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000B1 -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000B1
KR101750000B1 KR1020150127378A KR20150127378A KR101750000B1 KR 101750000 B1 KR101750000 B1 KR 101750000B1 KR 1020150127378 A KR1020150127378 A KR 1020150127378A KR 20150127378 A KR20150127378 A KR 20150127378A KR 101750000 B1 KR101750000 B1 KR 10175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pair
wire
rotation
wir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171A (ko
Inventor
김동국
Original Assignee
김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국 filed Critical 김동국
Priority to KR102015012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0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기둥,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와이어가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감기거나 또는 풀어지면서 지지기둥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길이방향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판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시대{A STAND FOR HANGING BANNER}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식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해 복수개의 현수막을 거치한 현수막 게시대가 설치되어왔다. 관공서는 질서있는 현수막 설치를 위해 일정한 장소에 다수의 현수막을 일회에 설치하도록 배려하고 있었다.
이때 사용되는 현수막 게시대는 하나에 보통 5개 정도의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현수막 게시대의 일례로서, 2002년 08월 01일자로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0348769호에서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를 개시하였다.
상기 등록 특허는 복수개의 현수막을 접철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현수막 게시대를 올라가지 않고서도 현수막을 쉽게 지상에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 특허의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는 태풍과 같은 바람이 부는 경우 강풍에 의해 현수막 게시대에 거치된 복수개의 현수막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왔다.
이와 같이 파손된 현수막으로 인하여, 미관상으로 좋지 않으면서도 무엇보다도 현수막의 물자적인 피해를 감수해야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아울러, 상기 등록 특허는 자연재해로 인하여 자주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381110호는 풍속을 감지하고 태양광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를 개시하였고, 바람이 부는 경우에 풍속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현수막을 접철함으로써, 현수막의 파손 뿐만 아니라 현수막 게시대의 붕괴위험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태양광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자체 전원으로 현수막을 접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수막을 접철하는 것 자체는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 현수막 게시대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일 수는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수막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비바람이 불거나 눈보라가 치는 날씨에 현수막이 젖거나 이물질이 현수막에 달라붙게 되어 더 이상 현수막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결국, 현수막 게시대에 게시할 수 없는 날씨로 인해서 현수막을 접철하고 난 이후에 다시 현수막을 게시할 경우에 새로운 현수막을 제작해야 한다거나 현수막을 철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4876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811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악천후시에 현수막 게시대의 현수막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현수막 게시대의 붕괴위험을 줄일 수 있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악천후시에 현수막을 보호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치 않고,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기둥,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와이어가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감기거나 또는 풀어지면서 지지기둥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길이방향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판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판 사이에 위치하는 현수막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상기 현수막이 상기 현수막 수납부로 투입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현수막의 상하방향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덮개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풍속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풍속계 및 상기 풍속계의 실시간 풍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현수막의 게시가 위험한 날씨인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 자동으로 현수막을 철수시킬 수 있어 현수막 게시대의 붕괴위험이 없어진다.
또한, 현수막의 철수 이후에 다시 재사용시에 현수막의 파손이나 변형위험이 거의 없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체동력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전원을 별도로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
또한, 비교적 제작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 및 설치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이 수납된 상태의 현수막 게시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편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이 수납된 상태의 현수막 게시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201, 202)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201, 202)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01, 302)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와이어가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감기거나 또는 풀어지면서 지지기둥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길이방향의 개구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201, 202) 중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판(140)이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판(140) 사이에 위치하는 현수막 수납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현수막이 상기 현수막 수납부(160)로 투입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현수막의 상하 와이어(400)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120)를 밀폐시키는 덮개편(180)을 포함하고, 풍속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풍속계(500) 및 상기 풍속계(500)의 실시간 풍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터(301, 302)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은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는 속이 빈 입체구조물이다.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기둥(101)과 제2지지기둥(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은 강철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수막을 게시하는 개수에 따라서 지지기둥의 높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은 현수막이 게시될 때 현수막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현수막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지지기둥(101, 102) 중 제1지지기둥(101)에는 현수막이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길이방향의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정해진 상하방향의 길이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현수막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기둥(101)의 내부에는 제1회전축(201)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1회전축(201)에는 현수막과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400)가 결합되어 있다. 제1회전축(201)의 일단에는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제1기어 어셈블리(2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기어 어셈블리(211)에는 제1모터(301)가 연결된다.
제1모터(30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태양광발전설비(70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회전축(201)에는 현수막이 제1회전축(201)에 감길 때 현수막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판(14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판(140)은 복수의 원형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회전축(201)의 회전시에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201)과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제2지지기둥(102)은 제1지지기둥(101)과 마찬가지로 제1지지기둥(10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지면에 견고히 고정설치된다. 제2지지기둥(102)에는 제2회전축(202)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2회전축(202)의 회전은 제1회전축(201)과 마찬가지로 제2기어 어셈블리(212)와 연결되어 있는 제2모터(30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2모터(302)를 동작시키는 전원은 제1모터(301)와 같이 태양광발전설비(700)일 수 있다.
제1지지기둥(101) 또는 제2지지기둥(102)에는 컨트롤러(6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컨트롤러(600)는 풍속계(500)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풍속정보를 수신하여 현수막을 제1지지기둥(101) 내부로 유입시킬지, 유출시킬지를 결정한다.
즉 풍속정보를 통해서 기 설정된 기준풍속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컨트롤러(600)가 자동으로 제1모터(301)를 가동시켜 현수막을 제1지지기둥(101) 내부로 유입시킨다.
덮개편(180)은 현수막의 양단부 중 제2지지기둥(102)과 가까운 쪽 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덮개편(180)은 제1지지기둥(10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20)와 같은 크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편의 정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편(180)은 현수막과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400)가 끼워지는 와이어삽입공(181), 와이어(400)에 덮개편(180)을 끼우기 위한 와이어 삽입통로(182)가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 삽입공(181)은 두 개의 와이어(400)에 같이 체결될 수 있도록 두 개가 형성되며, 와이어 삽입공(181)의 사이즈는 와이어(400)의 지름보다 약간 큰 정도가 적절하다. 와이어 삽입통로(182)는 와이어의 지름크기와 같거나 클 수 있으나 와이어 삽입공(181)의 사이즈보다 일반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400)가 와이어 삽입공(181)에 안착되었을때 와이어(400)와 덮개편(18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두 개의 와이어 삽입통로(182)의 방향은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와이어(400)가 와이어 삽입통로(182)를 따라서 와이어 삽입공(181)에 안착할 때 덮개편(180)을 위에서 아래로 끼울 수 있도록 와이어 삽입통로(18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덮개편(180)이 중력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아래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400)에서 덮개편(180)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삽입공(181)에 와이어(400)의 안착이 완료되면 와이어 삽입통로(182)를 막는 밀폐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풍속계(500)는 제1지지기둥(101) 또는 제2지지기둥(102) 상단에 배치 고정되고, 풍속통과 풍속통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한 풍속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풍속통은 불어오는 바람의 세기를 제대로 체크할 수 있도록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 풍속통 안에 있는 풍속센서부는 풍속통 내에 두 개의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되, 하나는 온도를 있는 그대로 감지하고, 다른 하나의 온도감지 센서는 양측에 발열체를 구비하여 센싱되는 온도가 발열체의 영향을 받도록 구성함으로서 바람이 불면 발열체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되어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바람이 불지 않으면 두 개의 온도 감지센서간의 온도차는 발열체의 영향만큼 온도차가 발생하나, 바람이 불면 바람으로 인하여 발열체의 영향(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기만큼 온도가 상승함)을 적게 받게 되어 바람으로 내려간 온도만큼 두 개의 온도감지센서 간의 온도차가 좁혀진다.
예를 들어, 평상시 풍속인 경우에는 두 개의 온도감지센서 간의 온도차이가 크게 되므로 정상적인 온도 차이값(발열체에 의해 영향을 받은 만큼의 온도차)을 유지하게 되며 이럴 경우 정상적인 풍속 값으로 감지된다.
그러나 강풍시 예컨대 9 내지 12 m/s의 강풍시에는 강풍으로 인하여 발열체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되므로 온도감지센서 간의 온도차이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강풍시 풍속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온도차는 비정상(강풍) 온도차이 값(정상적인 상태보다 온도차가 적게 남)으로 변환하게 되어 비정상(강풍)값으로 감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속계(500)는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풍속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원리를 이용한 풍속계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동작상태를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살펴본다.
도 1은 현수막이 게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현수막이 게시된 상태에서 풍속계(500)는 실시간으로 풍속을 계측하여 풍속정보를 컨트롤러(600)에 전송한다.
정상적인 바람이 불고 있거나 바람이 불지 않고 있는 경우 현수막은 제1지지기둥(101)에 있는 제1회전축(201)과 제2지지기둥(102)에 있는 제2회전축(202)에 와이어(400)가 연결되어 게시되어 있다.
제2지지기둥(102)측 와이어(400)에는 앞서 설명한 덮개편(180)이 구비되어 있으나 제2지지기둥(102)에 형성될 수 있는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노출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태양광 발전설비(700)는 태양광패널에 유입되는 광을 전기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점점 기상이 악화되는 태풍이 올라오는 여름철을 가정하면, 풍속계(500)에서 기 설정된 기준 풍속을 넘어서는 풍속정보가 컨트롤러(600)에 제공된다. 컨트롤러(600)는 현수막을 철수시키기 위해서 제1지지기둥(10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1모터(301)를 가동시킨다.
제1모터(301)는 제1 기어 어셈블리(211)를 통해 제1회전축(20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고, 제1회전축(201)의 회전에 의해서 현수막은 제1지지기둥(101)에 형성되어있는 개구부(120)를 통해서 현수막 수납부(160)로 감겨 들어오게 된다.
도 2와 같이 현수막 수납부(160)에 현수막이 완전히 감긴 경우, 도 1의 제2지지기둥(102)측에 있는 덮개편(180)은 제1지지기둥(10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20)에 정확히 끼워지게되고, 제1모터(301)는 동작을 멈춘다.
물론 개구부(120)의 가장자리에는 소정두께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편(180)이 안착되어 제1지지기둥(101)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현수막이 안전하게 제1지지기둥(101) 안에 수납된 상태에서 풍속계(500)는 정상상태의 풍속을 계측한 경우, 풍속정보를 다시 컨트롤러(600)에 제공하고, 컨트롤러(600)는 이때는 제2지지기둥(102)에 있는 제2모터(302)를 가동시킨다.
제2모터(302)가 회전하면 도 2의 와이어(400)를 제2지지기둥(102)의 제2회전축(202)에 휘감기도록 하며, 제1지지기둥(101)의 개구부(120)에 삽입되어 있던 덮개편(180)이 이탈하면서 현수막은 다시 도 1과 같은 상태로 원상회복하게 된다.
결국 비바람이 부는 날씨이거나 눈보라가 치는 날씨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현수막을 제1지지기둥(101) 안으로 현수막을 수납하게 되며, 현수막은 비나 눈과 같이 현수막을 오염시키거나 변질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비바람이나 눈보라가 멈춘 이후에도 현수막의 교체 없이 재차 현수막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현수막이 제1지지기둥(101)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400)가 외부에서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제2회전축(202)에서 토출되거나 감기는 와이어(400)에는 야광물질이나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이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1 제1지지기둥 102 제2지지기둥
120 개구부 140 회전 가이드판
160 현수막 수납부 180 덮개편
181 와이어 삽입공 182 와이어 삽입통로
201 제1회전축 202 제2회전축
211 제1기어 어셈블리 212 제2기어 어셈블리
301 제1모터 302 제2모터
400 와이어 500 풍속계
600 컨트롤러 700 태양광발전설비

Claims (4)

  1.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와이어가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감기거나 또는 풀어지면서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길이방향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기둥;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한 쌍의 회전축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현수막의 상하방향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덮개편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현수막의 감김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판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판 사이에 위치하는 현수막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편은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두 개의 와이어 삽입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삽입통로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와이어 삽입공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삽입통로 중 한 개의 와이어 삽입통로는 덮개편을 위에서 아래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풍속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풍속계; 및
    상기 풍속계의 실시간 풍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20150127378A 2015-09-09 2015-09-09 현수막 게시대 KR10175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378A KR101750000B1 (ko) 2015-09-09 2015-09-09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378A KR101750000B1 (ko) 2015-09-09 2015-09-09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71A KR20170030171A (ko) 2017-03-17
KR101750000B1 true KR101750000B1 (ko) 2017-06-22

Family

ID=5850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378A KR101750000B1 (ko) 2015-09-09 2015-09-09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838A (ko) 2019-05-24 2020-12-02 임원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6175B (zh) * 2018-09-13 2020-10-16 宋阿辉 一种广告翻转展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91Y1 (ko) * 2003-07-23 2003-11-01 (주)케스코리아 광고게시판 설치가대
KR101388631B1 (ko) * 2013-03-29 2014-04-29 한두진 국기 게양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769B1 (ko) 2000-10-13 2002-08-14 (주)드림테크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1381110B1 (ko) 2013-11-29 2014-04-04 (주)드림테크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91Y1 (ko) * 2003-07-23 2003-11-01 (주)케스코리아 광고게시판 설치가대
KR101388631B1 (ko) * 2013-03-29 2014-04-29 한두진 국기 게양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838A (ko) 2019-05-24 2020-12-02 임원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71A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796B1 (ko) 수직형 풍력발전기
EP2014914A1 (en) Wind power generating rotor blades utilizing inertial force,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rotor blades, and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KR20150119600A (ko) 태양광을 이용하는 각도 가변형 방풍벽
KR101750000B1 (ko) 현수막 게시대
CN203787047U (zh) 一种多版面抗风广告牌
KR20160113399A (ko)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교통안내표시 시스템
KR10138111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JP2019210919A (ja) 縦軸風車、その縦長ブレード及び風力発電装置
KR100942182B1 (ko) 회전 현수막 게시장치
JP3958518B2 (ja) 太陽光発電装置付き防雪柵
KR200331891Y1 (ko) 광고게시판 설치가대
KR102346532B1 (ko) Iot 기반 스마트 롤러블 스크린 안전 돌출간판
KR200468482Y1 (ko) 다면형 선거 광고판
KR100855906B1 (ko)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CN105070230A (zh) 一种智能滤波电控通信抗风广告牌
KR200390938Y1 (ko) 회전식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20130102695A (ko) 현수막 게시대
KR101233125B1 (ko) 현수막 게시대 제어방법
CN109243298B (zh) 可旋转避风的户外电子展示装置
CN113419297A (zh) 一种多功能气象监测装置
KR101349086B1 (ko) 알림 기능을 갖는 풍속계
JP4927469B2 (ja) 照明表示塔
JP2003021045A (ja) 風力発電装置
KR20190131203A (ko) 광고와 강풍 안전성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장치
CN105788485A (zh) 一种可转动的电动广告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