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003B1 - 차량용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6003B1 KR101316003B1 KR1020110115807A KR20110115807A KR101316003B1 KR 101316003 B1 KR101316003 B1 KR 101316003B1 KR 1020110115807 A KR1020110115807 A KR 1020110115807A KR 20110115807 A KR20110115807 A KR 20110115807A KR 101316003 B1 KR101316003 B1 KR 101316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oving hole
- guide block
- driv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로 출몰되고, 카메라장치에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카메라가 설치되고 이동홀부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과, 이동홀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가이드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구동력을 가이드블록에 전달하고 구동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방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카메라가 설치되고 이동홀부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과, 이동홀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가이드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구동력을 가이드블록에 전달하고 구동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방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로 출몰되고, 카메라장치에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후방카메라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에게 모니터를 통하여 차량 후방의 시계를 확보해주는 장치로서, 안전한 후진 주행 및 후진 주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자동차의 후방에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로 출력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가 상체를 후방 측으로 돌려 차량의 후방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모니터에 표시되는 후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5163호(2011년 7월 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렌즈가 외부로 항상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후방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차량과 후방카메라의 렌즈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장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없기 때문에 카메라장치로 유입되는 수분에 의해 카메라장치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로 출몰되고, 카메라장치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이동홀부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가이드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가이드블록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방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방수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구동방수부에 기어연결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방수부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수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보조케이스; 상기 보조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이 편심되게 연결되는 캠; 및 상기 캠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 연결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방수부는 상기 보조케이스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회전량감지센서;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을 이루고 상기 회전량감지센서에 접촉되는 감지축; 및 상기 회전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고, 카메라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 내부에 수납되므로 차량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카메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덮는 아우터패널에 차량의 엠블럼이 설치되므로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아우터패널은 복수 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아우터패널에 의해 카메라장치가 커버되는 경우에 외력에 의해 아우터패널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 내부에 보관될 수 있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배수부를 따라 카메라장치 외부로 배출되므로 카메라장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카메라장치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카메라장치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수분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동절기에 카메라장치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를 출몰시키는 구동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구동부의 오작동 또는 파손에 의해 카메라가 출몰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인너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아우터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작동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인너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아우터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작동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인너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아우터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이동홀부(32)가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카메라(10)가 설치되고 이동홀부(32)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50)과, 이동홀부(32)를 개폐하는 커버(70)와, 가이드블록(50)을 출몰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90)와, 이동홀부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100)와, 이동홀부(32)에 유입되는 수분을 하우징(3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20)와,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방지부(200, 210, 220)와, 구동부(90)의 구동력을 가이드블록(50)에 전달하고 구동부(90)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방수부(97, 97a, 98)를 포함한다.
차량 외부를 확인해야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구동부(90)의 작동에 의해 카메라(10)가 설치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를 따라 돌출되면서 커버(70)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10)에 의해 차량 외부의 영상이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로 출력되므로 운전자는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후진 주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방수부(100)에 의해 하우징(3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구동방수부(97, 97a, 98)에 의해 구동부(90)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하우징(30)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가이드블록(50)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부(90)에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수부(100)를 통과하여 이동홀부(32)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배수부(20)에 의해 하우징(30) 외부로 배출되고, 배수부(20)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이동홀부(32)에 잔존하는 수분은 결빙방지부(200, 210, 220)에 의해 결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동절기에 이동홀부(32)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이 결빙되어 발생되는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외부를 확인해야하는 상황이 해제되면 구동부(9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차량 내부로 삽입되고 커버(70)가 이동홀부(32)를 폐쇄하게 된다.
카메라(10)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10)가 이동홀부(32) 내측에 삽입되고 이동홀부(32)가 커버(70)에 의해 폐쇄되므로 카메라(1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홀부(3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에는 회전축(38)이 설치되는 힌지부(36)와, 회전축(38)에 설치되는 커버(70)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34)가 형성된다.
하우징(30)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이동홀부(32)가 형성되고, 하우징(30)의 전면에서 이동홀부(32)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회전축(38)이 배치되도록 다수 개의 힌지부(36)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3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70)의 하단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면 커버(70)의 하부에 의해 가려졌던 이동홀부(32)가 차량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부(34)는 하우징(30)의 하부로부터 커버(70) 측으로 돌출되므로 커버(70)의 하단이 차량의 내부 측으로 회전되지 않게 구속하고, 커버(70)의 상부와 하우징(30) 사이에 탄성부재(80)가 설치된다.
커버(7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탄성부재(80)는 커버(70)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 후방에 발생될 수 있는 외력에 의해 커버(7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탄성부재(80)는 커버(70)의 하단을 차량 내부로 가압하고, 커버(70)의 하단은 지지부(34)에 의해 차량 내부로 회전되지 않게 구속되므로 커버(70)의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차량의 세차작업을 진행할 때에 차량의 후방에 분사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커버(7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이 비오는 날에 후진 주행을 행할 때에는 커버(70)가 개방된 상태에서 카메라(10) 및 가이드블록(50)이 차량 외부로 노출되므로 우수가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유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방수부(100)에 의해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진 변속단이 조작된 상태서 차량의 시동을 끄고 세차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카메라(10) 및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세척수가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유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방수부(100)에 의해 가이드블록(50)과 이동홀부(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70)는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이동홀부(32)를 개폐하는 인너패널(71)과,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인너패널(71)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아우터패널(75)을 포함한다.
구동부(90)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되면 가이드블록(50)이 인너패널(71)을 차량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인너패널(71) 및 아우터패널(75)의 하단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홀부(32)가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형성되는 홀부는 아우터패널(75)에 의해 개폐되고, 하우징(30)에 형성되는 이동홀부(32)는 인너패널(71)에 의해 개폐되므로 카메라(10)가 수납되는 이동홀부(32)의 내부 공간은 아우터패널(75) 및 인너패널(71)에 의해 2중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비가 오거나 세차작업을 행할 때에 카메라(10)가 보관되는 이동홀부(32) 내부로 우수나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인너패널(71)에는 회전축(38)이 삽입되는 관통홀부(72)가 형성된다.
관통홀부(72)는 인너패널(71)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관통홀부(72)의 중앙부가 절개되어 탄성부재(80)가 배치되는 공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관통홀부(72) 사이에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후술될 제2탄성부재(84)를 삽입한 후에 관통홀부(72)와 힌지부(36)에 회전축(38)을 삽입하면 이동홀부(32)를 개폐하도록 하우징(30)의 전면에 인너패널(71)이 장착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84)의 양단부는 아우터패널(75)과 하우징(30) 사이에 개재되어 아우터패널(75)을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아우터패널(75)에 의해 가압되는 인너패널(71)이 이동홀부(32)에 밀착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탄성부재(80)는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아우터패널(75)과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어 아우터패널(75)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82)와, 회전축(38)에 설치되고 아우터패널(75)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84a)가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84)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82)와 제2탄성부재(84)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38)에 삽입되고, 제1탄성부재(82)는 하우징(30)의 힌지부(36) 사이에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82)의 양측 단부는 아우터패널(75)의 내벽과 하우징(30)의 힌지부(36) 사이에 개재되어 아우터패널(75)의 상부를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아우터패널(75)을 인너패널(71)의 외벽에 밀착시키게 된다.
아우터패널(75)에는 회전축(38)이 삽입되고 힌지부(36)와 교호로 배치되는 회전부(76)가 형성된다.
회전부(76)는 아우터패널(75)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가 형성되므로 회전부(76)와 힌지부(36)를 교호로 배치시킨 후에 회전부(76) 및 힌지부(36)에 회전축(38)을 삽입하면 아우터패널(75)이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우터패널(75)의 하부는 하우징(30)의 지지부(34)에 의해 차량 내부 측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차량 외부 측으로만 회전되므로 제1탄성부재(82)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의 상부가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되면 아우터패널(75)의 하부가 지지부(34)에 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82)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이 지지부(34)에 밀착되므로 차량 후방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우터패널(75)의 외벽에는 차량의 엠블럼(77)이 설치되므로 차량의 외벽과 아우터패널(75)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선이 엠블럼(77)에 의해 가려질 수 있어 차량의 후방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부 작동상태가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부(90)는, 하우징(30)에 연결되는 케이스(91, 92)와, 케이스(91, 92)에 설치되는 모터(93)와, 모터(93)의 동력을 구동방수부(97, 97a, 9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 95, 96)를 포함한다.
차량의 후진 주행이 개시되면 모터(93)에 전원이 인가되고, 동력전달부(64, 95, 96)에 의해 모터(93)의 동력이 구동방수부(97, 97a, 98)에 전달되고, 구동방수부(97, 97a, 98)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의 직선운동되므로 가이드블록(50)이 차량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가이드블록(50)은 인너패널(71) 및 아우터패널(75)을 차량 후방으로 밀어 이동홀부(32)가 개방되므로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되는 카메라(10)에 의해 차량 후방의 영상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다.
차량의 후진 주행이 종료되면 모터(93)로부터 역방향 동력이 출력되므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내측으로 삽입되고 탄성부재(80)에 의해 아우터패널(75) 및 인너패널(71)이 이동홀부(32)를 폐쇄하게 된다.
동력전달부(64, 95, 96)는 모터(93)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기어(64)와, 제1기어(64)와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95)와, 제2기어(95)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구동방수부(97, 97a, 98)와 기어연결되는 피니언기어(96)를 포함한다.
모터(93)의 동력은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를 통과하면서 회전속도가 가변되고 피니언기어(96)와 구동방수부(97, 97a, 98)에 의해 모터(93)의 동력이 가이드블록(5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케이스(91, 92)는 가압부재(97),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가 수납되고 하우징(30)에 결합되며, 장착부(91a : 도 3 참조)가 형성되는 제1케이스(91)와, 제1케이스(91)와 결합되고 구동방수부(97, 97a, 98)가 설치되는 제2케이스(92)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91)의 저면에 구동방수부(97, 97a, 98)를 설치하고,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를 제1케이스(91) 내부에 설치한 후에 제1케이스(91)와 제2케이스(92)를 결합하면 가이드블록(50)을 출몰시키는 구동부(90)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90) 및 구동방수부(97, 97a, 98)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요구될 때에는 장착부(91a : 도 3 참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해체하여 제1케이스(91) 및 제2케이스(92)를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구동방수부(97, 97a, 98)는, 피니언기어(96)가 수납되도록 케이스(91, 92)에 설치되는 보조케이스(98)와, 보조케이스(9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피니언기어(96)의 회전축이 편심되게 연결되는 캠(97a)과, 캠(97a)의 타측에 연결되고 가이드블록(50)에 연결되는 가압부재(97)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91)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피니언기어(96)는 보조케이스(98) 내부에 수납되며 캠(97a)과 기어연결되므로 모터(93)의 동력이 피니언기어(96)를 통해 캠(97a)에 전달되면 캠(97a)이 회전되면서 캠(97a)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가압부재(97)를 보조케이스(98) 외측 또는 내측으로 출몰시키게 된다.
가압부재(97)는 캠(97a)에 연결되는 링크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가압부재(97)의 단면 형상이 일정한 형성으로 형성되어 보조케이스(98)에 슬라이딩되면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가압부재(97)와 보조케이스(98) 사이에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동방수부(97, 97a, 98)는 보조케이스(98)와 가압부재(97)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99)를 더 포함한다.
방수부재(99)는 정면형상이 'ㅁ' 모양으로 형성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중앙에 형성되는 홀부를 따라 가압부재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면 가압부재(97)와 보조케이스(98) 사이의 간격을 덮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재(97)와 보조케이스(98)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90)는 동력전달부(64, 95, 96)의 구동정도를 감지하여 가이드블록(50)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감지부(112, 116, 220)를 더 포함한다.
위치감지부(112, 116, 220)는 동력전달부(64, 95, 96)의 구동정도를 감지하여 가이드블록(50)의 이동거리를 판단하므로 가이드블록(50)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카메라(10)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위치감지부는(112, 116, 220), 케이스(91, 92)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14)에 설치되는 회전량감지센서(116)와, 제2기어(95)의 회전축을 이루고 회전량감지센서에 접촉되는 감지축(112)과, 회전량감지센서(116)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모터(93)의 동력이 전달되어 제2기어(95)가 회전되면 감지축(112)이 회전되면서 회전량감지센서(116)에 의해 감지축(112)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량감지센서(112)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220)에서는 가이드블록(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블록(50)이 목표위치까지 돌출되면 모터(93)에 정지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의 위치를 감지하면서 정확한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방수부(100)는,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02)와, 가이드블록(50)에 구비되고 실링부재(10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덮는 턱부(104)와, 턱부(104)에 구비되고 실링부재(102)에 밀착되는 실링패드(106)를 포함한다.
이동홀부(32)의 테두리에 실링부재(102)가 설치되면 이동홀부(32)의 내벽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 사이의 간격을 실링부재(102)가 덮게 된다.
따라서 커버(70)가 개방된 상태에서 우수 또는 세척수가 이동홀부(32)에 접촉되었을 때에 가이드블록(70)과 이동홀부(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링부재(10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가이드블록(50)으로부터 연장되는 턱부(104)에 실링패드(106)가 접착되므로 가이드블록(50)과 실링부재(10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링부재(102)는 이동홀부(32)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ㅁ'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32a) 사이의 간격을 덮는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실링부재(102)가 가이드블록(50)의 외벽에 밀착되어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동홀부(32)의 정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동홀부(32)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실링부재(102)의 형상 또한 이동홀부(32)의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블록(50)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턱부(104)는 가이드블록(5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턱부(104)의 전면에 실링패드(106)가 접착된다.
가이드블록(50)이 커버(70)를 가압할 때에 가이드블록(50)의 상단부가 커버(70) 내벽에 경사지게 접촉되면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이드블록(50)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가이드블록(50)의 하단부와 실링부재(10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가이드블록(5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턱부(104) 및 실링패드(106)에 의해 가이드블록(50)과 실링부재(10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우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빙방지부(200, 210, 220)는, 하우징(30)에 구비되는 방열패드(200)와,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10)와, 온도감지센서(210)에서 송신되는 온도신호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방열패드(200)에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차량의 시동이 개시되면 온도감지센서(210)의 작동에 의해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가 감지되어 제어부(220)에 온도신호가 송신된다.
제어부(220)에서 온도신호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이동홀부(32)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제어부(220)에서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방열패드(200)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이동홀부(32)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차 후에 이동홀부(32) 내부로 유입되거나, 차량에 쌓인 눈이 녹으면서 이동홀부(32) 내부로 수분이 유입된 후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동홀부(32) 내부에서 수분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때에 인너패널(71)이 회전되지 않고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방열패드(200)는 복수 개가 연속되게 하우징(30)의 저면에 부착되므로 방열패드(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방열패드(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하우징(30)을 따라 이동홀부(32)로 전도된다.
온도감지센서(210)는 인너패널(71)의 내벽에 설치되어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감지센서(210)의 장착위치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수부(20)는 이동홀부(32)의 바닥면이 인너패널(71)의 하단과 비교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가이드홈부(22)를 포함한다.
이동홀부(32)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이동홀부(32) 바닥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22)를 따라 하우징(3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동홀부(32)의 바닥면은 하우징(3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가이드홈부(22)는 이동홀부(32)의 바닥면과 비교하여 하우징(30) 외측 방향으로 더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홈부(22)는 인너패널(71)의 하단과 비교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홀부(32)에 고이는 수분은 이동홀부(32)의 바닥면을 따라 하우징(30) 외측 방향으로 흐르고 가이드홈부(22)에 의해 모아진 후에 가이드홈부(22)와 인너패널(71) 하단 사이의 간격을 통해 하우징(30)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부(22)는 하측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며, 인너패널(71)의 하단에 배치되므로 가이드홈부(22)와 인너패널(71)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이동홀부(32)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다.
이동홀부(32)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동홀부(32)의 바닥면 및 가이드홈부(22)를 따라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배수되므로 이동홀부(32) 내부에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작동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카메라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므로 제1탄성부재(82) 및 제2탄성부재(84)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의 상부가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아우터패널(75)의 하부는 회전축(38)을 중심으로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므로 인너패널(71)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2탄성부재(84)도 아우터패널(75)을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하므로 아우터패널(75)의 하부가 제1탄성부재(82) 및 제2탄성부재(84)에 의해 이동홀부(32) 측으로 회전되고 보다 큰 힘으로 인너패널(71)을 이동홀부(3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10)가 수납되는 이동홀부(32)는 인너패널(71)과 아우터패널(75)에 의해 2중으로 밀폐된다.
따라서 비가 오거나 세차작업을 진행할 때에 이동홀부(32)의 내부 공간으로 우수나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세차작업을 위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아우터패널(75)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의 외부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모터(93)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93)의 동력이 제1기어(64), 제2기어(95) 및 피니언기어(96)를 지나면서 기어비에 의해 동력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피니언기어(96)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96)에 기어연결되는 캠(97a)이 회전되고, 캠(97a)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가압부재(97)가 보조케이스(98) 외부로 돌출된다.
가압부재(97)가 이동홀부(32)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를 따라 차량 외부 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블록(50)에 의해 인너패널(71)이 차량 외부 측으로 가압되므로 인너패널(71) 및 아우터패널(75)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블록(5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인너패널(71)은 아우터패널(75)의 하부를 차량 외부로 가압하므로 아우터패널(75)의 하부가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보조케이스(98)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97)는 모터(93)와 별도의 공간에 배치되므로 가압부재(97)와 보조케이스(98)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모터(9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수부재(99)에 의해 보조케이스(98)와 가압부재(97)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93)에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블록(50)의 외측 단부에는 곡면부(54)가 형성되므로 곡면부(54)가 인너패널(71)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인너패널(71)을 가압하므로 인너패널(71)이 개방될 때에 가이드블록(50)과 인너패널(71)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가이드블록(5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52)는 이동홀부(32)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가이드블록(50)이 출몰될 때에 가이드블록(50)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된 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레일(32a)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50)은 인너패널(71)의 내벽과 경사지게 접촉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이 인너패널(71)의 내벽과 직각을 이루며 접촉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인너패널(71)의 내벽에 발생되는 하중이 감소되므로 장기간 연속되는 작동에 의해 인너패널(71)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32a)은 이동홀부(32)가 형성되는 하우징(30)을 제작할 때에 가이드레일(32a)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가이드레일(32a)을 가공하는 별도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개방작동이 완료되면 가이드블록(50)에 설치된 카메라(10)의 렌즈가 차량 외부로 노출되므로 차량의 후방 상태를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하여 영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가이드레일(32a)은 이동홀부(32)의 양측 내벽에 각각 상하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32a)이 형성되고, 안내돌기(52)는 복수 개가 가이드블록(50)의 양측면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50)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52) 중에 일부분은 이동홀부(32)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안내돌기(52) 중 나머지는 이동홀부(32)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특히, 이동홀부(32)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a)에는 한 쌍의 안내돌기(52)가 동시에 접촉되므로 이동홀부(3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블록(50)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2a)과 안내돌기(52)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이동될 때에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블록(50)의 유동에 의해 카메라(10)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카메라(10) 및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비가 오거나 세차작업이 진행되면 이동홀부(32)와 가이드블록(5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실링부재(102), 턱부(104) 및 실링패드(106)에 의해 가이드블록(50)과 이동홀부(3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차량의 후진 주행이 종료되면 구동부(9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블록(50)이 이동홀부(32)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제1탄성부재(82) 및 제2탄성부재(84)의 복원력에 의해 아우터패널(75)과 인너패널(71)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홀부(32)를 폐쇄하게 된다.
이동홀부(32)가 폐쇄된 후에 이동홀부(32)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은 이동홀부(32)의 바닥면을 따라 하우징(30)의 외측 방향으로 흐르고, 가이드홈부(22)에 의해 모아진 후에 가이드홈부(22)와 인너패널(71) 사이의 간격을 따라 하우징(30) 외측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이동홀부(32) 내부에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제어방법은, 카메라(10)가 설치되는 가이드블록(50)이 출몰되는 이동홀부(32)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20)와, 이동홀부(32)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차량의 시동이 개시되면 온도감지센서(210)의 작동에 의해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20)에 온도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220)에서 온도신호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제어부(220)에서 작동신호가 송신되어 방열패드(200)에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방열패드(20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하우징(30)을 따라 전도되어 이동홀부(32)에 공급되므로 이동홀부(32)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홀부(32)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결빙되어 발생되는 카메라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동홀부(32)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20)에서 이동홀부(32)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이동홀부(32)에 열에너지를 차단하는 단계(S40)가 진행된 후에 이동홀부(32)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 진행된다.
따라서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이동홀부(32)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하우징(30) 내부에 결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로 출몰되고, 카메라장치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승용차와 같은 차량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카메라 20 : 배수부
22 : 가이드홈부 30 : 하우징
32 : 이동홀부 32a : 가이드레일
34 : 지지부 36 : 힌지부
38 : 회전축 50 : 가이드블록
52 : 안내돌기 70 : 커버
71 : 인너패널 72 : 관통홀부
75 : 아우터패널 76 : 회전부
77 : 엠블럼 80 : 탄성부재
82 : 제1탄성부재 84 : 제2탄성부재
90 : 구동부 91 : 제1케이스
92 : 제2케이스 93 : 모터
94 : 제1기어 95 : 제2기어
96 : 피니언기어 97 : 가압부재
97a : 캠 98 : 보조케이스
99 : 방수부재 100 : 방수부
102 : 실링부재 104 : 턱부
106 : 실링패드 112 : 감지축
114 : 인쇄회로기판 116 : 회전량감지센서
122 : 배수홀부 124 : 배수관
200 : 방열패드 210 : 온도감지센서
220 : 제어부
22 : 가이드홈부 30 : 하우징
32 : 이동홀부 32a : 가이드레일
34 : 지지부 36 : 힌지부
38 : 회전축 50 : 가이드블록
52 : 안내돌기 70 : 커버
71 : 인너패널 72 : 관통홀부
75 : 아우터패널 76 : 회전부
77 : 엠블럼 80 : 탄성부재
82 : 제1탄성부재 84 : 제2탄성부재
90 : 구동부 91 : 제1케이스
92 : 제2케이스 93 : 모터
94 : 제1기어 95 : 제2기어
96 : 피니언기어 97 : 가압부재
97a : 캠 98 : 보조케이스
99 : 방수부재 100 : 방수부
102 : 실링부재 104 : 턱부
106 : 실링패드 112 : 감지축
114 : 인쇄회로기판 116 : 회전량감지센서
122 : 배수홀부 124 : 배수관
200 : 방열패드 210 : 온도감지센서
220 : 제어부
Claims (7)
-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홀부를 따라 출몰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이동홀부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가이드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가이드블록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방수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회전량감지센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을 이루고 상기 회전량감지센서에 접촉되는 감지축; 및
상기 회전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구동방수부에 기어연결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방수부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수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보조케이스;
상기 보조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이 편심되게 연결되는 캠; 및
상기 캠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 연결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방수부는 상기 보조케이스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의 간격을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5807A KR101316003B1 (ko) | 2011-11-08 | 2011-11-08 | 차량용 카메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5807A KR101316003B1 (ko) | 2011-11-08 | 2011-11-08 | 차량용 카메라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0629A KR20130050629A (ko) | 2013-05-16 |
KR101316003B1 true KR101316003B1 (ko) | 2013-10-08 |
Family
ID=4866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5807A KR101316003B1 (ko) | 2011-11-08 | 2011-11-08 | 차량용 카메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600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2860B1 (ko) | 2018-10-22 | 2022-11-30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카메라 장치 |
KR102552165B1 (ko) * | 2018-11-20 | 2023-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536954B1 (ko) * | 2020-11-12 | 2023-05-26 |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
KR102527769B1 (ko) * | 2020-11-12 | 2023-05-02 |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67140A (ja) * | 2002-03-20 | 2003-09-25 | Murakami Corp |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装置 |
JP2010501417A (ja) * | 2006-08-22 | 2010-01-21 |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 車両の錠を開けかつ車両の外側範囲を画像で検出する装置 |
-
2011
- 2011-11-08 KR KR1020110115807A patent/KR1013160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67140A (ja) * | 2002-03-20 | 2003-09-25 | Murakami Corp |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装置 |
JP2010501417A (ja) * | 2006-08-22 | 2010-01-21 |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 車両の錠を開けかつ車両の外側範囲を画像で検出する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0629A (ko) | 2013-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6003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CN106004702B (zh) | 用于在车辆处可动地安装摄像机的摆动机构 | |
CN104675269B (zh) | 传感器设备和用于该传感器设备的模块单元 | |
US7219945B1 (en) | Power lift gate for automotive vehicle | |
JP2022536438A (ja) | 自動車を自動的または半自動的に運転するためのセンサシステムと、ルーフ開放システムおよび/またはソリッドルーフ要素とを含むルーフモジュール | |
US20100209096A1 (en) | Device with a cover unit to protect a camera unit | |
CN105681646A (zh) | 带有微处理器控制的隐藏的摄像头组件 | |
JP2003237372A (ja) | 車両用ルーフ装置 | |
KR101345192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101291038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101324636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101366594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101237750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EP3504076B1 (fr) | Dispositif lève-vitre pour un ouvrant d'un véhicule automobile | |
KR101125726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101324637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US7552965B2 (en) | Crush protection for an openable vehicle roof | |
KR101366595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101366593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100993717B1 (ko) |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 |
KR100494720B1 (ko) | 자동차용 후드 힌지의 개방장치 | |
KR101237752B1 (ko) | 차량용 카메라장치 | |
KR200452163Y1 (ko) | 도어스커프 구조 | |
KR100655615B1 (ko) | 와이퍼 모터 및 링케이지의 결빙방지장치 | |
KR100704576B1 (ko) | 차량 레인거터 및 이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