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717B1 -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717B1
KR100993717B1 KR1020040100322A KR20040100322A KR100993717B1 KR 100993717 B1 KR100993717 B1 KR 100993717B1 KR 1020040100322 A KR1020040100322 A KR 1020040100322A KR 20040100322 A KR20040100322 A KR 20040100322A KR 100993717 B1 KR100993717 B1 KR 10099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cover plate
bumper
washer
wash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540A (ko
Inventor
권영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7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60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signalling devices, e.g. reflectors
    • B60S1/60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signalling devices, e.g. reflectors the oper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means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범퍼(1)의 상부 개방부(1a)에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반대 측이 범퍼(1)의 상부로 돌출되어 열리도록 장착되어 이 개방부(1a)를 커버하는 커버판부재(10)와, 상기 커버판부재(10)의 하부면에 장착 고정되며 워셔액공급호스(20)가 연결되어 이 워셔액공급호스(20)에서 공급되는 워셔액을 헤드램프(2)로 분사하는 노즐구멍(22)이 헤드램프(2)를 향하도록 구비된 워셔액분사노즐(20)과, 상기 커버판부재(10)를 회동시켜 이 커버판부재(10)의 일 측을 범퍼(1)의 상부면으로 돌출시켜 분사노즐의 노즐구멍(22)을 헤드램프(2)로 향하도록 하는 회전모터(30)와, 상기 회전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커버판부재(10)로 전달하여 회전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버판부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전달수단(40)과, 상기 커버판부재(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워셔액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위치제어센서(50)로 구성되어 헤드램프(2)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워셔액분사노즐(20)이 사용 시에만 회전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범퍼(1)의 상부로 노출되므로, 그 작동이 원활하고 작동 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식으로 커버판부재(10)가 개폐되는 구조로 개폐 시 범퍼(1)와 마찰이 발생되지 않아 작동 시 범퍼(1) 표면과 마찰로 인한 잔기스의 발생, 도장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워셔액 분사노즐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동차의 외관미를 증 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Injection Device Washer Fluid for Head Lamp of a Automobile}
도 1 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범퍼 2 - 헤드램프
10 - 커버판부재 20 - 워셔액분사노즐
21 - 워셔액공급호스 22 - 노즐구멍
30 - 회전모터 40 - 회전력전달수단
41 - 기어고정브라켓트 42 - 회동기어
43 - 구동기어 50 - 위치제어센서
51 - 제 1 접촉센서 52 - 제 2 접촉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에 워셔액을 분사할 경우에 모터에 의해 회동되어 분사노즐이 노출되도록 하여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양측에는 야간 운행 시나, 안개가 짙은 날씨, 또는 눈, 비로 인해 시계불량 시 등에 운전사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고휘도의 헤드램프가 장착된다.
이 헤드램프는 오염물이 끼거나, 습기가 맺히게 되면 헤드램프의 빛이 발산되는 정상상태보다 현저하게 양이 줄어들어 운전자의 시계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야간 주행 또는 악천후 주행 시 사고 발생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는 윈드 실드 글래스와 마찬가지로 헤드램프에도 와이퍼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 헤드램프에 묻은 오염물을 확실히 제가하기 위해 헤드램프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가 함께 구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는 범퍼의 상부면에 분사 노즐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관미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이물질이 분사노즐을 막아 워셔액을 분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사노즐이 유압실린더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하여 범퍼상부로 돌출되어 워셔액을 분사한 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하강하여 범퍼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워셔액분사장치는 분사노즐커버가 범퍼 표면에 수직으로 승, 하강되면서 범퍼 표면의 도장에 잔기스를 발생시키거나 커버와 범퍼 표면과의 이격 발생으로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시 헤드램프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범퍼의 상부로 돌출되고, 미사용 시 역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하여 다시 분사노즐을 원위치로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분사노즐 개폐 시 범퍼의 도장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작동이 원활한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범퍼(1)의 상부 개방부(1a)에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반대 측이 범퍼(1)의 상부로 돌출되어 열리도록 장착되어 이 개방부(1a)를 커버하는 커버판부재(10)와;
상기 커버판부재(10)의 하부면에 장착 고정되며 워셔액공급호스(20)가 연결되어 이 워셔액공급호스(20)에서 공급되는 워셔액을 헤드램프(2)로 분사하는 노즐 구멍(22)이 헤드램프(2)를 향하도록 구비된 워셔액분사노즐(20)과;
상기 커버판부재(10)를 회동시켜 이 커버판부재(10)의 일 측을 범퍼(1)의 상부면으로 돌출시켜 분사노즐의 노즐구멍(22)을 헤드램프(2)로 향하도록 하는 회전모터(30)와;
상기 회전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커버판부재(10)로 전달하여 회전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버판부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전달수단(40)과;
상기 커버판부재(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워셔액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위치제어센서(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실내에서 헤드램프워셔액분사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회전모터(30)가 작동하여 커버판부재(10)가 일 측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타 측단이 들어올려지면서 분사노즐이 범퍼(1)의 상부로 노출되어 노즐구멍(22)으로 워셔액이 헤드램프(2)를 향해 분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범퍼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본 발명인 워셔액 분사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의 저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모터가 회전하면 기어 치의 맞물림에 의해 그 회전력이 커버판부재로 전달되어 커버판부재가 일 측단을 중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범퍼(1)의 상부에는 소정 크기의 개방부(1a)가 형성되어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가 개방부(1a)를 통해 범퍼(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본 발명인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의 커버판부재(10)는 범퍼(1)의 상부면에 일치되는 형상으로 개방부(1a)를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개방부(1a)에 위치하여 개방부(1a)를 커버하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헤드램프(2)에 근접한 단부가 들어올려지도록 범퍼(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부재(10)의 하부에는 노즐구멍(22)이 헤드램프(2)를 향하도록 구비되고, 워셔액탱크(미도시)로 부터 워셔액을 공급하는 워셔액공급호스(20)가 연결된 워셔액분사노즐(20)이 장착 고정된다.
상기 커버판부재(10)는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정, 역방향 회전하는 회전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이 회전모터(30)의 회전력은 회전력전달수단(40)을 통해 커버판부재(10)로 전달되어 커버판부재(10)를 회동시킨다.
이 회전력전달수단(40)은 상기 워셔액분사노즐(20)의 하부면에 장착 고정되며, 양 측에 간격을 두고 측면판(41a)이 하부로 돌출되는 기어고정브라켓트(41)와;
상기 기어고정브라켓트(41)의 측면판(41a) 사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 수의 치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회동기어(42)와;
상기 회전모터(30)의 샤프트(31)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기어(42)에 맞물리는 치가 외주면에 다 수개 형성되어 회동기어(42)에 맞물리는 구동기어(43)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헤드램프와셔액분사스위치를 ON 시키면 회전모터(30)에 전기전원이 공급되어 회전모터(30)가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회전모터(30)가 구동하여 샤프트(31)가 회전하면 이 회전력으로 구동기어(43)가 회전하고, 이 구동기어(43)에 맞물린 회동기어(42)가 연동되어 회전하여 커버판부재(10)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헤드램프(2)에 근접한 커버판부재(10)의 단부가 들어올려져 워셔액분사노즐(20)이 범퍼(1)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워셔액분사노즐(20)이 범퍼(1)의 상부로 노출되면 노즐구멍(22)을 통해 워셔액이 헤드램프(2)를 향해 분사되어 헤드램프(2)를 세척하게 되는 것이며 워셔액을 분사한 후 에는 회전모터(30)가 역회전하여 워셔액분사노즐(20)을 원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판부재(10)가 범퍼(1)의 상부면을 커버하고, 워셔액분사노즐(20)은 범퍼(1)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기어(42)와 기어고정브라켓트(41)의 측면판(41a) 사이에는 이 회동기어(42)의 직경보다 큰 기어보호판(44)이 각각 장착되어 회동기어(42)와 구동기어(43)의 맞물림이 이격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회동기어(42)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부재(10)의 위치는 위치제어센서(50)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워셔액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 위치제어센서(50)는 범퍼(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 1 접촉센서(51)와 커버판부재(1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이 커버판부재(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촉센서(51)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 2 접촉센서(52)로 구성되어 커버판부재(10)가 회동하여 제 1, 2 접촉센서(51, 52)가 분리되면 워셔액분사노즐(20)을 작동시켜 노즐구멍(22)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워셔액분사노즐(20)이 분사시기를 정확히 감지하여 범퍼(1) 내부에서 워셔액이 분사되는 등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정확하게 워셔액을 헤드램프(2)로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헤드램프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워셔액분사노즐이 사용 시에만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범퍼의 상부로 노출되므로, 그 작동이 원활하고 작동 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식으로 커버판부재가 개폐되는 구조로 개폐 시 범퍼와 마찰이 발생되지 않아 작동 시 범퍼 표면과 마찰로 인한 잔기스의 발생, 도장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워셔액 분사노즐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동차의 외관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범퍼(1)의 상부 개방부(1a)에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반대 측이 범퍼(1)의 상부로 돌출되어 열리도록 장착되어 이 개방부(1a)를 커버하는 커버판부재(10)와; 상기 커버판부재(10)의 하부면에 장착 고정되며 워셔액공급호스(20)가 연결되어 이 워셔액공급호스(20)에서 공급되는 워셔액을 헤드램프(2)로 분사하는 노즐구멍(22)이 헤드램프(2)를 향하도록 구비된 워셔액분사노즐(20)과; 상기 커버판부재(10)를 회동시켜 이 커버판부재(10)의 일 측을 범퍼(1)의 상부면으로 돌출시켜 분사노즐의 노즐구멍(22)을 헤드램프(2)로 향하도록 하는 회전모터(30)와; 상기 회전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커버판부재(10)로 전달하여 회전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버판부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전달수단(40)과; 상기 커버판부재(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워셔액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위치제어센서(50)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센서(50)는 범퍼(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 1 접촉센서(51)와 커버판부재(1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이 커버판부재(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촉센서(51)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 2 접촉센서(52)로 구성되어 커버판부재(10)가 회동하여 제 1, 2 접촉센서(51, 52)가 분리되면 워셔액분사노즐(20)을 작동시켜 노즐구멍(22)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40)은 상기 워셔액분사노즐(20)의 하부면에 장착 고정되며, 양 측에 간격을 두고 측면판(41a)이 하부로 돌출되는 기어고정브라켓트(41)와; 상기 기어고정브라켓트(41)의 측면판(41a) 사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 수의 치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회동기어(42)와; 상기 회전모터(30)의 샤프트(31)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기어(42)에 맞물리는 치가 외주면에 다 수개 형성되어 회동기어(42)에 맞물리는 구동기어(43)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기어(42)와 기어고정브라켓트(41)의 측면판(41a) 사이에 이 회동기어(42)의 직경보다 큰 기어보호판(44)이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KR1020040100322A 2004-12-02 2004-12-02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KR10099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322A KR100993717B1 (ko) 2004-12-02 2004-12-02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322A KR100993717B1 (ko) 2004-12-02 2004-12-02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540A KR20060061540A (ko) 2006-06-08
KR100993717B1 true KR100993717B1 (ko) 2010-11-10

Family

ID=3715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322A KR100993717B1 (ko) 2004-12-02 2004-12-02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561B1 (ko) * 2014-11-05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워셔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67A (ja) 1996-06-25 1998-01-13 Sony Corp 移動操作装置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3104174A (ja) 2001-08-31 2003-04-09 Kautex Textron Gmbh & Co Kg 前照灯洗浄装置
KR100379970B1 (ko) 2000-12-29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 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67A (ja) 1996-06-25 1998-01-13 Sony Corp 移動操作装置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KR100379970B1 (ko) 2000-12-29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 노즐
JP2003104174A (ja) 2001-08-31 2003-04-09 Kautex Textron Gmbh & Co Kg 前照灯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540A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134B1 (ko) 대상물 표면 세정 장치
KR100208591B1 (ko) 차량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00993717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워셔액 분사장치
KR101316003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0379970B1 (ko)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 노즐
KR200141030Y1 (ko) 구동방향에 따라 와셔액이 분사되는 와이퍼
KR100249131B1 (ko) 차량용 와이퍼 모터
KR101345192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324636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0387628B1 (ko) 전자밸브 제어식 와셔액 분사장치
KR100212625B1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100610340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워셔장치
KR100260214B1 (ko)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KR19980035799A (ko) 후드 내장형 와셔 노즐 장치
KR0133620Y1 (ko) 전동식 연료 공급 장치
KR100482504B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의 빗물 차단장치
KR100230647B1 (ko) 차량 윈도우의 에어분사장치
KR19980041388A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각 조절장치
KR19990006445U (ko) 와셔액 분사각도 조절장치
KR970040136A (ko) 자동차 윈도우 세척장치
KR19980035559U (ko) 와셔액 분사 조절 장치
KR19980048317U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15859U (ko) 자동차의 전방유리 와셔액 분사구조
KR19980039570U (ko) 헤드램프 청소장치
KR980007722U (ko) 승용차의 윈드 와셔 노즐 승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