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99Y1 -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99Y1
KR200481999Y1 KR2020150005132U KR20150005132U KR200481999Y1 KR 200481999 Y1 KR200481999 Y1 KR 200481999Y1 KR 2020150005132 U KR2020150005132 U KR 2020150005132U KR 20150005132 U KR20150005132 U KR 20150005132U KR 200481999 Y1 KR200481999 Y1 KR 200481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member
vehicle
slit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권
Original Assignee
김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권 filed Critical 김진권
Priority to KR2020150005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트렁크 내에 구비되어 비상 상황시 위험문구가 후방 측 차량에게 노출될 수 있게 설치되되, 본체가 하부로 고정봉이 상부로 향하는 정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반대로 본체가 상부로 고정봉이 하부로 향하는 역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어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권취 된 상태로 보관되되 상기 슬릿을 통해 그 단부가 노출되어 있어 잡아당김 여부에 따라 권출 되었다가 자동으로 권취되고,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된 단부에는 슬릿 외측에 지지되는 고정봉이 구비되며, 위험경고 도형이 표시되는 시트부재와, 일측이 상기 고정봉에 탈착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제 1 고정고리가 구비된 제 2 체결부재와, 일측에는 제 2 고정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체결공 및 제 1 고정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차량 일측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제 3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Roll type safety sign device for car that is easy to installation}
본 고안은 차량 트렁크 내에 구비되어 비상 상황시 위험문구가 후방 측 차량에게 노출될 수 있게 설치되되, 본체가 하부로 고정봉이 상부로 향하는 정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반대로 본체가 상부로 고정봉이 하부로 향하는 역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어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구나 운전자의 필수품을 보관하는 공간인 트렁크 내부에는 안전표지판을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안전표지판은 자동차 운행 도중 추돌 사고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그 사고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다른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추돌사고 발생의 위험을 알려주기 위해 사고차 또는 고장차의 후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세워 사용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안전표지판은 별도의 수납부가 마련되지 않아서 트렁크의 내부 임의의 위치에 보관될 뿐만 아니라, 분해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렁크 내의 보관 위치를 빨리 파악한 다음, 이를 신속하게 조립하여 사고차 또는 고장차의 후방에 위치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롤 스크린과 같이 형성되어 트렁크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경고문구가 표시된 시트는 개방되는 트렁크 도어에 고정되게 하여 트렁크 도어를 열면 경고문구가 노출되는 안전표지판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안내 표지판은 설치된 해당 차량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되어 있어 다른 차량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었다.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08606호(2013.09.09)
2.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06290호(2015.03.20)
3.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8-039181호(1998.09.15)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 트렁크 내에 구비되어 비상 상황시 위험문구가 후방 측 차량에게 노출될 수 있게 설치되되, 본체가 하부로 고정봉이 상부로 향하는 정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반대로 본체가 상부로 고정봉이 하부로 향하는 역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어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권취 된 상태로 보관되되 상기 슬릿을 통해 그 단부가 노출되어 있어 잡아당김 여부에 따라 권출 되었다가 자동으로 권취되고,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된 단부에는 슬릿 외측에 지지되는 고정봉이 구비되며, 위험경고 도형이 표시되는 시트부재와, 일측이 상기 고정봉에 탈착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제 1 고정고리가 구비된 제 2 체결부재와, 일측에는 제 2 고정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체결공 및 제 1 고정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차량 일측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제 3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차량 트렁크의 바닥에 구비된 매트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벨크로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봉의 양단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제 3 체결부재 사이와, 상기 제 2 체결부재 및 제 3 체결부재 사이에는 설치조건에 따라 제 4 체결부재가 더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4 체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고정고리 및 제 1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 3 고정고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2 고정고리가 체결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고리 및 제 2 체결공 사이에는 길이조절 가능한 스프링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은 차량 트렁크의 구조에 따라 고정봉이 트렁크 도어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본체가 트렁크 도어 측으로 향하도록 뒤집혀져 설치되며, 이를 위해 전술한 위험경고 도형은 전술한 시트부재의 양면 모두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은 차량 트렁크 내에 구비되어 비상 상황시 위험문구가 후방 측 차량에게 노출될 수 있게 설치되되, 본체가 하부로 고정봉이 상부로 향하는 정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반대로 본체가 상부로 고정봉이 하부로 향하는 역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어 차량의 트렁크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다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권취 된 상태로 보관되되 상기 슬릿을 통해 그 단부가 노출되어 있어 잡아당김 여부에 따라 권출 되었다가 자동으로 권취되고,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된 단부에는 슬릿 외측에 지지되는 고정봉이 구비되며, 위험경고 도형이 표시되는 시트부재와, 일측이 상기 고정봉에 탈착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제 1 고정고리가 구비된 제 2 체결부재와, 일측에는 제 2 고정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체결공 및 제 1 고정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차량 일측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제 3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롤 타입 차랑용 안전표지판(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체(10)는 그 내부에 후술 될 시트부재(20)가 권출 및 권취 가능하게 보관되고,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차량 트렁크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제 1 체결공(11a)이 형성된 제 1 체결부재(11)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체결부재(11)는 제 1 체결공(11a)을 통해 후술 될 제 3 체결부재(40) 또는 제 4 체결부재(5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를 트렁크 내부 일측에 위치 고정시키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제 1 체결공(11a)에 제 3 체결부재(40) 또는 제 4 체결부재(50)가 아닌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의 하측에는 차량 트렁크의 바닥에 구비된 매트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벨크로부재(13)가 더 구비되는데, 전술한 벨크로부재(13)는 본체(10)를 트렁크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부재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체결부재들 사용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본체(10)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차량 트렁크의 구조에 따라서 트렁크 바닥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트렁크 도어 측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수용공간 내에는 시트부재(20)가 권취 된 상태로 보관되는데, 전술한 시트부재(20)는 후방의 차량에게 위험경고 도형(22)이 보여 지게 함으로써 추돌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부재(20)는 전술한 본체(10)의 슬릿(12) 측으로 그 단부가 노출되어 있어 잡아당김 여부에 따라서 자동으로 권출 및 권취 된다.
즉, 사용자가 위험경고 도형(22)이 후방 차량에게 보여 지도록 시트부재(20)를 잡아당겨 차량 일측에 고정시켜 사용한 뒤, 사용이 종료되어 시트부재(20)를 잡아당기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본체(10)의 수용공간 내부로 권취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시트부재(20)는 수용공간 내에 구비된 스프링(53)에 의해 자동 권취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종래기술에 따른 롤 타입 스크린의 권취 및 권출 기능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명세서의 간소화를 위해서 생략함을 밝힌다.
그리고 전술한 슬릿(12)을 통해 노출된 시트부재(20)의 단부에는 슬릿(12) 외측에 지지되는 고정봉(21)이 구비되는데, 전술한 고정봉(21)은 시트부재(20)의 노출된 단부가 수용공간 내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또한 시트부재(20)를 권출할때 이를 잡아당김으로써 권출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고정봉(21)의 양단에는 스토퍼(21a)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고정봉(21)에 결합되는 후술 될 제 2 체결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전술한 시트부재(20)는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 필름지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위험경고 도형(22)은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반사 가능한 발광 도료, 형광 도료 또는 축광 도료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LED가 점멸 가능하게 실장 될 수도 있다. 또한 위험경고 도형(22)은 입사 광선을 그대로 광원으로 되돌려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체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재귀반사체는 시트부재(20)에 열전사방식 또는 열압착방식에 의해 부착된다.
한편, 전술한 고정봉(21)에는 제 2 체결부재(30)가 탈착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전술한 제 2 체결부재(30)는 트렁크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시트부재(20)가 권출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체결부재(30)의 일측은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 타입의 고정봉(21) 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권출 된 시트부재(20)가 일측으로 치우쳐지지 않도록 제 2 체결부재(30)가 고정봉(21)의 정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제 2 체결부재(30)가 고정봉(21)에 결합 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가 설치되는 트렁크 내부에는 제 3 체결부재(40)들이 고정 설치되는데, 전술한 제 3 체결부재(40)는 본체(10) 및 시트부재(2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3 체결부재(40)는 그 일측에 제 2 고정고리(41)가 구비되어 제 1 체결공(11a) 및 제 1 고정고리(31)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자성체(42)가 구비되어 차량 일측에 자력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즉, 제 2 고정고리(41)가 제 1 체결공(11a) 내에 체결된 뒤 자성체(42)가 트렁크 내부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본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권출 된 시트부재(20)의 고정봉(21)에 결합된 제 2 체결부재(30)의 제 1 고저고리와 제 2 고정고리(41)가 체결된 뒤 자성체(42)를 트렁크 내부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시트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시트부재(20)와 연결된 제 3 체결부재(40)는 트렁크 도어에 고정될 수도 있고 트렁크 바닥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체결부재(11) 및 제 3 체결부재(40) 사이와, 제 2 체결부재(30) 및 제 3 체결부재(40) 사이에는 설치조건에 따라 제 4 체결부재(50)가 더 연결될 수 있는데, 전술한 제 4 체결부재(50)는 트렁크 내부 폭이 본체(10)의 길이보다 더 길어 제 1 체결공(11a)에 결합된 제 3 체결부재(40)의 자성체(42)가 트렁크 내부 일측에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없을 때나, 시트부재(20)가 최대로 권출 된 상태보다 트렁크 상하 길이가 더 길어 제 1 고정고리(31)와 결합 된 제 3 체결부재(40)의 자성체(42)가 트렁크 내부 일측에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없을 때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4 체결부재(50)는 그 일단에 제 1 고정고리(31) 및 제 1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제 3 고정고리(5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 2 고정고리(41)가 체결되는 제 2 체결공(52)이 형성되며, 제 3 고정고리(51) 및 제 2 체결공(52) 사이에는 길이조절 가능한 스프링(53)이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1)은 차량 트렁크의 구조에 따라 고정봉(21)이 트렁크 도어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본체(10)가 트렁크 도어 측으로 향하도록 뒤집혀져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두 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설치된다 하더라도 위험경고 도형(22)이 후방의 차량에게 모두 보여질 수 있도록 위험표시 도형은 시트부재(20) 양면 모두에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1)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트렁크 바닥면 중앙에 본체(10)를 배치하되, 벨크로 테이프는 트렁크 바닥의 매트에 고정시키고 제 1 체결부재(11)의 제 1 체결공(11a) 내에는 제 3 체결부재(40)의 제 2 고정고리(41)를 걸어준 뒤 제 3 체결부재(40)의 자성체(42)를 트렁크 바닥면에 자력을 이용해 고정시켜준다.
본체(10)가 고정되면, 고정봉(21)을 잡고 시트부재(20)를 일정 길이만큼 권출시킨 후 고정봉(21)의 중앙에 제 2 체결부재(30)를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제 1 고정고리(31)에 제 3 체결부재(40)의 제 2 고정고리(41)를 걸어준다.
그런 다음 위험표시 도형이 보여질 수 있게 시트부재(20)를 완전히 권출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 3 체결부재(40)의 자성체(42)를 트렁크 도어의 하부면에 자력을 이용해 고정시켜준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개방된 상태의 트렁크 도어 측에 본체(10)를 배치하되, 제 1 체결부재(11)의 제 1 체결공(11a) 내에 제 4 체결부재(50)의 제 3 고정고리(51)를 걸어주고 제 4 체결부재(50)의 제 2 체결공(52)에는 제 3 체결부재(40)의 제 2 고정고리(41)를 걸어준 뒤 제 3 체결부재(40)의 자성체(42)를 트렁크 도어 양측에 자력을 이용해 고정시켜 준다.
본체(10)가 고정되면, 고정봉(21)을 잡고 시트부재(20)를 일정 길이만큼 권출시킨 후 고정봉(21)의 중앙에 제 2 체결부재(30)를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제 1 고정고리(31)에 제 4 체결부재(50)의 제 3 고정고리(51)를 걸어주고 제 4 체결부재(50)의 제 2 체결공(52)에는 제 3 체결부재(40)의 제 2 고정고리(41)를 걸어준다.
그런 다음 위험표시 도형이 보여질 수 있게 시트부재(20)를 완전히 권출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 3 체결부재(40)의 자성체(42)를 트렁크 바닥면에 자력을 이용해 고정시켜 준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10 : 본체
11 : 제 1 체결부재
11a : 제 1 체결공
12 : 슬릿
13 : 벨크로부재
20 : 시트부재
21 : 고정봉
21a : 스토퍼
22 : 위험경고 도형
30 : 제 2 체결부재
31 : 제 1 고정고리
40 : 제 3 체결부재
41 : 제 2 고정고리
42 : 자성체
50 : 제 4 체결부재
51 : 제 3 고정고리
52 : 제 2 체결공
53 : 스프링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제 1 체결공(11a)이 형성된 제 1 체결부재(11)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12)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수용공간 내에 권취 된 상태로 보관되되 상기 슬릿(12)을 통해 그 단부가 노출되어 있어 잡아당김 여부에 따라 권출 되었다가 자동으로 권취되고, 상기 슬릿(12)을 통해 노출된 단부에는 슬릿(12) 외측에 지지되는 고정봉(21)이 구비되며, 위험경고 도형(22)이 표시되는 시트부재(20);
    일측이 상기 고정봉(21)에 탈착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제 1 고정고리(31)가 구비된 제 2 체결부재(30); 및
    일측에는 제 2 고정고리(41)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체결공(11a) 및 제 1 고정고리(31)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자성체(42)가 구비되어 차량 일측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제 3 체결부재(40)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11) 및 제 3 체결부재(40) 사이와, 상기 제 2 체결부재(30) 및 제 3 체결부재(40) 사이에는 설치조건에 따라 제 4 체결부재(50)가 더 연결되되,
    상기 제 4 체결부재(50)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고정고리(31) 및 제 1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제 3 고정고리(5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2 고정고리(41)가 체결되는 제 2 체결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고리(51) 및 제 2 체결공(52) 사이에는 길이조절 가능한 스프링(53)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1)은 차량 트렁크의 구조에 따라 고정봉(21)이 트렁크 도어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본체(10)가 트렁크 도어 측으로 향하도록 뒤집혀져 설치되며, 이를 위해 전술한 위험경고 도형(22)은 전술한 시트부재(20)의 양면 모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차량 트렁크의 바닥에 구비된 매트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벨크로부재(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21)의 양단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3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스토퍼(21a)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50005132U 2015-07-30 2015-07-30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KR200481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32U KR200481999Y1 (ko) 2015-07-30 2015-07-30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32U KR200481999Y1 (ko) 2015-07-30 2015-07-30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999Y1 true KR200481999Y1 (ko) 2016-12-06

Family

ID=5757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32U KR200481999Y1 (ko) 2015-07-30 2015-07-30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9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371B1 (ko) * 2020-12-10 2021-05-25 김태홍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KR20210119245A (ko) * 2020-03-24 2021-10-05 (주)케이원글로벌모터스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안전표지판
KR20220143224A (ko) * 2021-04-15 2022-10-25 한국도로공사 도로 점검용 안전 표지 장치
US11935435B1 (en) * 2021-01-13 2024-03-19 Robert Allen Rear vehicle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181A (ko) 1996-11-27 1998-08-17 박병재 렌치 볼트의 토크측정 보조구
KR19980032981U (ko) * 1996-12-05 1998-09-05 박병재 자동차의 야간정차 표시장치
KR20120031663A (ko) * 2010-09-27 2012-04-04 만 길 박 차량용 비상경고등
KR101308606B1 (ko) 2012-02-17 2013-09-23 이동희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KR101506290B1 (ko) 2014-12-01 2015-04-07 강수일 자동차용 기능성 안전표지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181A (ko) 1996-11-27 1998-08-17 박병재 렌치 볼트의 토크측정 보조구
KR19980032981U (ko) * 1996-12-05 1998-09-05 박병재 자동차의 야간정차 표시장치
KR20120031663A (ko) * 2010-09-27 2012-04-04 만 길 박 차량용 비상경고등
KR101308606B1 (ko) 2012-02-17 2013-09-23 이동희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KR101506290B1 (ko) 2014-12-01 2015-04-07 강수일 자동차용 기능성 안전표지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245A (ko) * 2020-03-24 2021-10-05 (주)케이원글로벌모터스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안전표지판
KR102360134B1 (ko) * 2020-03-24 2022-02-09 (주)케이원글로벌모터스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안전표지판
KR102255371B1 (ko) * 2020-12-10 2021-05-25 김태홍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US11935435B1 (en) * 2021-01-13 2024-03-19 Robert Allen Rear vehicle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KR20220143224A (ko) * 2021-04-15 2022-10-25 한국도로공사 도로 점검용 안전 표지 장치
KR102531574B1 (ko) 2021-04-15 2023-05-12 한국도로공사 도로 점검용 안전 표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999Y1 (ko)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CN105035327B (zh) 厨房部段、交通工具的舱室及具有该舱室的飞行器
US10576869B2 (en) Self-retractable cargo net
KR101985536B1 (ko) 차량용 안전 표지판
US8303042B2 (en) Deployable/stowable seat mounted seat belt webbing comfort guide
JP200907325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US20080005967A1 (en) Stow-away pet barrier for use in a motor vehicle
KR102018275B1 (ko) 차량 비치용 led 자동 안전삼각대
GB2063970A (en) Vehicle Hazard Warning Device
US9399390B1 (en) Retractable tarpaulin for use with a pickup truck bed
US3117549A (en) Safety warning signal for vehicles
US11376452B2 (en) Device for the provision of oxygen masks when required
KR102450405B1 (ko) 위험 표지판 세트
KR101156067B1 (ko) 비상주차 차량용 안전표지대
KR20150029968A (ko) 차량용 안전 표시 장치
KR102063359B1 (ko) 차량용 안전 표시장치
JP2009227223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493127Y1 (ko)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원터치 안전표지판
KR200466232Y1 (ko) 차량용 경고판
JP3212038U (ja) 道路標識
US8827299B1 (en) Trailer attachment guide assembly
KR102360134B1 (ko)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안전표지판
KR200252711Y1 (ko) 자동차의 야간정차 표시장치
US9346408B2 (en) Device for arranging a reflective-vest device on a side door of a motor vehicle
KR20160063094A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