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796B1 - 차량용 후방 카메라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796B1
KR100849796B1 KR1020070045575A KR20070045575A KR100849796B1 KR 100849796 B1 KR100849796 B1 KR 100849796B1 KR 1020070045575 A KR1020070045575 A KR 1020070045575A KR 20070045575 A KR20070045575 A KR 20070045575A KR 100849796 B1 KR100849796 B1 KR 10084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guide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차량 후방의 차체에 일정크기의 개구를 하부단에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차량의 후진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가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왕복이동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차량에 부착되는 후방번호판을 조명하는 램프가 설치된 가니쉬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카메라의 렌즈가 세차 시나 주행 또는 주차 중에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가 평상시에도 돌출되어 있거나, 렌즈 색상과 차량 도색 색상의 차이로 인한 외관상 미관을 해치는 불리한 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
자동차, 카메라, 가니쉬

Description

차량용 후방 카메라{Rear Camera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를 장착한 차량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2a와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a와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추가 구비되는 보호부의 일실시형태와 다른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수용부 120 : 카메라부
130 : 구동부 140 : 안내부
150 : 보호부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진 주행시 차량 후방의 시야 확보를 위해서 후진 기어 작동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후방 카메라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시에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차량 후방의 시야를 확보해 줌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후방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은 최근 들어 도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그와 관련된 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1653호, 등록특허공보 10-0193786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후방 카메라는 차량의 후방에 차량용 후방 카메라가 그 렌즈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장착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운전석의 AV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고, 운전자는 차량의 후진 주행시 또는 후진 주차시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후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장착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는 그 렌즈가 항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서, 차량의 후방에서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세차시나 주행시 모래, 자갈 등에 의해 렌즈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차량 후방을 장식하는 가니쉬(garnish) 부분과 차량용 후방 카메라의 렌즈 부분이 서로 다른 색상을 띠게 되어 차량의 외관 측면에서 불리하게 되고, 자동차 디자인 설계시에도 제약조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평상시에는 차량 후방의 차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차량의 후진시에는 지면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 후방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차량용 후방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 후방의 차체에 일정크기의 개구를 하부단에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차량의 후진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가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왕복이동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차량에 부착되는 후방번호판을 조명하는 램프가 설치된 가니쉬 내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부재와, 이에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부재와, 이에 접하는 상기 카메라부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안내홈과,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에 조립되는 안내레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된 체인과, 상기 체인이 감긴 회전축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체인을 안내하는 체인가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형성된 래크(rack)와, 이에 맞물리는 피니언(pinion)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서 상기 개구를 덮도록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외부노출시 상기 렌즈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절개부를 갖는 고무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외부노출시 상기 렌즈가 통 과하는 신축홀을 갖는 고무판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방 카메라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를 장착한 차량을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2a와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추가 구비되는 보호부의 일실시형태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차량용 후방 카메라(100)는 수용부(110), 카메라부(120),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110)는 차량(10) 후방의 차체 프레임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부(120)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2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갖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박스형상의 하우징(112)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2)의 하부단에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출입가능 하도록 일정크기의 개구(114)를 갖는다.
상기 수용부(110)는 상기 차량(10)의 차체 후방에 구비되는 가니쉬(11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니쉬(116)는 차량(10) 후방에 위치하는 트렁크 도어의 후면에 구비되는 되는 리어테일이거나 크롬도금판 또는 로고가 표시되는 장식물이다.
이러한 가니쉬(116)는 상기 차량(10)의 후방 차체에 일부가 함몰된 부분에 부착되는 후방번호판(119)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후방번호판(119)을 조명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커버일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20)는 차량(10)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차량(10) 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카메라부(120)는 상기 수용부(110)내에서 안내부(140)를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위치되는 안내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몸체(124) 외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42)와, 이에 접하는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내부면에 형성되는 안내면(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142)는 상기 안내면에 외접하는 베어링, 롤러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안내부(140)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부재와, 이에 접하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몸체(124) 외부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면에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120)의 몸체(124) 일측면에 상기 안내홈과 조립되는 돌출된 안내가이드를 갖추어 상기 안내부(14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몸체(124)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10)의 후진시 이를 인식하여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상기 개구(114)를 출입하도록 상기 카메라부(120)를 왕복 이동시키는 외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상기 몸체(124)와 연결된 체인(132), 상기 체인(132)이 감긴 회전축(13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34) 및 상기 체인(132)의 풀림 또는 감김 시 체인(132)을 안내하는 체인가이더(1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후진기어 입력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134)가 회전축(133)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인(132)이 체인가이더(135)를 따라 풀리면서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개구(1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에 후진 기어 입력 신호가 없으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모드로 돌아가기 위해 다시 상기 모터(134)가 회전축(133)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체인가이더(135)를 따라 체인(132)이 감기면서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상기 하우징(112) 내로 들어와 차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4)의 일측면에 형성된 래크(rack)(138) 및 이에 맞물리는 피니언(pinion)(139)을 구동하는 모터(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차량(10)의 후진기어 입력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134)가 피니언(pinion)(139)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면, 이에 맞물리는 래크(rack)(138)에 의해 카메라부(120)의 몸체(124)가 개구(114)를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122)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후진기어 입력신호가 없으면, 평상시 모드로 돌아가기 위해 다시 상기 모터(134)가 피니언(pinion)(139)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맞물린 래크(rack)(138)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120)의 몸체(124)가 하우징(11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서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부(110)에는 상기 하우징(112)에 수용되는 카메라부(120)의 렌즈(122)를 보호하도록 보호부(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부(150)는 상기 하우징(112)의 하부단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114)를 덮는다.
상기 보호부(15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20)의 외부노출시 상기 렌즈(122)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렌즈(122)가 통과하는 신축홀(156) 을 갖는 고무판(152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판(152a)은 상기 신축홀(156)이 평상시에는 상기 렌즈(122)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홀로 유지되다가, 상기 차량(10)의 후진시에는 상기 카메라부(120)가 구동부(130)에 의해 하강하는 힘에 밀려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의 크기가 충분히 확장될 수 있는 탄성력을 구비한다.
상기 신축홀(156)은 탄성부재의 특성상 상기 고무판(152a)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보호부(15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20)가 외부 노출시 상기 렌즈(1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렌즈(122)와 대응되는 영역에 복수개의 절개부(154)를 갖는 고무판(152b)으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상기 개구(114)를 덮고 있고, 차량(10) 후진시에는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카메라부(120)가 하강하는 힘에 밀려 절개부(154)가 벌어지면서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통과하여 카메라부(120)가 외부노출된다.
이렇게 카메라부가 차량의 후진시에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차체 내부에 삽입되게 됨으로써, 평상시 차량의 후방에서는 카메라부의 렌즈가 보이지 않게 되고, 차량 외부에서 제공되는 요인에 의해서 렌즈가 파손될 위험을 줄이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레버가 후진기어에 위치된 경우 이를 인식하여 후방카메라의 렌즈가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후방카메라의 보호를 위하여 후방카메라가 수용부 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카메라의 렌즈가 세차 시나 주행 또는 주차 중에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카메라가 돌출되어 있어 렌즈 색상과 차량 도색 색상의 차이로 인하여 외부 디자인 설계시 미관을 해치는 불리한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차량(10) 후방의 차체에 일정크기의 개구(114)를 하부단에 갖는 하우징(112)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안내부(140)를 구비하는 수용부(110);
    상기 하우징(112)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부(14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카메라부(120); 및
    상기 차량의 후진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2)가 상기 개구(1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카메라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140)를 따라 상기 카메라부(120)를 왕복이동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110)는 상기 차량에 부착되는 후방번호판을 조명하는 램프가 설치된 가니쉬(116)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42)와, 이에 접하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면(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40)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42)와, 이에 접하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안내면(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40)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안내홈과, 상기 카메라부(120)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에 조립되는 안내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20)와 연결된 체인(132)과, 상기 체인이 감긴 회전축(133)을 구동하는 모터(134) 및 상기 체인을 안내하는 체인가이더(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래크(rack)(138)와, 이에 맞물리는 피니언(pinion)(139)을 구동하는 모터(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2)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를 보호하는 보호부(150)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150)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단에서 상기 개구(114)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외부노출시 상기 렌즈(122)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절개부를 갖는 고무판(15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20)의 외부노출시 상기 렌즈(122)가 통과하는 신축홀(156)을 갖는 고무판(15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KR1020070045575A 2007-05-10 2007-05-10 차량용 후방 카메라 KR10084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75A KR100849796B1 (ko) 2007-05-10 2007-05-10 차량용 후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75A KR100849796B1 (ko) 2007-05-10 2007-05-10 차량용 후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796B1 true KR100849796B1 (ko) 2008-07-31

Family

ID=3982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575A KR100849796B1 (ko) 2007-05-10 2007-05-10 차량용 후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7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86B1 (ko) 2011-06-02 2013-03-13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카메라장치
KR102062610B1 (ko) 2018-10-30 2020-01-06 김은대 유아 및 어린이 이송 차량의 안전 확인장치
CN113135145A (zh) * 2021-05-27 2021-07-20 法可赛(太仓)汽车配件有限公司 电子后视镜装置以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088A (ja) * 2003-01-20 2004-08-12 Calsonic Kansei Corp 車両先端確認装置
KR200430380Y1 (ko) * 2006-08-28 2006-11-13 김병호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088A (ja) * 2003-01-20 2004-08-12 Calsonic Kansei Corp 車両先端確認装置
KR200430380Y1 (ko) * 2006-08-28 2006-11-13 김병호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86B1 (ko) 2011-06-02 2013-03-13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카메라장치
KR102062610B1 (ko) 2018-10-30 2020-01-06 김은대 유아 및 어린이 이송 차량의 안전 확인장치
CN113135145A (zh) * 2021-05-27 2021-07-20 法可赛(太仓)汽车配件有限公司 电子后视镜装置以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35782A (ja) 自動車用シグナルランプ
KR100849796B1 (ko) 차량용 후방 카메라
JP3193587B2 (ja) 自動車ドアハンドルにおける照明装置
JP2005225257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734258B1 (ko)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JP2008230608A (ja) 車室内の照明装置
KR20070022480A (ko) 자동차용 후방카메라의 자동출입장치
JP5547983B2 (ja) 車載通信装置
KR20120034495A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5004733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120034496A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120016504A (ko) 차량의 후방카메라 오염방지장치
JP4196907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4050958B2 (ja) 車両用インナミラー装置
JP7394693B2 (ja) 照明装置付サービスホールカバー
US11554712B2 (en) Vehicle lamp unit including sensor and irradiation device
JP2004182209A (ja) 自動車用方向指示器
US11458898B2 (en) Overhead console
KR101324637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2005178497A (ja) 車両用開閉機構部品
JP4050955B2 (ja) 車両用インナミラー装置
KR100680597B1 (ko) 리어시트 탑승자를 위한 사이드미러장치
JP4954106B2 (ja) チェーンゲート用チェーン視認具
ITMI20060436U1 (it) Adattatore per il fissaggio di un componente elettronico di sistema di pedaggio
JP2023170704A (ja) 車両用リ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