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595B1 - 차량용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595B1
KR101366595B1 KR1020120057743A KR20120057743A KR101366595B1 KR 101366595 B1 KR101366595 B1 KR 101366595B1 KR 1020120057743 A KR1020120057743 A KR 1020120057743A KR 20120057743 A KR20120057743 A KR 20120057743A KR 101366595 B1 KR101366595 B1 KR 10136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vehicle
housing
camera
mo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313A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5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된 이동홀부와, 이동홀부의 후단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이동홀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출몰되고, 걸림턱부에 걸려 후방 이동이 구속되는 가이드블럭과, 가이드블럭에 탑재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가이드블럭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블럭에 밀려 상향 회동되며 이동홀부를 개방시키는 커버와, 테일게이트의 개방을 감지하는 게이트 감지장치와, 테일게이트 개방 시,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가이드블럭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커버로 이동홀부를 폐쇄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장치{CAMER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을 촬상하기 위해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방카메라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에게 모니터를 통하여 차량 후방의 시계를 확보해주는 장치로서, 안전한 후진 주행 및 후진 주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의 후방에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로 출력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가 상체를 후방 측으로 돌려 차량의 후방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모니터에 표시되는 후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5163호(2011년 7월 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후방카메라는 렌즈가 외부로 항상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량의 후방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차량과 후방카메라 렌즈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차량용 후방카메라를 테일게이트(트렁크)에 설치하는 경우, 테일게이트 개방 시 후방카메라가 시계 확보가 불필요한 방향을 촬상하게 되고, 우수(雨水)가 후방카메라에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부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카메라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설치로 인한 차량의 미관 저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테일게이트 개방 시 카메라가 시계 확보가 불필요한 방향을 촬상하거나, 우수가 카메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된 이동홀부와, 상기 이동홀부의 후단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이동홀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출몰되고, 상기 걸림턱부에 걸려 후방 이동이 구속되는 가이드블럭; 상기 가이드블럭에 탑재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가이드블럭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럭에 밀려 상향 회동되며 상기 이동홀부를 개방시키는 커버;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을 감지하는 게이트 감지장치; 및 상기 테일게이트 개방 시,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가이드블럭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커버로 상기 이동홀부를 폐쇄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 감지장치는, 운전석이 위치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테일게이트 개방버튼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 감지장치는, 상기 차량의 리모콘에 구비된 테일게이트 개방버튼의 조작 상태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럭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변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위센서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블럭 사이의 유격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걸림턱부 또는 상기 내부씰링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턱부와 상기 가이드블럭간 접촉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게이트 감지장치의 감지 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 감지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가이드블럭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카메라가 커버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차량의 후진 주행 시와 같이 후방의 시계를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커버가 젖혀지면서 카메라가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후방을 촬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부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외부의 오염물, 수분 등으로부터 카메라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외면부에 엠블럼을 부착시킴으로써, 카메라 미사용 시에는 카메라가 엠블렘이 부착된 커버에 가려 차량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고 완전히 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카메라를 차량에 설치함에 따른 차량의 미관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씰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과 가이드블럭 사이의 유격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씰링부재는 가이드블럭이 걸림턱부에 걸려 정지되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게 되어, 하우징과 카메라 등의 내구성을 유지하고 가이드블럭과 걸림턱부간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로 차량의 후방을 촬상 중에 테일게이트가 개방되는 경우, 카메라를 신속하게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커버로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특히, 오작동, 사고(충격력) 등의 원인으로 테일게이트가 개방되는 경우 불필요한 카메라 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천 시 야외에서 테일게이트를 개방시키는 경우 우수가 카메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장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를 필요 시 하우징 내외부로 출몰시키기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작동버튼 조작에 의해 카메라를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테일게이트 개방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가 하우징 내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테일게이트 개방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를 하우징 내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장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를 필요 시 하우징 내외부로 출몰시키기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작동버튼 조작에 의해 카메라를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테일게이트 개방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가 하우징 내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테일게이트 개방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를 하우징 내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10)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테일게이트(트렁크)(15)상에 설치되되, 테일게이트(15)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엠블럼(Emblem)(525)에 의해 커버링되게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하우징(100), 가이드블럭(200), 카메라(300), 구동장치(400), 커버(500), 외부씰링부재(610), 내부씰링부재(620)를 포함한다.
도 2, 도 6 내지 도 9상에서 좌측방향은 차량(10)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이며, 우측방향은 차량의(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이다.
하우징(100)은 카메라(300)가 탑재되는 가이드블럭(2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골조를 이루어 테일케이드(15)에 설치되며, 전방부에는 구동장치(400)가 결합되고, 후방부에는 커버(50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이동홀부(110)와 걸림턱부(120)를 포함한다.
이동홀부(110)는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중공된 내부공간부를 이루며, 차량(10)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동홀부(110)는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되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이루며, 이동홀부(110)의 내면부(내측면부)상에는 이동홀부(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홈부(111)가 연장되게 형성된다.(도 5, 8, 9 참조)
복수개의 가이드홈부(111) 각각에는 가이드블럭(200)의 외측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돌출부(221)가 끼워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블럭(200)은 가이드홈부(111)가 이루는 직선형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홀부(110) 내에서 흔들림이나 이탈 없이 지정 경로로만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다.
걸림턱부(120)는 개방되게 형성된 이동홀부(110)의 후단부상에서 이동홀부(110)의 내부공간부측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블럭(200)은 카메라(300)가 탑재되는 부분으로, 이동홀부(110) 내측에서 이동홀부(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하우징(100)의 내외측으로 출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블럭(200)은, 후방블럭부(210)와 전방블럭부(220)를 포함한다.
후방블럭부(210)는 이동홀부(110)를 따라 이동되면서 하우징(100)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고, 내부에 카메라(300)가 탑재된다.
전방블럭부(220)는 후방블럭부(210)보다 확장된 상하방향 너비 및/또는 측방향 너비를 가지고 후방블럭부(210)의 전방부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방블럭부(220)의 후면부는 후방블럭부(210)에서 상하방향 및/또는 측방향 돌출된 단턱(223)을 이루게 되며, 전방블럭부(220)의 후면부가 이루는 단턱(223)에는 내부씰링부재(620)가 부착된다.
전방블럭부(220)의 측면부에는 이동홀부(110)의 내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1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출부(221)가 형성된다.
가이드블럭(200)은 가이드돌출부(221)가 하우징(100)의 가이드홈부(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홈부(111)가 이루는 직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블럭(200)이 이동홀부(110)상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 6상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커버부(500)가 하우징(100)의 걸림턱부(12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홀부(110)를 후방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커버부(500)에 부착된 외부씰링부재(610)가 걸림턱부(120)의 후단부에에 밀착되며 커버부(500)와 걸림턱부(120) 사이의 유격을 씰링(Sealing)시킨다.
가이드블럭(200)이 이동홀부(110)상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도 8상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블럭(200)에 밀려 커버부(500)가 회동되어 젖혀지면서 이동홀부(110)의 후방부가 개방되고 가이드블럭(200)에 탑재된 카메라(300)가 외부에 노출된다.
가이드블럭(200)은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우징(100)의 걸림턱부(120)에 접촉되면 걸림턱부(120)에 걸려 후방 이동이 구속된다.
이때, 가이드블럭(200)의 단턱(223)에 부착된 내부씰링부재(620)가 걸림턱부(120)의 전단부에 밀착되며 가이드블럭(200)과 내부씰링부재(620) 사이의 유격을 씰링(Sealing)시킨다.
카메라(300)는 가이드블럭(200)에 탑재된 상태에서 가이드블럭(200)과 함께 이동홀부(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홀부(110)의 후방부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10)의 후방을 촬상한다.
카메라(300)는 가이드블럭(200)에 탑재가능하고,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차량(10)의 후방을 촬상가능하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장치(400)는 가이드블럭(2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장치(400)는 구동모터(410)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그 속도나 방향을 바꾸고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가이드블럭(200)에 전달한다.
구동장치(400)의 단부(랙기어(470))는 가이드블럭(200)과 연결되어, 구동장치(400)의 구동 상태에 따라 이동홀부(110) 내 가이드블럭(200)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커버(500)는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된 가이드블럭(200)에 밀려 상향 회동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되며 이동홀부(110)의 후방부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500)는, 이너패널(510)과 아우터패널(520)을 포함한다.
이너패널(510)은 패널형상을 가지고 이동홀부(110)의 개방부, 즉 이동홀부(110)의 개방된 후방부를 커버링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너패널(510)은 이동홀부(110)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이동홀부(110)의 내부와 접하는 전면부상에는 조립턱부(515)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조립턱부(515)는 이동홀부(110)의 내면부 둘레를 따라 ㅁ자 형상으로 연장되게 돌출형성되며, 조립턱부(515) 둘레에는 외부씰링부재(610)가 끼워져 조립된다.
이너패널(5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120)와 접촉되며 하향 회동이 구속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200)에 밀려 상향 회동된다.
아우터패널(520)은 이너패널(510)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지고 이너패널(510) 후방에서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면부에 차량(10)의 엠블럼(525)이 부착된다.
하우징(100)이 차량(10)의 테일게이트(15)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후방부와 이너패널(510)은 아우터패널(520)에 의해 커버링되며, 아우터패널(520)에 부착된 엠블럼(525)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5)의 후방부에 노출되게 위치된다.
커버(500)가 이너패널(510)과 아우터패널(520)을 포함하는 이중 커버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차량(10)의 후방부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하우징(100) 내부의 카메라(3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테일게이트(15)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아우터패널(520)에 엠블럼(525)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300) 미사용 시에는 하우징(100), 가이드블럭(200), 카메라(300)가 차량(10)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고, 엠블럼(525)이 부착된 아우터패널(52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10) 후진 시 차량(10)의 후방을 촬상하기 위한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설치로 인한 차량(10)의 미관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외부씰링부재(610)는 고무재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립턱부(515)에 대응되는 사각형 고리형상을 가지고 이너패드(510)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외부씰링부재(610)는, 조립턱부(515)의 외면부에 대응되는 사각형 홀부를 구비하여 조립턱부(515)에 끼워지고, 이너패널(510)의 전면부에 부착된다.
외부씰링부재(610)는 상기와 같이 조립턱부(515)에 끼워지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조립턱부(515)에 걸려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의 이동,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이너패드(510)와 이동홀부(110)의 둘레부에 대응되는 방향과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외부씰링부재(61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의 하부가 하향 회동되어 이동홀부(110)의 후방부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걸림턱부(120)의 후단부에 탄성 접촉, 밀착된다.
외부씰링부재(610)는 커버(500)로 이동홀부(110)를 폐쇄시킨 상태, 즉, 카메라(3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0)과 커버(500) 사이의 유격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수분(세척수, 우수, 오염수 등을 통칭한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부씰링부재(610)는 커버(500)가 하향 회동되면서 하우징(100)의 걸림턱부(120)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게 되어, 하우징(100)과 카메라(300) 등의 내구성을 유지하고 커버(500)와 걸림턱부(120)간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내부씰링부재(620)는 고무재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가이드블럭(200)의 단턱(223)에 대응되는 사각형 고리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블럭(200)의 단턱(223)에 설치된다.
내부씰링부재(620)는 후방블럭부(210)의 외면부에 대응되는 사각형 홀부를 구비하여 후방블럭부(210) 둘레에 끼워지고, 전방블럭부(220)의 후면부(단턱(223))에 부착된다.
내부씰링부재(620)는 상기와 같이 후방블럭부(210)에 끼워지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후방블럭부(210)에 걸려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의 이동,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전방블럭부(220)의 단턱(223)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내부씰링부재(620)는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20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걸림턱부(120)에 걸려 정지된 상태에서, 이너패널(510)을 하우징(100)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토션스프링(533)의 작용에 의해 걸림턱부(120)의 전단부에 탄성 접촉, 밀착된다.(도 3 내지 도 5 참조)
토션스프링(533)이 이너패널(510)과 아우터패널(520)을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531)상에 끼워져, 이너패널(510)과 아우터패널(520)을 하우징(100)측으로 탄성가압한다.
내부씰링부재(620)는 카메라(300)가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100)과 가이드블럭(200) 사이의 유격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내부씰링부재(620)는 가이드블럭(200)이 걸림턱부(120)에 걸려 정지되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게 되어, 하우징(100)과 카메라(300) 등의 내구성을 유지하고 가이드블럭(200)과 걸림턱부(120)간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도 4,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걸림턱부(120)는, 내향돌출부(121), 후방돌출부(124), 전방돌출부(125)를 포함한다.
내향돌출부(121)는 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 이동홀부(110)의 후단부상에서 이동홀부(110)의 내부공간부측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홀부(110)의 후단부는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내향돌출부(121)는 이동홀부(110)의 후단부 둘레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ㅁ자 정면(후면) 형상을 이룬다.
후방돌출부(124)는 내향돌출부(121)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향돌출부(121)의 ㅁ자 형상을 따라 ㅁ자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커버(500)에 결합된 외부씰링부재(610)는, 커버(500)가 닫힌 상태에서 전면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돌출부(121)의 후단부와 후방돌출부(124)에 탄성 접촉된다.
이때,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후방돌출부(124)에 의해 외부씰링부재(610)와 걸림턱부(120)의 후단부가 전(全) 둘레에 걸쳐 명확하게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전방돌출부(125)는 내향돌출부(121)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향돌출부(121)의 ㅁ자 형상을 따라 ㅁ자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블럭(200)에 결합된 내부씰링부재(620)는, 가이드블럭(200)이 최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후면부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돌출부(121)의 전단부와 전방돌출부(125)에 탄성 접촉된다.
이때,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전방돌출부(125)에 의해 내부씰링부재(620)와 걸림턱부(120)의 전단부가 전(全) 둘레에 걸쳐 명확하게 가압 접촉될 수 있다.
도 4,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향돌출부(121)는 상부걸림턱부(122)와 하부걸림턱부(123)를 포함한다.
상부걸림턱부(122)의 후단부와 전단부는 수직면을 이룬다.
하부걸림턱부(123)는 상부걸림턱부(122) 하부에 연결되며, 후단부는 상부걸림턱부(122)의 후단부와 연속된 수직면을 이루고, 전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부걸림턱부(122)와 하부걸림턱부(123)가 이루는 내향돌출부(121)의 후단부는 연속된 수직면을 이루게 된다.
내향돌출부(121)의 후단부와 접촉되는 외부씰링부재(610)와, 외부씰링부재(610)가 부착되는 이너패드(510)의 전면부는, 내향돌출부(121)의 후단부에 대응되는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내향돌출부(121)의 전단부는 상부걸림턱부(122)와 하부걸림턱부(123)간 경계부가 후방으로 뾰족하게 함몰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내향돌출부(121)의 전단부와 접촉되는 내부씰링부재(620)의 하부는, 내향돌출부(121)의 전단부에 대응되게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굽어진 형상을 가진다.
내부씰링부재(620)가 부착되는 가이드블럭(200)의 단턱(223)의 하부 또한 하부걸림턱부(123)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블럭(200)이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120)의 전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블럭(200)의 단턱(223) 하부는 하부걸림턱부(123)의 경사진 상면부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즉, 가이드블럭(200)은 걸림턱부(120)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부걸림턱부(123)의 경사진 상면부에 받쳐져 하단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블럭(200)을 걸림턱부(120)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걸림턱부(120)의 상, 하부 전체에 걸쳐 내부씰링부재(620)를 수밀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지면의 요철 등에 따른 차량(10)의 상하방향 진동에 대해 걸림턱부(120)와의 접촉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0,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400)는 구동모터(410), 웜(420), 웜기어(430), 주동기어(440), 종동기어(450), 피니언기어(460), 랙기어(470), 케이스(48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10)는 케이스(480)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웜(420)은 나선형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구동모터(410)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된다.
웜기어(430)는 웜(420)의 나선형 기어치에 맞물리는 기어치를 구비하여 웜(420)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웜(420)에 연동하여 감속 회전된다.
주동기어(440)는 웜기어(430)보다 적은 갯수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웜기어(430)와 상측에서 웜기어(430)와 동축상에 연결된다.
종동기어(450)는 웜기어(430)보다 많은 갯수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주동기어(440)에 기어치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웜기어(430)보다 적은 갯수의 기어치를 가지는 주동기어(440)와, 웜기어(430)보다 적은 갯수의 기어치를 구비하는 종동기어(450)간 치합에 의해, 웜기어(430)의 회전이 다시 감속(2차 감속)되어 종동기어(450)측으로 전달된다.
피니언기어(460)는 종동기어(450)보다 적은 갯수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구동모터(410) 하측에서 종동기어(450)와 동축상에 연결된다.
랙기어(470)는 전후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피니언기어(460)의 기어치에 치합되게 연결되고, 구동모터(410) 하측에서 피니언기어(46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된다.
종동기어(450)보다 적은 갯수의 기어치를 구비한 피니언기어(460)와 랙기어(470)간 치합에 의해, 종동기어(450)의 회전이 다시 감속(3차 감속)되어 랙기어(47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가이드블럭(200)은 랙기어(470)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상기와 같이 감속 및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 상태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모터(410)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모터(410), 웜(420), 웜기어(430), 주동기어(440), 종동기어(450), 피니언기어(460)는 케이스(480) 내부에 수용되며, 가이드블럭(200)과 연결된 랙기어(470)의 후방부는 케이스(480) 내외부로 출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단 감속 구조에 의해 구동모터(410)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가이드블럭(2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랙기어(470)가 구동모터(410)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 케이스(480) 외부로 돌출된 랙기어(470) 부분에 이물질, 수분 등이 묻은 상태로 케이스(48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케이스(480)의 바닥부에 침전되어 구동모터(410)측으로의 전달이 방지된다.
랙기어(470)와 구동모터(410)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면, 구동모터(410)를 이물질, 수분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후진감지장치(760)에서 차량(10)의 후진(예를 들어, 후진 기어(Rear gear) 구동 등)이 감지되면, 컨트롤러(800)는 구동모터(4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가이드블럭(20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전진시킨다.(도 12 참조)
후진감지장치(760)에서 차량(10)의 후진이 감지되지 않으면, 컨트롤러(800)는 구동모터(4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가이드블럭(20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전방으로 전진)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운전석이 위치한 차량(10)의 내부에 카메라 작동버튼(710)이 더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차량(10)의 후진 중이 아니라도(예를 들어, 차량(10)이 정지 상태라도) 카메라 작동버튼(710)이 조작되면, 컨트롤러(800)는 카메라 작동버튼(710)의 조작 신호를 수신받아 구동장치(400)를 구동시킨다
운전자가 카메라 작동버튼(710)을 조작하면, 컨트롤러(800)가 구동모터(410)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가이드블럭(20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카메라(300)가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다.
카메라(300) 촬상 이미지의 선명도가 낮아져 카메라(300) 렌즈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운전자가 카메라 작동버튼(710)을 조작하면 카메라(300)를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카메라(300) 렌즈를 간편하게 세척,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300) 설치상태의 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에도, 테일게이트(15)로부터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분리시키거나 무리하게 커버(500)를 젖힐 필요없이, 카메라 작동버튼(71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300)를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다.
가이드블럭(200)의 위치와 구동장치(400)의 구동상태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00)로 송신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하면, 가이드블럭(200)의 위치에 따라 구동장치(400)의 구동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도 12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수단은,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변위센서(720)와, 구동장치(400)에 설치되는 회전각센서(730)와, 걸림턱부(120) 또는 내부씰링부재(620)에 설치되는 압력센서(74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센서(720)는 가이드블럭(200)의 직선 변위를 감지하도록 하우징(100)의 이동홀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블럭(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00)로 송신한다.
변위 센서(720)로는 전자 유도식, 자기식, 광학식 등의 접촉식 센서, 또는 와류식, 광학식(Laser), 초음파식 등의 비접촉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위 센서(720)는 이동홀부(110)의 내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11)의 연장 방향을 감지 경로로 하도록 이동홀부(110)의 내면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돌출부(221)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동홀부(110)가 가이드블럭(2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함몰되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변위 센서(720)로 이동홀부(110)상의 가이드돌출부(221)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블럭(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회전각센서(730)는 회전변위를 가지는 구동모터(410)의 회전축 또는 종동기어(450)와 피니언기어(460)를 연결하는 연결축(451)상에 설치되며, 회전축 또는 연결축(451)의 회전변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00)로 송신한다.
도 10,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각센서(730)는 종동기어(450)와 피니언기어(460)를 연결하는 연결축(451)상에 설치되어, 연결축(451)의 회전 변위를 감지한다.
변위 센서(720)에서 가이드블럭(200)의 위치가 감지되면, 컨트롤러(800)에서는 목적한 위치까지의 남은 가이드블럭(200)의 변위(이하 '잔여 거리'라 한다)를 연산하여 구동모터(410)를 구동시킨다.
이때, 회전각센서(730)에서는 연결축(451)이 잔여 거리에 대응되는 목적한 회전각 변위로 회전되는지를 감지하고, 회전각센서(730)에서 목적한 회전각 변위가 감지되면 컨트롤러(800)는 구동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위 센서(720)와 가이드돌출부(221)간 거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10이라고 가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까지 가이드블럭(200)을 이동시키는 경우, 변위 센서(10)에서는 가이드블럭(200)의 위치가 0으로 감지되고, 컨트롤러(800)는 구동모터(4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때, 회전각센서(730)에 의해 연결축(451)의 회전각 변위가 컨트롤러(800)에 출력(송신)되고 있으며, 연결축(451)이 잔여 거리 10에 대응되는 회전각 변위 330°로 회전되면 컨트롤러(800)는 구동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변위센서(720)와 회전각센서(730)를 이용함으로써, 가이드블럭(200)의 위치와 구동장치(400)의 구동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면서, 가이드블럭(200)의 위치에 따라 구동장치(400)의 구동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200)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가이드블럭(200)에 부착된 내부씰링부재(620)는 걸림턱부(120)에 접촉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압력센서(740)는 내부씰링부재(620) 또는 걸림턱부(120)에 설치되어, 걸림턱부(120)와 가이드블럭(200)간 접촉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센서(740)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씰링부재(620)와 걸림턱부(120)간 접촉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200)을 이동시킴에 있어서, 압력센서(740)에서 감지되는 접촉 압력이 기준치에 도달되어야만 구동모터(410)의 구동이 정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변위센서(720), 회전각센서(730), 압력센서(740), 컨트롤러(800)를 이용하여 가이드블럭(200)의 위치와 구동장치(4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전방 목적 위치)에서 차량(10)의 후진, 또는 카메라 작동버튼(710) 조작 신호가 컨트롤러(800)에 입력(수신)되면 구동모터(410)가 정방향으로 구동(시동)된다.
이때, 변위센서(720)는 가이드블럭(200)의 변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00)로 출력(송신)하며, 컨트롤러(80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방 목적 위치까지의 가이드블럭(200)의 이동 잔여 거리를 연산하여 회전각센서(730)의 회전각 변위와 비교한다.
회전각센서(730)가 잔여 거리에 대응되는 회전각 변위로 회전된 것이 감지되더라도, 압력센서(740)에서 기준치(예를 들어, 1kpa)에 도달된 것이 컨트롤러(800)에 감지(수신)되면 구동모터(410)의 정방향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블럭(200) 위치 제어방법에 의해 가이드블럭(200)의 위치를 목적한 지점까지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가이드블럭(200)의 목적 이동 위치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120)와 접촉된 지점일 경우, 내부씰링부재(620)를 걸림턱부(120)에 목적 압력으로 명확하게 밀착시킴으로써 하우징(100) 내 수분 유입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테일게이트(15)의 개방을 감지하여 컨트롤러(800)로 출력(송신)하는 게이트 감지장치(750)를 더 포함한다.
게이트 감지장치(750)는 운전석이 위치한 차량(10)의 내부에 설치된 테일게이트 개방버튼(13)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00)로 송신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도 14 참조)
또한, 게이트 감지장치(750)는 차량(10)의 리모콘(17)에 구비된 테일게이트 개방버튼(19)의 조작 상태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컨트롤러(800)로 송신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도 14 참조)
게이트 감지장치(750)는 테일게이트 개방버튼(13, 19)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외에, 테일게이트(15)의 힌지, 잠금장치와 같이 테일게이트(15)의 개폐 여부에 따라 작동 상태가 달라지는 지점에 설치되는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 감지장치(750)에 구비되는 센서부재로는 전자 유도식, 자기식, 광학식 등의 접촉식 센서, 또는 와류식, 광학식(Laser), 초음파식 등의 비접촉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게이트 감지장치(750)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일게이트(15)의 개방이 감지되면, 컨트롤러(800)는 게이트 감지장치(750)의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장치(400)를 구동시켜 가이드블럭(2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커버(500)로 이동홀부(110)를 폐쇄시킨다.
도 15를 참조하여, 게이트 감지장치(750), 변위센서(720), 회전각센서(730), 압력센서(740), 컨트롤러(800)를 이용하여 가이드블럭(200)의 위치와 구동장치(4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블럭(200)에 탑재된 카메라(30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걸림턱부(120)와 내부씰링부재(620)는 기준치(예를 들어, 1kpa) 이상의 접촉 압력으로 접촉된 상태이다.
게이트 감지장치(750)의 테일게이트(15) 개방 감지 신호와 압력센서(740)의 압력 감지 신호가 동시에 컨트롤러(800)에 수신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라고 감지하고 구동모터(4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동)시킨다.
이때, 변위센서(720)는 가이드블럭(200)의 변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00)로 출력(송신)하며, 컨트롤러(80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 목적 위치까지의 가이드블럭(200)의 이동 잔여 거리를 연산하여 회전각센서(730)의 회전각 변위와 비교한다.
회전각센서(730)가 잔여 거리에 대응되는 회전각 변위로 회전된 것이 감지되면, 즉 가이드블럭(200)(카메라(300))이 전방 목적 위치에 도달된 것이 감지되면, 구동모터(410)의 역방향 구동을 정지시킨다.
테일게이트(15)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그대로 차량(10)의 후방을 촬상 중인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라면, 후진감지장치(760)에서 차량(10) 후진이 감지되는 경우, 변위센서(720)와 회전각센서(730), 압력센서(740)를 이용해 구동모터(4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방 목적 위치까지 가이드블럭(200)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블럭(200) 위치 제어방법에 의하면 카메라(300)로 차량(10)의 후방을 촬상 중에 테일게이트(15)가 개방되는 경우, 카메라(300)를 신속하게 하우징(100) 내측(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커버(500)로 하우징(100)의 개방부(후방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특히, 오작동, 사고(충격력) 등의 원인으로 테일게이트(15)가 개방되는 경우 불필요한 카메라(300) 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천 시 야외에서 테일게이트(15)를 개방시키는 경우 우수가 하우징(100)과 카메라(3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량 13, 19 : 테일게이트 개방버튼
15 : 테일게이트 17 : 리모콘
100 : 하우징 110 : 이동홀부
111 : 가이드홈부 120 : 걸림턱부
121 : 내향돌출부 122 : 상부걸림턱부
123 : 하부걸림턱부 124 : 후방돌출부
125 : 전방돌출부 200 : 가이드블럭
210 : 후방블럭부 220 : 전방블럭부
221 : 가이드돌출부 223 : 단턱
300 : 카메라 400 : 구동장치
410 : 구동모터 420 : 웜
430 : 웜기어 440 : 주동기어
450 : 종동기어 451 : 연결축
460 : 피니언기어 470 : 랙기어
480 : 케이스 500 : 커버
510 : 이너패널 515 : 조립턱부
520 : 아우터패널 525 : 엠블럼
531 : 회동축 533 : 토션스프링
610 : 외부씰링부재 620 : 내부씰링부재
710 : 카메라 작동버튼 720 : 변위센서
730 : 회전각센서 740 : 압력센서
750 : 게이트 감지장치 760 : 후진감지장치
800 : 컨트롤러

Claims (6)

  1.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된 이동홀부와, 상기 이동홀부의 후단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이동홀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출몰되고, 상기 걸림턱부에 걸려 후방 이동이 구속되는 가이드블럭;
    상기 가이드블럭에 탑재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을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가이드블럭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럭에 밀려 상향 회동되며 상기 이동홀부를 개방시키는 커버;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방을 감지하는 게이트 감지장치; 및
    상기 테일게이트 개방 시,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가이드블럭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커버로 상기 이동홀부를 폐쇄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블럭 사이의 유격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씰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부 또는 상기 내부씰링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턱부와 상기 가이드블럭간 접촉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게이트 감지장치의 감지 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 감지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가이드블럭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감지장치는,
    운전석이 위치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테일게이트 개방버튼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감지장치는,
    상기 차량의 리모콘에 구비된 테일게이트 개방버튼의 조작 상태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블럭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변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위센서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20057743A 2012-05-30 2012-05-30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6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43A KR101366595B1 (ko) 2012-05-30 2012-05-30 차량용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43A KR101366595B1 (ko) 2012-05-30 2012-05-30 차량용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13A KR20130134313A (ko) 2013-12-10
KR101366595B1 true KR101366595B1 (ko) 2014-02-25

Family

ID=4998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743A KR101366595B1 (ko) 2012-05-30 2012-05-30 차량용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1007B4 (de) 2015-01-23 2022-07-21 Witte Automotive Gmbh Kamera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914A (ja) * 2006-08-08 2008-03-21 Ichikoh Ind Ltd 車両用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120034495A (ko) * 2010-10-01 2012-04-12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914A (ja) * 2006-08-08 2008-03-21 Ichikoh Ind Ltd 車両用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120034495A (ko) * 2010-10-01 2012-04-12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13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1808B2 (ja) 可動画像記録デバイスおよびそうしたデバイスを備えた車両
US8118501B2 (en) Device with a cover unit to protect a camera unit
KR20140138610A (ko) 작동 장치
CN104685146B (zh) 用于操控机动车的闭锁元件组件的方法
KR101467712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및 차량 내에 카메라 장치의 설치 방법
US9260062B2 (en) Modular image detection unit
JP2010155484A (ja) バックガイドモニターカメラ装置
US20170346997A1 (en) Vehicle camera device
US20160318456A1 (en) Rear view camera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751471B2 (en) Device for holding a camera having a slotted guide
US20170001578A1 (en) Motor vehicle camera system
KR101704047B1 (ko) 차량의 카메라 장치
KR101366594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CN107407121B (zh) 车辆用窗玻璃升降装置、车辆用门以及车辆
KR101366595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66593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2407264B1 (ko) 자동차의 후방 카메라 장치
KR101316003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6580887B2 (ja) カメラユニット
KR101291038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2018103910A (ja) 後方視認用カメラ構造
KR20090098240A (ko) 창문 개폐장치
KR101191399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KR102141466B1 (ko)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JP6578167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