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371B1 -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371B1
KR102255371B1 KR1020200172380A KR20200172380A KR102255371B1 KR 102255371 B1 KR102255371 B1 KR 102255371B1 KR 1020200172380 A KR1020200172380 A KR 1020200172380A KR 20200172380 A KR20200172380 A KR 20200172380A KR 102255371 B1 KR102255371 B1 KR 10225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ehicle
case
disposed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김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홍 filed Critical 김태홍
Priority to KR102020017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안전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는, 차량의 트렁크 내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롤 형태로 수납된 스크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이 감겨지는 스크린축;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타단이 결합되는 스크린바; 및 상기 스크린바에 배치되고, 차량의 트렁크도어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락(lock)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안전표시장치를 이용할 경우, 차량이 도로에 긴급정차하는 상황에서, 차량 내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트렁크에 배치된 안전표지판을 자동으로 전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표시장치{SAFETY INDIC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귀반사필름을 이용한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행 중 차량의 고장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을 도로 변에 정차시킨 후, 차량의 후미에 안전 삼각 표시대를 일정 거리를 띄워서 세우게 된다.
만일 이러한 안전 표시대를 설치하지 않으면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주위를 소홀히 하게 되어 고장 차량과 추돌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특히 야간에는 그 위험성이 더욱 증대된다. 이러한 안전 표시대는 통상 트렁크 룸의 밑바닥에 스페어 타이어나 오.브이.엠(OVM) 공구 등과 함께 비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안전 표시대는, 예를 들어 고속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는 적어도 200m의 거리를 확보해야 하고, 이를 위해 운전자가 위험한 고속도로 위를 걸어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트렁크에서 전개할 수 있는 안전 표시대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 표시대는 복수의 박편이 이음줄로 상호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제조상 어려움, 생산단가의 상승 등이 발생하였다. 또한, 수동으로 안전 표시대를 트렁크에서 전개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 후미로 직접 이동하여 안전 표시대를 전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안전 표시대는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높은 시인성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박편이 이음줄로 연결되면 평면을 유지하기 어려워 외형이 일부 훼손될 수 있고, 형광 물질이 벗겨지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안에서 트렁크에 배치된 안전표지판을 자동으로 전개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용 안전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는, 차량의 트렁크 내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롤 형태로 수납된 스크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이 감겨지는 스크린축;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타단이 결합되는 스크린바; 및 상기 스크린바에 배치되고, 차량의 트렁크도어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락(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패브릭(fabric)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브릭 원단의 일 측면에 삼각 안전 표지판이 인쇄되고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크린이 전개되었을 때, 상기 패브릭 원단의 상기 일 측면이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제1 설치형에 따라 상기 트렁크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설치형의 배치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패브릭 원단의 타 측면이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제2 설치형에 따라 상기 트렁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락은, 상기 스크린바에 배치되는 락모터; 및 상기 락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상기 락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트렁크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락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바는, 상기 락커를 내부에 수용하여 은닉시키고, 상기 락커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커는, 상기 락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락베이스; 및 상기 락베이스의 일 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락베이스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차량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트렁크도어를 향하게 배치된 후면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커의 작동 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케이스의 후면벽 보다 더 후방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차량이 도로에 긴급정차할 경우, 차량 내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트렁크에 배치된 안전표지판을 자동으로 전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트렁크도어가 개방되는 힘을 이용하여 안전표시장치의 스크린을 전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스크린바에 은닉된 락이 트렁크도어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 시에만 스크린을 전개하고 일반적인 경우에는 은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락이 스크린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트렁크도어와의 상호 걸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스크린바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통해 스크린의 후면에 빛을 제공하여 후방 차량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삼각 안전 표지판이 인쇄된 스크린의 후면에 영상을 프로젝션을 이용하여 투영함으로써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가 전개되었을 때 차량의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가 전개되었을 때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락이 스크린바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이 스크린바에 수용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바와 케이스 사이의 결합 관계를 케이스의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도면에서 락커가 외부로 돌출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설치형에 따른 케이스 설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제2 설치형에서 스크린바와 케이스 사이의 결합 관계를 케이스의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도면에서 락커가 외부로 돌출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도면에서 차량 트렁크가 개방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의 동작에 관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는 차량의 트렁크(1)에 배치된다.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는 트렁크도어(2)의 개방 시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는 차량의 조작버튼(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버튼은 비상버튼 또는 트렁크개폐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상버튼을 짧게 누를 경우, 방향지시등 및 후미등이 점멸되고, 상기 비상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누를 경우,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가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트렁크 개폐버튼을 짧게 누를 경우, 상기 트렁크도어(2)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고, 상기 트렁크 개폐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누를 경우,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가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비상버튼 및 트렁크개폐버튼을 동시에 누를 경우,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가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상버튼이나 트렁크 개폐버튼과 구별되는 활성화버튼이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차량 내부에서 활성화버튼을 누를 경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가 트렁크도어(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기존의 트렁크 개폐버튼을 누를 경우, 트렁크도어(2)가 개방되면서 트렁크도어(2)에 상호 걸림된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가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버튼 또는 트렁크개폐버튼의 동작에 관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종합하면,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는 상기 트렁크도어(2)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트렁크도어(2)의 개방 시 상기 트렁크도어(2)의 개방에 따라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는 트렁크도어(2)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트렁크도어(2)의 개방 시 미전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렁크도어(2)의 개방 시 상기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가 항상 전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차량이 비상 정차해야 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상기 차량 내에서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위험 노출을 최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롤 형태로 수납된 스크린(120)과, 상기 케이스(1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120)이 감겨지는 스크린축(130)과, 상기 스크린축(1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축탄성부재(미도시)와, 상기 케이스(110)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120)이 결합되는 스크린바(150)와, 상기 스크린바(150)에 배치되고,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트렁크도어(2)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락(2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좌우 폭이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10)는 좌우 폭이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트렁크(1)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트렁크(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는 트렁크(1) 내부에 은닉된 상태로 트렁크(1)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상기 스크린(120)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에 상기 스크린(120)이 인출될 수 있는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는 슬릿 없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스크린축(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축(130)은 상기 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스크린축(130)은 상기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축(130)의 좌측단(131, 후방에서 볼 때)이 상기 케이스(110)의 좌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축(130)의 우측단(132, 후방에서 볼 때)이 상기 케이스(110)의 우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축(130)의 축방향(C-C)은 케이스(110)의 좌우 폭에 따라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축(130)에 상기 축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린축(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축(130)의 회전 시 상기 축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축(1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스크린(120)은 상기 스크린축(130)의 외주면에 감겨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120)의 일단은 상기 스크린축(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린바(1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바(150)가 트렁크도어(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스크린(120)이 상기 스크린축(130)에서 풀리면서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120)은 차량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전개된다. 상기 축탄성부재가 상기 스크린(120)의 하단을 당겨서 상기 스크린(120)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린바(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바(150) 및 케이스(110)의 좌우 폭(차량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스크린바(150)의 좌우 폭이 케이스(110)의 폭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120)이 상기 축탄성부재에 의해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바(150)는 상기 케이스(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중에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축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스크린(120) 및 스크린바(150)를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렁크도어(2)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락(200)이 스크린바(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바(150)는, 이러한 락(200)의 적어도 일부(후술하는 제1 락커(230)일 수 있음)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돌출개구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가 전개되었을 때 차량의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가 전개되었을 때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120)의 좌측가장자리 및 우측가장자리에 각각 와이어(121, 1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와이어(121)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와이어(122)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121) 및 제 2 와이어(122)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121) 및 제 2 와이어(122)는 상기 스크린축(130)에 감길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121) 및 제2 와이어(122)는 상기 스크린(120)을 팽팽하게 당겨 장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스크린(120)은, 패브릭(fabric) 원단을 포함하고, 패브릭 원단의 일 측면에 삼각 안전 표지판(125)이 각종 잉크 또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 안전 표지판(125)은 PVC Micro 프리즘 재질로 패브릭 원단의 일 측면에 인쇄될 수 있다. 삼각 안전 표지판(125)은 노란색 또는 붉은색일 수 있다.
또한, 스크린(120)은 삼각 안전 표지판(125)이 인쇄된 패브릭 원단의 일 측면에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될 수 있다.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된 스크린(120)의 일 측면이 차량 후방을 향하도록 케이스(110)가 트렁크(1)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이하, 제1 설치형으로 지칭될 수 있음), 재귀반사필름에 의해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재귀반사(retro reflection)되어 다시 후방 차량의 광원 방향으로 복귀한다. 종래의 삼각 안전 표지판은 빛을 일부만 반사시키기 때문에 시인성이 차량의 진입 각도에 따라 크게 저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2)은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되어 있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전조등 불빛에 의해 재귀반사된 삼각 안전 표지판(125)을 매우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패브릭 원단은, 롤에 감겨지고 풀릴 때 복원성이 우수하며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프로젝션할 때 높은 휘도로 표현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원사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된 스크린(120)의 일 측면의 타 측면이 차량 후방을 향하도록 케이스(110)가 트렁크(1)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즉, 제1 설치형의 배치를 180도 회전시켜 트렁크 내에 배치한 설치 형태로서, 이하, 제2 설치형으로 지칭될 수 있음), 패브릭 원단의 타 측면(또는 스크린(120)의 타 측면)을 통해 영상을 프로젝션시킴으로써 영상감상용으로도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브릭 원단의 타 측면에 PE 필름(Polyethylene Film) 또는 PET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 코팅될 수도 있다. PE 필름 또는 PET 필름은 영상이 프로젝션될 때 우수한 평활도와 높은 휘도로 영상을 표현할 수 있어 프로젝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스크린바(150)의 저면(156)에는 발광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6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LED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6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부재(160)는 상기 스크린바(15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60)는 상기 제 1 와이어(121) 또는 제 2 와이어(122)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60)가 스크린바(150)의 저면(156)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전표지판(125)보다 상측에서 상기 안전표지판(125)을 향해 빛을 투사하고, 상기 발광부재(160)에서 투사된 빛이 상기 안전표지판(125)에서 반사됨으로써 외부의 빛이 없더라도(즉, 차량의 전조등이 후방에서 제공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높은 시인성으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이외의 측면 차량, 사람, 동물 등도 안전표지판(125)을 쉽게 식별할 수가 있다.
차량의 조작버튼에 조작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안전표시장치(100)가 작동될 경우, 상기 발광부재(160)에 전원이 인가되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표시장치(100)가 완전히 전개되기 전에 상기 발광부재(160)에서 발광된 빛을 통해 후방 차량의 주의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락이 스크린바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락(200)은, 스크린바(150)의 내부에 배치되는 락모터(210)와, 상기 락모터(210)의 모터축(211)에 연결되고, 상기 락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락커(230)를 포함한다.
상기 락모터(210)는 상기 스크린바(1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211)은 제1 락커(230)의 회전 평면(회전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락(200)은, 상기 락모터(210)의 모터축(211) 및 제1 락커(230)를 서로 연결하여 모터축(211)의 회전력을 락커(23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모터축(211)의 회전수를 감속할 수 있는 기어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모터(210)는 스텝모터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축이음일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락커(230)는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락커(230)는 동력전달부재(22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스크린바(150) 내부에 은닉되거나 스크린바(150)의 좌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스크린바(15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커(230)는 상기 스크린바(150)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축(211)의 회전에 상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린바(15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커(230)가 스크린바(150)의 외부로 돌출될 경우, 제1 락커(230)는 상기 트렁크도어(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락커(230)가 스크린바(150)에 은닉될 경우, 상기 트렁크도어(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락커(23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락커(230)는 상기 동력전달부재(220)와 결합되는 락베이스(232)와, 상기 락베이스(232)의 일 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락베이스(232)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걸림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락베이스(232)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락베이스(232)의 일측에 상기 동력전달부재(220)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걸림부(234)가 배치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상기 락베이스(232)의 하측 면에 동력전달부재(220)의 회전축이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락베이스(23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4)는 상기 락베이스(232)와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락커(230)의 회전 시, 상기 걸림부(234)는 상기 스크린바(15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4)는 상기 락베이스(232)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커(230)가 스크린바(150)의 외부로 노출될 경우, 상기 걸림부(234)는 상기 트렁크도어(2)의 운동반경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락(230)가 상기 스크린바(150) 내부에 은닉될 경우, 상기 걸림부(234)는 상기 트렁크도어(2)의 운동반경 밖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렁크도어(2)가 열릴 경우, 상기 스크린바(150) 밖으로 돌출된 걸림부(234)와 트렁크도어(20)가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트렁크도어(2)가 개방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스크린바(150) 전체가 차량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린바(150)의 양단에 균일한 힘이 전달되도록, 상기 락(200)은 상기 스크린바(15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락(200)은, 스크린바(150)의 중앙에 하나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이 스크린바에 수용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바(150)는, 제1 락커(230)를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제1 락커(230)가 돌출되는 돌출개구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개구부(151)는 상기 제1 락커(230)의 회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개구부(151)는 제1 락커(2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ㄱ"자 형상(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돌출개구부(151)는, 제1 락커(230)가 180도 또는 360도로 회전할 때 형성되는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돌출개구부(151)는, "ㄷ"자 형상이 90도만큼 회전한 형상 또는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락커(230)는, 돌출개구부(151)를 따라 회전하여 스크린바(150)의 후면벽(150a)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스크린바(150)의 전면벽(150a와 마주보는 반대쪽 벽면)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개구부(151)는 스크린바(150)의 후면벽(150a)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스크린바(1510)의 후면벽(150a)과 전면벽을 모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돌출개구부(151)가 스크린바(150)의 후면벽(150a)만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돌출개구부(151)는 트렁크도어(2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개구부(151)는 락(200)의 배치와 상응하도록 스크린바(15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200)이 도면과 같이 스크린바(150)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돌출개구부(151)도 스크린바(15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락(200)이 스크린바(15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 돌출개구부(151)도 스크린바(1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개구부(151)는 상기 락베이스(232)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락베이스(232)의 일부가 노출되는 베이스개구부(152)와, 상기 베이스개구부(152)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234)가 관통되어 이동되는 제 1 걸림개구부(153)와, 상기 베이스개구부(152)의 타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234)가 관통되어 이동되는 제 2 걸림개구부(154)를 포함한다.
제 1 걸림개구부(153)는 스크린바(150)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 2 걸림개구부(154)는 상기 제 1 걸림개구부(153) 보다 중간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개구부(151)가 상기 제 1 걸림개구부(153) 및 제 2 걸림개구부(154)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락커(230)가 180도 이상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락커(230)는 상기 제 1 걸림개구부(153)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2 걸림개구부(154)를 통해 상기 스크린바(150)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이 반대의 동작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걸림개구부(153) 및 제 2 걸림개구부(154)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될 경우, 상기 락모터(210)가 상기 제1 락커(230)를 90도만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 시 정밀도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락커(230)가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할 경우, 설치 정밀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1 락커(230)가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계될 경우, 케이스(110)를 스크린(120)의 일 측면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트렁크(1)에 설치하는 제1 설치형(즉,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된 면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 케이스(110)를 스크린(120)의 반대 측면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트렁크(1)에 설치하는 제2 설치형(즉,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된 면의 반대면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 모두에서 제1 락커(230)를 트렁크도어(2)와 마주보게 돌출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1 설치형과 제2 설치형에서 락모터(210)의 회전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제어되거나, 제1 설치형에서 락모터(210)가 90도만큼 회전하고, 제2 설치형에서 락모터(210)가 270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바와 케이스 사이의 결합 관계를 케이스의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도면에서 락커가 외부로 돌출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바(150)는, 케이스(110)의 상부면 상에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에 스크린바(150)가 배치될 경우, 제1 락커(230)가 90도 또는 -90도(또는 270도)만큼 회전하면 제1 설치형과 제2 설치형 모두에서 제1 락커(230)가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어 제1 락커(230)의 형상이 제1 설치형과 제2 설치형 모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스크린(120)이 스크린축(130)에 감겨있기 때문에 스크린바(150)가 케이스(110)의 상부면 상에서 일 측방향으로 치우쳐져 배치되는 것이 구현 상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바(150)가 스크린축(130)에 따라 감겨있는 스크린(120)이 외주면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케이스(110)의 바깥으로 풀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스크린바(150)가 케이스(110)의 상부면 상에서 일 측방향으로 치우쳐져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설치형에 따라 케이스(110)가 트렁크(1) 내부에 설치될 경우, 스크린바(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면 상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 중심(F-F)을 기준으로 차량 후방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설치형에서, 도 9를 참조하면, 제1 락커(230)의 걸림부(234)는 상기 케이스(110)의 일 측면(115) 보다 후방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설치형에 따른 케이스 설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제2 설치형에서 스크린바와 케이스 사이의 결합 관계를 케이스의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도면에서 락커가 외부로 돌출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도면에서 차량 트렁크가 개방되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설치형에서는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된 면의 반대면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케이스(110)를 트렁크(1)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된 면의 반대면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용도로도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제2 설치형에 따라 케이스(110)가 트렁크(1) 내부에 설치될 경우, 스크린바(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면 상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 중심(F-F)을 기준으로 차량 전방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바(150)가 차량 전방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1 설치형과 동일한 길이의 제1 락커(230)를 사용하면 트렁크도어(2)와의 상호 걸림이 어렵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설치형에서도 제1 락커(230)가 트렁크도어(2)와 상호 걸림될 수 있도록, 제1 설치형에 따른 제1 락커(230)의 락베이스(232)보다 연장된 길이의 락베이스(1232)를 갖는 제2 락커(123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락커(1230)가 스크린바(150) 내부에 은닉될 수 있도록, 돌출개구부(151)의 베이스개구부(152)가 제2 락커(1230)의 락베이스(1232)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락커(1230)도 제1 락커(230)의 걸림부(234)와 동일한 형태의 걸림부(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걸림부(1234)는 케이스(110)의 타 측면보다 차량 후방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락커(230)는 제2 락커(1230)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락커(1230)의 락베이스(1232)도 상기 동력전달부재(2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3과 도 4를 서로 비교하면, 스크린바(150)가 차량 전방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도 13에서의 스크린(120)이 지면과 더욱 수직하게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에서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스크린(120)에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영상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바(150)가 차량 전방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소형 프로젝터(300)를 케이스(110) 내부에 내장하고, 소형 프로젝터(300)를 이용하여 스크린(120)에 영상을 투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형 프로젝터(300)는 스크린(120)에 영상을 투사하기 용이하도록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차량의 후방 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크린바(150)를 차량 전방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할 때, 소형 프로젝터(300)를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소형 프로젝터(300)는 케이스(110)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바(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소형 프로젝터(300)가 케이스(110) 상부면에서 차량의 후방 측에 인접하게 거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케이스(110)의 상부면에서 차량의 후방 측에 인접하게 거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재귀반사는 입사된 광을 입사된 방향으로 그대로 되돌려 보내는 반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물체에서 나온 빛이 다시 원래의 자리로 다시 되돌아가기 때문에 시인성이 매우 높다.
도 14를 참조하여, 스크린(120)의 패브릭 원단(11) 상에 코팅된 재귀반사필름(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재귀반사필름(20)은, 패브릭 원단(11) 상에 형성되어 반사층(13)과 패브릭 원단(11)을 서로 접합시키는 접착층(12), 접착층(12) 상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층(13), 글라스 비즈층(15)과 반사층(13)이 서로 밀착 형성되도록 보조하는 프라이머층(14), 프라이머층(14) 상에 형성되며 고정층(16)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층(13)에 집속시키고 반사층(13)에서 반사되는 광을 입사된 방향으로 재귀 반사시키는 글라스 비즈층(15), 및 글라스비즈층(15) 상에 형성되어 반사층(13)을 보호하는 고정층(16)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13)은, 광반사 특성이 우수한 금속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반사층(13)은 굴절률이 서로 상이한 2개 이상의 금속 산화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13)은 제1 굴절률을 갖는 제1 금속산화물층, 제1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을 갖는 제2 금속산화물층, 및 제1 굴절률보다 크거나 같은 굴절을 갖는 제3 금속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금속 산화물층은, TiO2, Nb2O5, Zn03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속 산화물층은, SiO2를 증착하여 형성된 투명 금속 산화물층일 수 있다.
글라스 비즈층(15)은, 다수의 글라스 비즈(glass beads)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글라스 비즈는, 고정층(16)을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층(13)에 집속시키고 반사층(13)에서 반사되는 광을 입사된 방향으로 재귀 반사시킬 수 있다.
고정층(16)은, 폴리에스테리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그라비아 인쇄, 실크스크린, 플렉소인쇄, 및 옵셋 인쇄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투명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있어 외부에서 삼각 안전 표지판(125)의 시인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다수의 금속산화물층을 포함하는 반사층(13)을 포함하고 있어 재귀반사필름(20)의 전체에 고르게 빛이 전달 및 반사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의 동작에 관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는, 제어부(31), 메모리(32), 통신 모듈(33), 트리거링부(34), 및 전원 공급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5)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제어부(31)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32)는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3)은, 차량 내부의 비상버튼이나 트렁크 개폐버튼, 또는 활성화버튼으로 제공되는 조작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통신 모듈(33)은 차량 내부의 통신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트리거링부(34)는, 통신 모듈(33)을 통해 수신되는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와 트렁크도어(2) 사이의 상호 걸림 동작을 지시하는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버튼이나 트렁크 개폐버튼을 그대로 제어 신호로 사용할 경우 비상버튼이나 트렁크 개폐버튼을 누르는 조작 만으로 차량용 안전표시장치(100)가 트렁크도어(2)에 걸릴 수 있어 오동작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링부(34)는, 비상버튼이나 트렁크 개폐버튼의 조작신호를 별도로 공급되는 기준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조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링부(34)는, 활성화버튼의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조작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태 감지부(36)는, 트링거링부(34)의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트리거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케이스(110)가 트렁크(1)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1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은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향해 각각 돌출된 감지 스프링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는 트렁크(1) 내의 공간에서 차량의 후방과 인접한 내부면과 접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110)가 설치되면, 감지 스프링 버튼들 중 하나가 차량의 후방과 인접한 내부면에 눌릴 수 있다.
따라서, 상태 감지부(36)는, 상술한 감지 버튼들의 눌림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케이스(110)가 제1 설치형에 따라 설치되었는지 또는 제2 설치형에 따라 설치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케이스(110)가 트렁크(1)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예를들어, 1 또는 0의 이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트리거 신호와 상태 감지부(36)에서 제공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락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신호가 활성화되고,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케이스(110)가 제1 설치형에 따라 설치된 경우, 제어부(31)는, 락모터(21)를 제1 회전방향을 따라 90도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신호가 활성화되고,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케이스(110)가 제2 설치형에 따라 설치된 경우, 제어부(31)는, 락모터(21)를 제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트리거 신호가 활성화되고,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케이스(110)가 제1 설치형에 따라 설치된 경우, 제어부(31)는, 락모터(21)를 제1 회전방향을 따라 90도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신호가 활성화되고,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케이스(110)가 제2 설치형에 따라 설치된 경우, 제어부(31)는, 락모터(21)를 제1 회전방향을 따라 270도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트렁크 2: 트렁크도어
11: 패브릭 원단 12: 접착층
13: 반사층 14: 프라이머층
15: 글라스 비즈층 16: 고정층
20: 재귀반사필름 31: 제어부
32: 메모리 33: 통신 모듈
34: 트리거링부 35: 전원 공급부
36: 상태 감지부 10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110: 케이스 115: 케이스의 일 측면
116: 케이스의 타 측면 120: 스크린
121: 제1 와이어 122: 제2 와이어
125: 삼각 안전 표지판 130: 스크린축
150: 스크린바 151: 돌출개구부
152: 베이스개구부 153: 제1 걸림개구부
154: 제2 걸림개구부 160: 발광부재
200: 락 210: 락모터
211: 모터축 220: 동력전달부재
230: 제1 락커 232: 락베이스
234: 걸림부 1230: 제2 락커

Claims (6)

  1. 차량의 트렁크 내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롤 형태로 수납된 스크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이 감겨지는 스크린축;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의 타단이 결합되는 스크린바; 및
    상기 스크린바에 배치되고, 차량의 트렁크도어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락(lock)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패브릭(fabric)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브릭 원단의 일 측면에 삼각 안전 표지판이 인쇄되고 재귀반사필름이 코팅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크린이 전개되었을 때, 상기 패브릭 원단의 상기 일 측면이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제1 설치형에 따라 상기 트렁크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설치형의 배치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패브릭 원단의 타 측면이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제2 설치형에 따라 상기 트렁크 내에 배치되고,
    상기 락은,
    상기 스크린바에 배치되는 락모터; 및
    상기 락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상기 락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트렁크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락커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스크린바는,
    상기 락커를 내부에 수용하여 은닉시키고, 상기 락커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개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락커는,
    상기 락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락베이스;
    상기 락베이스의 일 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락베이스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차량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트렁크도어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KR1020200172380A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KR10225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80A KR102255371B1 (ko)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80A KR102255371B1 (ko)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371B1 true KR102255371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380A KR102255371B1 (ko)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3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44U (ko) * 2007-09-20 2009-03-25 최해용 차량스크린장치
KR200469307Y1 (ko) * 2012-06-08 2013-10-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481999Y1 (ko) * 2015-07-30 2016-12-06 김진권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KR20170045666A (ko) * 2015-10-19 2017-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KR20170075340A (ko) * 2015-12-23 2017-07-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위험 표지판 세트
KR101857941B1 (ko) * 2018-02-26 2018-05-14 박세헌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44U (ko) * 2007-09-20 2009-03-25 최해용 차량스크린장치
KR200469307Y1 (ko) * 2012-06-08 2013-10-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481999Y1 (ko) * 2015-07-30 2016-12-06 김진권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롤 타입 안전표지장치
KR20170045666A (ko) * 2015-10-19 2017-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KR20170075340A (ko) * 2015-12-23 2017-07-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위험 표지판 세트
KR101857941B1 (ko) * 2018-02-26 2018-05-14 박세헌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118B2 (en) Plate
US20100132232A1 (en) Illuminated license plate
CN108290516A (zh) 具有环境照明装置的机动车
US9454005B2 (en) Lens deployment apparatus
US20180229648A1 (en) Multifunction lamp unit and rear view device therewith
KR102255371B1 (ko)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US11731553B2 (en) Automatic safety tripod for vehicle
KR101734258B1 (ko)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KR200480975Y1 (ko) 교통 안전 표지판의 제어 장치 및 제어 시스템
US20150068081A1 (en) Internally illuminated sign device
KR102295419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100849796B1 (ko) 차량용 후방 카메라
JP2020161446A (ja) 回転コネクタ装置
KR102511624B1 (ko) 카메라 모듈
KR10198481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표시장치
WO2019244608A1 (ja) 車両窓部材及び車両窓発光装置
WO2010010986A1 (en) Blind spot lens for vehicle
KR20230057718A (ko)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KR200488866Y1 (ko) 차량용 안전 표지판
KR200497065Y1 (ko) 영상표시기능을 갖는 주차장 차단장치
JP4498112B2 (ja) 車両用スイッチ
JPS5925689B2 (ja) 自動車エンジンの始動制御用運転免許証収納ケ−ス
US20240077184A1 (en) Infrared lamp device and infrared lamp system for a vehicle
KR102422047B1 (ko) 비상표시대 장착형 선루프
KR101663182B1 (ko) 교통 안전 표지판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