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610A -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610A
KR20140138610A KR1020147021300A KR20147021300A KR20140138610A KR 20140138610 A KR20140138610 A KR 20140138610A KR 1020147021300 A KR1020147021300 A KR 1020147021300A KR 20147021300 A KR20147021300 A KR 20147021300A KR 20140138610 A KR20140138610 A KR 20140138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lap
tappet
housing
oper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586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베크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46Arrangements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84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the locking bolt is linearly moved to lock or un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05B2047/0021Geared sectors or fan-shaped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부품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플랩, 특히 자동차의 하우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플랩을 위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작동 장치는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작동 부분 및 제2 작동 부분, 제1 작동 부분 또는 제2 작동 부분 상에 마련된 로킹 수용부 및 제1 작동 부분 또는 제2 작동 부분의 다른 하나에 마련된 로킹 요소를 구비한 로킹 수단, 로킹 위치에서의 이동 방향으로의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요소는 작동 부분들이 맞물려 있는 동안에 로킹 수용부에 맞물리고, 이에 작동 부분들을 로킹 위치에 함께 유지하며, 상기 로킹 수용부는 로킹 위치에서의 작동 부분의 이동 방향으로의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 및 이에 따라 작동 부분들의 그 이동 방향으로의 대응하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Description

작동 장치{ACTUATION DEVICE}
본 발명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부품 상에 장착된 플랩(flap)를 위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른바 푸시-푸시(push-push)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연료 탱크 플랩을 작동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다. 대응하는 작동 장치가 DE 10 2008 057 933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작동 장치는 탱크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 장치는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단부를 갖는다. 공지된 작동 장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태핏(tappet)을 가지며, 푸시-푸시 운동(kinematics)을 생성하기 위해 그 외측 둘레 상에 제어 캠이 제공된다. 작동 중, 연료 탱크 플랩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장치의 작동 단부와 협력한다. 특히, 연료 탱크 플랩은 폐쇄된 상태에서 작동 단부 상에서 그 내측에 놓인다. 푸시-푸시 운동의 결과로서, 연료 탱크 플랩을 자동차 차체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작동 장치는 작동 단부가 탱크 하우징으로부터 추가로 돌출하고 또한 연료 탱크 플랩이 차체 표면으로부터 미세하게 상승되는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연료 탱크 플랩은 수동으로 파지 및 피봇되어 완전히 개방된다. 플랩은, 후속하여 폐쇄되고 이 경우에 작동 장치의 작동 단부에 힘이 적용될 때, 다시 로킹 위치로 이동된다.
연료 탱크 플랩은 로킹 위치에서 의도하지 않게 피봇 개방될 수 없도록, 스프링에 의해 폐쇄 위치로 예인장(pretension)된다. 차량 작동 중에, 그리고 또한 조립 중에 이미 힘이 연료 탱크 플랩 상에 작용하고 있다. 예로써, 중력이 플랩의 개방 위치로 연료 탱크 플랩에 대해 작용하는 차량의 피봇 조립체 또는 오버헤드(overhead) 조립체를 언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특히 건조 작동 중 플랩의 개방 방향으로 힘이 인가될 수 있는 세척 설비가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연료 탱크 플랩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방지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연료 탱크 플랩을 폐쇄 위치로 예인장시키는 스프링은, 비교적 높은 탄성력을 가해야만 한다. 이 탄성력은 플랩을 개방할 때 사용자에 의해 극복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편안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비교적 높은 탄성력의 경우에 있어서, 작동 중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인 명의의 이전의 비공개 독일 특허 출원 제10 2011 101 838.0호에 따르면, 작동 장치의 제1 작동 부분은 플랩이 이동될 때에 플랩과 함께 이동하도록 플랩에 고정되며, 제2 작동 부분은 예를 들어 자동차에 또는 자동차 상에 확실하게 배치된 부품에 고정된다. 작동 부분의 이러한 분리는 플랩을 폐쇄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불필요하게 한다. 대신에, 플랩은 그 위에 제공된 제1 작동 부분에 의해 제2 작동 부분에 고정되며, 또한 플랩을 갖는 부품에 연속적으로 고정된다. 작동 장치는, 플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봇 개방 위치로 나중에 이동하기 위해 플랩이 수동으로 내측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에 의해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되어, 후속하여 탱크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고, 이에 따라 후속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봇 개방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푸시-푸시 운동을 사용할수 있다.
때로는 예를 들어 연료 탱크 플랩을 개방하기 전에 예비 조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당한 압력 하에 있는 탱크가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된다. 탱크로의 접근이 이루어지기 전에, 따라서 탱크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탱크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설명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랩이 개방되기 전에 예비 조치가 간단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게 하는, 서두에 서술된 타입의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보호 대상에 의해 이 목적을 달성한다. 유리한 실시예가 첨부의 청구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설명된다.
본 발명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부품 상에 장착된 플랩, 특히 자동차의 하우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플랩을 위한 작동 장치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상기 작동 장치는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작동 부분 및 제2 작동 부분, 상기 제1 작동 부분 또는 제2 작동 부분 상에 마련된 로킹 수용부(reception) 및 제1 작동 부분 또는 제2 작동 부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로킹 요소를 구비한 로킹 수단, 및 로킹 위치에서의 이동 방향으로의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요소는 작동 부분들이 맞물려 있는 동안에 로킹 수용부에 맞물리고, 이에 따라 작동 부분들을 로킹 위치에 함께 유지하며, 상기 로킹 수용부는 로킹 위치에 있어서 작동 부분의 이동 방향으로의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 및 이에 의한 작동 부분들의 이동 방향으로의 작동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대응하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플랩은 자동차 내의 또는 자동차 상의 플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은 자동차의 연료 또는 충전 하우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특히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자동차의 연료 또는 충전 플랩일 수 있다. 연료 또는 충전 플랩의 개방 위치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연료 탱크가 연료로 채워지거나, 또는 자동차의 전기 구동 부품들이 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 섹터와 자동차 섹터 이외에서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도 가능하다.
작동 부분은 플랩을 폐쇄함으로써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플랩에 대해 압박하는 것에 의해 수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 작동 부분은 특히 적어도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이동할 수 있다. 로킹 위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작동 부분은 서로 해제될 수 없다. 이를 위해, 로킹 위치가 먼저 해제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로킹 수용부와 로킹 수용부에 맞물리는 로킹 요소의 구성은 로킹 위치에서의 작동 부분의 이동 방향으로, 즉 특히 축방향으로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또한 결과적으로 작동 부분들의 그 이동 방향으로의 대응하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로킹 위치에서 이런 상대 이동은 손에 의해 미세하게 내측 방향으로 압박된 플랩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대 이동은 로킹 위치가 유지된 채로 실시된다. 따라서, 로킹 위치에서 허용된 상대 이동을 갖는 작동 부분의 로킹 해제가 (아직까지) 없다.
본 발명에 따라, 로킹 위치에서의 상대 이동을 검출하는 센서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이런 이동의 검출은 다양한 다른 측정을 위한, 예를 들어 작동 장치의 로킹 해제를 위한 또는 예를 들어 플랩에 의해 폐쇄되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자동차의 탱크로부터 압축 공기의 제거와 같은 다른 측정을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공기가 탱크로부터 제거되고, 그리고 그 후에만 작동 장치가 로킹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로킹 위치에서, 플랩이 부품에 단단히 로킹된다. 그에 따라 세척 설비에서 또는 자동차의 피봇 또는 오버헤드 조립 중 플랩의, 예를 들어 연료 탱크 플랩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플랩을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임의의 높은 탄성력을 인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플랩이 사용될 때, 편안함이 증가된다. 또한, 작동 중 이런 탄성력에 의해 생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불쾌한 것으로 감지되는 소음이 방지된다. 편안함의 이유로 인해, 본 발명에서 플랩이 탄성력에 의해 폐쇄 위치로 예인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응하는 탄성력은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특히 종래 기술보다 상당히 낮을 수 있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탄성력은 플랩이 특정한 개방도(degree of opening)로부터 개방 위치로 예인장되도록 복귀 지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습기 또는 먼지의 침투에 대해 높은 수준의 밀봉이 플랩의 폐쇄 또는 개방 위치에서 달성된다. 이를 위해, 대응하는 밀봉 립(lip)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동 장치는 견고성과 그리고 특별히 적은 개수의 부품을 구비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차별화된다. 또한, 이것은 소형 연료 또는 충전 하우징에 사용될 수 있도록 작은 구조적 크기를 갖는다. 작동 장치는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또한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고객 요구에 따라 실질적으로 융통성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도록 의도되거나, 또는 현존의 시스템에 적응될 수 있다. 작동 장치의 중요한 부품, 특히 작동 부분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는 자체-개방 플랩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킹은 자동차의 중심 로킹과 추가로 조합될 수 있다.
제1 작동 부분은 플랩 상에 체결되는 것으로 의도되며 그리고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플랩의 이동에 따라 플랩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작동 부분이 부품 상에 체결된다. 제1 작동 부분은 포착(catch) 연결부 또는 베이오닛(bayonet) 연결부에 의해 플랩 상에 체결될 수 있으며 및/또는 제2작동 부분은 포착 연결부 또는 베이오닛 연결부에 의해 부품 상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작동 부분은 이 실시예에서 플랩에 체결되며 플랩이 이동될 때에 플랩과 함께 이동한다. 제2 작동 부분은 자동차에 또는 자동차 상에 일반적으로 고정 가능하게 배치된 부품에 체결되며, 따라서 플랩이 이동할 때 이동하지 않는다. 플랩이 이동할 때, 제1 작동 부분도 적어도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제1 작동 부분은 다른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며, 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은 플랩이 피봇될 때 피봇 이동도 실시한다. 그러나, 그 이동은 축방향 성분도 또한 가지므로 제1 작동 부분은 특히 축방향으로 제2 작동 부분과 맞물릴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작동 부분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이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추가적인 복잡한 로킹 조치 없이도, 부품에 대한 플랩의 간단한 로킹이 달성된다. 간단히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제1 작동 부분의 분리 및 플랩 상에 제1 작동 부분의 배치 그리고 부품 상에 제2 작동 부분의 배치로 인해, 로킹 위치에서 플랩의 개방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들 중 하나는 로킹 수용부가 마련되는 그 외측 둘레 상에 태핏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작동 부분들 중 다른 하나는 로킹 요소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태핏은 로킹 위치에 도달하도록 진입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하우징에 진입하며, 상기 로킹 요소는 로킹 수용부와 결합한다. 그에 따라, 특히 견고하고 또한 콤팩트하며 또한 동시에 구조적으로 간단한 구조가 달성된다. 태핏은 원통형 기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작동 부분의 로킹 중 하우징으로 도입된다. 제1 작동 부분은 태핏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제2 작동 부분은 로킹 요소를 구비한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작동 부분이 하우징 및 로킹 요소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제2 작동 부분이 태핏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태핏은 로킹 수용부와 그 자유단부 사이에 자유단부의 방향으로 테이퍼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추형 방식으로, 테이퍼진 이런 부분에 의해, 로킹 요소는 태핏이 하우징에 도입될 때 자유단부로부터 시작하는 테이퍼진 부분의 뒤에 위치된 로킹 수용부 내로 다시 안내될 수 있다. 이것은 로킹 요소가 탄성 수단에 의해 로킹 위치 내로 예인장될 때 특히 중요하다. 태핏은 도입될 때, 로킹 요소는 로킹 수용부와 맞물릴 때까지지 태핏의 외측을 따라 미끄러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을 갖는 작동 부분은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볼트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볼트는 스프링 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진입 개구의 방향으로 예인장되며, 상기 태핏은 하우징 내로의 축방향 이동 중 스프링 수단에 대해 볼트를 압박하고 또한 그에 따라 스프링 수단을 예인장시킨다. 볼트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배치된다. 스프링 수단은 태핏으로부터 멀어지는 하우징의 측부에서 볼트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 수단은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태핏은 하우징에 진입할 때, 이에 따라 볼트와 접촉하고 그리고 볼트를 스프링의 탄성력과 반대로 하우징 카운터 내로 추가로 압박한다. 따라서, 스프링 수단은 하우징으로부터 태핏에 대해 볼트를 압박하려는 탄성 예인장을 제공한다. 로킹 요소는 제1 작동 부분이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해제될 수 없도록 이 탄성 예인장에 저항하여 제1 작동 부분을 로킹 위치에 유지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로킹이 먼저 해제되어야만 한다. 작동 부분의 로킹 해제 상태에서, 로킹 요소가 볼트의 외측 상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는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 중 이동되는 자석의 이동을 검출하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은 예를 들어 볼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히 로킹 위치에서 제2 작동 부분에 대한 제1 작동 부분의 이동의 효과적이고 또한 신뢰성 있는 검출이 이루어진다. 자연히, 본 발명에 따라, 이런 센서 장치에 더하여, 다른 센서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자석의 이동을 검출하는 이런 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킹 요소의 로킹 위치를 결정하는 센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로킹 수용부는 태핏의 외측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로킹 홈(groove)일 수 있으며, 상기 태핏의 축방향으로 로킹 홈의 크기는 태핏의 축방향으로 로킹 요소의 크기보다 더 크다. 로킹 위치에서 로킹 요소에 대한 제1 작동 부분 및 그에 따른 제2 작동 부분의 태핏의 가동성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동시에, 이런 로킹 홈은 특히 신뢰성 있는 로킹을 초래하며, 이것은 태핏의 회전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작동 장치는 로킹 해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킹 해제 장치는 로킹 요소가 로킹 수용부로부터 후퇴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로킹 해제 장치는 작동 부분으로부터 원격인 위치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원격-제어된 로킹 해제 장치일 수 있다. 작동 장치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센서 장치에 연결되고 또한 센서 장치의 센서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이것이 로킹 위치에서 제1 및 제2 작동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을 식별할 때 센서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는 서두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실질적으로 탱크 내의 압력을 주변 압력에 맞추기 위해 센서 장치가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할 때, 플랩에 의해 폐쇄된 자동차의 높은 압력의 탱크를 탈기(de-air)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두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것은 탱크가 자주 상당한 압력 하에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특히 필요하다. 또한, 제어 장치는 센서 장치가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할 때, 로킹 수용부로부터 로킹 요소를 후퇴시키도록 로킹 해제 장치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플랩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제1 작동 부분의 로킹 해제를 수행한다. 또한, 센서 장치가 로킹 요소와 로킹 수용부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하였을 때 플랩에 의해 폐쇄된 자동차의 탱크를 먼저 탈기하고 또한 그 후에 제1 및 제2 작동 부분 사이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로킹 요소는 로킹 수용부로부터 후퇴된 로킹 해제 위치와 로킹 수용부 내로 삽입된 로킹 위치 사이에서 태핏의 이동 방향에 대해 구동 수단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킹 바아일 수도 있다. 로킹 바아는 바아 스프링 수단에 의해 그 로킹 위치 내로 예인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킹 바아는 예를 들어 포크형(fork-like)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로킹 위치에서 그 자유 단부와 결합할 수 있다. 바아 스프링 수단은 예를 들어 로킹 바아의 한쪽 단부 상에서 작동하며 또한 로킹 바아가 로킹 수용부로부터 이동할 때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특별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 수단이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동 수단은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케이블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비상 로킹 해제를 위해 중요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이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한, 모터는 예를 들어 외부 치형부(toothed arrangement)를 갖는 치형 휠을 통해 웜 기어의 대응하는 내부 치형부와 결합할 수 있다. 웜 기어는 예를 들어 그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나선형 안내 홈을 가질 수 있다. 그후, 로킹 바아는 예를 들어 안내 홈과 결합하는 안내 돌출부를 그 하부측 또는 상부측에 가질 수 있다. 웜 기어가 이제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 안내 돌출부는 웜 기어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나선형 안내 홈을 따라 방사 방향으로 내향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로킹 바아는 이것이 로킹 수용부와의 결합부로부터 이동하도록 태핏으로부터 멀리 방사 방향으로 다시 이동된다. 로킹 바아의 이 이동은 바아 스프링 수단에 의해 제공된 예인장와는 반대로 실시될 수 있다. 안내 홈의 방사 방향으로 외향하는 시작부(beginning) 및 방사 방향으로 내향하는 단부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나선형 안내 홈의 방사 방향으로 내향하는 단부로부터 시작하는 바아 스프링 수단에 의해 구동된 로킹 바아의 안내 돌출부는, 로킹 바아가 로킹 수용부에 다시 결합할 수 있어서 다시 로킹될 수 있도록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분을 통해 다시 방사 방향으로 외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웜 기어의 회전은 필요하지는 않지만 간단하다. 웜 기어는 로킹 바아의 로킹 위치와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특히 대략 360°로 회전될 수 있다.
웜 기어의 안내 홈은 로킹 해제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그 방사 방향의 내측 단부에 로킹 바아의 안내 돌출부가 타격하는 정지부를 갖는다. 정지부는 웜 기어의 회전 이동을 위해 한정된 단부 지점을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전기 모터는 필수적으로 한정된 단부 위치로 구동될 필요가 없지만, 그러나 이것이 정지부에 도달할 때까지 간단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런 모터는 매우 빠르게 이동하므로, 단부 지점에 대한 정밀한 제어가 복잡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예인장에 의해 구동된 제1 작동 부분은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며, 또한 로킹 요소가 로킹 수용부로부터 후퇴될 때 플랩과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개방 위치 내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 수단은 특히 제1 작동 부분이 제2 작동 부분 상에 로킹될 때 제1 작동 부분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간단한 구조가 달성된다. 탄성 수단은 제2 작동 부분으로 로킹된 위치로부터, 제1 작동 부분을 구비한 플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다시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제1 작동 부분을 해제하도록 추구하는 탄성 예인장을 제공한다. 로킹 요소는 제1 작동 부분이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해제될 수 없도록 이 탄성 예인장과는 반대로 제1 작동 부분을 로킹 위치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에 연결된 플랩이 개방될 수 없다. 구동 수단에 의해 로킹 수용부와 맞물림 해제된 로킹 요소에 의해 로킹 위치가 새로이 해제되면, 탄성 예인장은 제1 작동 부분을 플랩과 함께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며, 상기 플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플랩을 개방하기 위한 탄성 예인장의 효과는 플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개방하도록 직접적으로 실시된다. 특별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푸시-푸시 기능과 관련하여 이 적어도 부분적인 개방을 위해 플랩의 수동 압박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 결과로서, 부분적으로 개방된 플랩은 그 후 손에 의해 파지되며 그리고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랩이 예를 들어 적절한 탄성력에 의해 구동된 그 개방 위치 내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부분들이 제2 작동 부분 방향으로의 제1 작동 부분의 예정된 제1 스트로크(stroke) 및 후속하는 제1 작동 부분의 백 스트로크(back stroke) 후에 구속(arresting) 상태로 서로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구속 상태는 제2 작동 부분 방향으로의 제1 작동 부분의 예정된 제2 스트로크에 의해 해제되며, 상기 제1 작동 부분 및 제2 작동 부분은 분리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따라서 작동 장치는 푸시-푸시 이동부를 갖는다. 로킹을 해제한 후, 작동 부분은 이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해 아직 구속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이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플랩의 적어도 부분적인 개방이 실시되도록, 플랩의 수동 압박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다시, 부분적으로 개방된 플랩은 그 후 손에 의해 파지되며 그리고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다시, 플랩이 예를 들어 적절한 탄성력에 의해 구동된 그 개방 위치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구속 상태를 다시 가정하기 위해, 푸시-푸시 이동부를 갖는 이런 장치에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플랩이 다시 폐쇄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들 사이의 구속 상태가 다시 초래된다. 로킹 작동은 로킹 수용부에서 결합하는 로킹 요소에 의해 나중에 다시 실시될 수 있다.
푸시-푸시 기능의 매우 적절한 실시예에 따라, 태핏이 그 외측 둘레 상에 제어 곡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한 제어 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링은 그 내측 둘레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핏은 작동 부분들이 서로 맞물려 있는 동안에 제어 링에 진입하며, 상기 제어 링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돌출부는 예정된 제1 스트로크 및 후속하는 백 스트로크 후에 태핏이 제어 링 상에 구속 상태로 유지되도록 태핏의 제어 곡선과 맞물리며, 상기 태핏은 예정된 제2 스트로크에 의해 제어 링 상에서의 구속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다시 제어 링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상기 제어 링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돌출부와 태핏의 제어 곡선은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부품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플랩을 갖는 부품, 특히 하우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플랩을 갖는 자동차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제1 작동 부분은 예를 들어 플랩 상에 체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작동 부분이 예를 들어 부품 상에 체결될 수 있다. 플랩은 다시 자동차 내의 또는 자동차 상의, 또는 자동차의 외측의 플랩일 수 있으며,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연료 탱크 또는 충전 플랩일 수 있다.
이때, 센서 장치는 플랩의 폐쇄 위치 및/또는 개방 위치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장치의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개방된 및/또는 폐쇄된 플랩을 구비한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그 후 다양한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의 개방 위치가 검출될 때, 주유(filling) 또는 충전 하우징의 조명(illumination)이 작동될 수 있다. 플랩의 개방 위치가 검출되었을 때, 부품을 갖는 차량의 계기판으로(on-board instrument) 경고 신호가 전송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차량의 충전 또는 주유 상태와 같은 특징값이 SMS 를 통해 모바일 데이터 장치, 예를 들어 모바일 텔레폰에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장치의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 1작동 위치에 있는 도 1의 작동 장치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작동 위치에 있는 도 1의 작동 장치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3작동 위치에 있는 도 1의 작동 장치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물체를 지칭한다. 도 1은 도시되지 않은 부품을 위한, 이 경우 자동차의 연료 하우징,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도시되지 않은 플랩(이 경우, 연료 탱크 플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작동 장치(10)는 도 1에 오직 그 헤드(14)만 볼 수 있는 태핏(12)을 갖는 제1 작동 부분을 포함한다. 태핏(12)은 태핏(12)의 주변을 둘러싸는 밀봉부, 이 경우 탄성 벨로우즈(bellows)(16)에 의해 은폐된다. 태핏(12)의 헤드(14)에는 돌출부(18)가 있으며, 이에 의해 태핏(12)이 베이오닛 연결의 방식으로 플랩에 고정될 수 있다. 작동 장치(10)는 하우징(20)을 갖는 제2 작동 부분을 추가로 갖는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실질적으로 하우징 베이스 부재(22) 및 하우징 커버(24)를 포함한다. 작동 장치(10)의 제1 작동 부분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았다. 하우징(20)의 베이스 부재(22)는 스프링(28) 및 볼트(30)가 수용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수용 개구(26)를 갖는다. 하우징 커버(24)는 태핏(12)을 위한 진입 개구(32)를 가지며, 진입 개구(32)의 하부측은 이것이 하우징 커버(24)에 대해 스프링(28)에 의해 원통형 수용 개구(26)에서 예인장되도록 또한 탄성 예인장부(28)와는 반대인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볼트(30)를 위한 상부 면을 형성한다. 하우징 브래킷(bracket)(34)은 하우징 베이스 부재(22) 상에서 돌출부(36)와 결합하는 오목부(38)에 의해 스냅-끼워맞춤 방식으로 하우징 베이스 부재(22)에 고정된다. 작동 중, 브래킷(38)이 커버(40)에 의해 폐쇄된다. 브래킷(38)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의 제1 홀 센서(42)가 배치된다. 접점 라인(43)에 의해, 이것은 전력 공급부 및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 부재(22)의 접촉 개구(44)를 통해, 전력 공급부(46)가 연결된다(도 1 참조). 전력 공급부는 그 중에서도 하우징 베이스 부재(22)에 수용된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전기 모터(48)는 그 상부측에 외부 치형부를 갖는 치형 휠(50)을 갖는다. 웜 기어(54)는 베어링(5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웜 기어(54)는 하부측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기 모터(48)의 치형 휠(50)과 맞물리는 내부 치형부를 갖는다. 도 2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58)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수용 개구(26) 내로 예인장된 로킹 바아(56)의 형태인 로킹 요소(도면부호 56 으로 도시된)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수동 비상 로킹 해제를 위한 와이어 풀(wire pull)(60)이 로킹 바아(56)에 추가로 연결된다. 로킹 바아(56)의 방사 방향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홀 센서(62)가 추가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자석(63)이 로킹 바아(56) 상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핸들(65)이 와이어 풀(6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10)의 기능이 이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으로 의도된다. 이들 도면에는 작동 장치(10)의 3개의 상이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작동 부분의 대부분은 명확함을 이유로 하여 도시되지 않는다. 대신에, 그 밀봉부가 없는 제1 작동 부분의 태핏(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로킹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로킹 바아(56)는 주변 로킹 홈(70)의 형태로 태핏(12)의 외측 주변 위로 연장하는 로킹 수용부(70)와 맞물려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웜 기어(54)는 그 상부측에 그 방사 방향 내측 단부가 정지 면(66)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안내 홈(64)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로킹 바아(56)는 그 하부측에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또한 안내 홈(64)에서 결합하는 안내 돌출부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로킹 위치에 있어서, 플랩은 폐쇄된 상태로 있으며, 또한 제1 작동 부분의 태핏(12)은 제2 작동 부분의 하우징(20)에 로킹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프링(58)에 의해 구동된 로킹 바아(56)는 그 로킹 위치에 위치되며, 거기에서 이것은 그 자유 단부가 원통형 개구(26) 내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로킹 홈(70)에서 결합한다. 태핏(12)의 축방향으로 로킹 홈(70)의 크기는 태핏(12)의 축방향으로 로킹 바아(56)의 크기보다 더 크다. 특히, 로킹 홈(70)의 폭은 로킹 바아의 두께의 2배 보다 더 크다. 스프링(28)은 태핏(12)을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유지하며, 거기에서 로킹 홈(70)의 하부 경계부가 로킹 바아(56)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태핏(12) 및 이에 의해 플랩은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해제될 수 없다. 도 3 내지 5에 있어서, 볼트(30)는 홀 센서(42)와 관련된 그 측부에 자석(31)을 갖는 것으로 추가로 도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로킹 위치에 있어서, 자석(31)은 홀 센서(42)에 대해 배향되며, 또한 그에 따라 홀 센서(42)에 의해 검출된다.
로킹 바아(56)에 비해 더 큰 로킹 홈(70)의 축방향 크기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로킹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태핏(12) 및 이에 의해 플랩은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미세하게 축방향으로 내향하여 압박될 수 있다. 스프링(28)이 추가로 압축되었던 이 위치에서, 로킹 바아(56)가 로킹 홈(70)의 상부 경계부와 접촉한다. 플랩 및 그에 따른 태핏의 이 압박은 예를 들어 수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석(31)은 자석의 이동에 의해 태핏(12) 또는 플랩의 이동을 결과적으로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홀 센서(42)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홀 센서(4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10)의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또한 이것을 대응하는 검출 신호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10)는 예를 들어 탱크가 주위에 대해 상당한 압력 하에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 탱크 플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플랩 및 그에 따른 태핏(12)의 압박은, 제어 장치에 의해 탱크를 채우기 위해 사용자가 플랩을 개방하고 싶어하는 자동차의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먼저 밸브부를 제어하며, 이를 통해 주위에 대해 압력 보상이 실시되도록 공기가 탱크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에, 제어 장치는 이것이 웜 기어(54)를 차례로 구동시키도록 전기 모터(48)를 제어한다. 이 회전 중, 웜 기어(54)의 안내 홈(64)으로 안내된 로킹 바아(56)의 안내 돌출부는 웜 기어(54)의 중심의 방향으로 나선형 안내 홈(64)을 따라 방사 방향으로 내향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로킹 바아(56)가 로킹 홈(70)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견인된다. 전기 모터(48)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외향하여 구동된 로킹 바아(56)의 이동은, 스프링(58)에 의해 제공된 예인장과는 반대로 실시된다. 안내 돌출부가 안내 홈(64)의 정지부(66)에 도달할 때까지, 360°로 웜 기어(54)의 회전이 실시될 수 있다. 로킹 바아(56)가 로킹 홈(70)으로부터 견인되자 마자, 스프링(28)에 의해 구동된 볼트(30)는 볼트(30)가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커버(24)의 그 상부측 및 하부측과 접촉하는 도 5에 도시된 위치까지, 태핏(12)을 상향으로 압박한다. 그후, 로킹 바아가 볼트(30)의 외측 면상의 이 로킹 위치로 놓인다. 태핏(12)은 도 3에서 그 위치에 대해 한정된 양으로 상향으로 이동하였으며, 또한 이에 의해 플랩은 이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플랩은 예를 들어 태핏(12)과 함께 이제 완전히 수동으로 피봇되어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탄성력에 의해 구동된 플랩(12)이 완전히 개방 위치로 독립적으로 피봇 개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공기의 사전 제거로 인해, 차량 탱크의 신뢰성 있는 주유가 이제 가능하다.
플랩이 후속으로 다시 로킹되는 것으로 의도된다면, 플랩은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내향하여 수동으로 압박되어야만 한다. 스프링(58)에 의해 구동된 로킹 바아(56)는 작동 장치가 도 3에 도시된 로킹 위치를 다시 취하도록 그 상부측에 제공된 접촉 요소(72) 및 볼트의 외면 형상을 통해, 또한 태핏(12)의 테이퍼진 부분(74)을 통해, 다시 로킹 홈(70) 내로 안내된다. 볼트(30)의 정확한 위치가 홀 센서(42)에 의해 다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로킹 홈(70)에서 결합하는 로킹 바아(56)의 위치에서, 홀 센서(62)는 로킹 바아(56)의 상부측에 배치된 자석(63)을 검출한다. 2개의 홀 센서(42, 62)의 조합으로 인해, 따라서 정확한 로킹이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홀 센서(42)는 자석(31)의 검출에 의해 또한 그에 따라 볼트(30)의 이동의 검출을 통해 플랩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식별할 수도 있다. 센서 장치의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그후 다양한 기능이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플랩이 개방될 때 조명 및/또는 경고 신호로 작동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작동 장치가 푸시-푸시 이동부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대해 제2 작동 부분의 방향으로 제1 작동 부분의 예정된 제1 스트로크 및 제1 작동 부분의 후속하는 백 스트로크 후에 작동 부분들이 구속 상태로 서로 유지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구속 상태는 제2 작동 부분의 방향으로 제1 작동 부분의 예정된 제2 스트로크에 의해 해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작동 부분과 제2 작동 부분은 분리된다. 따라서 구속 상태의 해제는 로킹 바아(56)가 로킹 홈(70)으로부터 다시 견인되었을 때만 가능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로킹 바아(56)의 단독적인 후퇴는 아직 플랩을 개방시키지 않는다. 이를 위해, 구속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대응하는 푸시-푸시 운동 먼저 추가로 활성화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10)는 콤팩트하고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부품 상에서 플랩의 신뢰성 있는 로킹을 허용하며, 플랩이 개방되기 전에 적절한 예비 조치가 여전히 취해질 수 있다.

Claims (19)

  1.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부품 상에 장착되는 플랩, 특히 자동차의 하우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랩을 위한 작동 장치로서: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작동 부분 및 제2 작동 부분;
    제1 작동 부분 또는 제2 작동 부분 상에 마련되는 로킹 수용부(70) 및 제1 작동 부분 또는 제2 작동 부분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로킹 요소(56)를 구비하는 로킹 수단; 및
    로킹 위치에서의 이동 방향으로의 로킹 요소(56)와 로킹 수용부(70)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 장치(42)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요소(56)는 작동 부분들이 맞물려 있는 동안에 로킹 수용부(70)에 맞물리고, 이에 따라 작동 부분들을 로킹 위치에 함께 유지하며,
    상기 로킹 수용부(70)는, 로킹 위치에 있어서 작동 부분의 이동 방향으로의 로킹 요소(56)와 로킹 수용부(70) 사이의 상대 이동 및 이에 의한 작동 부분들의 이동 방향으로의 작동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대응하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인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부분은 플랩 상에 체결되고,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플랩의 이동에 따라 플랩과 함께 이동되며, 제2 작동 부분은 부품 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 부분들 중 하나는 로킹 수용부(70)가 마련되는 외측 둘레 상에 태핏(12)을 포함하며, 작동 부분들 중 다른 하나는 로킹 요소(56)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상기 태핏(12)은 로킹 위치에 도달하도록 진입 개구(32)를 통해 축방향으로 하우징(20)에 진입하며, 이에 따라 로킹 요소(56)가 로킹 수용부(70)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20)을 포함하는 작동 부분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20)에 장착되는 볼트(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스프링 수단(28)에 의해 하우징(20)의 진입 개구(32) 방향으로 예인장되며, 상기 태핏(12)은 하우징(20) 내로의 축방향 이동 중에 볼트(30)를 스프링 수단(28)에 대하여 압박하고, 이에 따라 스프링 수단(28)을 예인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장치(42)는, 이동 방향으로의 로킹 요소(56)와 로킹 수용부(70) 사이의 상대 이동 중에 이동되는 자석의 이동을 검출하는 홀 센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자석(31)은 볼트(30)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수용부(70)는 태핏(12)의 외측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로킹 홈(70)이며, 상기 태핏(12)의 축방향으로의 로킹 홈(70)의 연장은 태핏(12)의 축방향으로의 로킹 요소(56)의 연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킹 해제 장치는, 로킹 요소(56)가 로킹 수용부(70)로부터 후퇴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구동 수단(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장치(42)에 연결되며, 센서 장치(42)의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센서 장치(42)가 로킹 요소(56)와 로킹 수용부(70)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할 때, 플랩에 의해 폐쇄된 자동차의 탱크를 탈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1. 제9항 및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센서 장치(42)가 로킹 요소(56)와 로킹 수용부(70) 사이의 상대 이동을 검출할 때, 로킹 수용부(70)로부터 로킹 요소(56)를 후퇴시키도록 로킹 해제 장치를 제어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56)는, 로킹 수용부(70)로부터 후퇴되는 로킹 해제 위치와 로킹 수용부(70) 내로 삽입되는 로킹 위치 사이에서의 태핏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구동 수단(48)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킹 바아(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로킹 바아(56)는 바아 스프링 수단(58)에 의해 그 로킹 위치로 예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48)은 전기 모터(4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예인장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작동 부분은, 로킹 요소(56)가 로킹 수용부(70)로부터 후퇴될 때에 제2 작동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플랩과 함께 그 개방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부분들은, 제2 작동 부분 방향으로의 제1 작동 부분의 예정된 제1 스트로크 및 제1 작동 부분의 후속하는 백 스트로크 후에 구속 상태로 상호 유지되며, 상기 구속 상태는 제2 작동 부분 방향으로의 제1 작동 부분의 예정된 제2 스트로크에 의해 해제되며, 이에 의해 제1 작동 부분과 제2 작동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7. 제16항 및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핏(12)은 그 외측 둘레 상에 제어 곡선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장착되며 회전 가능한 제어 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링은 그 내측 둘레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핏(12)은 작동 부분들이 서로 맞물려 있는 동안에 제어 링에 진입하며, 상기 제어 링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돌출부는, 예정된 제1 스트로크 및 후속하는 백 스트로크 후에 태핏(12)이 제어 링 상에서 구속 상태로 유지되도록 태핏(12)의 제어 곡선과 맞물리며, 상기 태핏은 예정된 제2 스트로크에 의해 제어 링 상에서의 구속 상태로부터 해제되고, 이에 따라 태핏이 제어 링을 빠져나가며, 상기 제어 링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돌출부와 태핏(12)의 제어 곡선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8.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플랩이 장착되는 부품, 특히 플랩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의 하우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장치(10)를 포함하는 부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센서 장치(42)는 플랩의 폐쇄 위치 및/또는 개방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KR1020147021300A 2012-03-02 2013-02-27 작동 장치 KR102032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4078A DE102012004078A1 (de) 2012-03-02 2012-03-02 Betätigungsvorrichtung
DE102012004078.4 2012-03-02
PCT/US2013/027869 WO2013130495A1 (en) 2012-03-02 2013-02-27 Actu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610A true KR20140138610A (ko) 2014-12-04
KR102032586B1 KR102032586B1 (ko) 2019-10-15

Family

ID=4789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300A KR102032586B1 (ko) 2012-03-02 2013-02-27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16745B2 (ko)
EP (1) EP2820211B1 (ko)
KR (1) KR102032586B1 (ko)
CN (1) CN104145070B (ko)
DE (1) DE102012004078A1 (ko)
WO (1) WO20131304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43B1 (ko) * 2019-09-06 2020-05-27 (주) 코스텍 차량의 연료 뚜껑 개폐장치
KR20210020922A (ko) * 2018-06-22 2021-02-24 액추에이터 솔루션스 게엠베하 스윙형 sma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4071A1 (de) 2012-03-02 2013-09-05 Illinois Tool Works Inc. Betätigungsvorrichtung
JP5937542B2 (ja) * 2013-05-15 2016-06-22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カバー開閉制御装置
JP6211909B2 (ja) * 2013-12-02 2017-10-11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KR101620736B1 (ko) * 2013-12-02 2016-05-1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리드장치
FR3016854A1 (fr) * 2014-01-24 2015-07-31 Mgi Coutier Espana Sl Dispositif de fermeture et d’ouverture pour la fermeture et l’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trappe a carburant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 fermeture et d’ouverture
JP6180992B2 (ja) 2014-04-25 2017-08-16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DE102015005303A1 (de) * 2015-04-27 2016-10-27 Kiekert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005646A1 (de) * 2015-05-05 2016-11-10 Kiekert Aktiengesellschaft Tankklappenverschluss
KR101823899B1 (ko) * 2015-12-24 2018-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CN109642442B (zh) * 2016-08-26 2020-12-22 百乐仕株式会社 旋转式伸缩装置
CN106285285B (zh) * 2016-10-25 2017-09-29 金湖怡众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电动外摆门系统控制器
JP6704363B2 (ja) * 2017-02-01 2020-06-03 株式会社城南製作所 充電コネクタ用ロック装置
DE102017106606A1 (de) 2017-03-28 2018-10-04 Kiekert Ag Stell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Klappenelement
DE102017115512A1 (de) * 2017-07-11 2019-0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ystem für eine Notentriegelung eines Tankmoduls/Lademoduls
US11098506B2 (en) 2017-09-27 2021-08-24 Illinois Tool Works Inc. Actuating apparatus
JP6876644B2 (ja) * 2018-02-27 2021-05-2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のリッド開閉装置
JP6784714B2 (ja) * 2018-02-28 2020-11-11 株式会社ニフコ 車載用プッシュリフター
DE102018106923A1 (de) 2018-03-23 2019-09-26 Kiekert Ag Stell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Klappenelement
CN109305260B (zh) * 2018-09-07 2020-04-07 浙江钱江摩托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龙头锁
KR20210110444A (ko) * 2020-02-28 2021-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푸시타입의 연료도어용 연료도어 오프너 어셈블리
DE102020209609B4 (de) * 2020-06-23 2024-02-29 Bos Gmbh & Co. Kg Verschlussanordnung zum Verschließen einer Tankmulde einer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DE102021104304A1 (de) 2021-02-23 2022-08-25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zum schalten und betätigen mehrerer funktionen eines lade- und/oder tankmuldensystems eines fahrzeugs sowie lade- und/oder tankmuldensystem mit solch einer vorrichtung
DE102022104783A1 (de) 2021-03-12 2022-09-15 Illinois Tool Works Inc. Betätigungsmechanismus zum betätigen einer lade- oder tankklappe
DE102022121106B4 (de) 2022-01-20 2024-02-08 Illinois Tool Works Inc. Betätigungsmechanismus zum betätigen von lade-, tank- oder serviceklappen
US20230347732A1 (en) 2022-04-27 2023-11-02 Illinois Tool Works Inc. Charge, fuel, or service recess for a vehicle
US20230374842A1 (en) 2022-05-17 2023-11-23 Illinois Tool Works Inc. Overload Clutch for an Actuator for Driving Components of a Loading, Fueling or Service Door, and Actuating Mechanism for Operating a Loading, Fueling or Service Door Including such an Overload Clutc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9447A (en) * 1983-11-11 1985-06-12 Wilmot Breeden Ltd Latching mechanism for pivotal flap
US5199288A (en) * 1990-10-24 1993-04-06 Abloy Security Ltd. Oy Electromechanical door lock
EP1128007A2 (en) * 2000-02-21 2001-08-29 Omron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7377559B2 (en) * 2004-07-20 2008-05-27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Locking system for a fuel door housing
US20110241360A1 (en) * 2010-03-31 2011-10-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Lid lock apparatus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929B1 (ko) * 1999-06-11 2001-12-22 이계안 차량의 연료캡 자동 개폐장치
DE10050558A1 (de) * 2000-10-10 2002-04-25 Woelk Adalbert Tankklappe mit Antrieb
DE10304551A1 (de) * 2003-02-04 2004-08-12 Mann + Hummel Gmbh Stellelement mit Lageerkennung
FR2869574B1 (fr) * 2004-05-03 2008-05-2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Systeme de verrouillage de tete de tubulure d'un reservoir a carburant et tubulure de remplissage comprenant ce systeme
DE102006027857B4 (de) * 2006-06-16 2009-11-26 Stabilus Gmbh Klappenantrieb
ITMC20060150A1 (it) 2006-11-13 2008-05-14 So Ge Mi Spa Dispositivo di apertura e di chiusura per sportelli.
DE102008057933B4 (de) 2008-11-19 2012-10-25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wenkbar gelagerte Klappe in einem Automobil mit einer Push-Push-Kinematik
US9944172B2 (en) 2010-03-31 2018-04-17 Kiekert Ag Actuator for a motor vehicle and locking device and method
DE102011101838A1 (de) 2011-05-17 2012-11-22 Illinois Tool Works Inc. Betätig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9447A (en) * 1983-11-11 1985-06-12 Wilmot Breeden Ltd Latching mechanism for pivotal flap
US5199288A (en) * 1990-10-24 1993-04-06 Abloy Security Ltd. Oy Electromechanical door lock
EP1128007A2 (en) * 2000-02-21 2001-08-29 Omron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7377559B2 (en) * 2004-07-20 2008-05-27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Locking system for a fuel door housing
US20110241360A1 (en) * 2010-03-31 2011-10-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Lid lock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922A (ko) * 2018-06-22 2021-02-24 액추에이터 솔루션스 게엠베하 스윙형 sma 액추에이터
KR102115743B1 (ko) * 2019-09-06 2020-05-27 (주) 코스텍 차량의 연료 뚜껑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5070B (zh) 2017-10-24
EP2820211A1 (en) 2015-01-07
US20150061314A1 (en) 2015-03-05
CN104145070A (zh) 2014-11-12
US9616745B2 (en) 2017-04-11
WO2013130495A9 (en) 2014-06-19
KR102032586B1 (ko) 2019-10-15
WO2013130495A1 (en) 2013-09-06
EP2820211B1 (en) 2017-10-04
DE102012004078A1 (de)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8610A (ko) 작동 장치
US20190242161A1 (en) Actuation device
CN111356817A (zh) 用于机动车门的开启设备
US9631403B2 (en) Actuation device for a flap
US8353185B2 (en) Vehicle handle locking apparatus
US9567779B2 (en) Lid lock apparatus for vehicle
CN107816266B (zh) 远程副发动机罩闩锁释放机构
MX2014000868A (es) Cierre de tapa para tanque de combustible con numero reducido de componentes.
CN112004979A (zh) 车门把手组件
US10668869B1 (en) Device having a camera unit and a cover element
JP2007069895A (ja) 自動車のボディ部品を操作する操作装置及び方法
CN113195858A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US20200269684A1 (en) Actuat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cover in or on a vehicle on demand and cover with such an actuating device
JP2020519524A (ja) ロック装置、特に自動車用のロック装置
CN111868346A (zh) 机动车鲍登拉索装置
US20090160109A1 (en) Slide Actuator
JP2013133640A (ja) 車両用開閉体の検知機能付ロックシステム
CN208236206U (zh) 一种车门安全自动开启装置
KR101366595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2105440B1 (ko) 차량 트렁크용 안전장치
JP3120429U (ja) 自動車用雨除けシート収納装置。
KR200483652Y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닫힘장치
JP2005534550A (ja) 電話機用保持装置
KR101366593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170036537A (ko) 통합형 도어 잠금 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