01-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 가변형 케이블 로봇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470B1 (ko) * 2007-03-30 2009-09-28 박영훈 에어실린더 방식의 라이트폴장치
KR20170004424A (ko) * 2015-07-02 2017-01-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 가변형 케이블 로봇 장치
KR101702626B1 (ko) 2015-07-02 2017-02-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 가변형 케이블 로봇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4110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KR200412071Y1 (ko)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CN112366588B (zh) 一种输电线路带电操作跨越装置
CN113607577A (zh) 一种安全网耐冲击试验机
KR20070073480A (ko)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CN211221269U (zh) 混凝土养护室试块架
JP5888603B2 (ja) 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方法及び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装置
CN102736053B (zh) 用于电能表校验装置的升降装置
KR101905629B1 (ko)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KR101506790B1 (ko) 주차제어기 및 이에 의한 주차제어방법
KR20220095550A (ko) 물건 승하강 장치
JP4631990B1 (ja) 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収納システム
KR20100020605A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명탑의 다단식 지주 승강장치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JP3590038B2 (ja) 防風フェンス
KR101805045B1 (ko)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JP2010234043A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収納移動システム
CN215326564U (zh) 支架吊装装置
JP2011147738A (ja) 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側面用吊張体の吊張/下方収納システム
JP3136485B2 (ja) ネット昇降方法とその装置
JP3736659B2 (ja) 茶園用の低所型防霜ファン装置
JP3090204U (ja) 電動防雪柵
JP2670659B2 (ja) 防球装置の支柱構造
JP4255355B2 (ja) 防雪柵の防雪パネル昇降装置及び昇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