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045B1 -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045B1
KR101805045B1 KR1020150180383A KR20150180383A KR101805045B1 KR 101805045 B1 KR101805045 B1 KR 101805045B1 KR 1020150180383 A KR1020150180383 A KR 1020150180383A KR 20150180383 A KR20150180383 A KR 20150180383A KR 101805045 B1 KR101805045 B1 KR 101805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ire
motor
fix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039A (ko
Inventor
유인술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테크 filed Critical (주)드림테크
Priority to KR102015018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09F11/22Electric control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세로로 설치되는 현수막의 자동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수막상단과 하단을 각각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과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에 연견한 후,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을 건물 외벽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하는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의 고정수단에 걸어서 고정한 상태에서 조작패널(36) 또는 무선 컨트롤러로써 모터(33)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하면,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는 모터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현수막(1)을 전개한다. 그리고나서, 현수막(1)의 좌우측 선단을 와이어(44L,44R)로써 횡방향으로 당겨서 현수막(1)을 좌우 횡방향으로 전개하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 제어부는 현수막에 작용하게 되는 풍속과 현수막의 자중에 따라 변화하는 토오크를 토오크 센서(S2)로부터 수신하여 그 수신되는 토오크에 따라 모터(3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현수막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APPARATUS OF PUTTING UP A VERTICAL PLACARD ON THE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세로 현수막을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상하 높이방향으로 게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종 행사 등을 안내하거나 업체를 홍보하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현수막 게시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수막 게시대는 통상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게시된 내용을 홍보 내지 안내한다. 이러한 도로 설치형 현수막 게시대는 통상 1쌍의 지주대 사이에 현수막을 횡방향으로 전개하여 고정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소위 '대형 세로 현수막'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대형 세로 현수막은 길이방향 한쪽 선단은 건물의 상단에 걸어서 고정하고, 나머지 한쪽의 선단은 건물 상부(예컨대 옥상)에서 아래쪽으로 낙하시킨 후 건물의 하단에서 줄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재래의 현수막 설치방식에 의하면, 현수막을 설치 및 철거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힘이 들며, 현수막을 설치한 후에는 현수막이 횡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되지 않아서 바람의 영향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갑자기 강풍이 부는 기상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철거하기 어려워여 강풍에 현수막이 파손되거나 현수막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줄이 파단되면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KR 10-0806027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대형 세로 현수막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거나 해체하기가 편리하고, 대형 현수막을 상하 길이방향과 횡방향으로 일정한 수준의 장력으로 전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현수막이 건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현수막의 자중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현수막을 지지하는 와이어들의 장력에 일정 수준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와이어들의 장력을 일정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는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현수막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현수막 게시장치이고,
상기 현수막 게시장치는,
현수막상단을 횡방향으로 전개하여 지지하는 현수막상단 지지수단;
현수막하단을 횡방향으로 전개하여 지지하는 현수막하단 지지수단;
현수막하단 지지수단을 건물 외벽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하는 현수막하단 지지수단의 고정수단;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감속기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상에 동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와이어 권취용 보빈과,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을 상기 와이어 권취용 보빈에 연결하여 권취용 보빈의 회전에 의해 권취용 보빈에 감기거나 권취용 보빈에서 풀리면서 현수막상단 지지수단을 승강시켜 현수막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와이어로 이루어진 현수막 승강기구; 및
상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현수막의 횡방향 좌우측 선단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횡방향 외측으로 당겨서 현수막을 횡방향으로 전개시켜 고정하는 횡방향 전개수단; 및
상기 모터를 유선으로 연결된 조작패널의 신호 또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제어부는 풍속 증감에 대응하여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하여 현수막의 장력을 풍속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풍속 감지센서; 및 상기 풍속 감지센서에서 검출한 풍속과 현수막 자중에 의한 모터의 현재 부하(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토오크 센서에서 검출한 모터의 현재 토오크를 수신하여, 모터의 현재 토오크가 설정범위의 하한을 초과한 후 제1상한에 도달하는 경우에 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검출한 현재 토오크가 상기 제1상한보다 일정한 크기만큼 더 큰 제2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현재 토오크가 상기 설정범위 이내로 감소하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켜 현수막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는, 상기 횡방향 전개수단이, 현수막의 좌측 선단 및 우측 선단을 각각 현수막의 횡방향 외측으로 당겨주기 위한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과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은 현수막의 좌측 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좌측 와이어와,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의 좌측 선단에서 현수막의 좌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좌측 와이어의 상단을 고정하는 좌측 와이어 상단 고정부재와, 상기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의 좌측 선단에서 현수막의 좌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좌측 와이어의 하단을 당길 수 있도록 고정한 좌측 와이어 하단 인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은 현수막의 우측 선단을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우측 와이어와,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의 우측 선단에서 현수막의 우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우측 와이어의 상단을 고정하는 우측 와이어 상단 고정부재와, 상기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의 우측 선단에서 현수막의 우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우측 와이어의 하단을 당길 수 있도록 고정한 우측 와이어 하단 고정수단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현수막하단 지지수단의 고정수단은 사용할 경우에는 건물 외벽에서 전방으로 전개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건물 외벽쪽으로 후퇴가능하도록 건물 외벽에 접철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현수막하단 지지수단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의 자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후퇴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은 현수막 승강기구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승강 와이어의 하단에 연결된 상부 지지바와, 상기 상부 지지바에 지지브라켓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수막의 상단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현수막 상단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는 상기 현수막 승강기구를 덮어서 보호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건물 외벽에 고정설치되며, 승강하는 현수막 승강기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단은 개방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 부근에서 현수막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현수막 상측 지지수단과 하측 지지수단에 고정한 후, 모터를 작동시켜 현수막 상측 지지수단 및 그에 지지된 현수막 상단을 건물의 상단까지 끌어올림으로써 현수막이 전개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짧은 시간에 현수막의 전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현수막 승강기구의 모터를 지상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어 현수막 승강 조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현수막의 하중과 현수막에 작용하는 풍속에 대응하는 모터의 부하(토오크)를 감지하여 모터의 부하가 일정한 설정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 모터 제어부가 모터를 역회전시켜 장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반면에 모터의 부하가 일정한 설정 범위의 하한 이하로 감소한 경우에는 모터를 정회전시켜 장력을 일정 수준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설치된 현수막을 항상 일정한 수준의 장력으로 유지시키므로, 현수막이 느슨하게 되지 않고 항상 팽팽하게 전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수막이 건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수막이 건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 및 "D"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모터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현수막(1)을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상하 높이방향으로 게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현수막(1)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세로 현수막이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단 고정부와 하단 고정부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은 횡방향 좌측(정면에서 볼 때 좌측, 이하 '좌측'이라 한다) 선단과 횡방향 우측(정면에서 볼 때 우측, 이하 '우측'이라 한다)의 선단에 각각 와이어(41L,41R)가 관통하는 와이어 포켓(7L,7R)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41L,41R)는 각각의 와이어 포켓(7L,7R)안에 삽입된 상태에서 재봉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의 상단 고정부(3)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 건물(B)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브라켓(9)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설치되고, 상기 현수막의 하단 고정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20); 상기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과 상기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에 지지된 현수막(10)의 상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현수막 승강기구(30); 및 상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현수막(1)의 좌우측 선단을 현수막의 횡방향 외측으로 인장하여 현수막(1)을 횡방향(폭방향)으로 전개하는 현수막 횡방향 전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현수막 횡방향 전개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의 좌측 선단을 좌측으로 인장하는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40L)과 현수막의 우측 선단을 우측으로 인장하는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40R)을 포함한다.
상기 현수막 승강기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31)으로 지지되어 고정설치된 구동축(32)과, 상기 구동축(32)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축(32)의 일단에 감속기를 통하여 연결된 모터(33)와, 상기 구동축(32) 상에 고정되어 구동축(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승강와이어 권취용 보빈(34)과, 일단은 상기 승강와이어 권취용 보빈(3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승강와이어 권취용 보빈(34)에 감기거나 보빈(34)에서 풀려나면서 상기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와이어(3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현수막 승강기구(30)는 건물 상단에 구비된 커버(51)로 덮여 보호된다.
상기 모터(33)는 유선으로 연결된 조작패널(36)의 조작신호와 무선 컨트롤러(37)의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와이어(35)의 하단에 연결된 상부 지지바(11)와, 상기 상부 지지바(11)에 지지브라켓(13)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수막(1)의 상단 고정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현수막 상단 고정봉(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 고정봉(12)은 현수막(1)의 상단을 외주면에 감을 수 있도록 회전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한 위치로 상승하였을 때, 건물(B)의 외벽에 고정설치된 케이싱(52) 내부로 진입하여 보관된다. 상기 케이싱(52)은 아래쪽에 위치한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바닥이 개방되어 있어야 하고, 상부 덮개판에는 승강와이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B)의 외측 벽면에 구비된 현수막하단 지지수단의 고정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20)은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과 마찬가지로, 현수막하단 지지수단의 고정수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지지바(21)와, 상기 하부 지지바(21)에 지지브라켓(23)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현수막(1)의 하단 고정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현수막 하단 권취봉(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 권취봉(22)은 회전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회전하면서 현수막(1)의 하단을 외주면에 감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현수막 하단 권취봉(22)은 현수막(1)의 하단 고정부를 연결하여 브라켓(9)에 고정되므로, 상기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10)이 현수막 승강기구(30)에 의해 최상단 위치까지 상승함에 따라 현수막(1)은 상하방향으로 팽팽하게 전개되고, 또한 회전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현수막(1)의 하단을 외주면에 권취하여 현수막의 하단을 전개방향으로 더욱 팽팽하게 인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현수막하단 지지수단의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건물 외벽에 접철식으로 구비되는 브라켓(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9)은 상기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9)의 자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후퇴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현수막 승강기구(30)의 작동에 의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현수막(1)의 좌우측 선단을 각각 현수막의 횡방향 외측으로 당겨서 현수막을 횡방향으로 팽팽하게 전개하는 현수막 횡방향 전개수단을 포함한다. 이 현수막 횡방향 전개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의 좌측 선단 및 우측 선단을 각각 현수막의 횡방향 외측으로 당겨주기 위한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40L)과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40R)로 구성된다.
상기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40L)은 도 2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의 좌측 선단에 구비된 좌측 와이어 포켓(7L)을 관통하여 상,하단이 각각 상기 좌측 와이어 포켓(7L)의 상,하단 외측으로 연장된 좌측 와이어(41L)와, 상기 상부 지지바(11)의 좌측 선단에 현수막의 좌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회전수단(도시생략)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상기 좌측 와이어(41L)의 상측 선단을 권취함으로써 좌측 와이어(41L)를 상측으로 인장하는 좌측 와이어 상단 고정부재(43L)과, 상기 하부 지지바(21)의 좌측 선단에 현수막의 좌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회전수단(도시생략)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상기 좌측 와이어(41L)의 하단을 권취함으로써 좌측 와이어(41L)의 하단을 현수막의 하측 방향으로 인장하는 좌측 와이어 하단 고정수단(42L)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40R)은 도 2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의 우측 선단에 구비된 우측 와이어 포켓(7R)을 관통하게 삽입되어 상하단이 각각 우측 와이어 포켓(7R)의 상하측 외부로 연장되게 구비된 우측 와이어(41R)와, 상기 상부 지지바(11)의 우측 선단에 현수막의 우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우측 와이어(41R)의 상단을 권취하여 고정하는 우측 와이어 상단 고정부재(43R)과, 상기 하부 지지바(21)의 좌측 선단에 현수막의 좌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회전수단(도시생략)의 회전에 의해 축회전하면서 외주면에 상기 좌측 와이어(41L)의 하측 선단을 권취하면서 인장하는 좌측 와이어 하단 고정수단(42L)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40L)과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40R)로 구성된 현수막 횡방향 전개수단은, 현수막(1)을 현수막 승강기구(30)에 의해 상하방향의 일정한 장력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좌,우측 와이어(41L,41R)를 각각 좌,우측 와이어 하단 고정수단(42L, 42R)으로 인장하면, 좌,우측 와이어(42L,42R)에 작용하는 장력의 수평방향 분력이 각각 현수막(1)의 좌,우측 선단에 작용하여 현수막(1)을 좌우측으로 인장하여 전개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의 자중과 풍속에 따라 상기 모터(33)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60)를 구비한다. 현수막의 자중과 풍속에 따른 모터(33)의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 제어부(60)는 상기 토오크 센서(S2)에서 검출한 모터(33)의 현재 토오크(Ti)를 수신하여, 모터(33)의 현재 토오크(Ti)가 설정범위의 하한(T1)을 초과한 후 제1상한(T2)에 도달하는 경우에 모터(33)를 정지시키고, 상기 검출한 현재 토오크(Ti)가 상기 제1상한(T2)보다 일정한 값만큼 더 큰 제2상한(T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현재 토오크(Ti)가 상기 설정범위 이내로 감소하도록 상기 모터(33)를 역회전시켜 현수막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게 된다.
1: 현수막 7L: 현수막 좌측 선단
7R: 현수막 우측 선단 9: 브라켓
10: 현수막 상단 지지수단 11: 상부 지지바
12: 상단 고정봉 13: 지지브라켓
20: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 21: 하부 지지바
22: 하단 권취봉 30: 현수막 승강기구
31: 베어링 32: 구동축
33: 모터 34: 승강와이어 권취용 보빈
35: 승강와이어 36: 조작패널
37: 무선 컨트롤러 40L, 40R: 현수막 좌,우측 전개수단
41L, 41R: 좌, 우측 와이어 42L, 42R: 좌, 우측 와이어 하단 고정수단
43L, 43R: 좌, 우측 와이어 상단 고정부재
51: 커버 52: 케이싱
60: 모터 제어부 S1: 풍속 감지센서
S2: 토오크 센서

Claims (7)

  1. 풍속변화에 대응하여 현수막(1)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건물 외벽 설치용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이고,
    상기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는,
    현수막상단을 횡방향으로 전개하여 지지하는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
    현수막하단을 횡방향으로 전개하여 지지하는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을 건물 외벽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하는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의 고정수단;
    정역회전하는 모터(33)와, 상기 모터(33)에 감속기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축(32)과, 상기 구동축(32)상에 동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와이어 권취용 보빈(34)과,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을 상기 와이어 권취용 보빈(34)에 연결하여 상기 보빈(34)의 회전에 의해 권취용 보빈(34)에 감기거나 권취용 보빈(34)에서 풀리면서 현수막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와이어(35)로 이루어진 현수막 승강기구;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과 상기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에 각각 상하 선단이 지지되어 상기 현수막 승강기구(30)에 의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현수막(10)의 횡방향 좌우측 선단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횡방향 외측으로 당겨서 현수막(1)을 횡방향으로 전개시켜 고정하는 횡방향 전개수단; 및
    상기 모터(33)를 유선으로 연결된 조작패널(36)의 신호 또는 무선 컨트롤러(37)의 무선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제어부(60)는 풍속 증감에 대응하여 모터(3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현수막(1)의 장력을 풍속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풍속 감지센서(S1); 및
    상기 풍속 감지센서(S1)에서 검출한 풍속과 현수막 자중에 의한 모터(33)의 현재 토오크(Ti)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S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제어부(60)는 상기 토오크 센서(S2)에서 검출한 모터(33)의 현재 토오크(Ti)를 수신하여, 모터(33)의 현재 토오크(Ti)가 설정범위의 하한(T1)을 초과한 후 제1상한(T2)에 도달하는 경우에 모터(33)를 정지시키고, 상기 검출한 현재 토오크(Ti)가 상기 제1상한(T2)보다 일정한 값만큼 더 큰 제2상한(T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현재 토오크(Ti)가 상기 설정범위 이내로 감소하도록 상기 모터(33)를 역회전시켜 현수막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전개수단은, 현수막의 좌측 선단 및 우측 선단을 각각 현수막의 횡방향 외측으로 당겨주기 위한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40L)과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40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좌측 전개수단(40L)은
    현수막(1)의 좌측 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좌측 와이어(41L)와,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의 좌측 선단에서 현수막의 좌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좌측 와이어(41L)의 상단을 고정하는 좌측 와이어 상단 고정부재(43L)와, 상기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20)의 좌측 선단에서 현수막의 좌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좌측 와이어(41L)의 하단을 당길 수 있도록 고정한 좌측 와이어 하단 인장부재(42L)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막 우측 전개수단(40R)은
    현수막(1)의 우측 선단을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우측 와이어(41R)와, 상기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의 우측 선단에서 현수막의 우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우측 와이어(41R)의 상단을 고정하는 우측 와이어 상단 고정부재(43R)와, 상기 현수막 하단 지지수단(20)의 우측 선단에서 현수막(1)의 우측 선단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우측 와이어(41R)의 하단을 당길 수 있도록 고정한 우측 와이어 하단 고정수단(42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의 고정수단은 건물 외벽에 접철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현수막하단 지지수단(20)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 브라켓(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9)의 자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후퇴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현수막상단 지지수단(10)은 현수막 승강기구(30)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승강 와이어(35)의 하단에 연결된 상부 지지바(11)와, 상기 상부 지지바(11)에 지지브라켓(13)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수막(1)의 상단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현수막 상단 고정봉(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승강기구(30)를 덮어서 보호하는 커버(5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51)는 건물 외벽(B)에 고정설치되며, 승강하는 현수막 승강기구(30)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단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자동 게시장치.
KR1020150180383A 2015-12-16 2015-12-16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KR10180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83A KR101805045B1 (ko) 2015-12-16 2015-12-16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83A KR101805045B1 (ko) 2015-12-16 2015-12-16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39A KR20170072039A (ko) 2017-06-26
KR101805045B1 true KR101805045B1 (ko) 2017-12-06

Family

ID=5928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383A KR101805045B1 (ko) 2015-12-16 2015-12-16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40Y1 (ko) * 2017-07-19 2019-08-28 (주)드림테크 안내판 걸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660Y1 (ko) 2002-01-14 2002-04-26 조영채 스크린
KR100805583B1 (ko) 2007-03-06 2008-02-20 남광희 현수막을 이용한 풍력 발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660Y1 (ko) 2002-01-14 2002-04-26 조영채 스크린
KR100805583B1 (ko) 2007-03-06 2008-02-20 남광희 현수막을 이용한 풍력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39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452034T3 (en) Winding device for covering wall openings or windows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KR101805045B1 (ko)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KR102155502B1 (ko)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장치
CN107833543A (zh) 一种升降式广告牌立柱
JP5343635B2 (ja) 電動昇降ボード装置
KR20100133810A (ko) 와이어를 이용한 무인 항공기의 착륙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150115180A (ko)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KR200475149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130000407U (ko) 지브 크레인
GB2578119A (en) Position sensing device for sensing an upper limit position and a lower limit position of a hoisting line
KR101055452B1 (ko) 국기 게양장치
CN106193974B (zh) 百叶窗的升降装置
JP3499459B2 (ja) 電動ブラインド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20130058376A (ko) 기 및 기 게양장치
JP2006149717A (ja) 舞台幕折上げ昇降装置
CN115029902B (zh) 一种晾衣架
KR20160011403A (ko) 전동식 교통신호장치와 롤 타입의 교통신호기
JP200824756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体落下防止装置およびスタッカクレーン
KR20180001137U (ko) 지퍼를 이용한 원단 안내 및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된 전동식 롤 드랍 어닝
KR100997257B1 (ko)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KR102419997B1 (ko) 현수막 설치장치
JP3637339B2 (ja) ゲ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