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363Y1 -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363Y1
KR200452363Y1 KR2020100011215U KR20100011215U KR200452363Y1 KR 200452363 Y1 KR200452363 Y1 KR 200452363Y1 KR 2020100011215 U KR2020100011215 U KR 2020100011215U KR 20100011215 U KR20100011215 U KR 20100011215U KR 200452363 Y1 KR200452363 Y1 KR 200452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ember
support
crosswalk
pedestrian
curtai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허재철
Original Assignee
허재철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철, 김윤호 filed Critical 허재철
Priority to KR2020100011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63Y1/ko
Priority to US13/200,516 priority patent/US894726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횡단보도 입구 중앙에 위치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제2 지지대; 상기의 지지대들의 상단측 부근의 양측부에 형성된 제1 스틸 부재/제2 스틸 부재; 상기의 제1 스틸 부재 및 제2 스틸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커텐 빔 조사 장치; 상기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이에 형성되는 광고 장치; 및 상기 커텐 빔 조사 장치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반대편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및 차량의 통과 여부를 촬영하는 무인 카메라을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에, 본 고안은 어린이 횡단 보도나 복잡한 도심속의 횡단 보도 등에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실현하게 된다.

Description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STRUCTURE FOR PEDESTRIAN CROSSING COMBINED WITH ADVERTISEMENT EFFECT AND PEDESTRIAN SAFETY}
본 고안은 횡단보도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 보도에는 보행자를 위한 신호등과 운전자를 위한 신호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행자용 신호등이 녹색불로 켜지고 운전자용 신호등이 빨간불로 켜질 경우, 보행자는 안전하게 횡단 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몇몇의 운전자는 운전자용 신호등이 빨간불로 켜지더라도 횡단보도 앞에서 차량을 멈추지 않고, 횡단 보도를 지나는 보행자가 없으면 무단으로 가로질러 통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럴 경우, 낮인 경우에는 횡단 보도를 지나는 보행자를 쉽게 확인이 가능하므로 무단으로 통과할 수 있더라도 사고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그나마 다행이지만, 야간 또는 눈/비가 내려 어두운 날씨 환경이 조성되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식별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이 결과로, 종래에는 야간이나, 눈/비가 내려 어두운 날씨인 경우에 횡단 보도에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앞의 횡단 보도나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횡단 보도에서는 야간에 사람을 식별하기란 쉽지 않아 신호를 무시하고 달리는 차량들이 많기 때문에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탈피하여 대중화된 광고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광고판은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빌딩, 버스 정류장 및 지하철과 같은 공공 장소에 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빌딩의 옥상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광고판의 경우에는 보행자의 시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설치되는 관계로 보행자에게 친근감 있게 광고 효과로서 접근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대안으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과 같은 장소에 광고판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의 광고판의 경우에는 보행자의 시각 안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어 빌딩 옥상에 설치된 광고판에 비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과 같은 장소에 광고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앞서 설명된 횡단 보도를 지나는 보행자용 광고판으로는 아직까지는 설치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횡단 보도에 광고판을 설치할만한 공간과 목적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행자의 녹색 신호 시 횡단 보도에 빛을 조사하여 차량의 진입 금지를 알려주고, 이를 수시로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야간 또는 눈/비가 내리는 경우의 횡단 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 특히 어린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구조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횡단 보도 입구에 대기하고 있는 보행자에게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구조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로서, 횡단보도 입구 중앙에 위치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태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단측 부근의 양측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측이 보행자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각각 뻗어 형성되는 제1 스틸 부재; 상기 제1 스틸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상기 제1 스틸 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스틸 부재; 및 상기 제1 스틸 부재 및 제2 스틸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진행 방향으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커텐 빔 조사 장치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은 상기 제1 스틸 부재와 제2 스틸 부재의 타단측 양끝단 상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상단 부근에 고정되는 고정 와이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와이어 부재는, 고정 와이어와, 상기 고정 와이어의 양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틸 부재와 제2 스틸 부재의 사이에는, 빛과 빗물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스틸 부재와 제2 스틸 부재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제1 스틸 부재와 제2 스틸 부재 사이에서 형성되는 강화 유리로 제조된 지붕 막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텐 빔 조사 장치는, 보행자 신호 및 조도 신호를 확인하여 각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한하여 상기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가 마주보는 일측에 양단이 고정되어, 내측에 광고용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광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장치는, 정지 형태의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때로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문자 정보 및 동영상 형태의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제1 스틸 부재 및 제2 스틸 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은 상기 커텐 빔 조사 장치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반대편인 상기 제1 스틸 부재 및 제2 스틸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및 차량의 통과 여부를 촬영하는 무인 카메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 가능한 커텐 빔 조사장치를 횡단보도 입구 내에서 구비함으로써,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에 의해 야간에도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를 식별하지 못하더라도 차량 운행을 방해하여 차량을 멈추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특히, 초등학교 앞에 있는 어린이용 횡단보도 또는 복잡한 도심속의 횡단 보도에서 그 효과를 극대활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보행자의 녹색 신호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이 조사된 경우에도 이를 무시하고 건너는 차량이 있는지를 감시하는 무인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레이저 또는 LED 커텐을 지나면 신호 위반 벌칙을 받는다는 인식을 고취시켜 교통 질서 및 안전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횡단 보도 입구에 커텐 빔 조사장치와 더불어 광고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횡단 보도에서 대기하고 있는 다수의 보행자에게 직접적인 광고 이미지를 와닿게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의 지붕 막(18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횡단보도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구조물(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은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구조물(100)로서, 제1 지지대(110), 제2 지지대(120), 제1 스틸 부재(130), 제2 스틸 부재(140), 커텐 빔 조사 장치(150), 광고 장치(160), 고정 와이어 부재(170) 및 무인 카메라(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지지대(110)는 횡단보도 입구 중앙에 위치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기둥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지면과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지면과의 고정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기둥보다 넓은 원형 형태의 받침부(111)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111)는 기둥의 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 지지대(110)의 하단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지지대(110)는 기후 변화의 극한 환경 속에서도 열 변형이 적고 녹슬지 않으며,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제2 지지대(120)는 제1 지지대(110)를 기점으로 하여 횡단보도의 진행 방향과 반대편에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앞서 설명된 제1 지지대(1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대(110)와 동일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지며, 기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지지대(120)도 제1 지지대(110)와 마찬가지로 밑면에 받침부(121)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제1 스틸 부재(130)는 제1 지지대(110)의 상단측 부근의 양측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측이 각각 보행자의 진행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제1 스틸 부재(130)는 일체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로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며, 두 개로 분리될 경우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볼트, 너트 및 육각 렌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131)에 의해 결합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스틸 부재(130)는 재질면에서 앞서 설명된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와 동일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스틸 부재(140)는 제1 스틸 부재(1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제2 스틸 부재(140)도 제1 스틸 부재(130)와 마찬가지로 두 개로 분리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커텐 빔 조사 장치(150)는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횡단 보도의 진행 방향으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1 스틸 부재(130) 및 제2 스틸 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지나는 방향에 따라 커텐 빔 조사 장치(15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결국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건널 경우 보행자가 진행하는 방향의 왼편측에 있는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커텐 빔 조사 장치(150)의 위치가 한정된 것이 아니며, 횡단 보도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 조사가 용이한 위치라면 제1 스틸 부재(130) 및 제2 스틸 부재(140)의 다른 위치에서도 설치 가능하다.
이러한 커텐 빔 조사 장치(150)는 보행자 신호등에서 발생되는 보행자 신호를 수신하는 보행자 신호 감지 모듈, 조도 센서로부터 조도 밝기를 측정한 결과인 조도 신호를 수신하는 조도 신호 감지 모듈, 상기 보행자 신호와 조도 신호를 제공받아 각 기설정된 범위와 비교하는 신호 비교 모듈 및 상기 신호 비교 모듈에서 비교한 결과로 모두 만족할 경우에 한하여 레이저 또는 LED 센서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빔 조사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는 보행자의 진행 여부와 상관없이 조사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보고 횡단 보도 앞에서 무조건 정지하게 됨으로써,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바인 보행자의 진행 여부와 상관없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커텐 빔 조사 장치(150)에 한정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레이저 커텐 빔이 아닌 광선 형태의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광고 장치(160)는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가 마주보는 일측에 양단이 고정되어, 내측에 광고용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광고 장치(160)는 정지 형태의 광고용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움직임을 갖는 형태의 광고용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광고 장치(160)는 광고용이 아닌 교통 정보와 관련한 실시간 문자 정보 및 동영상 형태의 이미지 정보를 외부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의 광고 장치(160)는 외부의 교통 정보 시스템(미도시)과 연동하여 상기 교통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의 교통 상황과 뉴스를 제공받아 실시간의 문자 형태 또는 이미지 형태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광고 장치(160)가 보행자 통행이 많은 도심 속 횡단 보도의 입구에 배치됨으로써, 횡단 보도를 지나는 보행자를 대상으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데 일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제1 지지대(110)의 양측에 광고 장치(160)가 고정될 수 있어 앞,뒤 보행자에게 광고를 보여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고정 와이어 부재(170)는 제1 지지대(110) 및 제2 지지대(120)에 고정된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흔들릴 수 있어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에서 발생되는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정 와이어 부재(17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즉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타단측 양끝단 부근 상단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의 상단 부근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고정 와이어 부재(170)는 고정 와이어(171)와, 상기 고정 와이어(171)의 양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바(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바(172)는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타단측 양끝단 상단부 및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의 상단에 각각 고정, 배치된다. 이때의 각 고정 바(172)는 고정 와이어를 인입하여 내부에서 고정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외부에서 고정 나사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고정 와이어와 결합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는 다르게 본 고안의 고정 와이어 부재(170)는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중간 지점 상단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의 상단 부근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중간 지점 상단부에 고정 바(17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 형태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무인 카메라(195)는 커텐 빔 조사 장치(15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반대편인 제1 스틸 부재(130) 및 제2 스틸 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및 차량의 통과 여부를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커텐 빔 조사 장치(150)가 제1 지지대(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스틸 부재(130)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될 경우,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1 지지대(1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제1 스틸 부재(130)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틸 부재(140)에서도 커텐 빔 조사 장치(150)의 위치에 따라 반대편의 제2 스틸 부재(1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의 무인 카메라(19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텐 빔 조사 장치(15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스틸 부재에 형성된 것으로서,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횡단보도를 향하여 감시할 수 있는 위치라고 하면 어느 위치에 설치되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이로써, 본 고안의 무인 카메라(195)는 보행자의 녹색 신호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이 횡단보도로 조사될 경우,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 조사를 무시하고 횡단보도를 지나는 차량을 감시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무인 카메라(195)는 보행자의 녹색 신호와 상관없이 24시간 동작되거나, 제한된 시간, 예컨대 야간, 어두운 날씨 등에 반응하여 동작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동작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나,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이 조사된 경우에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 외에, 본 고안의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은 지붕 막(18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의 지붕 막(18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을 상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의 지붕 막(180)은 빛과 빗물을 차단하도록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 사이에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지붕 막(180)은 춥고 더운 날씨 환경 속에도 재질상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강화 유리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 사이에는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다수 개의 스틸 보조 부재(190)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스틸 보조 부재(190)들의 양 끝단은 제1 스틸 부재(130)의 일측과 제2 스틸 부재(140)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형태를 이룬다.
아울러, 도 4에서는 제1 지지대(110)를 기점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제1 스틸 부재(130) 및 제2 지지대(120)를 기점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제2 스틸 부재(140)를 일례로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스틸 부재(130)의 우측 끝단에 커텐 빔 조사 장치(150)가 위치하고 있음을 일례로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횡단보도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구조물(10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횡단보도용 구조물(100)이 실제 횡단보도 상으로 레이로 커텐을 조사하고 있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횡단보도용 구조물 110 : 제1 지지대
120 : 제2 지지대 130 : 제1 스틸 부재
140 : 제2 스틸 부재 150 : 커텐 빔 조사 장치
160 : 광고 장치 170 : 고정 와이어 부재
180 : 지붕 막 190 : 스틸 보조 부재
195 : 무인 카메라

Claims (10)

  1.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100)로서,
    횡단보도 입구 중앙에 위치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110);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태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지지대(120);
    상기 제1 지지대(110)의 상단측 부근의 양측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측이 보행자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각각 뻗어 형성되는 제1 스틸 부재(130);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스틸 부재(140); 및
    상기 제1 스틸 부재(130) 및 제2 스틸 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진행 방향으로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커텐 빔 조사 장치(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타단측 양끝단 상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의 상단 부근에 고정되는 고정 와이어 부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와이어 부재(170)는,
    고정 와이어(171)와, 상기 고정 와이어(171)의 양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바(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사이에는,
    빛과 빗물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제1 스틸 부재(130)와 제2 스틸 부재(140) 사이에서 형성되는 강화 유리로 제조된 지붕 막(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텐 빔 조사 장치(150)는,
    보행자 신호 및 조도 신호를 확인하여 각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한하여 상기 레이저 또는 LED 커텐 빔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제2 지지대(120)가 마주보는 일측에 양단이 고정되어, 내측에 광고용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광고 장치(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장치(150)는,
    정지 형태의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장치(150)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문자 정보 및 동영상 형태의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110), 제2 지지대(120), 제1 스틸 부재(130) 및 제2 스틸 부재(140)는 스테인레스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텐 빔 조사 장치(15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반대편인 상기 제1 스틸 부재(130) 및 제2 스틸 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스틸 부재의 타단측 끝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및 차량의 통과 여부를 촬영하는 무인 카메라(19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횡단보도용 구조물.
KR2020100011215U 2010-10-01 2010-11-01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KR200452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215U KR200452363Y1 (ko) 2010-10-01 2010-11-01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US13/200,516 US8947264B2 (en) 2010-10-01 2011-09-23 Structure for crosswalk providing both advertising effect and pedestrian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71 2010-10-01
KR2020100011215U KR200452363Y1 (ko) 2010-10-01 2010-11-01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363Y1 true KR200452363Y1 (ko) 2011-02-22

Family

ID=4424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215U KR200452363Y1 (ko) 2010-10-01 2010-11-01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6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132B1 (ko) * 2011-05-27 2012-07-24 (주)선명애드팜 우측통행 유인수단을 갖는 횡단보도 캐노피
KR101169200B1 (ko) * 2011-10-06 2012-07-30 박상완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228669B1 (ko) * 2011-02-24 2013-01-31 원태환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514408B1 (ko) * 2013-06-11 2015-05-04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광고 수익을 이용한 횡단 보도 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835470B1 (ko) 2015-08-26 2018-03-13 (주)디오시스 횡단 보도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866A (ko) * 2001-10-18 2003-04-26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양극 활성 물질, 양극 및 이를 사용한 비수성 전해질이차전지
KR200332866Y1 (ko) 2003-08-13 2003-11-10 정창호 난간, 조형물, 안내판 및 광고판에 조명의 조합에 대한설치구조
KR100920492B1 (ko) 2008-02-15 2009-10-20 주식회사거암 이동 차양막판을 구비한 케노피 구조물
KR20110000308U (ko) * 2010-12-06 2011-01-12 주식회사 플러스조경 바람에 의한 지붕 파손이 방지된 조립식 정류소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866A (ko) * 2001-10-18 2003-04-26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양극 활성 물질, 양극 및 이를 사용한 비수성 전해질이차전지
KR200332866Y1 (ko) 2003-08-13 2003-11-10 정창호 난간, 조형물, 안내판 및 광고판에 조명의 조합에 대한설치구조
KR100920492B1 (ko) 2008-02-15 2009-10-20 주식회사거암 이동 차양막판을 구비한 케노피 구조물
KR20110000308U (ko) * 2010-12-06 2011-01-12 주식회사 플러스조경 바람에 의한 지붕 파손이 방지된 조립식 정류소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669B1 (ko) * 2011-02-24 2013-01-31 원태환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168132B1 (ko) * 2011-05-27 2012-07-24 (주)선명애드팜 우측통행 유인수단을 갖는 횡단보도 캐노피
KR101169200B1 (ko) * 2011-10-06 2012-07-30 박상완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514408B1 (ko) * 2013-06-11 2015-05-04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광고 수익을 이용한 횡단 보도 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835470B1 (ko) 2015-08-26 2018-03-13 (주)디오시스 횡단 보도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669B1 (ko)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200452363Y1 (ko)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KR100974481B1 (ko) 광고 표시 시스템
KR102146863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스마트 신호등시스템
KR102324942B1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ES2324143B1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incorporaciones de vehiculos mejorado.
KR101168132B1 (ko) 우측통행 유인수단을 갖는 횡단보도 캐노피
KR20150053478A (ko) 버스 지붕 옥외 광고용 구조체
US8947264B2 (en) Structure for crosswalk providing both advertising effect and pedestrian safety
CN116403423B (zh) Led智慧灯杆的智能显示控制方法、装置及智慧灯杆
KR101029039B1 (ko) 신호등 및 cctv용 가로보
KR102142973B1 (ko) 횡단보도용 그늘막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KR20140141409A (ko) 교통 표지판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KR102151974B1 (ko) 무신호등 횡단보도 보행자 알림장치
KR20170014998A (ko) 교통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70089527A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내판 겸용 볼라드
CN101639981A (zh) 多功能交通信号人行灯柱
KR200484267Y1 (ko) 통합형 보안장치
KR102590278B1 (ko) 주행로봇을 이용한 스쿨존 단속 시스템
KR100808407B1 (ko) 교차로용 교통시설 통합구조
KR200422438Y1 (ko) 교차로용 교통시설 통합구조
KR102538744B1 (ko) 영상 자체 저장 기능을 갖는 스마트 폴을 이용한 교통안전 보조 시스템
JP3182546U (ja) 透過式死角確認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死角確認装置
KR101652341B1 (ko) 버스 지붕 옥외 광고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