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631B1 - 국기 게양대 - Google Patents

국기 게양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631B1
KR101388631B1 KR1020130034365A KR20130034365A KR101388631B1 KR 101388631 B1 KR101388631 B1 KR 101388631B1 KR 1020130034365 A KR1020130034365 A KR 1020130034365A KR 20130034365 A KR20130034365 A KR 20130034365A KR 101388631 B1 KR101388631 B1 KR 10138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uspension
flag
rod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두진
Original Assignee
한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두진 filed Critical 한두진
Priority to KR102013003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기 게양시 모터를 이용하여 국기를 자동으로 펼쳤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말아서 접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국기를 변경하거나 설치할 때에는 모터를 사용해 연결체를 아래로 내릴 수 있어 설치를 쉽게 할 수 있는 국기 게양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국기 게양대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는 지주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가로 방향 일단이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지주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고정대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에 장착되어 하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시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감겨 접히게 되는 현수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대의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고 가로 방향 타단 및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현수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단을 개폐하는 덮개체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국기 게양대{A flagstaff}
본 발명은 국기 게양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둥 위에 설치되며, 국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 두었다가 필요 시 자동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는 국기 게양대에 관한 것이다.
국기나 각종 깃발은 국가나 그 단체의 상징으로서 마음속으로부터 우러나는 애국심과 존경심으로 게양되어야 하고 보존되어야 한다.
따라서 국기 또는 깃발은 늘 잘 보이는 곳에 게양하고 있다. 간혹 국기를 잘못 다루면 국기 훼손 죄 등 형법으로 처벌을 받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운동장, 사열대, 관공서, 빌딩 등에 설치되는 국기 게양대는, 수직으로 높게 설치한 깃대와, 상기 깃대의 상단 근처에 설치한 안내롤러와, 상기 깃대의 하부에서 상기 안내롤러에 안내시킨 후 다시 깃대의 하부까지 연결한 게양로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깃대 하부에서 국기의 좌측 상,하단을 게양로프에 묶어 고정한 후, 게양로프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국기가 깃대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국기를 게양할 수 있다.
이러한 국기 게양장치는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고정되지 않은 국기의 우측부분이 전체적으로 펼쳐져 펄럭이므로 국기의 문양 전체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국기 게양장치는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불 경우에는 국기가 펄럭이지 않거나 약하게 펄럭이므로 고정되지 않은 우측부분이 아래로 처지게 되어 국기의 문양 전체를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기를 설치하여 올리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국기를 게양 로프에 묶은 다음, 상기 게양 로프를 손으로 잡아당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3508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545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기 게양시 모터를 이용하여 국기를 자동으로 펼쳤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말아서 접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국기를 변경하거나 설치할 때에는 모터를 사용해 연결체를 아래로 내릴 수 있어 설치를 쉽게 할 수 있는 국기 게양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국기 게양대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는 지주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가로 방향 일단이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지주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고정대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에 장착되어 하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시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감겨 접히게 되는 현수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대의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고 가로 방향 타단 및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현수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단을 개폐하는 덮개체가 형성된다.
상기 현수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봉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호 접착되는 제1접착부 및 제2접착부가 상하 이격되게 설치되는 연결체; 상단에 연결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덮개체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수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체의 타단은 상기 연결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리 형상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접착부 및 상기 제2접착부에의 상호 접착에 의해 상기 현수체가 상기 연결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태양광전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전지를 통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는 상기 충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국기 게양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현수부재의 하단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가 형성됨으로써, 비나 눈이 올 때 상기 현수체를 감아 올려 상기 고정대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덮개체로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여 내부로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상기 현수체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연결체의 일단이 상기 회전봉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현수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현수체를 교체하거나 새로 설치할 때, 상기 연결체를 상기 지주대의 하단 부근으로 내려 작업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1접착부 및 제2접착부가 형성됨으로써, 기존에 현수체의 연결끈을 게양로프에 묶고 푸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 상기 연결체를 상기 현수체의 연결공에 끼우는 작업으로 설치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상기 태양광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태양광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로 작동됨으로써,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여 환경개선에 일조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게양대의 유지비를 줄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현수체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현수체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현수체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현수체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는 지주대(100), 고정대(200), 모터(300), 태양광전지(400), 충전지(500), 스위치(600), 회전붕(700) 및 현수부재(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대(100)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모터(300) 및 상기 충전지(500)가 설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모터(300) 및 충전지(500)와 같은 전기 시설이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에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된다.
이러한 상기 지주대(100)는 관공서 또는 학교 등의 건물 옥상이나 정문 앞의 지면에 세로로 세워지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200)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가로 방향 일단,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단이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 부근에 설치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200)는 타단, 즉 우측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붕(700) 및 현수부재(8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2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210)과 연통되고 가로 방향 및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20)는 후술할 상기 현수부재(800)의 현수체(820)가 상하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며, 상기 개구부(220)의 우측단, 즉 타단을 통해 상기 회전붕(700) 및 상기 현수부재(800)가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200)의 우측단에는 고정캡(250)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캡(250)은 대략 원판 형상이며, 하단에 상기 개구부(220)의 타단을 차단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200)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캡(250)은 상기 고정대(200) 및 상기 개구부(220)의 우측단을 차단하여 상기 고정대(200) 내부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캡(250)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붕(7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캡(250)의 중심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붕(700)의 타단이 설치되는 원형의 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붕(700)이 상기 고정캡(250)과 별도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100)의 내부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상기 모터(30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300)는 상기 지주대(100)의 수용공간의 상단 부근, 즉 상기 고정대(200)의 일단 근처에 설치되며, 후술할 상기 회전붕(70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붕(700)을 회전시킨다.
경우에 따라 상기 모터(300)에는 감속 등의 목적으로 기어박스가 내설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모터(300)는 후술할 상기 태양광전지(400)에서 생성되어 상기 충전지(500)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상기 지주대(100)에 외측에 설치되는 상기 스위치(60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광전지(400)는 상기 고정대(200)의 상부에 넓게 설치되며, 태양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충전지(500)에 저장시킨다.
상기 충전지(500)는 상기 지주대(100)의 설치공간(210)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전지(40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충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대(200)의 상부에 상기 태양광전지(4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300)가 상기 태양광전지(400)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로 작동됨으로써,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여 환경개선에 일조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게양대의 유지비를 줄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스위치(600)는 상기 모터(300)의 정, 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승용 및 하강용의 2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쉽게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 부근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600)는 상기 모터(30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후술할 상기 현수부재(800)자동으로 전개하거나 접히게 한다.
상기 회전붕(700)은 가로 방향으로 긴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 즉 좌측단이 상기 모터(300)와 연결되고, 타단, 즉 우측단이 상기 고정캡(250)에 자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붕(700)은 상기 모터(300)의 회전력에 의해 가로 방향 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며, 상기 회전붕(7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후술할 상기 현수부재(800)가 장착되어 회전시 상기 회전붕(70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현수부재(800)는 연결체(810) 및 현수체(8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810)는 상하 방향으로 긴 연성재질의 끈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즉 상단이 상기 회전붕(7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결체(810)의 타단, 즉 하단에는 상호 접착되는 제1접착부(811) 및 제2접착부(8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접착부(811) 및 상기 제2접착부(812)는 단추, 클립, 밸트 등 다양한 연결장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밸크로 부재의 암, 수로 이루어져 상호 탈부착을 편리하게 하였다.
이러한 상기 제1접착부(811) 및 상기 제2접착부(812)는 상하로 약간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체(810)의 하단이 고리 형상으로 절첩된 상태일 때 서로 부착된다.
즉, 상기 제2접착부(812)는 상기 제1접착부(811) 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체(810)의 하단을 상방향으로 접고 상기 제1접착부(811)가 상기 제2접착부(812)에 부착되면 상기 연결체(810)의 타단은 고리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접착부(811)와 상기 제2접착부(812)를 서로 붙이기 전에 상기 연결체(810)의 타단은 후술할 상기 현수체(820)의 연결공(822)에 끼워져 상기 현수체(820)가 상기 연결체(8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체(810)에 상기 제1접착부(811) 및 제2접착부(812)가 형성됨으로써, 기존처럼 국기를 연결끈으로 게양로프에 묶고 푸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 상기 연결체(810)를 상기 현수체(820)의 연결공(822)에 끼우는 작업으로 설치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연결체(810)의 일단이 상기 회전붕(700)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현수체(8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현수체(820)를 교체하거나 새로 설치할 때, 상기 연결체(810)를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 부근으로 내려 작업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현수체(820)는 국기나 어떤 단체의 고로를 새긴 깃발이며,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섬유와 같은 연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현수체(820)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220)의 하단을 개폐하는 덮개체(821)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체(8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 형상이며,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체(821)는 상기 개구부(220)의 지름 방향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현수체(820)가 상기 회전붕(700)에 감겨져 올라갔을 때 상기 고정대(200)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개구부(220)를 덮는다.
경우에 따라, 상기 덮개체(821)의 단면 형상은 상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이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현수부재(800)의 하단에 상기 개구부(220)를 개폐하는 덮개체(821)가 형성됨으로써, 비나 눈이 올 때 상기 현수체(820)를 감아 올려 상기 고정대(200)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덮개체(821)로 상기 개구부(220)를 밀폐하여 내부로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상기 현수체(820)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덮개체(821)는 상기 현수체(820)의 전개시 상기 현수체(820)의 하중을 하방향으로 유도하여 잘 펼쳐지게 하며, 상기 현수체(82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수부재(800)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체(810)의 하단이 끼워지는 연결공(82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822)은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연결공(822)은 상기 현수체(820)의 상단 꼭지점 부근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822)에는 내주면을 따라 합성수재 재질의 보강재가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현수체(82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공(822)에는 상기 연결체(810)의 타단이 끼워지며, 상기 연결체(810)는 타단이 상기 연결공(82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리 형상으로 절첩 된 후 상기 제1접착부(811) 및 상기 제2접착부(812)의 상호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현수체(820)와 연결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수체(8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승용 스위치(600)를 눌러 상기 모터(3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붕(7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현수부재(800)가 상기 회전붕(700)에 감기게 되며, 상기 고정대(200) 내부에 보관된다.
반대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수체(820)를 게양할 때에는 하강용 스위치(600)를 눌러 상기 모터(30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붕(7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현수부재(800)가 하방향으로 전개된다.
만약, 상기 현수체(820)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용 상기 스위치(600)를 눌러 상기 모터(30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붕(700)이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상기 현수체(820)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 부근까지 내려오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가 내려오면, 상기 제1접착부(811)와 상기 제2접착부(812)를 분리시켜 상기 현수체(820)를 제거하고, 새로운 현수체(820)를 연결한 후 상승용 스위치(600)를 눌러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현수체(820)를 다시 상부로 올린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체(810)의 일단이 상기 회전붕(700)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현수체(8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현수체(820)를 교체하거나 새로 설치할 때, 상기 연결체(810)를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 부근으로 내려 작업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체(810)에 상기 제1접착부(811) 및 제2접착부(812)가 형성됨으로써, 기존에 현수체(820)의 연결끈을 게양로프에 묶고 푸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 상기 연결체(810)를 상기현수체(820)의 연결공(822)에 끼우는 작업으로 설치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지주대, 200 : 고정대, 210 : 설치공간, 220 : 개구부, 250 : 고정캡, 300 : 모터, 400 : 태양광전지, 500 : 충전지, 600 : 스위치, 700 : 회전봉, 800 : 현수부재, 810 : 연결체, 811 : 제1접착부, 812 : 제2접착부, 820 : 현수체, 821 : 덮개체, 822 : 연결공,

Claims (3)

  1. 높이 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는 지주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가로 방향 일단이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지주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고정대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에 장착되어 하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시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감겨 접히게 되는 현수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대의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고 가로 방향 타단 및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현수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단을 개폐하는 덮개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봉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호 접착되는 제1접착부 및 제2접착부가 상하 이격되게 설치되는 연결체;
    상단에 연결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덮개체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수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체의 타단은 상기 연결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리 형상으로 절첩되며, 상기 제1접착부 및 상기 제2접착부에의 상호 접착에 의해 상기 현수체가 상기 연결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태양광전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전지를 통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는 상기 충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KR1020130034365A 2013-03-29 2013-03-29 국기 게양대 KR10138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65A KR101388631B1 (ko) 2013-03-29 2013-03-29 국기 게양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365A KR101388631B1 (ko) 2013-03-29 2013-03-29 국기 게양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631B1 true KR101388631B1 (ko) 2014-04-29

Family

ID=5065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365A KR101388631B1 (ko) 2013-03-29 2013-03-29 국기 게양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6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000B1 (ko) * 2015-09-09 2017-06-22 김동국 현수막 게시대
KR20220082744A (ko) 2020-12-10 2022-06-17 서상권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깃발 게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06Y1 (ko) 2001-08-24 2001-11-23 이영효 인출식 깃발 걸이대
KR101033695B1 (ko) 2011-02-24 2011-05-12 조성래 깃발 게양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06Y1 (ko) 2001-08-24 2001-11-23 이영효 인출식 깃발 걸이대
KR101033695B1 (ko) 2011-02-24 2011-05-12 조성래 깃발 게양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000B1 (ko) * 2015-09-09 2017-06-22 김동국 현수막 게시대
KR20220082744A (ko) 2020-12-10 2022-06-17 서상권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깃발 게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713B1 (ko)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CN205072247U (zh) 一种智能遮阳伞
KR101388631B1 (ko) 국기 게양대
KR101420375B1 (ko) 파라솔이 마련된 가로등
CN107095530A (zh) 一种市政观赏花盆用光伏板组件展示设备
KR20110114944A (ko) 태양열을 이용한 조명 기구가 설치된 접이식 어닝
KR101348809B1 (ko) 국기 게양대
KR101508456B1 (ko) 기(旗) 게양장치
JP2015004224A (ja) 日除け装置
CN214249423U (zh) 一种市政施工用照明系统
KR20140124507A (ko) 회전식 자동 깃발 게양대
KR20220082744A (ko)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깃발 게양 장치
KR20180104971A (ko) 스마트 게양대
CN210563723U (zh) 一种弹簧悬架式休闲帐篷
CN209638880U (zh) 一种多功能户外灯
KR101436750B1 (ko) 기(旗) 게양장치
RU22876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оса смога, скапливающегося над участком города или в карьере
KR102628458B1 (ko) 복수 개의 깃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게양되는 깃발 게양장치
CN210988594U (zh) 一种新型环保雨伞架
KR102578880B1 (ko) 자동 국기 게양장치
KR20160037385A (ko) 로프 회전 감기 식 깃발 게양대
CN216556890U (zh) 一种便于灯泡更换的智能路灯
CN205456646U (zh) 一种高度可调多功能中柱伞
KR20160037386A (ko) 회전식 깃발 게양대
CN210768092U (zh) 一种内腔空间可变式多功能天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