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38A -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4838A KR20200134838A KR1020190060934A KR20190060934A KR20200134838A KR 20200134838 A KR20200134838 A KR 20200134838A KR 1020190060934 A KR1020190060934 A KR 1020190060934A KR 20190060934 A KR20190060934 A KR 20190060934A KR 20200134838 A KR20200134838 A KR 202001348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bar
- sheet
- shaped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 현수막 등과 같은 시트 형태로 되어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되, 시트형 대상물을 팽팽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시야에 시트형 대상물 이외의 불필요한 구조물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불필요한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장치 자체의 부피 및 부품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양, 현수막 등과 같은 시트 형태로 되어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되, 시트형 대상물을 팽팽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시야에 시트형 대상물 이외의 불필요한 구조물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등과 같은 시트 형태의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물이 사용된다.
도 1(A)는 시트형 대상물에 아일렛을 박아 끈으로 고정하는 형태의 종래의 고정장치의 한 실시예이다. 도 1(A)의 실시예는, 시트형 대상물보다 좀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ㅁ자 형태의 고정틀과, 일단은 시트형 대상물의 아일렛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틀을 이루는 지지대들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끈으로 이루어진다. 도 1(A)의 실시예은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식의 고정장치로 구현이 매우 용이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렛이 형성된 부분은 팽팽하게 당겨지는 반면 아일렛들 사이 부분, 특히 수직 방향 가장자리의 가운데 부분이 팽팽하지 못하여 처지거나 시트형 대상물 전체에 주름을 유발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시트형 대상물이 이미지, 텍스트 등이 기재되어 있는 정보 전달을 위한 현수막인 경우, 이러한 처짐이나 주름은 정보 전달을 상당히 방해하게 될 수 있다.
도 1(B)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B)의 실시예는, 도 1(A)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정틀 및 복수 개의 끈을 포함하되, 여기에 시트형 대상물 끝단에 결합되는 텐션봉을 더 포함한다. 시트형 대상물 및 텐션봉 간의 결합은, 한 예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대상물 끝단을 접어박아 봉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여기에 텐션봉을 끼우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텐션봉에 시트형 대상물의 끝단을 복수 개의 스테이플러, 못 등으로 박아서 고정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형 대상물과 텐션봉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틀에 연결된 끈을 시트형 대상물이 아니라 텐션봉에 연결시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대상물에 처짐이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전체 면적이 팽팽한 상태로서 시트형 대상물이 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와 관련된 여러 기술들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등록 제1764090호("자동 승강식 현수막 게시장치", 2017.07.26., 이하 '선행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비슷한 방식으로 현수막을 홀딩하는 게시대를 복수 개 포함하며, 이러한 게시대들이 한 쌍의 기둥 사이에서 자동 승강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750000호("현수막 게시대", 2017.06.16., 이하 '선행문헌 2')에는, 끈이 연결되는 수직 방향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모터를 달아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지지대가 회전하면서 끈을 감음으로써 현수막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고전적인 종래의 현수막 고정장치나, 상술한 선행문헌 1, 2에 개시된 좀더 개선된 형태의 현수막 고정장치들 모두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직관적으로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현수막 고정장치의 경우 시야에 현수막 이외의 구조물이 지나치게 많이 보이게 된다. 특히 현수막 상하의 고정틀 부분의 경우 단지 일직선으로 뻗은 봉 형상이기 때문에 그다지 주의를 집중시키지 않아 큰 문제가 없으나, 현수막 좌우의 경우 현수막 끝단에 형성된 끈 매듭이나, 매듭에 지저분하게 달려 있는 끈의 잉여분 끝단이나, 현수막과 수직 방향 지지대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끈이 걸쳐져 있는 모습 등과 같은 불필요한 구조물의 노출이 상당하다. 이처럼 시야에 현수막 이외의 불필요한 구조물의 노출은, 현수막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미관을 해쳐 불쾌한 느낌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현수막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전달에 큰 방해가 될 수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선행문헌들1, 2에 개시된, 다소 개선된 형태를 가지는 현수막 고정장치 역시 이러한 문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 현수막 등과 같은 시트 형태로 되어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되, 시트형 대상물을 팽팽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시야에 시트형 대상물 이외의 불필요한 구조물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불필요한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장치 자체의 부피 및 부품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시트 형태의 대상물(500)의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111) 및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의 양측 끝단 사이에 개재 결합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112)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111) 및 상기 수직바(112)의 결합에 의해 ㅁ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10);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을 잡아 고정하면서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며, 한 쌍의 상기 수직바(112) 사이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텐션인가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500)은 상기 수직바(112)에 걸쳐 벤딩되어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끝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는,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에 복수 개의 아일렛(550)이 형성되어 상기 아일렛(550)을 통해 상기 대상물(500)이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아일렛 방식이거나,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이 접혀 봉제됨으로써 봉제부(555)가 형성되며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 텐션바가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텐션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아일렛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1수직바(121A),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아일렛(5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직바(121A)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하면서 텐션을 인가하는 제1텐션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텐션부(122A)는, 턴버클, 스프링, 끈, 케이블타이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아일렛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양단이 결합되는 제2수직바(121B),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바(121B)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헤드는 상기 제2수직바(121B)로부터 돌출되고 끝단은 상기 수직바(112)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볼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2수직바(121B)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제2텐션부(122B), 일단이 상기 아일렛(5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바(121B)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하는 대상고정수단(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수직바(121B)는, 상기 제2텐션부(122B)를 관통시키는 구멍 형태의 수직바관통공(121B1) 및 상기 제2텐션부(122B)를 관통시키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바너트공(121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3실시예로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3수직바(121C),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각 단면을 가지되 양측 끝단에 서로 동일면에 배치되며 끝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포켓(P) 또는 한 쌍의 슬릿(S)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지는 제3텐션바(122C),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ㄷ자걸림부(123C1)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수직바(121C)를 관통하되 일단은 상기 ㄷ자걸림부(123C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3수직바(121C)로부터 관통 돌출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너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ㄷ자텐션부(123C2)를 포함하며 상기 제3수직바(121C)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ㄷ자걸이(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ㄷ자걸림부(123C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측면 및 외측면,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면에 상기 ㄷ자텐션부(123C2)가 연결되고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텐션바(122C)는, 상기 포켓(P)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거나, 상기 슬릿(S)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수직바(121C)는, 상기 제3텐션바(122C)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되어,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제3텐션바(122C)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텐션바(122C)는, 상기 대상물(5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짧게 형성되어 전체가 상기 봉제부(555) 내에 완전히 수용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3실시예에 의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를 이용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은,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의 상기 외측면의 폭 부분 또는 두께 부분을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측면을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내부공간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3텐션바(122C)를 회전 또는 이동시켜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3텐션바(122C)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3텐션바(122C) 및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ㄷ자텐션부(123C2)의 너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은, 상기 외측면을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내부공간에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봉제부(555) 일부를 걷어내려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3텐션바(122C) 및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을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봉제부(555) 일부를 펼쳐 원래 모양으로 복원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4실시예로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4수직바(121D),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지는 제4텐션바(122D),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C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4텐션바(122D)의 외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C자걸림부(123D1)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4수직바(121D)를 관통하되 일단은 상기 C자걸림부(123D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4수직바(121D)로부터 관통 돌출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너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4텐션바(122D)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C자텐션부(123D2)를 포함하며 상기 제4수직바(121D)의 중간에 구비되는 C자걸이(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수직바(121D)는, 상기 제4텐션바(122D)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되어,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제4텐션바(122D)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텐션바(122D)는, 상기 대상물(5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봉제부(555)로부터 돌출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4실시예에 의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를 이용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은, 상기 제4텐션바(122D)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 상기 C자걸림부(123D1)에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 상기 제4텐션바(122D)를 끼우는 단계; 상기 C자텐션부(123D2)의 너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5실시예로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5수직바(121E),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지는 제5텐션바(122E),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5수직바(121E)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헤드는 상기 제5수직바(121E)로부터 돌출되고 끝단은 상기 제5텐션바(122E)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5텐션바(122E)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텐션볼트(123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5수직바(121E)는, 상기 제5텐션바(122E)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되어,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제5텐션바(122E)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텐션바(122E)는, 상기 텐션볼트(123E)를 관통시키는 구멍 형태의 텐션바관통공(122E1) 및 상기 텐션볼트(123E)를 관통시키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텐션바너트공(122E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5실시예에 의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를 이용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은, 상기 제5텐션바(122E)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 상기 텐션볼트(123E)를 상기 제5수직바(121E) 및 상기 봉제부(555)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5텐션바(122E)에 끼우는 단계; 상기 텐션볼트(123E)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10)의 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평바(111)는,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절단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절단된 부분에 길이조절바(113)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수평바(111) 및 상기 길이조절바(113)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수평바(111)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수직바(112)는, 상기 고정지지부(110)의 외측을 향해 미리 결정된 곡률을 가지고 완만하게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양, 현수막 등과 같은 시트 형태로 되어 있는 대상물을 고정하되, 시트형 대상물을 팽팽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시야에 시트형 대상물 이외의 불필요한 구조물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따라서 특히 현수막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조물의 노출로 인한 문제, 즉 현수막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미관을 해쳐 불쾌한 느낌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결과적으로 현수막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전달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주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형 대상물이 평면을 형성하도록 팽팽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불필요한 구동장치 등이 사용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부품 개수를 최소화함에 따라 장치 제작 및 설치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현수막 고정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의 정면도 및 후면도.
도 3은 고정지지부의 길이조절구조.
도 4는 고정지지부의 텐션보강구조.
도 5는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의 후면도.
도 6은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7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의 후면도.
도 8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9는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후면도.
도 10은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
도 13은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조립방법의 다른 실시예.
도 14는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의 후면도.
도 15는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
도 16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후면도.
도 17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
도 18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
도 19은 텐션인가부 제3, 4실시예의 수직바의 여러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의 정면도 및 후면도.
도 3은 고정지지부의 길이조절구조.
도 4는 고정지지부의 텐션보강구조.
도 5는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의 후면도.
도 6은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7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의 후면도.
도 8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9는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후면도.
도 10은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
도 13은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조립방법의 다른 실시예.
도 14는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의 후면도.
도 15는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
도 16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후면도.
도 17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
도 18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
도 19은 텐션인가부 제3, 4실시예의 수직바의 여러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는, 종래의 현수막 고정장치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시트 형태의 대상물(500)의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현수막 고정장치의 기능이 단지 현수막을 고정하는 것뿐이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현수막 뿐 아니라 차양 등과 같이 다앵한 시트 형태의 대상물(500)을 고정하는데 두루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정면도를, 도 2(B)는 후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는, 고정지지부(110) 및 텐션인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지지부(110)는, 한 쌍의 수평바(111) 및 한 쌍의 수직바(112)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바(111) 및 상기 수직바(112)의 결합에 의해 ㅁ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는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수직바(112)는 상기 수평바(111)의 양측 끝단 사이에 개재 결합되어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 때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바(111)가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을 잡아 고정하면서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 쌍의 상기 수직바(112) 사이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11)가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형태적인 특징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상물(5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12)에 걸쳐 벤딩되어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끝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상물(500)의 양측 끝단이 상기 고정지지부(110)의 양측 끝단을 둘러서 덮어주고,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시키거나 텐션을 인가하는 여러 구조물들은 상기 대상물(500)에 의해 가려지는 후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500)을 설치하였을 때, 전면에서 볼 때에는 관찰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상기 대상물(500) 이외의 구조물은 상기 수평바(111) 정도가 된다. 상기 대상물(500)이 특히 현수막인 경우에, 종래의 경우 현수막의 양옆으로 현수막 고정을 위한 기둥이나 끈 매듭 등이 지저분하게 노출됨으로써, 현수막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미관을 해쳐 불쾌한 느낌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수막 고정을 위한 구조물이 현수막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구조로 되며, 전면에서 바라보는 사용자 시야에는 거의 온전히 현수막만이 들어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미관상 불쾌감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뿐 아니라, 관찰자의 주의를 집중시켜 줌으로써 현수막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전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지지부(110) 및 상기 텐션인가부(120) 각각의 여러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2] 고정지지부의 여러 실시예
도 3은 고정지지부의 길이조절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는, 상기 대상물(500)(예를 들어 현수막, 차양 등)의 양측 끝단을 장치 옆쪽으로 둘러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반드시 장치 자체의 길이가 상기 대상물(500)(예를 들어 현수막)보다 짧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현수막이나 차양 등의 길이가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자체의 길이를 조절해 줄 수 있는 길이조절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의 길이조절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11)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절단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절단된 부분에 길이조절바(113)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수평바(111) 및 상기 길이조절바(113)의 결합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평바(11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111) 및 상기 길이조절바(113)의 결합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결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길이조절구조가 도입될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도 더 얻을 수 있다. 길이조절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고정지지부(110)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의뢰가 들어오면 그 때마다 새로이 상기 고정지지부(110)를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길이조절구조가 도입될 경우, 상기 대상물(500) 길이나 설치될 공간 등에 장치의 규격을 미리 맞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고정지지부(110)를 미리 대량으로 제작해 놓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시공 기간을 훨씬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물은 대개 수 m 이상으로 상당히 대형으로서 이러한 대형 구조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처럼 길이조절구조가 도입될 경우 운송 시에는 길이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운송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운송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도 4는 고정지지부의 텐션보강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현수막 고정장치에서 특히 아일렛을 이용하여 현수막을 고정하는 경우, 도 1(A)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일렛이 형성된 모서리들은 끈으로 당겨져 팽팽하게 형성되는 반면 아일렛들 사이의 가운데 부분은 텐션이 약해져서 팽팽하지 않고 안쪽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도 아일렛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대상물(500)을 상기 수직바(112)에 걸쳐 둘러주기 때문에 아일렛들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서의 텐션 저하 문제를 어느 정도는 피할 수 있겠으나 완전히 극복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을 보강해 줄 수 있는 텐션보강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의 텐션보강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12)가 상기 고정지지부(110)의 외측을 향해 미리 결정된 곡률을 가지고 완만하게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바(112)가 외측 방향으로 완만하게 벤딩됨으로써, 상기 수직바(112)의 가운데 부분이 돌출된다. 이처럼 상기 수직바(112)의 가운데 부분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수직바(112)에 걸쳐진 상기 대상물(500)은 가운데 부분이 좀더 당겨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직바(112)가 돌출되는 영역은 아일렛들 사이의 부분이 덜 당겨지는 영역과 일치한다. 즉 상기 수직바(112)의 형상을 통해 아일렛들 사이의 덜 당겨지는 부분에서의 텐션을 원활하게 보강해 줄 수 있게 된다.
[3] 텐션인가부의 여러 실시예
도 1(A) 및 도 1(B)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에 현수막을 고정하기 위하여 아일렛 방식을 이용하기도 하고, 텐션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에서도, 아일렛 방식 또는 텐션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500)이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아일렛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에 복수 개의 아일렛(550)이 형성되어 상기 아일렛(550)을 통해 상기 대상물(500)이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텐션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이 접혀 봉제됨으로써 봉제부(555)가 형성되며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 텐션바가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대상물-텐션인가부 간 연결방식이 아일렛 방식인지, 텐션바 방식인지에 따라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구성이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1, 2, 3, 4, 5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이 때 제1, 2실시예는 대상물-텐션인가부 간 연결방식이 아일렛 방식인 경우이며, 제3, 4, 5실시예는 대상물-텐션인가부 간 연결방식이 텐션바 방식인 경우이다.
3-1. 텐션인가부의 제1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과 아일렛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5는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제1수직바(121A), 제1텐션부(12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바(121A)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수직바(121A)를 상기 수평바(111)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면, 그 결합 구조는 용접, 볼트 결합 등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제1텐션부(122A)는,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아일렛(5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직바(121A)에 결합된다. 상기 제1텐션부(122A)가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텐션부(122A)는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하면서 텐션을 인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텐션부(122A)는, 턴버클, 스프링, 끈, 케이블타이 등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면서 텐션을 인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떤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텐션부(122A)가 끈일 경우, 끈의 일단은 상기 아일렛(550)에 꿰어서 묶어주고 타단은 상기 제1수직바(121A)를 둘러서 당김으로써, 수평 방향의 길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끈을 당긴 상태에서 끈의 타단을 상기 제1수직바(121A)에 묶어줌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의 고정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1텐션부(122A)의 일단에 상기 아일렛(550)을 연결하여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한다. 아직 텐션을 주기 전이므로 상기 대상물(500)은 이 시점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슨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1텐션부(122A)의 길이를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의 양쪽 끝단을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의 안쪽으로 당겨 준다. 즉 상기 제1텐션부(122A)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6(B)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500)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에 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3-2. 텐션인가부의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과 아일렛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7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제2수직바(121B), 제2텐션부(122B), 대상고정수단(123B)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바(121B)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양단이 결합된다. 제1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수직바(121A)는 상기 제1텐션부(122A)가 텐션을 인가할 때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평바(111)와 고정 결합되지만,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수직바(121B)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제2텐션부(122B)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바(121B)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는 상기 제2수직바(121B)로부터 돌출되고 끝단은 상기 수직바(112)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텐션부(122B)의 끝단은, 상기 수직바(112)에 지지되기 때문에 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볼트 형태로 된 상기 제2텐션부(122B)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제2텐션부(122B)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수직바(121B)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텐션부(122B)는, 볼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2수직바(121B)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앞서 상기 제2수직바(121B) 및 상기 제2텐션부(122B)는 나사 결합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 때 상기 제2수직바(121B)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텐션부(122B)가 상기 제2수직바(121B)를 관통하는 구멍은 2개가 된다. 이 때 2개의 구멍이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겠지만, 상기 제2텐션부(122B)의 볼트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2수직바(121B)가 원활하게 이동되기 위해서는, 2개의 구멍 중 1개만 나사산이 형성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직바(121B)에 형성된 2개의 구멍은, 상기 제2텐션부(122B)를 관통시키는 구멍 형태의 수직바관통공(121B1) 및 상기 제2텐션부(122B)를 관통시키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바너트공(121B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내측에 상기 수직바관통공(121B1)이, 외측에 상기 수직바너트공(121B2)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서로 바뀌어 형성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상기 대상고정수단(123B)은, 일단이 상기 아일렛(5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바(121B)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한다. 상기 대상고정수단(123B)은, 끈, 케이블타이, 스테이플러 등과 같이 단지 상기 제2수직바(121B)와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적으로 연결해 주기만 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떤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8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대상고정수단(123B)의 일단에 상기 아일렛(550)을 연결하여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한다. 역시 아직 텐션을 주기 전이므로 상기 대상물(500)은 이 시점에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슨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텐션부(122B)를 조여서 상기 제2수직부(121B)를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의 안쪽으로 당겨 준다. 즉 상기 제2텐션부(122B)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8(B)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500)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에 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에 비해 약간 부품의 개수가 많아지지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상기 아일렛(550) 별로 텐션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어 상기 대상물(500)의 팽팽함이 위치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일부 있다. 그러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대상물(500) 끝단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텐션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대상물(500)이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팽팽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3-3. 텐션인가부의 제3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과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9는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제3수직바(121C), 제3텐션바(122C), ㄷ자걸이(123C)를 포함한다. 도 10은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3수직바(121C)는, 앞서 제1실시예의 상기 제1수직바(121A)와 유사하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3수직바(121C)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ㄷ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단면 형상의 차이에 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3텐션바(122C)는, 일반적인 텐션바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3텐션바(122C)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을 가지되, 양측 끝단에 서로 동일면에 배치되며 끝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포켓(P) 또는 한 쌍의 슬릿(S)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은 이하 설명될 상기 ㄷ자걸이(123C)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ㄷ자걸이(123C)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걸림부(123C1) 및 ㄷ자텐션부(123C2)를 포함하며, 한 쌍이 상기 제3수직바(121C)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된다.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ㄷ자걸림부(123C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측면 및 외측면,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내측면에 상기 ㄷ자텐션부(123C2)가 연결되고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ㄷ자걸림부(123C1)가 상기 제3텐션바(122C)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포켓(P)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폭(d)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d≥)되거나, 상기 슬릿(S)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두께(t)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t≥)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ㄷ자텐션부(123C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수직바(121C)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ㄷ자걸림부(123C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3수직바(121C)로부터 관통 돌출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ㄷ자텐션부(123C2)의 타단에 결합된 너트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ㄷ자텐션부(123C2)의 일단에 결합된 상기 ㄷ자걸림부(123C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ㄷ자텐션부(123C2)는 너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3텐션바(122C)에 상기 포켓(P)이 형성되는 경우의 조립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은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의 조립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3텐션바(122C)에 상기 슬릿(S)이 형성되는 경우의 조립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포켓(P) 및 상기 슬릿(S)의 조립 원리는 서로 동일하되 단지 조립 방향만이 달라지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도 11 및 도 12를 통해 상기 포켓(P)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상기 슬릿(S)이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달라지는 경우 도 13을 참조하여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운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 상기 봉제부(555)는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이 바깥쪽으로 보이도록 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지 봉제선이 잘 보이도록 편의상 이와 같이 도시한 것일 뿐으로, 상기 봉제부(555)가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이 안쪽으로 가려지도록 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555) 일부를 걷어내려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을 노출시킨다. 이 때 도 11 및 도 12에서는 상기 제3텐션바(122C)가 상기 대상물(5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짧게 형성되어 전체가 상기 봉제부(555) 내에 완전히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포켓(P)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봉제부(555)를 걷어내리는 단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제3텐션바(122C)가 상기 대상물(5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면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의 상기 외측면의 폭 부분 또는 두께 부분을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측면을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내부공간에 배치시킨다. 상기 제3텐션바(122C)에 상기 포켓(P)이 형성되는 경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외측면의 폭 부분을 상기 포켓(P)을 통해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3텐션바(122C)에 상기 슬릿(S)이 형성되는 경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외측면의 두께 부분을 상기 슬릿(S)을 통해 통과시킬 수 있다. 앞서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포켓(P)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폭(d)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d≥)되거나, 상기 슬릿(S)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두께(t)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t≥)되도록 함으로써, 이처럼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의 상기 외측면의 폭 부분 또는 두께 부분을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을 통해 통과시키기가 보다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를 회전 또는 이동시켜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3텐션바(122C)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3텐션바(122C) 및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3텐션바(122C)에 상기 포켓(P)이 형성되는 경우,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를 회전시켜서 상기 포켓(P)이 형성되지 않은 면이 상기 ㄷ자걸림부(123C1)를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3텐션바(122C)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텐션바(122C)는, 90도, 180도, 270도 중 선택되는 어느 각도로 회전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제3텐션바(122C)에 상기 슬릿(S)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포켓(P)이 형성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를 회전시켜도 된다. 또는, 도 13(B)의 점선 원 안에 따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해도 된다. 즉 상기 슬릿(S)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텐션바(122C)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상기 ㄷ자걸림부(123C1) 및 상기 제3텐션바(122C)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555) 일부를 펼쳐 원래 모양으로 복원시킨다. 앞서 도 11(B)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텐션바(122C)가 상기 대상물(5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면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텐션부(123C2)의 너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텐션부(123C2)의 너트를 조이면 상기 ㄷ자텐션부(123C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물(500)이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3-4. 텐션인가부의 제4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과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4는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제4수직바(121D), 제4텐션바(122D), C자걸이(123D)를 포함한다. 도 15는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4수직바(121D)는, 앞서 제1실시예의 상기 제1수직바(121A) 및 제3실시예의 상기 제3수직바(121C)와 유사하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4수직바(121D)는 역시 제3수직바(121C)와 마찬가지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ㄷ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단면 형상의 차이에 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4텐션바(122D)는, 앞서 제3실시예의 상기 제3텐션바(122C)와 유사하게, 일반적인 텐션바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4텐션바(122D)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C자걸이(123D)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걸림부(123D1) 및 C자텐션부(123D2)를 포함하며, 단일 개가 상기 제4수직바(121D)의 중간에 구비된다.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C자걸림부(123D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C자 형태로 형성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텐션바(122D)의 외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텐션바(122D)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C자걸림부(123D1)는 원형 일부가 제거된 형태 즉 C자 단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C자걸림부(123D1)가 상기 제4텐션바(122D)를 단단히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C자걸림부(123D1)의 내경이 상기 제4텐션바(122D)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자텐션부(123D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4수직바(121D)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C자걸림부(123D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4수직바(121D)로부터 관통 돌출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앞서 제3실시예의 상기 ㄷ자텐션부(123C2)와 유사하게, 상기 C자텐션부(123D2)의 타단에 결합된 너트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C자텐션부(123D2)의 일단에 결합된 상기 C자걸림부(123D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C자텐션부(123D2)는 너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4텐션바(122D)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4실시예의 조립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4텐션바(122D)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운다. 이 과정은 도 11(A)에 도시된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C자걸림부(123D1)에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 상기 제4텐션바(122D)를 끼운다. 앞서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포켓(P)이나 상기 슬릿(S)을 상기 ㄷ자걸이(123C)에 걸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봉제부(555)가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을 덮느냐 마느냐에 따른 여러 고려할 사항이 있었다. 그러나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C자걸이(123D)는 상기 제4텐션바(122D)의 중간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4텐션바(122D)의 끝단이 상기 봉제부(555) 밖으로 나오는지의 여부를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제4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4텐션바(122D)가 상기 대상물(5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봉제부(555)로부터 돌출가능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제4텐션바(122D)가 상기 대상물(500)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안정적인 텐션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C자텐션부(123D2)의 너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한다. 앞서 제3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C자텐션부(123D2)의 너트를 조이면 상기 C자텐션부(123D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물(500)이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3-5. 텐션인가부의 제5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텐션인가부(120)의 제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과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6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의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제5수직바(121E), 제5텐션바(122E), 텐션볼트(123E)를 포함한다. 도 17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각부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5수직바(121E)는, 앞서 제1실시예의 상기 제1수직바(121A) 및 제3실시예의 상기 제3수직바(121C)와 유사하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5수직바(121E)는 역시 제3수직바(121C)와 마찬가지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ㄷ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단면 형상의 차이에 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5텐션바(122E)는, 앞서 제3실시예의 상기 제3텐션바(122C)와 유사하게, 일반적인 텐션바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다. 도 17(B)에서는 상기 제5텐션바(122E)가 사각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원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는 등 도면으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텐션볼트(123E)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5수직바(121E)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는 상기 제5수직바(121E)로부터 돌출되고 끝단은 상기 제5텐션바(122E)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텐션볼트(123E)는, 상기 제5텐션바(122E)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따라서 볼트 형태로 된 상기 텐션볼트(123E)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제5텐션바(122E)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텐션볼트(123E)는, 볼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5텐션바(122E)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앞서 상기 텐션볼트(123E) 및 상기 제5텐션바(122E)는 나사 결합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 때 상기 제5텐션바(122E)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텐션볼트(123E)가 상기 제5텐션바(122E)를 관통하는 구멍은 2개가 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구멍이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겠지만, 상기 텐션볼트(123E)의 볼트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5텐션바(122E)가 원활하게 이동되기 위해서는, 2개의 구멍 중 1개만 나사산이 형성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5텐션바(122E)에 형성된 2개의 구멍은, 상기 텐션볼트(123E)를 관통시키는 구멍 형태의 텐션바관통공(122E1) 및 상기 텐션볼트(123E)를 관통시키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텐션바너트공(122E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텐션볼트(123E)가 상기 제5텐션바(122E)를 완전히 관통할 수도 있고 또는 일부만 관통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텐션볼트(123E)가 끼워지거나 끼워지지 않을 수 있는 내측에 상기 텐션바관통공(121E1)이, 항상 상기 텐션볼트(123E)가 항상 끼워지게 되는 외측에 상기 텐션바너트공(121E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로서, 도 18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조립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5텐션바(122E)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운다. 이 과정은 도 11(A)에 도시된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텐션볼트(123E)를 상기 제5수직바(121E) 및 상기 봉제부(555)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5텐션바(122E)에 끼운다. 이 과정에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555)에 상기 텐션볼트(123E)가 관통하기 위한 구멍을 뚫어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텐션볼트(123E)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한다. 앞서 제3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텐션볼트(123E)를 조이면 상기 제5텐션바(122E)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물(500)이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3-6. 텐션인가부 수직바의 여러 실시예
도 19는 텐션인가부 제3, 4, 5실시예의 수직바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도 10(A), 도 15(A), 도 17(A) 에서, 상기 제3수직바(121C), 상기 제4수직바(122D), 제5수직바(122E)가 ㅁ자 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ㄷ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ㄷ자 단면을 가진다는 것을 좀더 일반화해서 설명하자면, 상기 제3수직바(121C), 상기 제4수직바(122D), 제5수직바(122E)가, 상기 제3텐션바(122C), 상기 제4텐션바(122D), 제5텐션바(123E)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도 19은 예시적으로 제4실시예를 사용하여 도시하였으나, 이후의 설명은 모두 제3, 5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수직바(121D)가 ㅁ자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C자텐션부(123D2)의 너트를 조여 상기 C자걸림부(123D1)를 당겨주는 과정에서, 상기 C자걸림부(123D1)가 상기 제4수직바(122D)의 외면에 닿으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제4텐션바(122D)의 이동가능 범위가 상기 제4수직바(122D)의 외면까지로 제한되는 것이다.
반면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수직바(121D)가 ㄷ자 단면을 가지는 경우, 즉 상기 제4수직바(121D)의 상기 제4텐션바(122D)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된 경우,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제4텐션바(122D)가 삽입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C자걸림부(123D1)의 직경이 상기 제4수직바(121D)의 함몰된 공간의 내측 크기보다 작다면, 상기 C자걸림부(123D1)가 상기 상기 제4텐션바(122D)를 끼워 잡은 채로 상기 제4수직바(121D)의 함몰된 공간 내측까지 이동해 들어갈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제4텐션바(122D)의 이동가능 범위가 상기 제4수직바(122D)의 내면까지까지 크게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9(B)에서와 같이 상기 제4수직바(121D)가 함몰된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대상물(500)에 보다 원활하고 강력하게 텐션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110 : 고정지지부 111 : 수평바
112 : 수직바 113 : 길이조절바
120 : 텐션인가부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
121A : 제1수직바 122A : 제1텐션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
121B : 제2수직바 122B : 제2텐션부
121B1 : 수직바관통공 121B2 : 수직바너트공
123B : 대상고정수단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
121C : 제3수직바 122C : 제3텐션바
123C : ㄷ자걸이
123C1 : ㄷ자걸림부 123C2 : ㄷ자텐션부
P : 포켓 S : 슬릿
d : (ㄷ자걸림부 외측면의) 폭
t : (ㄷ자걸림부 외측면의) 두께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
121D : 제4수직바 122D : 제4텐션바
123D : ㅁ자걸이
123D1 : ㅁ자걸림부 123D2 : ㅁ자텐션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
121E : 제5수직바 122E : 제5텐션바
123E : 텐션볼트
122E1 : 텐션바관통공 122E2 : 텐션바너트공
500 : 대상물
550 : 아일렛 555 : 봉제부
110 : 고정지지부 111 : 수평바
112 : 수직바 113 : 길이조절바
120 : 텐션인가부
[텐션인가부 제1실시예]
121A : 제1수직바 122A : 제1텐션부
[텐션인가부 제2실시예]
121B : 제2수직바 122B : 제2텐션부
121B1 : 수직바관통공 121B2 : 수직바너트공
123B : 대상고정수단
[텐션인가부 제3실시예]
121C : 제3수직바 122C : 제3텐션바
123C : ㄷ자걸이
123C1 : ㄷ자걸림부 123C2 : ㄷ자텐션부
P : 포켓 S : 슬릿
d : (ㄷ자걸림부 외측면의) 폭
t : (ㄷ자걸림부 외측면의) 두께
[텐션인가부 제4실시예]
121D : 제4수직바 122D : 제4텐션바
123D : ㅁ자걸이
123D1 : ㅁ자걸림부 123D2 : ㅁ자텐션부
[텐션인가부 제5실시예]
121E : 제5수직바 122E : 제5텐션바
123E : 텐션볼트
122E1 : 텐션바관통공 122E2 : 텐션바너트공
500 : 대상물
550 : 아일렛 555 : 봉제부
Claims (23)
-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시트 형태의 대상물(500)의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대상물(50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111) 및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의 양측 끝단 사이에 개재 결합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112)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111) 및 상기 수직바(112)의 결합에 의해 ㅁ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10);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을 잡아 고정하면서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며, 한 쌍의 상기 수직바(112) 사이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텐션인가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500)은 상기 수직바(112)에 걸쳐 벤딩되어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끝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는,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에 복수 개의 아일렛(550)이 형성되어 상기 아일렛(550)을 통해 상기 대상물(500)이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아일렛 방식이거나,
상기 대상물(500)의 끝단이 접혀 봉제됨으로써 봉제부(555)가 형성되며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 텐션바가 상기 텐션인가부(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텐션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아일렛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1수직바(121A),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아일렛(5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직바(121A)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하면서 텐션을 인가하는 제1텐션부(122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션부(122A)는,
턴버클, 스프링, 끈, 케이블타이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아일렛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양단이 결합되는 제2수직바(121B),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바(121B)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헤드는 상기 제2수직바(121B)로부터 돌출되고 끝단은 상기 수직바(112)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볼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2수직바(121B)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제2텐션부(122B),
일단이 상기 아일렛(5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바(121B)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500)을 고정하는 대상고정수단(123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바(121B)는,
상기 제2텐션부(122B)를 관통시키는 구멍 형태의 수직바관통공(121B1) 및
상기 제2텐션부(122B)를 관통시키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바너트공(121B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3수직바(121C),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각 단면을 가지되 양측 끝단에 서로 동일면에 배치되며 끝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포켓(P) 또는 한 쌍의 슬릿(S)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지는 제3텐션바(122C),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ㄷ자걸림부(123C1)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수직바(121C)를 관통하되 일단은 상기 ㄷ자걸림부(123C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3수직바(121C)로부터 관통 돌출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너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ㄷ자텐션부(123C2)를 포함하며 상기 제3수직바(121C)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ㄷ자걸이(12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걸림부(123C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측면 및 외측면,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면에 상기 ㄷ자텐션부(123C2)가 연결되고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텐션바(122C)는,
상기 포켓(P)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거나,
상기 슬릿(S)의 폭이 상기 외측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직바(121C)는,
상기 제3텐션바(122C)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되어,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제3텐션바(122C)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텐션바(122C)는,
상기 대상물(5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짧게 형성되어 전체가 상기 봉제부(555) 내에 완전히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7항에 의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를 이용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텐션바(122C)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의 상기 외측면의 폭 부분 또는 두께 부분을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측면을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내부공간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3텐션바(122C)를 회전 또는 이동시켜 상기 외측면이 상기 제3텐션바(122C)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3텐션바(122C) 및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ㄷ자텐션부(123C2)의 너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은,
상기 외측면을 상기 제3텐션바(122C)의 내부공간에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봉제부(555) 일부를 걷어내려 상기 포켓(P) 또는 상기 슬릿(S)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3텐션바(122C) 및 상기 ㄷ자걸림부(123C1)을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봉제부(555) 일부를 펼쳐 원래 모양으로 복원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4수직바(121D),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지는 제4텐션바(122D),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C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4텐션바(122D)의 외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C자걸림부(123D1)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4수직바(121D)를 관통하되 일단은 상기 C자걸림부(123D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4수직바(121D)로부터 관통 돌출되어 너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너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4텐션바(122D)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C자텐션부(123D2)를 포함하며 상기 제4수직바(121D)의 중간에 구비되는 C자걸이(123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직바(121D)는,
상기 제4텐션바(122D)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되어,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제4텐션바(122D)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텐션바(122D)는,
상기 대상물(5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봉제부(555)로부터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4항에 의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를 이용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텐션바(122D)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
상기 C자걸림부(123D1)에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진 상기 제4텐션바(122D)를 끼우는 단계;
상기 C자텐션부(123D2)의 너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인가부(120)는,
상기 대상물(500)이 텐션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수평바(111) 사이에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5수직바(121E),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봉제부(555)에 끼워지는 제5텐션바(122E),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5수직바(121E)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헤드는 상기 제5수직바(121E)로부터 돌출되고 끝단은 상기 제5텐션바(122E)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5텐션바(122E)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텐션볼트(123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5수직바(121E)는,
상기 제5텐션바(122E)가 결합되는 쪽 측면이 함몰되어,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제5텐션바(122E)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5텐션바(122E)는,
상기 텐션볼트(123E)를 관통시키는 구멍 형태의 텐션바관통공(122E1) 및
상기 텐션볼트(123E)를 관통시키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텐션바너트공(122E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8항에 의한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100)를 이용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텐션바(122E)를 상기 봉제부(555)에 끼우는 단계;
상기 텐션볼트(123E)를 상기 제5수직바(121E) 및 상기 봉제부(555)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5텐션바(122E)에 끼우는 단계;
상기 텐션볼트(123E)를 조임으로써 상기 대상물(500)에 텐션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11)는,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절단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절단된 부분에 길이조절바(113)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수평바(111) 및 상기 길이조절바(113)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수평바(111)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12)는,
상기 고정지지부(110)의 외측을 향해 미리 결정된 곡률을 가지고 완만하게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934A KR20200134838A (ko) | 2019-05-24 | 2019-05-24 |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934A KR20200134838A (ko) | 2019-05-24 | 2019-05-24 |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4838A true KR20200134838A (ko) | 2020-12-02 |
Family
ID=7379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0934A KR20200134838A (ko) | 2019-05-24 | 2019-05-24 |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3483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95049A (zh) * | 2022-07-27 | 2022-09-23 | 佛山市粤驰建工科技有限公司 | 一种侧墙组件及其安装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0000B1 (ko) | 2015-09-09 | 2017-06-22 | 김동국 | 현수막 게시대 |
KR101764090B1 (ko) | 2017-03-06 | 2017-08-01 | 전정숭 | 자동 승강식 현수막 게시장치 |
-
2019
- 2019-05-24 KR KR1020190060934A patent/KR20200134838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0000B1 (ko) | 2015-09-09 | 2017-06-22 | 김동국 | 현수막 게시대 |
KR101764090B1 (ko) | 2017-03-06 | 2017-08-01 | 전정숭 | 자동 승강식 현수막 게시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95049A (zh) * | 2022-07-27 | 2022-09-23 | 佛山市粤驰建工科技有限公司 | 一种侧墙组件及其安装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27565B2 (en) | Fence wrapping assembly and a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 |
US3960161A (en) | Portable structure | |
US4674213A (en) | Extruded aluminum sign frame section | |
WO1993008554A1 (fr) | Panneau de visualisation | |
US8893417B2 (en) | Panel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display an advertising panel | |
NO892013L (no) | Strekkmonteringssystem og sammenstilling. | |
US4922988A (en) | Tension mounting system and assembly | |
US8595966B2 (en) | Sign assembly | |
US20090265972A1 (en) | Sheet holders | |
KR20200134838A (ko) | 시트형 대상물 고정장치 | |
GB2397056A (en) | Collapsible storage device | |
US20020112387A1 (en) | Display sign mounting system | |
JP2006215074A (ja) | シート状物の展張構造 | |
KR20120066482A (ko) | 현수막 게시 장치 | |
US11862044B1 (en) | Flag display apparatus | |
AU2002363485B2 (en) | Display device | |
US5448863A (en) | Covered wall unit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11100821B1 (en) | Retractable banner | |
CA2753566A1 (en) | Panel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display an advertising panel | |
KR200181497Y1 (ko) | 현수막 걸이장치 | |
JP3656999B2 (ja) | 電飾広告塔の帆布製表示パネル | |
JP2003248450A (ja) | 帯状布張設装置及び引張具 | |
JPH0720790A (ja) | 立て看板 | |
JP3989829B2 (ja) | スクリーンパネル | |
JPH09252655A (ja) | シートハウスにおけるシート張設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