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214B1 -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214B1
KR100260214B1 KR1019960070679A KR19960070679A KR100260214B1 KR 100260214 B1 KR100260214 B1 KR 100260214B1 KR 1019960070679 A KR1019960070679 A KR 1019960070679A KR 19960070679 A KR19960070679 A KR 19960070679A KR 100260214 B1 KR100260214 B1 KR 100260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otor
washer
link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763A (ko
Inventor
안성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2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6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including wi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램프(1)의 전방에 구성되고 범퍼(22)일측의 노즐공(24)에 함몰되어 와셔모터(30)의 펌핑으로 공급된 와셔액을 분사시키는 노즐(12)이 구성된 노즐어셈블리(10)와, 상기 노즐어셈블리(10)의 하단일측으로부터 노즐어셈블리(10)를 승하강시키는 제 1링크(18), 제 2링크(20) 및 접점판(26)과, 상기 제 1링크(18) 및 제 2링크(20)를 구동시키는 노즐모터(16)로 구성되어 헤드램프의 조도 및 조사각에 방해를 받지 않는 범위에서 헤드램프의 렌즈에 와셔액을 분사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의 조도 및 조사각에 방해를 받지 않는 범위에서 헤드램프의 렌즈에 와셔액을 분사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포장도로나 우천후에 야간에 자동차를 주행할 때에 헤드램프의 렌즈는 먼지 및 각종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렌즈를 통과한 헤드램프의 빛이 필요한 위치의 노면까지 조사되지 않아 헤드램프는 어둡게 느껴진다.
따라서, 종래에 오염된 헤드램프를 닦아내기 위하여 헤드램프용 와셔액 분사장치 또는 헤드램프용 와이퍼장치를 구성시켜 헤드램프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램프용 와셔액 분사장치는 도 1과 같이, 와셔액이 저장된 리저버(5)와, 상기 리저버(5)내의 와셔액을 펌핑시키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에서 펌핑되어 호스(14)를 통해 공급된 와셔액을 헤드램프(1)로 분사시키는 노즐(12)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12)은 전방 범퍼(22)의 상단일측에 구성된 것으로, 헤드램프(1)의 전방일측에 각각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은 엔진룸후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헤드램프용 와셔액 분사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모터(4)가 구동되면, 리저버(5)내의 와셔액이 호스(14)를 통해 노즐(12)로 공급되고, 노즐(12)에서 분사된 와셔액은 헤드램프(1)의 렌즈를 청결하게 유지시킨다.
그러나, 현재 자동차의 외관 및 디자인은 다양화되고, 공기역학을 중요시하고 있어 헤드램프용 와셔액 분사장치의 노즐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가 많은 제약이 따랐다.
또한, 헤드램프용 와셔액 분사장치의 노즐은 헤드램프의 전체면에서 5%를 넘지 않아야 하는 제약조건도 있었다. 이는 헤드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노즐에 의해 간섭이 되어 헤드램프의 정상적인 조도를 유지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자동차의 디자인과 법적규제를 만족하면서 헤드램프에 와셔액을 분사할 때에 노즐이 헤드램프를 가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램프 와셔스위치를 온시키는 단계와, 노즐어셈블리가 범퍼로부터 일정각도로 회전되게 노즐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설계요구각도와 개방된 각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설계요구각도와 개방된 각도가 같을 때에 와셔모터가 작동되는 단계와, 설계요구각도가 개방된 각도보다 작을 때에 와셔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와, 노즐모터가 1회전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노즐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장치의 구성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액 분사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링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링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장치의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노즐어셈블리12: 노즐
14: 호스16: 노즐모터
18: 제 1링크19: 접점스위치
20: 제 2링크21: 힌지
22: 범퍼24: 노즐공
26: 접점판30: 와셔모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전방에 구성되고 범퍼일측의 노즐공에 함몰되어 와셔모터의 펌핑으로 공급된 와셔액을 분사시키는 노즐이 구성된 노즐어셈블리와, 상기 노즐어셈블리의 하단일측으로부터 노즐어셈블리를 승하강시키는 제 1링크, 제 2링크 및 접점판과, 상기 제 1 및 제 2링크를 구동시키는 노즐모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액 분사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링크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링크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램프(1)의 전방에 구성되고 범퍼(22)일측의 노즐공(24)에 함몰되어 와셔모터(30)의 펌핑으로 공급된 와셔액을 분사시키는 노즐(12)이 구성된 노즐어셈블리(10)와, 상기 노즐어셈블리(10)의 하단일측으로부터 노즐어셈블리(10)를 승하강시키는 제 1링크(18), 제 2링크(20) 및 접점판(26)과, 상기 제 1링크(18) 및 제 2링크(20)를 구동시키는 노즐모터(16)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10)는 범퍼(22)의 노즐공(24)에 함몰되어 구성된 것으로, 노즐공(24)을 통해 노즐어셈블리(10)가 일정각도로 승하강된다. 노즐어셈블리(10)에는 와셔모터(30)로부터 공급된 와셔액을 헤드램프(1)로 분사시키는 노즐(12)이 호스(1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노즐모터(16)는 와셔스위치의 작동때에 정역회전되는 것으로, 일정각도만큼만 회전된다.
노즐모터(16)가 정역회전될 때에 접점판(26)에 연결된 제 1링크(18)는 힌지(21)를 통해 제 2링크(20)가 연결되고, 제 2링크(20)는 상기 노즐어셈블리(10)의 하단일측에 연결되어 노즐어셈블리(10)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링크(18)에는 노즐어셈블리(10)가 승하강되는 높이를 결정짓는 접점스위치(19)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를 세척하는 와셔액 분사장치는 그 작동을 위하여 작동스위치(미도시)가 구성되는데, 작동스위치는 스티어링휠의 주변일측에 위치된 멀티구동스위치 또는 별도의 스위치를 운전자가 작동하기 용이한 위치에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셔액이 저장된 리저버(5)에서 와셔모터에 의해 분출되는 와셔액은 호스(14)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노즐어셈블리(10)에 구성된 노즐(12)에서 분사된다. 헤드램프용 분사장치는 운전자의 인위적인 스위치조작에 의해 헤드램프의 렌즈를 세척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1회의 스위치조작과, 운전자의 요구에 의한 2회이상의 스위치조작때에 헤드램프(1)의 렌즈를 세척시키는 작동은 스위치의 작동횟수에 따라 동일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3 및 도 4의 링크가 작동되는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 노즐모터(16)의 구동으로 제 1링크(18)는 일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링크(18)는 제 2링크(20)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은 제 2링크(20)에 의해 노즐어셈블리(10)는 상하로 승하강운동으로 변환된다. 와셔액을 분사시키는 와셔모터(30)는 α-5°에서 α°만큼만 분사시켜야 하므로, 제 1링크(18)의 반대쪽이 접점판(26)을 따라 접점스위치(19)가 원운동을 하면서 α-5°∼α°에서 만큼만 와셔모터가 작동되어 헤드램프(1)의 렌즈에 와여액을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노즐어셈블리의 제어흐름은 도 5와 같다. 즉, 단계(S100)에서는 헤드램프(1)에 와셔액을 분사시키기 위하여 와셔스위치를 온시키면, 단계(S101)에서 노즐어셈블리(10)가 범퍼(22)로부터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노즐모터(16)가 작동된다.
단계(S102)는 노즐어셈블리(10)가 설계요구각도와 개방된 각도(α-5°)를 판단하여 설계요구각도가 크면, 상기 단계(S100)으로 복귀되고, 설계요구각도와 개방된 각도가 같을 경우에는 단계(S103)에서 와셔모터(30)가 작동된다.
또한, 단계(S104)는 단계(S102) 및 단계(S103)를 통해 설계요구각도가 개방된 각도(α-5°)보다 작을 때에 와셔모터(3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단계(S105)는 노즐모터(16)가 1회전(360°)되었나를 판단하는 것으로, 노즐모터(16)의 각도가 360°보다 작으면, 상기 단계(S100)으로 복귀되고, 360°와 노즐모터(16)의 구동각도가 같아지면, 단계(S106)에서 노즐모터(16)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와셔액 분사장치를 범퍼일측에 함몰시켜 구성하므로 자동차의 스타일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돌출되지 않고 사용할 때에만 돌출되는 구성으로 자동차의 외관이 미려하며, 헤드램프의 렌즈의 세척효율 및 항샹된 헤드램프의 광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헤드램프 와셔스위치를 온시키는 단계와, 노즐어셈블리가 범퍼로부터 일정각도로 회전되게 노즐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설계요구각도와 개방된 각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설계요구각도와 개방된 각도가 같을 때에 와셔모터가 작동되는 단계와, 설계요구각도가 개방된 각도보다 작을 때에 와셔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와, 노즐모터가 1회전 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노즐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방법.
  2. 헤드램프의 전방에 구성되고 범퍼 일측의 노즐공에 함몰되어 와셔모터의 펌핑으로 공급된 와셔액을 분사시키는 노즐이 구성된 노즐어셈블리와, 상기 노즐어셈블리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노즐어셈블리를 승,하강시키는 제 1링크, 제 2링크 및 접점판과, 상기 제 1링크 및 제 2링크를 구동시키는 노즐모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019960070679A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KR10026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679A KR100260214B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679A KR100260214B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763A KR19980051763A (ko) 1998-09-25
KR100260214B1 true KR100260214B1 (ko) 2000-08-01

Family

ID=1949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679A KR100260214B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2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76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591B1 (ko) 차량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00260214B1 (ko) 자동차용헤드램프의와셔액분사방법및그장치
KR100427340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장치
KR0145233B1 (ko) 승강식 와셔액 노즐구조
KR10053514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워셔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212625B1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35799A (ko) 후드 내장형 와셔 노즐 장치
KR19980039570U (ko) 헤드램프 청소장치
KR0120807Y1 (ko) 자동차의 전조등용 와셔액 분사장치의 회동장치
KR100387569B1 (ko) 헤드램프 세정장치
KR970002126B1 (ko) 차량의 헤드램프용 분사노즐 출몰장치
KR200144782Y1 (ko) 빗물제거장치가 설치된 승용차용 후사경
KR19990006445U (ko) 와셔액 분사각도 조절장치
KR980007740U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장치
KR0140058Y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조절장치
KR19980042800U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9980044147U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9980027991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용 와셔노즐 승강장치
KR20050120107A (ko) 차량용 헤드 램프 와셔 노즐
KR20020020078A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노즐
KR19980028678U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78665A (ko) 차량용 와이퍼구조
KR20000010167U (ko) 자동차와셔액 분사형 윈도우 브러쉬
KR19980021516A (ko) 와이퍼 노즐 자동 조절 장치
KR19980042378U (ko) 세정액 분사겸용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