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695B1 - 깃발 게양대 - Google Patents

깃발 게양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695B1
KR101033695B1 KR1020110016779A KR20110016779A KR101033695B1 KR 101033695 B1 KR101033695 B1 KR 101033695B1 KR 1020110016779 A KR1020110016779 A KR 1020110016779A KR 20110016779 A KR20110016779 A KR 20110016779A KR 101033695 B1 KR101033695 B1 KR 10103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pulley
main
slid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래
Original Assignee
조성래
(주)달구벌광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래, (주)달구벌광고공사 filed Critical 조성래
Priority to KR102011001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17/0091Anti-foiling flagpoles; Sliding means to avoid foiling of flags on the 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08Devices for avoiding twisting of the fla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깃발이 고정된 깃대를 올릴 때는 펴진 상태로 승강하고 깃발을 내릴 때는 접혀진 상태로 하강하는 깃발 게양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된 장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동풀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브라켓과, 양단이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지지대와, 상기 간격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와이어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와이어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풀리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방으로 관통된 서브와이어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서브와이어의 타단과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깃발이 설치된 깃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깃발 게양대{Flag hoisting unit}
본 발명은 깃발 등을 높이 걸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대에 연결되는 깃발을 승·하강하는 깃발 게양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국기나 시도기, 회사기, 단체기 등을 깃발이라고 하며, 게양대의 깃대인 와이어에 고정한 후 와이어를 올라가는 방향으로 당기면 깃발이 올라가고 반대로 와이어를 내려오는 방향으로 당기면 깃발이 하강하는 구성을 깃발 게양대라고 한다.
또한 사람이 게양하는 것을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게양할 수 있게 한 구성도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바람에 의하여 쉽게 펄럭이지만 깃발이 깃대에 감기거나 꼬여서 깃발을 제대로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장시간 사용시에는 깃발이 쉽게 찢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로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형성되는 깃대에 깃발을 고정하는 구성이 있는데, 깃발이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게양대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고 고정식으로 깃발을 승·하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깃발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강시에 바람이 심하게 불면, 깃발에 많은 외력이 작용하므로 쉽게 하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깃발이 고정된 깃대를 올릴 때에는 펼쳐진 상태로 상승하게 하여 깃발의 인식을 확실하게 하고, 내릴 때는 접혀진 상태로 하강하게 하여 깃발 하강을 쉽게 하는 깃발 게양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깃발이 고정된 깃대가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구성과, 깃대가 상측으로 올라간 후에 깃대가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올라간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과, 깃대의 승·하강시에 메인와이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장력조절 구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깃발 게양대는,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된 장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동풀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브라켓과, 양단이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지지대와, 상기 간격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와이어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와이어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풀리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방으로 관통된 서브와이어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서브와이어의 타단과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깃발이 설치된 깃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 각각은, 상기 메인와이어가 관통되는 메인와이어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은, 상기 힌지의 외측으로 상기 깃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 하부베어링과, 일측이 상기 하부베어링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고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동풀리는 상기 하부고정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단 내주면에 고정 설치된 상부베어링과, 상기 상부베어링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고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상부고정체에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동풀리는, 메인와이어가 감기는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회전휠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회전휠 중 어느 하나에 외치가 형성되고, 상기 주동풀리의 외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고정체에 설치되며, 상기 주동풀리의 외치에 삽입된 경우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동풀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와이어의 양방향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간격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깃발 게양대는, 상부 및 하부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지지대에 승·하강하는 슬라이더와 보조풀리 및 서브와이어를 통하여 깃발이 고정된 깃대를 올릴 때에는 펼쳐진 상태로 상승하고 내릴 때는 접혀진 상태로 하강하게 하여 바람이 불거나 큰 깃발도 쉽게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베어링과 상부베어링을 통하여 바람의 방향에 따라 깃발이 회전하게 하여 깃발의 꼬임을 방지하고, 하부고정체의 고정바를 통하여 깃대가 상측으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주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경유하면서 깃대를 승·하강시키는 메인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고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깃발 게양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 실시예의 깃대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 실시예의 깃대가 하부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 실시예 중 상부 및 하부브라켓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실시예 중 슬라이더 및 스토퍼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깃발 게양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깃발 게양대는, 도 1 내지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 주동풀리(20), 종동풀리(30), 메인와이어(40), 상부브라켓(50), 하부브라켓(60), 간격지지대(70), 슬라이더(80), 보조풀리(90), 서브와이어(100) 및 깃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깃발 게양대는, 하부베어링(120), 하부고정체(130), 상부베어링(140), 상부고정체(150) 및 스토퍼(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된 길이가 길고 원기둥 모양의 장형의 지주대이다. 프레임(10)은 후술할 각종 구성요소가 취부, 결합되므로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프레임(10)의 하단은 지면에 고정된다. 프레임(10)은 건물 외부에서 깃발 게양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지게 제작하거나, 건물 내의 강당 등에서 사용할 경우 성인 키 높이 정도로 제작하면 좋다.
주동풀리(20)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주동풀리(20)는 메인와이어(40)가 감기는 권취축(21)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축(21)의 양단에 한 쌍의 회전휠(22)이 형성되며, 한 쌍의 회전휠(22)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에 기어로 형성된 외치(23)가 구비되고, 권취축(21)에 연장되어 권취축(21)을 회전시켜주는 손잡이(24)가 구비된다.
상기의 주동풀리(20)는 후술할 하부고정체(130)에 삽입되는데, 권취축(21)의 양단의 회전휠(22)의 끝단이 하부고정체(130)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하부고정체(130)에 삽입된 권취축(21)에 연장되며 하부고정체(130)의 외측에서 권취축(21)에 연결되는 손잡이(24)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24)를 회전시키면 메인와이어(40)가 권취된 권축축(21)이 회전하게 되고, 권취축(21)이 회전하면 회전휠(22)과 회전휠(22)에 형성된 외치(23) 및 주동풀리(20)도 회전한다.
상기 회전휠(22)의 외치(23)에는 후술할 하부고정체(130)에 구비되는 고정바(131)가 삽입되거나 빠지면서 회전휠(22)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즉 회전휠(22)은 권취축(21)의 양단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주동풀리(20)를 이루므로, 회전휠(22)의 회전을 구속하면 권취축(21)과 주동풀리(20)의 회전이 구속된다.
여기서 고정바(131)로 회전휠(22)을 구속하는 이유는 후술할 깃대(110)가 상부로 올라간 상태에서 손잡이(24)를 놓았을 경우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종동풀리(30)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종동풀리(30)는 메인와이어(4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주동풀리(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주동풀리(20)와 종동풀리(30)는 메인와이어(40)로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와이어(40)는 주동풀리(20)와 종동풀리(30)를 경유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주동풀리(20)를 회전시키면 종동풀리(30)는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
즉, 주동풀리(20)의 권취축(21)에 연장되어 연결된 손잡이(24)를 돌려서 주동풀리(20)를 회전시키면 주동풀리(20)의 권취축(21)에 감겨진 메인와이어(40)는 종동풀리(30)를 경유하여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메인와이어(40)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동풀리(20)와 종동풀리(30)를 경유하도록 메인와이어(40)가 연결되어 회전하고, 주동풀리(20)를 회전시키면 메인와이어(40)에 의하여 종동풀리(30)도 함께 회전되는 구성이다. 또한 메인와이어(40)는 양방향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메인와이어(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일스프링(41)이 설치된다. 주동풀리(20)와 종동풀리(40)를 연결하는 메인와이어(40)에 장력을 조절하는 수단이 없다면 메인와이어(40)는 주동풀리(20)와 종동풀리(30)에 느슨하게 연결되어 주동풀리(20)를 회전시키더라도 메인와이어(40)는 회전하지 않는 슬립(Slip)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메인와이어(40)의 슬립현상은 종동풀리(30)의 원활한 회전을 이루어낼 수 없고, 메인와이어(80)에 연결된 후술할 상부브라켓(50) 및 하부브라켓(60)도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이 유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메인와이어(40)가 장력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와이어(40)의 장력유지수단은 코일스프링(41) 외에도, 메인와이어(40)를 주동풀리(20)의 권취축(21)에 한바퀴 반을 권취하면 주동풀리(20)의 권취축(21)에서 메인와이어(40)가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할 수 있으므로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와이어(40)를 귄취축(21)에 한바퀴 반을 권취하고 상술한 코일스프링(41)과 함께 구성하면 메인와이어(40)에 확실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와이어(40)는 후술할 슬라이더(80)의 일단과 연결 고정되고, 메인와이어(40)가 회전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면 일단이 고정된 슬라이더(80)도 상향으로 이동하며, 메인와이어(40)가 회전하여 하향으로 이동하면 일단이 고정된 슬라이더(80)도 하향으로 이동한다.
상부브라켓(50)은 도 1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프레임홀(PH)과, 상기 메인와이어(40)가 관통되는 메인와이어홀(MH)과, 후술할 서브와이어(100)가 관통되는 서브와이어홀(5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브라켓(50)의 상부에는 후술할 깃대(110)와 연결되는 힌지(52)가 구비된다. 힌지(52)를 기준으로 깃발이 고정되는 깃대(110)가 접히고 펴지는 구동을 한다.
또한 깃대(110)가 힌지(52)를 기준으로 접힌 상태에서 깃대(110)에 좌우로 흔들림이 발생하면 힌지(52)에 많은 하중이 작용하므로, 이를 줄여주기 위하여 상부브라켓(50)의 힌지(52) 외측에 깃대(110)가 삽입되는 가이드부(53)를 구비한다. 가이드부(53)는 상부브라켓(50)에 절개되어 깃대(110)가 접힐 때 쉽게 삽입되는 구성이다. 또한 가이드부(52)는 깃대(110)가 접힐 때 깃대(110)가 상부브라켓(50)에 접촉하여 접혀지지 않는 간섭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브라켓(50)의 끝단에 힌지(52)를 구비하여 깃대(110)를 접을 경우에는 절개된 가이드부(53)가 없더라도 깃대(110)와 상부브라켓(50)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간섭없이 깃대(110)를 접을 수 있다.
하부브라켓(60)은 도 1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프레임홀(PH)과, 상기 메인와이어(40)가 관통되는 메인와이어홀(MH)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브라켓(60)의 상부에는 보조풀리(90)가 구비되고, 보조풀리(90)는 후술할 서브와이어(100)가 경유하며 회전한다.
간격지지대(70)는 도 1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브라켓(50)과 하부브라켓(60) 사이에 형성되고, 간격지지대(70)의 양단 중 일단은 상부브라켓(50)에 결합하고 타단은 하부브라켓(60)에 결합하여 상부브라켓(50)과 하부브라켓(60)을 일체로 고정한다.
또한 간격지지대(70)에는 후술할 슬라이더(8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60)가 구비되는데, 스토퍼(160)는 상기 간격지지대(70)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된다. 슬라이더(80)의 상하이동거리를 조정할 시에는 스토퍼(160)의 고정볼트를 풀고 슬라이더(80)의 이동거리에 따라 스토퍼(160)를 이동한 다음 고정볼트를 조여서 간격지지대(70)에 고정하면 된다.
슬라이더(80)는 도 1 내지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브라켓(50)과 하부브라켓(60)의 간격을 유지시켜 일체로 고정하는 상기 간격지지대(70)에 삽입되어 간격지지대(7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80)의 일측은 상기 메인와이어(40)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와이어(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슬라이더(80)의 타측은 후술할 보조풀리(90)를 경유하여 깃대(110)의 일측과 결합하는 서브와이어(100)가 결합한다. 슬라이더(80)에 메인와이어(40)나 서브와이어(100)를 결합하는 구성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80)의 외부 일측에 천공된 홀을 구비하고 홀에 메인와이어(80)나 서브와어이(100)를 통과시킨 후 볼트로 고정하여 결합하는 구성과, 또는 슬라이더(80)에 메인와이어(80)나 서브와이어(100)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일측이 메인와이어(40)의 일부분과 결합된 슬라이더(80)는 메인와이어(80)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고, 슬라이더(80)의 타측에 결합된 서브와이어(100)가 당겨지면서 슬라이더(80)와 함께 상승하며, 슬라이더(80)와 함께 상승하는 서브와이어(100)는 보조풀리(90)를 경유하여 접혀진 깃대(110)의 끝단을 당기게 되고, 깃대(110)는 상부브라켓(50)과 수평인 상태인 펼쳐진 상태가 된다.
상기 상부브라켓(50) 상부의 힌지(52)를 기준으로 일측은 깃발이 고정되고 타측은 서브와이어(100)가 고정되어 깃대(110)를 접거나 펴지게 하는 슬라이더(80)가 구비된다. 여기서, 깃대(110)에 고정되는 깃발이 커지면 깃대(110)의 길이와 회전반경이 커지고, 슬라이더(80)의 승·하강 이동거리도 커져야 한다. 깃대(110)의 길이만 커지고 슬라이더(80)의 승·하강 이동거리가 적으면 깃대(110)는 상부브라켓(50)에 대하여 수평으로 펴질 수 없고 깃발도 완전하게 펼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깃대(110)의 길이가 커질 경우 슬라이더(80)의 승·하강 이동거리도 길어지게 조정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후술할 스토퍼(160)로 슬라이더(80)의 승·하강 이동거리를 조정한다.
스토퍼(160)는 도 1 내지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지지대(70)에 삽입되고, 슬라이더(80)의 하부에서 간격지지대(7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간격지지대(70)에 고정되는 스토퍼(160)를 구비하여 슬라이더(80)가 상하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거나 조정한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더(80)의 상하이동거리를 축소할 시에는 스토퍼(160)의 고정볼트를 풀고 스토퍼(160)를 상부로 올린 후 고정볼트를 조여 간격지지대(70)에 고정하면 상하이동거리가 축소되며, 반대로 슬라이더(80)의 상하이동거리를 확대할 시에는 스토퍼(160)의 고정볼트를 풀고 스토퍼(160)를 하부로 내린 후 고정볼트를 조여 간격지지대(70)에 고정하면 상하이동거리는 확대된다.
보조풀리(90)는 도 1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브라켓(60)의 상부에 형성되고, 후술할 서브와이어(100)가 경유한다.
상기 슬라이더(80)의 타측에 결합된 서브와이어(100)가 깃대(110)를 당겨 펼쳐진 상태가 되거나, 반대로 슬라이더(80)가 하강하면서 서브와이어(100)에 하중이 없어져 깃대(110)가 자중에 의하여 졉혀진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서브와이어(100)가 터닝할 수 있는 구성이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서브와이어(100)가 터닝할 수 있도록 하부브라켓(60)의 상부에 보조풀리(90)가 구비된다. 또한 보조풀리(90)는 서브와이어(10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서브와이어(100)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8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풀리(90)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브라켓(50)의 서브와이어홀(51)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관통되며, 깃대(110)의 일측과 결합한다. 깃대(110)의 일측에 결합된 서브와이어(100)가 슬라이더(80)의 상하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운동하면서 깃대(110)를 펼쳐진 상태로 만들거나 접혀진 상태로 만든다.
깃대(110)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브라켓(5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서브와이어(100)의 타단과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깃발이 설치된다.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80)에 연결되어 상승하면 서브와이어(100)가 당겨지면서 보조풀리(90)를 경유하여 깃대(110)를 당기게 되므로 펼쳐진 상태가 되고, 슬라이더(80)가 하강하면 서브와이어(100)에 하중이 없어져서 느슨해지므로 깃대(110)는 자중에 의하여 접혀지게 된다.
하부베어링(120)과 하부고정체(130)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외주면에 하부베어링(120)이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하부베어링(120)에 하부고정체(130)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고정체(130)의 타측에 주동풀리(20)가 결합되게 설치한다. 즉 하부베어링(120)과 하부고정체(130) 및 주동풀리(20)가 프레임(1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부베어링(120)과 하부고정체(130) 및 주동풀리(20)는 회전한다.
여기서 하부고정체(130)에 삽입되는 주동풀리(20)의 회전휠(22) 테두리에 외치(23)가 형성되고, 기어 형상인 외치(23)에 선택적으로 삽·탈되면서 회전휠(22)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바(131)가 하부고정체(130)에 설치된다. 고정바(131)는 손잡이 형태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고정바(131)를 외치(23)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회전휠(22)은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와 4에 도시되어 있으며, 고정바(131)를 외치(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외치(23)에 고정바(131)의 끝단이 삽입되어 회전휠(22)의 회전을 정지시키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만, 고정바(131)는 회전휠(22)의 회전을 구속하여 깃대(110)가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상술한 구성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상부베어링(140)과 상부고정체(150)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내주면에 상부베어링(140)이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베어링(140)에 상부고정체(150)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체(140)에 종동풀리(30)가 연장하여 설치된다. 즉 상부베어링(140)과 상부고정체(150) 및 종동풀리(30)가 프레임(10)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부베어링(140)과 상부고정체(150) 및 종동풀리(30)는 회전한다.
본 발명 깃발 게양대에 따른 슬라이더(80)에 고정된 메인와이어(40) 및 서브와이어(100)와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슬라이더(80)가 스토퍼(160)와 접촉한 상태(깃발이 고정된 깃대가 접힌 상태)에서 하부고정체(130)에 삽입고정된 주동풀리(20)의 손잡이(24)를 돌려 메인와이어(4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메인와이어(40)가 일측에 고정된 슬라이더(80)도 상승한다. 슬라이더(80)의 타측에 고정된 서브와이어(100)는 메인와이어(40)와 슬라이더(80)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부로 당겨지면서 함께 상승한다. 슬라이더(80)에 의하여 상부로 당겨지는 서브와이어(100)는 보조풀리(90)를 경유하여 터닝하면서 서브와이어(100)와 고정된 깃대(110)를 하부로 당긴다. 힌지(52)에 결합된 깃대(110)가 서브와이어(100)에 의하여 하부로 당겨지면 깃발이 고정된 깃대(110)는 지면과 수평인 상태 즉 깃발이 펼쳐진 상태를 이룬다. 동시에 슬라이더(80)는 상부브라켓(50)의 하부와 접촉하여 정지한다.
슬라이더(80)가 상부브라켓(50)과 접촉하여 정지하고 깃대(110)가 지면과 수평인 상태 즉 깃발이 펼쳐진 상태에서, 손잡이(24)를 계속 돌려 메인와이어(4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메인와이어(40)가 연결된 슬라이더(80)가 상부브라켓(50)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부브라켓(50)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부브라켓(50)은 간격지지대(70)에 의하여 하부브라켓(6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브라켓(50)과 하부브라켓(60)은 함께 상승한다. 게양대의 상측까지 상부브라켓(50) 및 하부브라켓(60)이 상승하면 손잡이(24)를 놓고 하부고정체(130)의 고정바(131)를 주동풀리(20)의 회전휠(22)에 형성된 외치(23)에 삽입시켜 주동풀리(20)의 회전을 구속하여 정지시키면 깃발이 펼쳐져 게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더(80)가 상부브라켓(80)의 하부에 접촉한 상태(깃발이 고정된 깃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고정체(130)의 고정바(131)를 주동풀리(20)의 외치(23)로부터 탈거하면 주동풀리(20)의 정지된 회전이 해제되고 주동풀리(20)의 손잡이(24)를 돌려 메인와이어(4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메인와이어(40)가 일측에 연결된 슬라이더(80)도 하강한다. 슬라이더(80)의 타측에 고정된 서브와이어(100)는 메인와이어(40)와 슬라이더(80)의 하강으로 인하여 상부로 당겨지던 하중이 없어지고, 서브와이어(100)는 보조풀리(90)를 경유하여 터닝하므로 느슨한 상태가 된다. 힌지(52)를 기준으로 서브와이어(100)와 연결고정된 깃대(110)는 하부로 당겨지는 하중이 없어지고, 반대편은 깃발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깃발의 무게와 깃대(110)의 자중에 의하여 지면과 수직 상태, 즉 깃발이 졉혀진 상태가 된다. 동시에 메인와이어(40)와 함께 하강하는 슬라이더(80)는 간격지지대(70)에 형성된 스토퍼(160)까지 하강하고, 스토퍼(160)에 걸리는 하강 하중은 간격지지대(70)와 고정된 하부브라켓(60)에 전달되면서 상부브라켓(50) 및 하부브라켓(60)을 하강시키는데, 이때 하강하중이 적더라도 상부브라켓(50) 및 하부브라켓(60)의 자중에 의하여 쉽게 하강하게 된다. 물론 깃발이 고정된 깃대(110)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한다.
여기서, 메인와이어(40)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41)은, 상부브라켓(50)과 하부브라켓(60)이 간격지지대(70)로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서브와이어(100)에 의하여 깃대(110)가 접히거나 펴질 때 전체가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 깃발 게양대에 따른 프레임(10)을 기준으로 깃대(110)가 회전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주를 회전하는 하부베어링(120)과, 하부베어링(120)에 고정된 하부고정체(130)와 하부고정체(130)에 삽입고정된 주동풀리(20)는 하부베어링(120)이 회전하면 같이 회전한다.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주를 회전하는 상부베어링(140)과, 상부베어링(140)에 고정된 상부고정체(150)와, 상부고정체(150)에 연장되어 설치된 종동풀리(30)는 상부베어링(140)이 회전하면 같이 회전한다.
상부브라켓(50)과 하부브라켓(60)은 간격지지대(70)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고, 프레임(10)이 삽입되어 프레임(10)의 외주에서 회전할 수 있는 프레임홀(PH)이 구비되며, 상부브라켓(50) 및 하부브라켓(60)의 메인와이어홀(MH)을 관통하는 메인와이어(40)가 간격지지대(70)의 슬라이더(80)의 일측과 고정되고, 슬라이더(80)의 타측은 서보와이어(100)가 연결되어 깃대(110)에 고정되며, 주동풀리(20)와 종동풀리(30)는 메인와이어(40)가 연결되어 연동한다.
따라서 하부베어링(120)에 고정되는 하부고정체(130)에 연결된 주동풀리(20), 하부브라켓(60), 상부브라켓(50), 슬라이더(80), 상부베어링(140)에 고정되는 상부고정체(150)에 연장된 종동풀리(30)는 메인와이어(40)에 의하여 연결되고 깃발이 고정된 깃대(110)는 슬라이더(80)에 서브와어이어(100)로 연결되므로, 전체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양대의 깃발에 바람이 불어 회전력이 작용할 경우 바람의 방향에 따라 깃발이 회전한다.
10 : 프레임
20 : 주동풀리
21 : 권취축 22 : 회전휠
23 : 외치 24 : 손잡이
30 : 종동풀리
40 : 메인와이어 41 : 코일스프링
50 : 상부브라켓 51 : 서브와이어홀
52 : 힌지 53 : 가이드부
60 : 하부브라켓
70 : 간격지지대
80 : 슬라이더
90 : 보조풀리
100 : 서브와이어
110 : 깃대
120 : 하부베어링
130 : 하부고정체 131 : 고정바
140 : 상부베어링
150 : 상부고정체
160 : 스토퍼
PH : 프레임홀 MH : 메인와이어홀

Claims (8)

  1.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된 장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동풀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종동풀리와,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브라켓과,
    양단이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지지대와,
    상기 간격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와이어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와이어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풀리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방으로 관통된 서브와이어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서브와이어의 타단과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깃발이 설치된 깃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깃발 게양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 각각은,
    상기 메인와이어가 관통되는 메인와이어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은,
    상기 힌지의 외측으로 상기 깃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 하부베어링과, 일측이 상기 하부베어링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고정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동풀리는 상기 하부고정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 내주면에 고정 설치된 상부베어링과, 상기 상부베어링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고정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상부고정체에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풀리는,
    메인와이어가 감기는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회전휠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회전휠 중 어느 하나에 외치가 형성되고,
    상기 주동풀리의 외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고정체에 설치되며, 상기 주동풀리의 외치에 삽입된 경우 상기 주동풀리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풀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와이어의 양방향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간격지지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KR1020110016779A 2011-02-24 2011-02-24 깃발 게양대 KR10103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79A KR101033695B1 (ko) 2011-02-24 2011-02-24 깃발 게양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79A KR101033695B1 (ko) 2011-02-24 2011-02-24 깃발 게양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695B1 true KR101033695B1 (ko) 2011-05-12

Family

ID=4436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779A KR101033695B1 (ko) 2011-02-24 2011-02-24 깃발 게양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6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09B1 (ko) * 2013-05-27 2014-01-07 신진수 국기 게양대
KR101388631B1 (ko) 2013-03-29 2014-04-29 한두진 국기 게양대
US9093001B1 (en) 2012-12-13 2015-07-28 Richard John Heva Mechanically operable motorized remote control flag raising assembly and mount
KR101883160B1 (ko) 2016-02-05 2018-07-31 구종철 자동국기게양장치
KR101914392B1 (ko) 2017-10-23 2018-12-28 이상은 국기게양대용 로프 승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46U (ko) * 1997-10-14 1999-05-15 조경화 다용도 깃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46U (ko) * 1997-10-14 1999-05-15 조경화 다용도 깃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3001B1 (en) 2012-12-13 2015-07-28 Richard John Heva Mechanically operable motorized remote control flag raising assembly and mount
KR101388631B1 (ko) 2013-03-29 2014-04-29 한두진 국기 게양대
KR101348809B1 (ko) * 2013-05-27 2014-01-07 신진수 국기 게양대
KR101883160B1 (ko) 2016-02-05 2018-07-31 구종철 자동국기게양장치
KR101914392B1 (ko) 2017-10-23 2018-12-28 이상은 국기게양대용 로프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KR101136813B1 (ko) 현수막 게시대
KR20130000407U (ko) 지브 크레인
JP2009084922A (ja) 幟旗掲揚装置
JP2014161711A (ja) 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及び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の昇降移動方法
KR20140030888A (ko) 침대 캐리어
JP2001040663A (ja) 杭打機のリーダの立設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55452B1 (ko) 국기 게양장치
JP7033345B1 (ja) 仮囲い養生装置
KR101805045B1 (ko)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CN211722707U (zh) 门洞开启装置
JP4453109B1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ワイヤロープ等の紐状体の移動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JP2006149717A (ja) 舞台幕折上げ昇降装置
KR100701513B1 (ko) 인양장치
JP6268640B2 (ja) 設置補助装置
JP2010046451A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移動システム
JP6658020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組立方法
JP3559537B2 (ja) チェーンゲート
CN219609430U (zh) 一种用于地升幕布的幕面横向绷紧机构
KR200412071Y1 (ko)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KR101768580B1 (ko)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CN115748448B (zh) 一种公路桥梁检测维修车及其工作方法
CN210065083U (zh) 一种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