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133A -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 Google Patents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133A
KR20130095133A KR1020120016611A KR20120016611A KR20130095133A KR 20130095133 A KR20130095133 A KR 20130095133A KR 1020120016611 A KR1020120016611 A KR 1020120016611A KR 20120016611 A KR20120016611 A KR 20120016611A KR 20130095133 A KR20130095133 A KR 2013009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vehicle
trunk
dang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606B1 (ko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12001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retractabl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원은 차량 장애나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게 위험상태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력을 높인 위험표지판을 제공하여 추돌사고 위험을 배제하여 소중한 인명피해와 국민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차량 트렁크 내부에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을 표시하는 표지가 스프링 회동축에 감겨 있는 롤 타입(Roll type)의 고정케이스가 차량의 트렁크 내부 차체에 좌, 우측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장착되고, 트렁크 문이 개방될 때 롤 타입의 고정케이스 내부에 감겨있는 시트(sheet)가 나오면서 시트상에 인쇄된 삼각대 모양 또는 위험표시 표지판이 표출되도록 구동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사고차량 밖으로 나가지 않고 작동시키거나, 또는 나가더라고 차량의 트렁크 부위까지 이동하여 트렁크문을 최상부의 위치까지 이동/도달할 수 있는 극히 짧은 시간을 투자하면서 후방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쉽게 안전삼각대 또는 위험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위험표지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Automotive safety tripod of roll type.}
본 발명은 차량의 뒷 트렁크 내부에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을 표시하는 표지판이 롤 타입으로 스프링 회동축에 감겨 있는 고정케이스와, 고정케이스를 트렁크 내부 차체의 좌, 우측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장착하고, 트렁크 문인 트렁크리드가 개방될 때 롤 타입의 고정케이스 내부에 감겨져 있던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 표시용의 표지가 같은 방향으로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시트형의 위험경고 삼각대 표지판이 트렁크리드 내부에 부착된 고리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운전석에 있는 운전자 내지는 동승자가 트렁크리드가 개방될 수 있도록 버튼 내지는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최상부까지 완전히 개방되도록 장력이 우수한 스프링(Spring) 내지는 쇼크업소버(일명 쇼바라 칭함, Shock absorber)가 구성 되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스프링(Spring) 구성이 없거나 쇼크업소버가 구성되지 않아서 트렁크리드가 최상부까지 완전 개방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운전자 내지는 동승자가 하차 한 후 트렁크리드를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최상부까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트렁크리드가 개방되면서 롤 타입의 스프링 회동축에 감겨 있는 커다란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 표시용의 표지판 시트가 동일한 방향의 최상부까지 표출되도록 구성하여, 도로상에 비상 주정차해야 하는 사고발생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트렁크리드를 최상부의 위치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사고차량과 최소한 수 미터(meter)의 짧은 거리만 떨어져 있어도 사고차량의 위험경고 안전 삼각대 표지판을 인지하도록 표출되는 상태를 제공하여 또 다른 차량의 추돌사고를 방지하여 국민의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국내에서 차량의 주정차 중 후방 추돌사고로 연간 약 30,000 여명의 인명사고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제2 제3의 추돌사고로 이어지는 대형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차량 파손에 의한 개인의 재산은 물론 인간의 소중한 생명까지 잃게 하는 교통사고가 빈번하여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긴요하다.
안전삼각대는 운전 중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발생에 의해 차량을 도로 상에 비상 주정차할 때 후속차량의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대응책으로서 제2의 생명안전띠라 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안전삼각대는 후방에서 전진해 오는 자동차에 반사 빛으로 사고사실을 알려 안전운행을 유도하므로 후방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후방에서 전진해 오는 차량의 추돌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안전삼각대는 가로등이 없는 도로에서 반사광을 발휘하여 200 m 이상 전방에서 식별이 가능한 고성능 반사체가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고, 우천 시 또는 기타 악천후에서도 안정이 유지되어야 하며, 반사 빛의 수명이 계속 유지되면서 휴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쉽게 안전삼각대가 인식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가 빠르고, 안전삼각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상 주정차 위험사실을 확인시켜주는 안전삼각대를 인식한 후 이에 대응할 시간이 너무 짧아서 대형 후방추돌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등에서 사고가 있을 때 사고지점으로부터 100 m 이상의 후방지역으로 이동하여 안전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순간에도 고속으로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추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또한 모든 차량이 안전삼각대를 구비하여 운행되고 있지 못한 상황, 안전삼각대 설치까지 소요되는 수분 내지는 십 여분 사이에 대형 추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도로 주행 중 비상 주정차에 의한 후방 추돌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삼각대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06-0025954에서는 비상 경우로 정차시키면서 표시하기 위한 삼각대 본체와 상기 삼각대 본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도로 연부의 의지물에 타단부가 고정위치에 유지되어 삼각대 본체를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안전삼각대를 제안되어 있는 바, 상기 인용기술은 이미 설치된 안전삼각대 주위에 주행하는 대형차량이 지나가면서 강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한 삼각대가 쓰러지거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구성으로 후행 차량이 보다 쉽게 식별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대부분의 도로 지지면이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와 같이 딱딱한 고형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여성 및 노약자 등의 운전자가 안전삼각대를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킬 수 있는 환경이 거의 없으며, 안전삼각대를 차량으로부터 후방지역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이나 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매우 견고한 콘크리트로 구성됨에 따라 설치를 위한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사고를 부추길 가능성도 있어서 기술적 진보가 크다고 인정되기 어려우며, 본원의 발명과 기술적 사상 및 구성이 전혀 다름을 알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2008-0001397에서는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이 사고차량을 확실히 식별하기 위하여 발광하는 LED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트렁크 안쪽에 부착하는 안전삼각대를 제안하고 있는바, 차량 트렁크에 구성되는 안전삼각대를 제공하는 구성이 본원의 기술구성과 유사하다 판단할 수 있으나, 인용발명에서의 안전삼각대는 발광하는 LED 램프에 의해 후방차량에게 위험표시 인식도를 시켜 줄 수 있다는 개념만을 제시할 뿐 구체적인 기술수단이 제시되지 않고 있으나 본원의 발명은 안전삼각대의 크기가 매우 크게 제공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후방차량에게 인식도를 높여 주는 구체적 기술구성이 개시되어 차량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본원발명이 기술의 진보성이 휠씬 크다 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2008-0002486에서는 비상 주정차중일 때 주행 중인 다른 차량으로부터 안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삼각 안전표지를 설치할 때 지표면으로부터 높이를 최소 30cm까지 올려주며 바람의 영향에도 표지판이 넘어지지 않고, 특히 악천후나 야간에 리드전선을 이용하여 LED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차량 안전표시 삼각대를 제안하고 있는바, 본 인용발명의 기술구성에 의하면 표지판의 위치가 지상으로부터 30cm 이상으로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후방으로부터 주행하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보다 쉽게 알아차릴 수 있어 후방 추돌사고의 확률을 다소 낮출 수 있다고 판단되나 인용발명에서 표지판이 넘이지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삼각대가 지면에 고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하나 대부분의 도로는 지표면이 견고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구성어 있기 때문에 주위의 바람에 의해 쉽게 날아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LED 발광을 위하여 리드전선을 사고지점으로부터 수십 내지는 수백 미터 길이로 이동한다는 것은 초를 다투는 긴급한 위험상황에서 현실성이 결여된 기술이라고 판단되며, 본원의 기술구성 및 기술사상이 전혀 다르다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09-0055898에서는 종래 안전삼각대의 보관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안전삼각대를 제안하고 있는바, 인용발명에서는 보조반사판이 구비된 차량용 안전 삼각대를 구성하면서 보조반사판이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바람에 의해 접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안전 삼각대를 접었을 때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보조반사판이 저절로 슬라이드 되어 펼쳐지지 않음은 물론 부딪히는 소음 발생과 파손됨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원의 기술구성과는 전혀 다르다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0-0047426에서는 비상삼각대를 트렁크 룸의 트림에 장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비상삼각대 구조를 제안하고 있는바, 인용발명은 비상삼각대를 트렁크 룸의 트림에 장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본원의 발명과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인용발명인 경우 반사판이 부착되는 삼각판, 상기 삼각판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삼각판과 지지판 사이의 대응면 모서리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삼각판과 지지판을 접힘시키거나 또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있는 조그마한 삼각대를 제공하는 기술인 반면, 본원은 차량 트렁크 내부에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을 표시하는 문구의 시트(Sheet)가 스프링 회동축에 감겨 있는 롤 타입의 고정케이스가 차량의 트렁크 내부 차체에 좌, 우측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장착되고, 트렁크 문이 개방될 때 롤 타입의 고정케이스 내부에 감겨있는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 표시용의 얇은 시트형의 표지판이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커다란 비상 표지판을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본원의 발명과의 기술구성이 전혀 다르며, 인용발명에 비해 기술적 진보가 크다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연구, 개발되어 운전 중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에 의해 차량을 도로 상에 비상 주정차하려고 할 때 후방차량으로부터 추돌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제시된 종래의 안전표시판 표현방법 들은 식별성이 약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잔존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음에 따라 비상 주 정차시 야간에도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서 위험상태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력을 높여줘서 추돌사고를 방지하여 소중한 인명피해와 국민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성과 견고성을 높인 안전삼각대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상기의 종래 배경기술에서 밝히고 있듯이 지금까지 개발된 안전삼각대가 비상 주정차 때 야간에도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서 위험상태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력을 높여줘서 추돌사고 위험을 배제하여 소중한 인명피해와 국민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성과 견고성을 높인 안전삼각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차량 트렁크 내부에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을 표시하는 표지가 스프링 회동축에 감겨 있는 롤 타입(Roll type)의 고정케이스가 차량의 트렁크 내부 차체에 좌우로 평행이 되도록 장착되고, 트렁크 문이 개방될 때 롤 타입의 고정케이스 내부에 감겨있는 시트(sheet)가 나오면서 시트상에 인쇄된 삼각대 모양 또는 위험표시 표지판이 표출되도록 구동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사고차량 밖으로 나가지 않고 작동시키거나, 또는 나가더라고 차량의 트렁크 부위까지 이동하여 트렁크 문인 트렁크리드를 최상부의 위치까지 들어올리는 극히 짧은 시간을 투자하면서 후방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쉽게 안전삼각대 또는 위험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대형의 인식표지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의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내부에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을 표시하는 표지가 롤 타입의 스프링 회동축에 감겨 있는 고정케이스가 구성되고, 고정케이스를 트렁크 내부 차체의 좌, 우측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장착하여, 비상사태 발생시 트렁크리드가 개방될 때 롤 형의 고정케이스 내부에 감겨있는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 표시용의 표지판이 함께 표출되도록 구동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트형의 표지판 단부가 트렁크 내부에 부착된 연결고리에 부착된 구성을 이루고, 운전석에 있는 운전자 내지는 동승자가 트렁크리드가 개방될 수 있도록 버튼 내지는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최상부까지 개방되는 경우 장력이 우수한 스프링(Spring) 내지는 쇼크업소버(일명 쇼바라 칭함, Shock absorber)가 구성되는 수단이 도입되거나, 또는 장력을 갖는 스프링(Spring)이나 쇼크업소버가 구성되지 않아 트렁크리드가 최상부까지 완전 개방되지 않는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하차 한 후 트렁크 문에 끌어당기는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해 트렁크리드를 일정 높이까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트렁크리드가 개방됨과 동시에 롤 타입의 스프링 회동축에 감겨 있는 커다란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 표시용의 표지판 시트가 일정 높이까지 표출되도록 구성하여, 도로상에서 비상사태로 주정차 할 때 사고발생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트렁크를 여는 동작에 의해 위험표시판을 올리거나 또는 차량에서 하차하여 트렁크리드를 일정 높이까지 올리는 단순한 행동으로 위험표시판을 일정 높이로 올리는 수단으로 대형의 안전삼각대나 표지판을 표출되도록 제공하여 후속 차량의 추돌사고에 의한 국민의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롤 타입의 자동차용 안전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기술사상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본원은 차량의 도로 주행 중 비상사태 발생시 후방에서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추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자동차용 위험표지판이,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 시트(Sheet)에 위험표시를 나타내는 표지판이 인쇄 또는 프린트되어 롤(roll) 축에 감겨 차량의 트렁크 룸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표지판의 타측 일단은 트렁크리드의 수직면판 일측에 걸려지는 구성을 이루고, 위험상황 발생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트렁크리드를 개방하여 일정 높이로 올려질 때 직물지나 시트(Sheet)에 표시된 위험표시 표지판이 외부로 표출되어 위험상황을 표시하도록 제공되는 위험표지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은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 시트(Sheet)에 위험표시를 나타내는 표지판이 인쇄 또는 프린트되어 롤(roll) 축에 감겨져서 차량 후미의 트렁크리드의 일측에 걸려지는 구성을 이루고 표지판의 타측 일단은 트렁크 후판의 일측에 걸려지는 구조로 반대 위치의 구성을 이루고, 위험상황 발생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트렁크리드를 개방하여 일정 높이로 올려질 때 직물지나 시트(Sheet)에 표시된 위험표시 표지판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험표지판은 2,500 MCD/LUX 내지는 30,000 MCD/LUX의 반사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본원의 위험표지판에는 백색계열 LED, R/G/B/Y/Amber 각각의 단일색상 LED, RGB LED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LED 조명장치가 직물지나 시트에 부착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높이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험표지판의 휘도의 반사성이 2,500 MCD/LUX 이하인 표지판을 이용할 경우 경비가 저렴하여 저가의 롤 타입의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사고차량으로부터 먼 곳에서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표출될 확률이 미흡하여 후방차량에 사고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며, 30,000 MCD/LUX의 반사성을 제공하는 표지판을 이용할 경우 고휘도반사성이 높아 심한 악천후에도 표지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제품이 고가로 제공됨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험표지판에는 백색계열 LED, R/G/B/Y/Amber 각각의 단일색상 LED, RGB LED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LED 조명장치가 직물지나 시트에 부착된 구성으로 제공되는 위험표지판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바집중호우가 쏟아지거나 안개가 발생한 날과 같은 악천후 환경에서 안전삼각대의 식별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운전석에서 장착된 트렁크 개방용 스위치 또는 버튼을 마련하여 트렁크리드를 개방시키고, 운전석의 계기판과 스위치에 연결된 LED의 전원은 임의대로 비상라이트를 위한 버튼을 누르듯이 운전석에서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LED 조명장치는 시트지에 예를 들면 5 ~ 10 ㎝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삼각대 모양을 형성하는 등으로 설치 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위험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백색계열 LED나 또는 R/G/B/Y/Amber 등의 다양한 색상 을 제공할 수 있는 LED, RGB LED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직물지나 시트에 부착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차량의 운행 중 자동차 결함이나 예기치 않은 사고에 의해 차량을 도로 상에 비상 주정차 할 때 후방에서 진입하는 다른 차량과의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삼각대를 비상 주정차지점으로부터 100 m 이상의 후방지역에 설치하도록 의무화한 규정이 있으나 실제적으로 고속으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이 사고차량을 확인하지 못하여 추돌사고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빈번한바, 본 발명은 사고발생시 즉각적으로 트렁크 문을 개방시키며 롤 형의 고정케이스 내부에 감겨있는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 표시용의 표지판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구성을 통하여 위험을 표시하여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험 표지판은 차량의 후미등 내측의 폭만큼 즉, 트렁크리드 폭 크기의 대형규격으로 위험표시판을 표출시키는 효과로 인하여 후방 진입차량에게 먼 거리에서도 위험 상황을 인식시켜 추돌사고 위험에 대비하여 피할 수 있게 하므로 차량과 인명을 보호하는데 큰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 본원의 위험표지판이 롤 축에 감겨 트렁크 룸 내부에 수평으로 뉘어 고정되어 보관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b : 본원의 위험표지판이 외부로 표출된 상태의 측면도.
도 1c : 도 1b의 상태를 차량의 후미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
도 2a : 본원에서 적용되는 안전삼각대가 롤 축에 감겨서 고정케이스에 담겨지는 구성을 나타낸 표시판 사시도.
도 2b : 상기 도 2a의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3a : 본원의 위험표지판이 차량의 트렁크리드에 고정되어 보관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b : 상기 도 3a의 상태에서 트렁크리드가 올려진 상태의 측면도.
본원은 갑작스런 교통사고나 차량의 문제가 생겨 비상 주정차 때 후방차량의 추돌사고 위험을 배제하기 위한 안전삼각대 등의 위험경고 표시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의 도면으로 제시되는 내용은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을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의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일 적용 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차량의 후미 뒷 트렁크 부위에 본원의 안전삼각대 등의 위험경고 표시판이 장착되는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차량의 후미 뒷 트렁크 부위에 본원의 위험표지판(10)이 롤 축(20)에 감겨 트렁크 룸(40) 내부에 수평으로 뉘어 고정되고 트렁크리드(50)의 수직면판(52)이 트렁크 후판(41) 상부에 안착되어 보관되는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도 1a의 상태로 보관되어 있던 본원의 위험표지판(10)이 차량사고가 발생한 후 후미 뒷 트렁크 부위에서 트렁크리드(50)의 수직면판(52)이 상부로 올려지면서 본원의 안전삼각대 위험경고 표시판(10)도 함께 끌고 올려져서 위험표지판(10)이 외부에 표출되도록 들려진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c는 도 1b의 상태를 차량의 후미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트렁크 룸(40) 내부에서 롤 축(20)에 감겨 있던 위험표지판(10)의 상단부가 트렁크리드(50)의 수직면판(52)과 함께 상부로 올려지고 본원의 안전삼각대 위험표시판(10)이 먼 거리에서도 위험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도 1c의 구성에서 적색으로 제시되는 위험표지판(10) 부위에는 5~10㎝ 간격으로 LED 전구(11)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경우 야간에 더욱 식별성을 높인 구성으로 변형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삼각대 모양 또는 위험을 표시하는 표지판(10)은 롤축(20)에 감겨 있다가 쉽게 풀리며 구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바, 직물지 내지는 고분자 물질이 함께 혼합되거나 코팅된 시트(Sheet)지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을 표시하는 적색표지판(10)으로 인쇄되거나 또는 적색안료 및 형광 안료가 혼합되어 야간에도 식별력을 높인 색상으로 코팅된 시트가 롤 축(20)에 감겨진 형태로 고정케이스(30)에 내장되어 하부의 트렁크룸(40)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트렁크리드(50)를 개방할 수 있는 버튼 내지는 스위치를 누르거나 또는 수동으로 트렁크리드(50)를 상부까지 완전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먼 거리에서도 표지판(10)을 식별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수동으로 트렁크리드(50)를 상부까지 밀어올려 개방시키는 구성의 적용은 예를 들면, 차량의 이상 여부 점검이나 엔진오일 등을 주입하기 위해 차량 전면의 본네트를 열 때 수직지지구 받침대를 이용하는 동일한 실시양태로 차량의 후미에서 트렁크리드(50)의 일부에 수직지지구 받침대를 이용하여 트렁크리드(50)를 상부까지 들어올려 표지판(10)이 잘 보이도록 표출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트렁크리드(50)를 상부로 들어올려서 표지판(10)이 잘 보이도록 표출하는 방법은 스프링(Spring) 내지는 쇼크업소버(일명 쇼바라 칭함, Shock absorber)를 갖고 트렁크리드(50)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시트형 위험표지판(10)이 구동하여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트렁크리드(50)의 수직면판(52) 내측으로 연결부(53)가 마련되고 연결부에는 나사조임부(54) 또는 걸고리부에 표지판(10)의 단부가 연결되어 롤 축(20)에 감겨진 위험표지판(10)을 끌어올려 외부로 표출되게 적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안전삼각대(10)가 롤 축(20)에 감겨서 고정케이스(30)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본원의 위험표지판(10)이 롤 축(20)에 감겨서 고정케이스(30) 내부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구성을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원의 안전삼각대 위험경고 표시판(10)은 직물지나 또는 합성수지 시트(Sheet)지 위험표시를 나타내는 삼각대 적색표지판(10)으로 제공되거나, 야간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색표지판(10) 바탕에 5~10㎝ 간격으로 LED 전구(11)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제공되어 롤(roll) 축(20)에 감겨 차량의 트렁크 룸(40)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는바, 롤(roll) 축(20)의 외연으로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일정한 텐션을 주며 되감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일측은 위험표시판(10)을 지지하도록 제공되어 고정케이스(30) 내부에 내장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의 안전삼각대 위험경고 표시판이 도 1과는 반대방향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서는 본원의 위험표지판이 차량의 트렁크리드에 고정되어 보관되는 상태의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상기 도 3a의 상태에서 트렁크리드가 올려져서 위험경고 표시판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상부 트렁크리드의 수평면판(51)과 수직면판(52) 사이의 코너 부분에는 아무런 적재물도 없이 공간부분으로 제공되는바, 상기 공간부분의 양 단부에 표지판(10)이 감겨진 롤 축(20)의 양단이 고정되는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사고가 발생하여 위험표지판(10)이 외부로 표출되기를 원할 때는 트렁크 후판(41) 안쪽으로 마련된 연결부(42)의 걸고리부(43)에 표지판(10)의 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트렁크리드를 들어올리면 안전삼각대의 위험 표지판(10)이 외부로 표출되게 적용할 수 있는 변형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비나 눈이 오는 악천후인 경우 본원의 삼각대 모양 내지는 위험을 표시하는 표지판(10)를 후방지역에서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더욱 쉽게 확인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후방에서 인지도를 높여 확인할 수 있도록 고휘도 반사성 표지판을 이용하는 수단으로 적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바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어느 정도 식별성을 높일 수 있을까 실험한 적용예를 아래에 제시한다.
실시 예 1
본 발명자는 본인 소유차량의 트렁크 가로축에 들어갈 수 있도록 100 cm 길이의 롤 타입의 축에 백색 천이 감겨있는 브라인더를 구입한 후 의류용 형광색 반사 스티커를 가로 90 cm, 세로 110 cm 크기의 3각형의 모양으로 재단, 봉재하여 롤형의 케이스에 감겨있는 차량용 안전삼각대를 제조하였다.
차량용 안전삼각대가 롤 타입의 축에 감겨있는 케이스를 차량의 트렁크에 부착하고, 운전석에서 트렁크 개방을 위한 장치를 조작할 때 롤 형의 케이스에 감겨있는 차량용 안전삼각대가 함께 올라갈 수 있도록 의류용 반사스티커가 봉재된 차량용 안전삼각대 꼭지점과 트렁크와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롤 형의 케이스에 감겨있는 차량으로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나들목(Toll gate) 이전의 한적한 도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안전삼각대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 예 2
실시 예에 의한 롤 타입의 차량용 안전삼각대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자동차의 운전석에서 차량 트렁크 문의 개방장치에 힘을 가하여 트렁크를 개방하도록 한 후 동승자가 곧바로 차량 밖으로 나가서 트렁크의 문을 최상의 위치까지 오도록 한 후 다시 차 안으로 들어온 시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 예 3
운전석에서 트렁크 개방을 위한 장치를 조작할 때 트렁크의 문이 최상의 위치에 올 수 있도록 대전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카센터에서 수리한 후 실시 예 2와 동일하게 시간을 첵크하였다.
실시 예 4
오후 2시경 청명한 날에 실시 예 2에 의해 롤형의 안전삼각대를 차량에 설치하고, 90 km/hr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본원의 안전삼각대가 설치된 차량으로부터 100 m 지점을 지나칠 때 안전삼각대의 확인식별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 예 5
저녁 9시경 어두운 밤의 환경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안전삼각대의 확인식별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교 예 1
자동차 용품 판매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하고 있는 안전삼각대를 구입하였다.
비교 예 2~3
비교 예 1의 자동차 용품판매점에서 구입한 삼각대를 트렁크에 보관한 다음 운전석에서 차량 트렁크 문의 개방장치에 힘을 가하여 트렁크를 개방하도록 한 후 조수석의 동승자가 곧바로 차량 밖으로 나가서 트렁크에 보관 중인 시판용 안전삼각대를 차량으로부터 100 m 후방지역에 설치한 후 다시 차 안으로 들어오는 시간을 확인하였다.
비교 예 4
비교 예 2의 차량으로부터 100 m의 후방지점에 시판용 안전삼각대를 설치한 후 90 km/hr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시판용 안전삼각대의 확인식별력을 확인하였다.
비교 예 5
저녁 9시경 어두운 밤의 환경을 제외하고는 비교 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 예 2~3 및 실시 예 2~3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으며, 비교 예 4~5 및 실시 예 4~5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남자 6명, 여자 3명이 참여하였으며, 본 실험에 참여한 평균나이는 32.6로서 각각 5회 실시하여 이에 대한 평균값으로 환산하여 표 1의 결과로 나타내었고, 실시예 4, 5에 따른 확인식별력은 표 2의 결과로 나타내었다.
구분 소요 시간
실시 예 2 2.4 초
실시 예 3 0 초
비교 예 2~3 5분 28초
구분 확인 식별력
실시 예 4
실시 예 5
비교 예 4
비교 예 5
매우명확●, 명확◎, 약간 명확○, 미흡◇, 약간 미흡◈, 매우 미흡◆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인 비교 예 2~3에서는 비상 주정차시 후방지점에서 고속으로 지나가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추돌사고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 주정차 차량으로부터 100 m 후방지점에 안전삼각대를 설치할 경우의 소요시간을 확인한 결과 평균 5분 28초가 소요됨에 따라 안전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하다 오히려 후방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의해 인명 및 차량 추돌사고에 의한 제 2차 사고위험성이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실시 예 2~3에서는 비상 주정차시 운전자 내지는 동승자가 하차하지 않거나 2~3초 이내의 매우 짧은 시간 안에 후방에서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표출시킬 수 있어 2차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방법과 같이 비상 주정차 차량으로부터 100 m 이상(주간: 100 m이상, 야간: 200 m 이상)의 후방지역에 안전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한 비교 예 4~5에서는 안전삼각대의 크기가 대체적으로 작아 실험에 참가한 많은 사람들이 안전삼각대 존재 여부를 명확히 하지 못하거나 확인 분별력이 크게 떨어짐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야간에는 더욱더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실시 예 4~5에서는 대형의 표지판을 제공하고, 지상으로부터 약 1 m 지점에 위치함에 따라 고속으로 주행함에도 불구하고 주정차 된 차량에서 안전삼각대 존재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제 2차 유발사고의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 위험표지판 11 : LED 전구
20 : 롤 축 21 : 스프링
30 : 고정케이스 40 : 트렁크 룸
41 : 트렁크 후판 42 : 후판연결부
43 : 걸고리부 50 : 트렁크 리드
51 : 트렁크리드 수평면 52 : 트렁크리드 수직면
53 : 트렁크리드 연결부 54 : 나사조임부

Claims (4)

  1. 차량의 도로 주행 중 비상사태 발생시 후방에서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추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자동차용 위험표지판에 있어서,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 시트(Sheet)에 위험표시를 나타내는 표지판(10)이 인쇄 또는 프린트되어 롤(roll) 축(20)에 감겨 차량의 트렁크 룸(40)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표지판(10)의 타측 일단이 트렁크리드(50)의 수직면판(52)의 일측에 걸려지는 구성을 이루고, 위험상황 발생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트렁크리드(50)를 개방하여 일정 높이로 올려질 때 직물지나 시트(Sheet)에 표시된 위험표시 표지판(10)이 외부로 표출되어 위험상황을 표시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표지판.
  2. 차량의 도로 주행 중 비상사태 발생시 후방에서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추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자동차용 위험표지판에 있어서,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 시트(Sheet)에 위험표시를 나타내는 표지판(10)이 인쇄 또는 프린트되어 롤(roll) 축(20)에 감겨 차량의 트렁크리드(50)의 일측에 걸려지는 구성을 이루고 표지판(10)의 타측 일단은 트렁크 후판(41)의 일측에 걸려지는 구성을 이루어서, 위험상황 발생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트렁크리드(50)를 개방하여 일정 높이로 올려질 때 직물지나 시트(Sheet)에 표시된 위험표시 표지판(10)이 외부로 표출되어 위험상황을 표시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표지판.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표지판은 2,500 MCD/LUX 내지는 30,000 MCD/LUX의 반사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표지판.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표지판에 백색계열 LED, R/G/B/Y/Amber 각각의 단일색상 LED, RGB LED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LED 조명장치가 직물지나 시트에 추가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표지판.
KR1020120016611A 2012-02-17 2012-02-17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KR10130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611A KR101308606B1 (ko) 2012-02-17 2012-02-17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611A KR101308606B1 (ko) 2012-02-17 2012-02-17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133A true KR20130095133A (ko) 2013-08-27
KR101308606B1 KR101308606B1 (ko) 2013-09-23

Family

ID=4921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611A KR101308606B1 (ko) 2012-02-17 2012-02-17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848A (ko) 2014-12-03 2016-06-13 임승택 차량의 2차 추돌 사고방지 안전표시장치
KR101684162B1 (ko) * 2015-08-28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전 표시장치
KR20170075340A (ko) 2015-12-23 2017-07-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위험 표지판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99Y1 (ko) 2015-07-30 2016-12-06 김진권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KR102044494B1 (ko) 2019-07-01 2019-11-13 주식회사 마이렌 스마트 차량 사고알림장치
KR102071618B1 (ko) 2019-07-01 2020-01-30 주식회사 마이렌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KR102256986B1 (ko) 2021-01-29 2021-05-27 이랑산업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를 이용한 위험표지 장치
KR102531574B1 (ko) * 2021-04-15 2023-05-12 한국도로공사 도로 점검용 안전 표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93U (ko)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차량용 안전 표시대
KR19990026215U (ko) * 1997-12-19 1999-07-15 홍종만 차량용 안전 표시대
KR200329139Y1 (ko) * 2003-06-13 2003-10-08 최낙임 자동차 안전삼각대
JP2005096733A (ja) 2003-09-01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848A (ko) 2014-12-03 2016-06-13 임승택 차량의 2차 추돌 사고방지 안전표시장치
KR101684162B1 (ko) * 2015-08-28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전 표시장치
KR20170075340A (ko) 2015-12-23 2017-07-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위험 표지판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06B1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606B1 (ko)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US9235210B2 (en) Remote-controlled mobile warning sign
US3430374A (en) Emergency signal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305435B1 (ko) 차량용 삼각대
CN103635951A (zh) 公路报警安全套件
KR102133565B1 (ko) 차량 탑재용 이동식 사인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9096978B2 (en) Expandable roadside safety apparatus
KR102450405B1 (ko) 위험 표지판 세트
KR101883103B1 (ko) 자동차용 안전 표지판
KR20080035552A (ko) 일회용 삼각대
KR200493127Y1 (ko)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원터치 안전표지판
KR20150029968A (ko) 차량용 안전 표시 장치
US20160167576A1 (en) Automobile warning structure
US20070231067A1 (en) Vehicle visibility vest
GB2568827A (en) A safety device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KR102110959B1 (ko)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KR200399363Y1 (ko) 착탈식 안전표시판
KR200379180Y1 (ko) 스탠드형 도로용 표지판
KR20200099719A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200323110Y1 (ko) 안전 펜스
KR102048306B1 (ko) 자동차용 사고방지 안전장치
KR200432602Y1 (ko) 고휘도 반사 기능을 갖는 경고판
KR20230060222A (ko) 비상경광등 겸용 발광 안전삼각대
US20220144162A1 (en) A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