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637B1 - 차량용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637B1
KR101324637B1 KR1020110100173A KR20110100173A KR101324637B1 KR 101324637 B1 KR101324637 B1 KR 101324637B1 KR 1020110100173 A KR1020110100173 A KR 1020110100173A KR 20110100173 A KR20110100173 A KR 20110100173A KR 101324637 B1 KR101324637 B1 KR 10132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uide block
moving hole
outer panel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700A (ko
Inventor
이충혁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6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카메라가 설치되고 이동홀부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과, 이동홀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와, 가이드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부와, 이동홀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장치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후방카메라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에게 모니터를 통하여 차량 후방의 시계를 확보해주는 장치로서, 안전한 후진 주행 및 후진 주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자동차의 후방에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로 출력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가 상체를 후방 측으로 돌려 차량의 후방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모니터에 표시되는 후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5163호(2011년 7월 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렌즈가 외부로 항상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후방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차량과 후방카메라의 렌즈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비오는 날이나 세차작업을 행할 때에 카메라장치 내부로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고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고,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이동홀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가이드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이동홀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커버하는 인너패널;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인너패널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아우터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커버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패널을 상기 이동홀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인너패널을 상기 이동홀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힌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의 상부를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아우터패널을 상기 인너패널의 외벽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측 단부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내벽과 상기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아우터패널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힌지부와 교호로 배치되는 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힌지부를 교호로 배치시킨 후에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힌지부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하면 상기 아우터패널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회전부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홀부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안내돌기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이동홀부와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 상기 가이드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을 덮는 턱부; 및 상기 턱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는 실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이동홀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ㅁ'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격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턱부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턱부의 전면에 상기 실링패드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므로 카메라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카메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를 덮는 아우터패널에 차량의 엠블럼이 설치되므로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아우터패널은 복수 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아우터패널에 의해 카메라장치가 커버되는 경우에 외력에 의해 아우터패널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 내부에 보관될 수 있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장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분 유입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동절기에 수분이 결빙되어 카메라장치가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인너커버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아우터커버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작동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후방에 설치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인너커버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아우터커버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이동홀부(32)가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카메라(10)가 설치되고 이동홀부(32)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50)과, 이동홀부(32)를 개폐하는 커버(70)와, 가이드블록(50)을 출몰시키는 구동부(90)와, 이동홀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100)를 포함한다.
차량 외부를 확인해야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구동부(90)의 작동에 의해 카메라(10)가 설치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를 따라 돌출되면서 커버(70)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10)에 의해 차량 외부의 영상이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로 출력되므로 운전자는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후진 주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외부를 확인해야하는 상황이 해제되면 구동부(9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차량 내부로 삽입되고 커버(70)가 이동홀부(32)를 폐쇄하게 된다.
카메라(10)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10)가 이동홀부(32) 내측에 삽입되고 이동홀부(32)가 커버(70)에 의해 폐쇄되므로 카메라(1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홀부(3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에는 회전축(38)이 설치되는 힌지부(36)와, 회전축(38)에 설치되는 커버(70)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34)가 형성된다.
하우징(30)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이동홀부(32)가 형성되고, 하우징(30)의 전면에서 이동홀부(32)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회전축(38)이 배치되도록 다수 개의 힌지부(36)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3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70)의 하단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면 커버(70)의 하부에 의해 가려졌던 이동홀부(32)가 차량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부(34)는 하우징(30)의 하부로부터 커버(70) 측으로 돌출되므로 커버(70)의 하단이 차량의 내부 측으로 회전되지 않게 구속하고, 커버(70)의 상부와 하우징(30) 사이에 탄성부재(80)가 설치된다.
커버(7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탄성부재(80)는 커버(70)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 후방에 발생될 수 있는 외력에 의해 커버(7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탄성부재(80)는 커버(70)의 하단을 차량 내부로 가압하고, 커버(70)의 하단은 지지부(34)에 의해 차량 내부로 회전되지 않게 구속되므로 커버(70)의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차량의 세차작업을 진행할 때에 차량의 후방에 분사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커버(7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이 비오는 날에 후진 주행을 행할 때에는 커버(70)가 개방된 상태에서 카메라(10) 및 가이드블록(50)이 차량 외부로 노출되므로 우수가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유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방수부(100)에 의해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진 변속단이 조작된 상태서 차량의 시동을 Rm고 세차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카메라(10) 및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세척수가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유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방수부(100)에 의해 가이드블록(50)과 이동홀부(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70)는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이동홀부(32)를 개폐하는 인너패널(71)과,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인너패널(71)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아우터패널(75)을 포함한다.
구동부(90)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되면 가이드블록(50)이 인너패널(71)을 차량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인너패널(71) 및 아우터패널(75)의 하단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홀부(32)가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형성되는 홀부는 아우터패널(75)에 의해 개폐되고, 하우징(30)에 형성되는 이동홀부(32)는 인너패널(71)에 의해 개폐되므로 카메라(10)가 수납되는 이동홀부(32)의 내부 공간은 아우터패널(75) 및 인너패널(71)에 의해 2중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비가 오거나 세차작업을 행할 때에 카메라(10)가 보관되는 이동홀부(32) 내부로 우수나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인너패널(71)에는 회전축(38)이 삽입되는 관통홀부(72)가 형성된다.
관통홀부(72)는 인너패널(71)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관통홀부(72)의 중앙부가 절개되어 탄성부재(80)가 배치되는 공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관통홀부(72) 사이에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후술될 제2탄성부재(84)를 삽입한 후에 관통홀부(72)와 힌지부(36)에 회전축(38)을 삽입하면 이동홀부(32)를 개폐하도록 하우징(30)의 전면에 인너패널(71)이 장착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84)의 양단부는 아우터패널(75)과 하우징(30) 사이에 개재되어 아우터패널(75)을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아우터패널(75)에 의해 가압되는 인너패널(71)이 이동홀부(32)에 밀착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탄성부재(80)는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아우터패널(75)과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어 아우터패널(75)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82)와,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아우터패널(75)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84a)가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84)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82)와 제2탄성부재(84)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38)에 삽입되고, 제1탄성부재(82)는 하우징(30)의 힌지부(36) 사이에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82)의 양측 단부는 아우터패널(75)의 내벽과 하우징(30)의 힌지부(36) 사이에 개재되어 아우터패널(75)의 상부를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아우터패널(75)을 인너패널(71)의 외벽에 밀착시키게 된다.
아우터패널(75)에는 회전축(38)이 삽입되고 힌지부(36)와 교호로 배치되는 회전부(76)가 형성된다.
회전부(76)는 아우터패널(75)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가 형성되므로 회전부(76)와 힌지부(36)를 교호로 배치시킨 후에 회전부(76) 및 힌지부(36)에 회전축(38)을 삽입하면 아우터패널(75)이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우터패널(75)의 하부는 하우징(30)의 지지부(34)에 의해 차량 내부 측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차량 외부 측으로만 회전되므로 제1탄성부재(82)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의 상부가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되면 아우터패널(75)의 하부가 지지부(34)에 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82)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이 지지부(34)에 밀착되므로 차량 후방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우터패널(75)의 외벽에는 차량의 엠블럼(77)이 설치되므로 차량의 외벽과 아우터패널(75)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선이 엠블럼(77)에 의해 가려질 수 있어 차량의 후방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부(90)는 하우징(30)에 설치되는 모터(93)와, 모터(93)의 동력을 가이드블록(5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64, 95, 96, 97)를 포함한다.
차량의 후진 주행이 개시되면 모터(93)에 전원이 인가되고, 동력전달부에 의해 모터의 동력이 가이드블록(5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므로 가이드블록(50)이 차량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가이드블록(50)은 인너패널(71) 및 아우터패널(75)을 차량 후방으로 밀어 이동홀부(32)가 개방되므로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되는 카메라(10)에 의해 차량 후방의 영상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다.
차량의 후진 주행이 종료되면 모터(93)로부터 역방향 동력이 출력되므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내측으로 삽입되고 탄성부재(80)에 의해 아우터패널(75) 및 인너패널(71)이 이동홀부(32)를 폐쇄하게 된다.
동력전달부(64, 95, 96, 97)는 가이드블록(50)에 연결되는 가압부재(97)와, 모터(93)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기어(64)와, 제1기어(64)와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95)와, 제2기어(95)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가압부재(97)와 랙 앤 피니언 구조로 연결되는 피니언기어(96)를 포함한다.
모터(93)의 동력은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를 통과하면서 회전속도가 가변되고 피니언기어(96)와 가압부재(97)에 의해 모터(93)의 동력이 가압부재(97)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가압부재(97)는 이동홀부(32) 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블록(50)에 연결되므로 가압부재(97)가 차량 외측으로 직선운동되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되고, 가압부재(97)가 차량 내부로 직선운동되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내측으로 삽입된다.
가압부재(97)에는 가이드블록(50)의 결합홈부(50a)에 압입되는 결합돌기부(97a)가 형성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가압부재(97)와 가이드블록(5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결합홈부(50a)는 가이드블록(50)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결합돌기부(97a)는 가압부재(97)의 외측 단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재(97)의 단부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결합돌기부(97a)를 결합홈부(50a)에 압입하여 가압부재(97)와 가이드블록(50)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동력전달부(64, 95, 96, 97)는 가압부재(97),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가 수납되고 하우징(30)에 결합되는 장착부(91a : 도 3 참조)가 형성되는 제1케이스(91)와, 제1케이스(91)와 결합되고 가압부재(9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2케이스(92)를 더 포함한다.
제1케이스(91)에 가압부재(97),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를 설치한 후에 제1케이스(91)와 제2케이스(92)를 결합하면 가압부재(97)가 출몰되는 구동부(90)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90)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요구될 때에는 장착부(91a : 도 3 참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해체하여 제1케이스(91) 및 제2케이스(92)를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방수부(100)는,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02)와, 가이드블록(50)에 구비되고 실링부재(10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덮는 턱부(104)와, 턱부(104)에 구비되고 실링부재(102)에 밀착되는 실링패드(106)를 포함한다.
이동홀부(32)의 테두리에 실링부재(102)가 설치되면 이동홀부(32)의 내벽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 사이의 간격을 실링부재(102)가 덮게 된다.
따라서 커버(70)가 개방된 상태에서 우수 또는 세척수가 이동홀부(32)에 접촉되었을 때에 가이드블록(70)과 이동홀부(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링부재(10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가이드블록(50)으로부터 연장되는 턱부(104)에 실링패드(106)가 접착되므로 가이드블록(50)과 실링부재(10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링부재(102)는 이동홀부(32)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ㅁ'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32a) 사이의 간격을 덮는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실링부재(102)가 가이드블록(50)의 외벽에 밀착되어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동홀부(32)의 정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동홀부(32)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실링부재(102)의 형상 또한 이동홀부(32)의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블록(50)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턱부(104)는 가이드블록(5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턱부(104)의 전면에 실링패드(106)가 접착된다.
가이드블록(50)이 커버(70)를 가압할 때에 가이드블록(50)의 상단부가 커버(70) 내벽에 경사지게 접촉되면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이드블록(50)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가이드블록(50)의 하단부와 실링부재(10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가이드블록(5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턱부(104) 및 실링패드(106)에 의해 가이드블록(50)과 실링부재(10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작동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므로 제1탄성부재(82) 및 제2탄성부재(84)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의 상부가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아우터패널(75)의 하부는 회전축(38)을 중심으로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므로 인너패널(71)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2탄성부재(84)도 아우터패널(75)을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므로 아우터패널(75)의 하부가 제1탄성부재(82) 및 제2탄성부재(84)에 의해 이동홀부(32) 측으로 회전되고 보다 큰 힘으로 인너패널(71)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10)가 수납되는 이동홀부(32)는 인너패널(71)과 아우터패널(75)에 의해 2중으로 밀폐된다.
따라서 비가 오거나 세차작업을 진행할 때에 이동홀부(32)의 내부 공간으로 우수나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세차작업을 위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의 외부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모터(93)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93)의 동력이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를 지나면서 기어비에 의해 동력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고, 피니언기어(96)와 가압부재(97)를 통과하면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가압부재(97)가 이동홀부(32)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를 따라 차량 외부 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블록(50)에 의해 인너패널(71)이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되므로 인너패널(71) 및 아우터패널(75)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블록(5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인너패널(71)은 아우터패널(75)의 하부를 차량 외부로 가압하므로 아우터패널(75)의 하부가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이드블록(50)의 외측 단부에는 곡면부(54)가 형성되므로 곡면부(54)가 인너패널(71)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인너패널(71)을 가압하므로 인너패널(71)이 개방될 때에 가이드블록(50)과 인너패널(71)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가이드블록(5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52)는 이동홀부(32)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가이드블록(50)이 출몰될 때에 가이드블록(50)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된 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레일(32a)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50)은 인너패널(71)의 내벽과 경사지게 접촉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이 인너패널(71)의 내벽과 직각을 이루며 접촉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인너패널(71)의 내벽에 발생되는 하중이 감소되므로 장기간 연속되는 작동에 의해 인너패널(71)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32a)은 이동홀부(32)가 형성되는 하우징(30)을 제작할 때에 가이드레일(32a)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가이드레일(32a)을 가공하는 별도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개방작동이 완료되면 가이드블록(50)에 설치된 카메라(10)의 렌즈가 차량 외부로 노출되므로 차량의 후방 상태를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하여 영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가이드레일(32a)은 이동홀부(32)의 양측 내벽에 각각 상하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32a)이 형성되고, 안내돌기(52)는 복수 개가 가이드블록(50)의 양측면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52) 중에 일부분은 이동홀부(32)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안내돌기(52) 중 나머지는 이동홀부(32)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특히, 이동홀부(32)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에는 한 쌍의 안내돌기(52)가 동시에 접촉되므로 이동홀부(3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50)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2a)과 안내돌기(52)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이동될 때에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블록(50)의 유동에 의해 카메라(10)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카메라(10) 및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비가 오거나 세차작업이 진행되면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실링부재(102), 턱부(104) 및 실링패드(106)에 의해 가이드블록(50)과 이동홀부(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차량의 후진 주행이 종료되면 구동부(9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제1탄성부재(82) 및 제2탄성부재(84)의 복원력에 의해 아우터패널(75)과 인너패널(71)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홀부(32)를 폐쇄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가이드레일(132a)에는 가이드블록(150)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절곡부(152b)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32a)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블록(150)은 절곡부(152b)를 통과하면서 진행방향이 전환된다.
절곡부(152b)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이동홀부(132)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블록(150)이 절곡부(152b)를 통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카메라(110)의 렌즈가 차량의 후방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게 되어 보다 먼 거리의 영상 정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절곡부(152b)의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차량의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고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승용차와 같은 차량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카메라 30 : 하우징
32 : 이동홀부 32a : 가이드레일
34 : 지지부 36 : 힌지부
38 : 회전축 50 : 가이드블록
52 : 안내돌기 70 : 커버
71 : 인너패널 72 : 관통홀부
75 : 아우터패널 76 : 회전부
77 : 엠블럼 80 : 탄성부재
82 : 제1탄성부재 84 : 제2탄성부재
90 : 구동부 91 : 제1케이스
92 : 제2케이스 93 : 모터
64 : 제1기어 95 : 제2기어
96 : 피니언기어 97 : 가압부재
100 : 방수부 102 : 실링부재
104 : 턱부 106 : 실링패드

Claims (5)

  1.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이동홀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가이드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이동홀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커버하는 인너패널;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인너패널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아우터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커버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패널을 상기 이동홀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인너패널을 상기 이동홀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힌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패널의 상부를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아우터패널을 상기 인너패널의 외벽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측 단부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내벽과 상기 힌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아우터패널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힌지부와 교호로 배치되는 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와 상기 힌지부를 교호로 배치시킨 후에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힌지부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하면 상기 아우터패널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회전부는 상기 아우터패널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부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안내돌기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이동홀부와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
    상기 가이드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을 덮는 턱부; 및
    상기 턱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는 실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이동홀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ㅁ'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격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턱부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턱부의 전면에 상기 실링패드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20110100173A 2011-09-30 2011-09-30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2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73A KR101324637B1 (ko) 2011-09-30 2011-09-30 차량용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73A KR101324637B1 (ko) 2011-09-30 2011-09-30 차량용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700A KR20130035700A (ko) 2013-04-09
KR101324637B1 true KR101324637B1 (ko) 2013-11-01

Family

ID=4843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173A KR101324637B1 (ko) 2011-09-30 2011-09-30 차량용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535A (ko) * 2011-11-02 2013-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방 카메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140A (ja) * 2002-03-20 2003-09-25 Murakami Corp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装置
JP2010501417A (ja) * 2006-08-22 2010-01-21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車両の錠を開けかつ車両の外側範囲を画像で検出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140A (ja) * 2002-03-20 2003-09-25 Murakami Corp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装置
JP2010501417A (ja) * 2006-08-22 2010-01-21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車両の錠を開けかつ車両の外側範囲を画像で検出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700A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1808B2 (ja) 可動画像記録デバイスおよびそうしたデバイスを備えた車両
CN101842264B (zh) 具有摄像机单元的装置
US10208525B2 (en) Assembly for a vehicle
JP2007126136A (ja)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旋回可能な表示装置
KR101237750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2010155484A (ja) バックガイドモニターカメラ装置
US10155485B2 (en) Device for capturing images of an outer area of a motor vehicle
JPS58214414A (ja) 車体におけるサンル−フの安全装置
KR101257582B1 (ko) 자동차용 휠 세척장치
KR101237751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24637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4893144B2 (ja) 車両用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291038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16003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237752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45192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070022480A (ko) 자동차용 후방카메라의 자동출입장치
KR20120006376A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24636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66594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4162962B2 (ja) 車両のサンルーフ構造
KR101362897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이중 슬라이딩 메커니즘 개폐장치
KR101366595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240010832A (ko) 차량 도어 핸들
JP2004090746A (ja) トラクタのキャ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