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07Y1 -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07Y1
KR200469407Y1 KR2020120002159U KR20120002159U KR200469407Y1 KR 200469407 Y1 KR200469407 Y1 KR 200469407Y1 KR 2020120002159 U KR2020120002159 U KR 2020120002159U KR 20120002159 U KR20120002159 U KR 20120002159U KR 200469407 Y1 KR200469407 Y1 KR 200469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actuator
body portion
inner sp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645U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2020120002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0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는 기둥형태로써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된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승하여 외부구조물의 천정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바디부 하측에 위치하며,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바디부 둘레에 형성되어,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바디부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펜스 하우징과, 상기 펜스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2단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펜스와, 상기 펜스의 앞·뒷면에 장착되어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물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엑츄에이터, 구동부, 디스플레이부 및 펜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안전펜스가 회전하여 도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광고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펜스{safety fence for street}
본 고안은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되도록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펜스는 도로와 보도를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도로 구조물로써, 주로 철재파이프 및 플라스틱을 혼용하여 직립된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종래의 도로용 안전펜스(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5877호)로부터 안전펜스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펜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펜스는, 상기 보도와 도로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되,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끼움부가 형성된 보호캡(110)을 구비한 파이프 형태의 지주(100)와, 아치형의 굴곡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의 최상부 외측면에 용접 결합되도록 단부에 오목한 접촉부가 구비된 아치부재(210)와, 상기 지주(100)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양측이 상기 지주(100)의 외측면에 용접 결합되도록 단부에 접촉부를 구비하고 내측에 중앙부재(230) 및 수직부재(240)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수평부재(220)와, 상기 수평부재(220)의 중심에 위치한 삽입홈에 삽입 결합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중앙에 무늬부(232)를 구비하는 중앙부재(230)와, 상기 지주(100)와 중앙부재(2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중앙부재(230)의 무늬부(232)에 대응되는 곡선부(242)를 구비하는 수직부재(240)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100) 사이에 설치하는 분리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 자체를 횡단하여 차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로를 가로지르는 다른 안전펜스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장치가 없기 때문에 보행자 및 차량 탑승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펜스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를 차단함으로써 다른 안전펜스 없이 도로를 차단할 수 있는 안전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고 기능을 구비하는 안전펜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둥형태로써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된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승하여 외부구조물의 천정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바디부 하측에 위치하며,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바디부 둘레에 형성되어,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바디부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펜스 하우징과, 상기 펜스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2단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펜스와, 상기 펜스의 앞·뒷면에 장착되어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물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엑츄에이터, 구동부, 디스플레이부 및 펜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정·역회전 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웜 기어와, 상기 바디부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웜 기어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웜 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펜스 하우징은 불투명 구간과 투명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투명 구간은 상기 펜스가 접혀졌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펜스를 수용하는 구간이며, 상기 투명구간은 상기 펜스가 펼쳐졌을 때, 펜스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스 하우징은 내부공간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펜스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펜스는 마찰 없이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안전펜스가 회전하여 도로를 차단함으로써 다른 안전펜스가 필요 없기 때문에 다른 안전펜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광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를 원하는 사람에게 펜스를 임대함으로써 임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도로용 안전펜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A-A'선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설치 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가 회전하여 길을 차단한 설치 상태도.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100)에 대한 기술적 구성과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은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2363호와 연결하여 사용된다. 또한 이와 비슷한 루프를 가지는 구조물에 설치되거나 또는 외부 구조물 없이도 설치가능하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A-A'선 단면사시도이다. 또한,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가 회전하여 길을 차단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100)는 기둥형태로써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200)와, 상기 바디부(200)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된 엑츄에이터(310)에 의해 상승하여 외부구조물(700)(이하, 구조물 또는 외부구조물)의 천정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300)와, 상기 바디부(200) 하측에 위치하며, 바디부(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0)와, 상기 바디부(200) 둘레에 형성되어, 바디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500)와, 상기 바디부(20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엑츄에이터(620)를 구비하는 펜스 하우징(600)과, 상기 펜스 하우징(6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2단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엑츄에이터(62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펜스(610)와, 상기 펜스(610)의 앞·뒷면에 장착되어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물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640)와, 상기 엑츄에이터(310, 620), 구동부(400), 디스플레이부(640) 및 펜스(61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0)는 바디부(200)에 내장된 엑츄에이터(310)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며, 그 재질이 고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300)가 상승하여 외부 구조물(700)의 천정에 밀착시, 미끄러짐 없이 밀착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바디부(20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기둥(510)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며, 하측은 지면과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200) 회전시, 상기 펜스 하우징(600)에 간섭될 수 있는 부분의 기둥(510)은 제거하여 상기 펜스 하우징(600)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행사 또는 집회를 위하여 도로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바디부(200)를 회전시켜 펜스(610)가 도로를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소정 크기의 박스로 밀폐되어 지면 아래에 매설되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명령에 따라 정·역회전 하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웜 기어(420)와, 상기 바디부(200)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웜 기어(4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디부(200)를 회전시키는 웜 휠(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펜스 하우징(600)은 불투명 구간과 투명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투명 구간은 상기 펜스가 접혀졌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펜스(610)를 수용하는 구간이며, 상기 투명구간은 상기 펜스(610)가 펼쳐졌을 때, 펜스(610)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구간이다.
더 상세하게는 주간에는 상기 펜스(610)를 불투명 구간에 보관하여 보행자는 도로를 차량 운전자는 보도를 상기 펜스 하우징(600)의 투명부분을 통하여 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펜스 하우징(600)의 불투명의 양면은 종이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야간에는 빛이 없기 때문에 펜스(610)를 펼쳐 상기 디스플레이부(640)를 구동함으로써, 광고를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640) 화면에서 발하는 빛을 통하여 도로와 보도의 조명역할을 한다.
또한 버스정류장에 설치시, 디스플레이부(640)에 버스의 도착 시각 등을 나타냄으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시민들에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펜스 하우징(600)은 무게 절감을 위하여 투명플라스틱과 불투명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투명부분을 유리를 혼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펜스 하우징(600)은 상기 펜스(610)의 이동시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레일(630)을 구비한다. 상기 레일(630)은 상기 펜스(610)의 수와 같은 수의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펜스 하우징(600)의 내부공간 하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펜스(610)는 마찰 없이 상기 레일(630)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개의 롤러(미도시)를 구비한다.
보통 상기 도로용 안전펜스(100)는 보도에 설치되기 때문에 보도와 도로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펜스 하우징(600)의 회전시, 도로와 소정의 간격으로 인하여 상기 펜스 하우징(600)이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펜스 하우징(600)은 하부에 평상시에는 내측으로 접혀 보관되며, 회전시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도로의 지면과 맞닿아 굴러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바퀴(미도시)를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센터(미도시)로부터 명령을 받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부(640)의 광고를 바꾸는 경우, 센터(미도시)에서 새로운 광고를 각각의 도로용 안전펜스(100)로 전송하면 제어부(미도시)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로부터 수신된 광고를 디스플레이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도로용 안전펜스
200 : 바디부
300 : 고정부 310 : 엑츄에이터
400 : 구동부 410 : 모터
420 : 웜 기어 430 : 웜 휠
500 : 지지부 510 : 기둥
600 : 펜스 하우징 610 : 펜스
620 : 엑츄에이터 630 : 레일
640 : 디스플레이부
700 : 구조물

Claims (5)

  1. 기둥형태로써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200)와;
    상기 바디부(200)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된 엑츄에이터(310)에 의해 상승하여 외부구조물의 천정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300)와;
    상기 바디부(200) 하측에 위치하며, 바디부(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0)와;
    상기 바디부(200) 둘레에 형성되어, 바디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500)와;
    상기 바디부(20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엑츄에이터(620)를 구비하는 펜스 하우징(600)과;
    상기 펜스 하우징(6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2단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엑츄에이터(62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펜스(610)와;
    상기 펜스(610)의 앞·뒷면에 장착되어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물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640)와;
    상기 엑츄에이터(310, 620), 구동부(400), 디스플레이부(640) 및 펜스(6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정·역회전 하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웜 기어(420)와;
    상기 바디부(200)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웜 기어(4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디부(200)를 회전시키는 웜 휠(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하우징(600)은
    불투명 구간과 투명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투명 구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접혀졌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펜스를 수용하는 구간이며, 상기 투명구간은 상기 펜스가 펼쳐졌을 때, 펜스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하우징(600)은
    내부공간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펜스(6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6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610)는
    마찰 없이 상기 레일(630)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KR2020120002159U 2012-03-19 2012-03-19 안전펜스 KR200469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59U KR200469407Y1 (ko) 2012-03-19 2012-03-19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59U KR200469407Y1 (ko) 2012-03-19 2012-03-19 안전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45U KR20130005645U (ko) 2013-09-27
KR200469407Y1 true KR200469407Y1 (ko) 2013-10-10

Family

ID=5073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59U KR200469407Y1 (ko) 2012-03-19 2012-03-19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704Y1 (ko) * 2018-04-27 2021-12-02 한석원 회전 이동 가능한 프레임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660B1 (ko) 2004-08-16 2006-07-13 (주)경도애드 광고기능을 갖는 장애인용 자동게이트
KR100782931B1 (ko) 2006-10-30 2007-12-07 손은익 횡단보도 안전차단장치
KR200452724Y1 (ko) 2010-08-23 2011-03-16 정춘식 개폐형 볼라드
KR101040769B1 (ko) 2008-10-23 2011-06-10 김중철 횡단보도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660B1 (ko) 2004-08-16 2006-07-13 (주)경도애드 광고기능을 갖는 장애인용 자동게이트
KR100782931B1 (ko) 2006-10-30 2007-12-07 손은익 횡단보도 안전차단장치
KR101040769B1 (ko) 2008-10-23 2011-06-10 김중철 횡단보도용 차단기
KR200452724Y1 (ko) 2010-08-23 2011-03-16 정춘식 개폐형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45U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70134Y (zh) 具有吸收冲击功能的柱状物用广告台
ES2337754B1 (es) Barrera publicitaria complementaria a mastiles de controles de acceso de vehiculos.
KR101852385B1 (ko) 전동 그늘막 시스템
KR102097062B1 (ko) 좌우 돌출형 광고판
KR100874675B1 (ko) 시선 유도용 야광 고무판이 구비된 도로 경계석
KR200469407Y1 (ko) 안전펜스
KR200452363Y1 (ko)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KR20040009767A (ko) 차량용 광고 장치
KR20130000173U (ko) 통합형 도로교통 시설물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1589944B1 (ko)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KR101253691B1 (ko) 조립식 교통섬
KR20130128831A (ko)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KR200390938Y1 (ko) 회전식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JP3208586U (ja) のぼり旗竿用支持具
KR102142973B1 (ko) 횡단보도용 그늘막
FR2908224A1 (fr) Mobilier routier equipe d'un panneau publicitaire et d'un radar de prevention permettant l'affichage de la vitesse des vehicules.
CN112049481A (zh) 一种基于标准化自行车的立体停放系统
CN103276677A (zh) 公路用边界动态反光标志
KR101073876B1 (ko) 중앙분리대용 횡단보도 보행자 표시장치
KR102057335B1 (ko) 스마트 안전휀스
KR200450354Y1 (ko) 자전거 도로용 가로등
JP6165704B2 (ja) 駐車位置誘導装置
KR200212588Y1 (ko) 자전거 주차대 겸용 가드레일
KR20140005480U (ko) 현금지급기를 결합한 버스쉘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