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180A -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180A
KR20150115180A KR1020140039799A KR20140039799A KR20150115180A KR 20150115180 A KR20150115180 A KR 20150115180A KR 1020140039799 A KR1020140039799 A KR 1020140039799A KR 20140039799 A KR20140039799 A KR 20140039799A KR 20150115180 A KR20150115180 A KR 2015011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eight
air
vehicle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백
Original Assignee
(주) 미라클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라클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 미라클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14003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180A/ko
Publication of KR2015011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행중인 운전자가 높이 제한 표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야와 비슷한 수준의 높이까지 높이 제한 표시를 하강시켜 펼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제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만 높이 제한 표시를 하강시키고 그 이외에는 다시 상승시키며, 이때 신속한 승하강이 가능하면서도 높이 제한 표시가 온전히 펼쳐지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Informing apparatus for restricting passing heigh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행중인 운전자가 높이 제한 표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야와 비슷한 수준의 높이까지 높이 제한 표시를 하강시켜 펼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제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만 높이 제한 표시를 하강시키고 그 이외에는 다시 상승시키며, 이때 신속한 승하강이 가능하면서도 높이 제한 표시가 온전히 펼쳐지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대형차량의 높이 및 무게를 감지하는 장치가 설치되는데, 차량 높이의 제한 장치는 교량의 진입부나, 지하도 또는 터널의 진입부 그리고 고속도로의 요금소의 진입부 등에 설치되어 과적차량에 의한 교량, 지하도, 터널, 고속도로 등의 시설물 파손을 방지하고 차량의 안전한 통행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높이 제한 장치는 시설물의 진입로 근처의 도로 좌, 우측에 고정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 구조물에 높이 제한 바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높이 제한에 걸린 것을 알려주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a)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 구조물(11)을 설치하고, 고정 구조물(11)의 상부에 높이 제한 바(12)를 설치한다. 높이 제한 바(12)에는 표시판(13)을 설치한다. 따라서, 도 1의 (b)와 같이 높이 제한 차량(V)이 진입할 때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경우에는 도 1의 (c)와 같이 운전자의 시선이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높이 제한 바(12) 및 그에 설치된 표시판(13)을 보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운전자는 운전에 집중하기 위해 바로 앞 지면, 도로 외관선 및 차선 등과 같이 약간 하측을 바라보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2의 (a)와 같이 높이 제한 바(12)의 하부에 당해 높이 제한 바(12)로부터 일정 길이 하측으로 연장된 표시판(13a)을 설치하거나, 도 2의 (b)와 같이 하측으로 분사되는 물을 이용한 분사커튼에 높이 제한 표시 영상(13b)을 투사한다.
그러나, 도 2의 (a)의 경우에는 차량(혹은, 적재물)이 높이 제한 표시판에 부딧혀 운행에 불편을 주고, 도 2의 (b)의 경우에는 물을 이용하여 커튼(즉, 스크린)을 형성하고 거기에 레이저 영상을 투사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겨울에는 물이 어는 문제가 있다.
그 이외에 한국등록특허 제10-0711961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53305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150769호 등에서 다양한 방식의 차량 높이 제한 장치를 제안하고 있지만, 이들 역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운행중인 운전자가 높이 제한 표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야와 비슷한 수준의 높이까지 높이 제한 표시를 하강시켜 펼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제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만 높이 제한 표시를 하강시키고 그 이외에는 다시 상승시키며, 이때 신속한 승하강이 가능하면서도 높이 제한 표시가 온전히 펼쳐지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는 설치대와; 상단부가 상기 설치대에 고정되고, 차량이 진입하는 정면에 진입 제한 표시가 있으며, 제한 차량 진입시에는 상기 설치대로부터 하측으로 펼쳐지고, 제한 차량이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측으로 접혀 올라가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하측으로 펼쳐질 때는 상기 스크린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상기 스크린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스크린이 상측으로 접혀 올라갈 때는 연결되어 스크린을 상승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대는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며 차량이 통과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높이 제한 바(bar)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높이 제한 바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천(fabric)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에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측에 배치된 스크린을 덮는 덮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하강 구동장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회전축을 통해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된 종동 풀리와; 상기 전동 모터와 구동 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 모터와 구동 풀리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스크린이 상승하는 경우 및 상승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 모터와 구동 풀리 사이를 연결하는 클러치; 및 일단은 상기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복수개의 승하강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린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공기 튜브 및 상기 공기 튜브의 개방된 상단부에 연결된 공기 주입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 주입기는 상기 스크린이 하강하여 펼쳐지는 때에는 상기 공기 튜브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스크린이 접혀 상승하는 때에는 상기 공기 튜브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튜브는 상기 스크린의 일부분을 튜브 형상으로 제조하여 상기 스크린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주입기는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블로워 및 일단은 상기 블로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튜브에 연결된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운행중인 운전자가 높이 제한 표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야와 비슷한 수준의 높이까지 스크린(높이 제한 표지)을 하강시켜 펼친다. 따라서, 운전 중에도 운전자가 쉽게 주의를 기울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제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만 스크린을 하강시키고 그 이외에는 다시 상승시키며, 이때 공기 튜브에 의해 신속한 승하강이 가능하면서도 스크린이 온전히 펼쳐진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높이 제한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의 스크링 하강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의 스크린 상승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는 각 구성이 설치되는 설치대(110), 높이 제한 표시가 있는 스크린(120) 및 스크린(12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130)를 포함한다.
또한, 스크린(120)이 하강하여 펼쳐질 때 조속히 펼쳐짐과 동시에 주름이나 접힘이 없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돕는 공기 튜브(140) 및 상기 공기 튜브(14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기(150)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대(110)는 본 발명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지지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교량 진입부, 지하도 또는 터널의 진입부 및 고속도로의 요금소의 진입부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전한 통행을 유도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설치대(110)는 각종 도로설비의 진입부 직상부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고, 그 구조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터널 진입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터널 입구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터널 입구 자체가 설치대(110)가 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설치대(110)가 진입부로부터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되고, 그 구조는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며 차량이 통과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지주(111) 및 상기 지주(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높이 제한 바(bar)(112)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었다.
스크린(120)은 차량의 통과 높이 제한 표시가 되어 있는 것으로 높이 제한 표시는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인 스크린(120)의 정면에 'STOP'이라는 문자를 직접 프린트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영상표출장치로 스크린(120)에 영상을 표출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스크린(120)은 그 상단부가 설치대(11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제한 차량 진입시에는 설치대(110)로부터 하측으로 펼쳐지고, 제한 차량이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측으로 접혀 올라간다.
만약 설치대(110)가 지주(111) 및 높이 제한 바(112)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스크린(120)은 높이 제한 바(112)에 설치되며, 하측으로 펼쳐지거나 상측으로 접혀 올라가기 쉽도록 그 재질은 천(fabric)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 방법으로서, 스크린(120)의 상단부가 가로 방향으로 긴 설치 로드(R)에 고정되고, 설치 로드(R)는 높이 제한 바(112)에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B)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스크린(120)은 설치 로드(R)를 통해 높이 제한 바(112)에 설치된다.
또한, 스크린(120)의 하단부에 스토퍼(121)를 설치하되, 스토퍼(121)는 상측에 배치된 스크린(120)을 덮는 덮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스토퍼(121)는 스크린(12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스크린(120)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고, 전방측 돌출부는 차량과 접촉시 걸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굽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스크린(120)이 접히면서 상승된 경우 스토퍼(121)가 말아 올려진 스크린(12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스토퍼(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120)이 최고점까지 상승한 경우 이를 감지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승하강 구동장치(130)는 스크린(120)의 승하강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120)이 하측으로 펼쳐질 때는 스크린(12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스크린(120)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스크린(120)이 상측으로 접혀 올라갈 때는 연결되어 스크린(120)을 상승시킨다.
이를 위해, 승하강 구동장치(130)는 일 예로 설치대(110)의 높이 제한 바(112)에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B)에 설치되며, 전동 모터(131), 구동 풀리(132), 종동 풀리(133), 클러치(134) 및 승하강 와이어(W)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B)에 기타 필요한 다른 구성들을 설치하는 구조물로도 사용된다.
전동 모터(13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된다. 구동 풀리(132)는 전동 모터(131)에 의해 회전하고, 종동 풀리(133)는 구동 풀리(132)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구동 풀리(132)는 전동 모터(131)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종동 풀리(133)는 회전축을 통해 구동 풀리(132)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동 모터(131)의 작동에 의해 구동 풀리(132)와 종동 풀리(133)가 함께 회전된다.
클러치(134)는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에 설치된다. 클러치(134)는 스크린(12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스크린(120)이 상승하는 경우 및 상승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경우에는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클러치(134) 그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클러치(134)의 좌우 이동에 의해 클러치(134)의 일면에 형성된 치차와 구동 풀리(132)의 일면에 형성된 치차가 서로 결합하거나 해제되는 등의 방식이 사용된다. 보통은 클러치(134)가 구동 풀리(132) 측으로 이동하면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클러치(134)를 해제하여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 구동 풀리(132) 및 그에 연결된 종동 풀리(133)가 자유운동 상태가 되므로, 승하강 와이어(W)를 통해 풀리(132, 133)에 연결된 스크린(120)이 일정 길이 자유낙하한다. 즉, 하측으로 하강하여 펼쳐지게 된다.
반면, 클러치(134)를 연결하여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가 서로 결합되면, 전동 모터(131)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구동 풀리(132) 및 종동 풀리(133)도 함께 회전하고, 그에 따라 승하강 와이어(W)에 의해 스크린(120)이 상승한다. 나아가, 상승한 후 대기상태에서는 클러치(134)가 결합되어 있어서 스크린(120)의 자유낙하가 방지된다.
승하강 와이어(W)는 스크린(120)을 잡아당겨 끌어올리는 것으로, 일단은 구동 풀리(132) 및 종동 풀리(133)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은 스크린(120)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어서, 구동 풀리(132)와 종동 풀리(1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린(120)이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구동 풀리(132)와 종동 풀리(133)의 외주면에는 각각 와이어 감김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승하강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고, 스크린(120)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와이어 링 홀(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과하여 승하강 와이어(W)가 스크린(12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와이어 링 홀(122)은 천 재질의 스크린(120)에 재봉질을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승하강 와이어(W)는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 구동 풀리(132)에 연결된 것과 종동 풀리(133)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여 2개이며, 이들 2개의 승하강 와이어(W)가 스크린(12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스크린(120) 전체를 균일하게 끌어올린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120)이 하강할 때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오직 스크린(120)의 자중에 의해서만 자유낙하하는 경우에는 스크린(120)의 하강 속도가 느리다.
뿐만 아니라, 스크린(120)이 완전히 펼쳐지지 않을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바람 등 외부 환경에 의해 스크린(120)이 펄럭일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크린(120)에 고정된 공기 튜브(140) 및 상기 공기 튜브(14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기(150)를 더 포함한다.
공기 튜브(140)는 스크린(120)에 고정되며 스크린(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러한 공기 튜브(140) 역시 스크린(120) 전체에 고른 작용을 하도록 2개가 스크린(12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공기 주입기(150)는 공기 튜브(140)의 개방된 상단부에 연결된다. 공기 주입기(150)는 스크린(120)이 하강하여 펼쳐지는 때는 공기 튜브(14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반면, 스크린(120)이 접혀 상승하는 때는 공기 튜브(14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공기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되어 일자 형상으로 곧게 팽창되면 스크린(120)의 하강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스크린(120)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도우며, 공기의 압력에 의해 공기 튜브(140)가 일자 형상을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이 불어도 스크린(120)이 쉽게 펄럭이거나 접히지 않는다.
다만, 공기 튜브(140)는 팽창 및 수축이 잘되는 비닐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별도로 제작하고 이를 스크린(120)에 고정시킬 수 있지만, 가급적 스크린(120)의 일부분을 튜브 형상으로 제조하여 스크린(120)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크린(120)이 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천의 일부분을 이중으로 덧대어 튜브 형상을 만들고 접합 부분을 재봉질하거나 접착재로 접착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한다.
공기 주입기(150)는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블로워(151) 및 일단은 블로워(15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 튜브(140)에 연결된 공기 공급관(15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공급관(152)으로는 일 예로 주름관 에어덕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을 생략한 조명장치(160)는 야간에도 스크린(120)이 잘 보이게 하는 것으로, 발광부가 스크린(12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조명은 LED 전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밝기 센서나 타이머를 구비하여 해가 진 후 어두운 시간대에만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높이 제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높이 제한 표시(즉, 'STOP'문자)가 있는 스크린(120)을 하강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 높이 제한에 걸린다는 것을 알린다.
높이 제한 차량의 접근은 설치대(110)의 상부에 구비된 높이 제한 바(112)에 높이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검출하거나, 설치대(110)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별도로 높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그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된다.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높이감지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클러치(134)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결합이 해제되면 스크린(120)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펼쳐진다.
이때, 공기 주입기(150)의 블로워(151)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 공급관(152)(즉, 주름관 에어덕트)을 통해 공기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되고, 공기 튜브(140)가 팽창하면 더욱 빠른 속도로 스크린(120)이 완전히 펼쳐진다.
한편, 높이 제한 차량이 다른 길로 돌아가는 등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도 4와 같이 스크린(120)을 접어 상승시킨다. 이로써 높이 제한에 걸리지 않는 다른 차량들은 무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클러치(134)를 이동시켜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가 서로 결합되게 한 후, 전동 모터(131)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여 전동 모터(131)를 가동한다. 아울러, 블로워(151)를 위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전동 모터(131)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132)가 회전하고, 종동 풀리(133)는 구동 풀리(132)와 함께 회전한다. 공기 튜브(140) 내에 채워진 공기는 블로워(15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다음, 구동 풀리(132)와 종동 풀리(133)가 회전하면 그에 감겨 있는 승하강 와이어(W)가 잡아당겨지고, 하단부에 승하강 와이어(W)가 연결된 스크린(120)이 접히면서 상승되기 시작한다.
다음, 스크린(120)의 상승이 시작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전동 모터(131)의 회전수를 감지하거나, 혹은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해 일정 높이에서 스토퍼(121)가 감지되면 전동 모터(131)는 회전을 정지하고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대기상태에서는 클러치(134)가 구동 풀리(132)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크린(120)이 자유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스토퍼(121)가 스크린(120)의 하부를 덮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설치대 111: 지주
112: 높이 제한 바 120: 스크린
121: 스토퍼 122: 와이어 링 홀
130: 승하강 구동장치 131: 전동 모터
132: 구동 풀리 133: 종동 풀리
134: 클러치 W: 와이어
140: 공기 튜브 150: 공기 주입기
151: 블로워 152: 공기 공급관
160: 조명장치

Claims (8)

  1. 설치대(110)와;
    상단부가 상기 설치대(110)에 고정되고, 차량이 진입하는 정면에 진입 제한 표시가 있으며, 제한 차량 진입시에는 상기 설치대(110)로부터 하측으로 펼쳐지고, 제한 차량이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측으로 접혀 올라가는 스크린(120); 및
    상기 스크린(120)이 하측으로 펼쳐질 때는 상기 스크린(12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상기 스크린(120)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스크린(120)이 상측으로 접혀 올라갈 때는 연결되어 스크린(120)을 상승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110)는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며 차량이 통과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지주(111) 및 상기 한 쌍의 지주(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높이 제한 바(112)(bar)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120)은 상기 높이 제한 바(1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20)은 천(fabric)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20)의 하단부에 구비된 스토퍼(12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121)는 상측에 배치된 스크린(120)을 덮는 덮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장치(130)는,
    전동 모터(131)와;
    상기 전동 모터(13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132)와;
    회전축을 통해 상기 구동 풀리(132)에 연결된 종동 풀리(133)와;
    상기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12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스크린(120)이 상승하는 경우 및 상승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 모터(131)와 구동 풀리(132) 사이를 연결하는 클러치(134); 및
    일단은 상기 구동 풀리(132) 및 종동 풀리(133)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스크린(120)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복수개의 승하강 와이어(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20)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린(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공기 튜브(140) 및 상기 공기 튜브(140)의 개방된 상단부에 연결된 공기 주입기(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 주입기(150)는 상기 스크린(120)이 하강하여 펼쳐지는 때에는 상기 공기 튜브(14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스크린(120)이 접혀 상승하는 때에는 상기 공기 튜브(14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튜브(140)는 상기 스크린(120)의 일부분을 튜브 형상으로 제조하여 상기 스크린(120)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기(150)는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블로워(151) 및 일단은 상기 블로워(15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튜브(140)에 연결된 공기 공급관(1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KR1020140039799A 2014-04-03 2014-04-03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KR20150115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799A KR20150115180A (ko) 2014-04-03 2014-04-03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799A KR20150115180A (ko) 2014-04-03 2014-04-03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80A true KR20150115180A (ko) 2015-10-14

Family

ID=5435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799A KR20150115180A (ko) 2014-04-03 2014-04-03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1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583A (zh) * 2018-09-13 2018-12-21 广州建德机电有限公司 一种升降式道路禁行限高设备
CN112681180A (zh) * 2020-12-30 2021-04-20 安徽先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限高架
KR102535197B1 (ko) * 2022-07-05 2023-05-26 허지영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2537705B1 (ko) 2021-12-08 2023-05-26 박인자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583A (zh) * 2018-09-13 2018-12-21 广州建德机电有限公司 一种升降式道路禁行限高设备
CN112681180A (zh) * 2020-12-30 2021-04-20 安徽先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限高架
CN112681180B (zh) * 2020-12-30 2022-04-22 安徽先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限高架
KR102537705B1 (ko) 2021-12-08 2023-05-26 박인자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
KR102535197B1 (ko) * 2022-07-05 2023-05-26 허지영 터널진입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509B1 (ko) 터널진입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5180A (ko)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KR102248784B1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20130138969A (ko) 커튼식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1852385B1 (ko) 전동 그늘막 시스템
KR100782931B1 (ko) 횡단보도 안전차단장치
KR102245778B1 (ko)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KR20130095133A (ko)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1447991B1 (ko)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KR102270160B1 (ko) 접이식 발광표지판
KR100855906B1 (ko)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102101572B1 (ko) 싸인카 방향표시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1193373B1 (ko) 방향 안내장치를 미리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승하강장치
KR100740082B1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142973B1 (ko) 횡단보도용 그늘막
KR20140147635A (ko) 주차제어기 및 이에 의한 주차제어방법
KR200419117Y1 (ko) 안전 보행자 신호등
KR200300452Y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KR20160011403A (ko) 전동식 교통신호장치와 롤 타입의 교통신호기
KR20210110017A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38651B1 (ko) 도로 터널 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200469407Y1 (ko) 안전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