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419B1 -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419B1
KR102295419B1 KR1020210040994A KR20210040994A KR102295419B1 KR 102295419 B1 KR102295419 B1 KR 102295419B1 KR 1020210040994 A KR1020210040994 A KR 1020210040994A KR 20210040994 A KR20210040994 A KR 20210040994A KR 102295419 B1 KR102295419 B1 KR 10229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upled
fixing
engag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21004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비상표시등을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이동판에 의해 고정 및 분리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세 개의 표시판이 서로 결합되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표시부재와, 상기 표시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접혀진 표시부재를 몸체의 내측에 보관하는 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에 있어서,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내측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된 회전고리부에는 보관부재에 구비된 고정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에는 보관부재와 결합부재를 고정 또는 분리하는 고정고리부가 하측에 형성된 이동판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보관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부에는 표시부재를 후면과 전면에서 각각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압착부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양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이동판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며, 비상시에는 이동판을 해제하여 비상표시등의 하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표시부재를 신속히 펼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부재를 삽입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제1압착부 및 탄성력이 있는 제2압착부로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어 보관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Foldable Emergency Light for vehicle}
본 발명은 평상시 접은 상태로 보관하여 운행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는 간단히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비상표시등을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이동판에 의해 고정 및 분리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표지 삼각대는 차량을 운행하다가 이상이 발생하여 차량을 점검 및 수리를 하거나 위급 상황이 발생하여 도로변에 부득이 정차하여야 하는 경우에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모든 차량에 비치하여야 하는 자동차 용품 중의 하나다.
이와 같은 안전표지 삼각대는 관련법규에 따라 삼각형으로 제작되는데, 종래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92726호에 개시된 안전표시 삼각대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안전표지 삼각대는 좌, 우측 플레이트의 상단 결합부에 암,수 버튼을 사용한 끼움결합부와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좌, 우측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하여 삼각형이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위급 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해 차량으로부터 규정된 거리만큼의 후방측에 안전표지 삼각대를 설치해야 하는바, 특히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는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실정이다.
그뿐만 아니라 전방의 차량이 위험상황으로 인해 급정거할 시에 비상 깜박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주의 깊게 살피지 않을 경우 비상 깜빡이의 점멸을 뒤늦게 발견하여 추돌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947호에서는 차량 후미에 비상 깜빡이와 연동 되게 설치되어 비상 깜빡이 점멸시 삼각대 모양으로 그 형상이 변형되어 후방의 차량이 전방 차량의 급정거를 빠르게 인지함으로써 사고가 예방될 수 있고,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에서의 비상 상황 시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삼각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삼각대 형성과 동시에 엘이디램프가 점등됨으로써 야간에도 사용 가능한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는 항상 차량의 외측에 부착한 상태로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파손될 우려가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823654호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9719호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을 제한한 바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트렁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비상표시등을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이동판을 이용하여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이 있는 압착부재를 이용하여 보관부재의 내측에 표시부재를 용이하고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은 세 개의 표시판이 서로 결합되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표시부재와, 상기 표시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접혀진 표시부재를 몸체의 내측에 보관하는 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에 있어서,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내측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된 회전고리부에는 보관부재에 구비된 고정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에는 보관부재와 결합부재를 고정 또는 분리하는 고정고리부가 하측에 형성된 이동판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보관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부에는 표시부재를 후면과 전면에서 각각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압착부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양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에 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이동판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며, 비상시에는 이동판을 해제하여 비상표시등의 하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표시부재를 신속히 펼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부재를 삽입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제1압착부 및 탄성력이 있는 제2압착부로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어 보관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표시등의 배면 및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부재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부재의 측면도 및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의 제1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부재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및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의 제2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표시판(10)(10a)이 서로 결합되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표시부재(100)와, 상기 표시부재(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접혀진 표시부재(100)를 내측에 보관하는 보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재(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알루미늄, 목재 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표시판(10)(10a)으로 구성되며, 하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하측표시판(10)의 양단에는 힌지축(1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측면표시판(10a)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표시판(10)(10a)은 외측에 빛을 반사하는 도료가 도포되거나,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의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부재(200)는 접힌 표시부재(100)를 내측에 보관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된 사각 형상의 본체(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2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3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20)의 전면에는 복수 열의 엘이디(L)가 좌우 방향의 화살표 형상 또는 차량의 엠블럼 형상으로 설치된 전면커버(30)가 결합되고, 상기 엘이디(L)는 후방으로만 빛을 방출하고, 측면으로는 빛이 방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 설치되어 비상표시등을 지나치는 차량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9719호(이하, '선출원발명'이라 함)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선출원발명은 내측으로 접혀진 표시부재(100)가 트렁크를 오픈하는 순간 하중에 의해 하부로 자동 인출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구성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 및 전면커버(30)의 저면에 표시부재(100)를 접어서 보관부재(200)의 내측에 보관하기 위한 삽입부(21)(3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31)의 내측면에는 제1압착부(22) 및 제2압착부(32)가 각각 형성된다.
도 2는 세 개의 표시판(10)(10a)이 접혀서 삽입부(21)(31)의 내측에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압착부(22) 및 제2압착부(32)는 표시부재(100)가 접혔을 때에 중앙에 위치하는 하측표지판(10)의 후면과 전면을 각각 압착함으로써 보관된 표시부재(100)가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2압착부(32)의 양측에는 확대도의 평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부(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표지판(100 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부재(100)가 접혀 삽입되면 고정된 제1압착부(22)에 의해 지지된 하측표지판(10)을 탄성력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유리창 등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상측에 와이어(23) 및 걸림고리(2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고리(24)에는 확대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차츰 커지는 슬롯(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25)은 와이어(25)가 관통하는 홀로서, 와이어(25)를 전면으로 이동하면 걸림고리(24)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걸림고리(24)를 고정할 때에는 와이어(23)를 슬롯(25)의 좁은 배면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20)의 배면에 구비된 고정봉(26)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00)를 이용하여 차량 트렁크 도어의 내측에 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비상표시등이 고정부(26)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및 전면이 각각 본체(20) 및 트렁크 도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착판(40)이 구비되고, 상기 밀착판(40)에는 고정봉(26)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고리부(41)가 배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밀착판(40)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안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42)의 사이에는 볼트홀(43)이 형성되고, 밀착판(40)의 배면에는 본체(20)에 밀착되는 직물로 이루어져 운행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복수의 쿠션부(44)가 결합되어 있고, 밀착판(40)의 양측에는 결합판(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판(50)의 상측과 하측에는 트렁크 도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되며, 볼트가 관통하는 결합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51)의 사이에는 결합판(5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하여 다양한 형상의 트렁크 도어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곡부(52) 및 절곡홈(53)이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판(40)의 안내부(42)에는 이동판(6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판(60)의 상측에는 밀착판(40)의 볼트홀(43)과 대응하는 볼트홀(6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고정고리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고리부(62)의 하측에는 손잡이(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고리부(62) 및 손잡이(63)의 표면에는 직물로 이루어진 쿠션부(6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부(62)는 트렁크 도어에 결합된 결합부재(300)에 비상표시등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부재(300)의 배면에 본체(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판(60)을 상측으로 이동하면, 고정고리부(62)가 삽입부(31)에 삽입되며 본체(20)의 하측에 고정되고, 이때 쿠션부(62)는 밀착력을 강화하여 고정고리부(62)가 이동판(60)의 하중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볼트홀(43)(61)을 이용하여 볼트로 견고히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300)에서 비상표시등을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63)를 이용하여 이동판(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본체(20)의 하측에서 고정고리부(62)가 분리되어 고정봉(26)을 중심으로 비상표시등 또는 결합부재(300)를 회전하여 표시부재(100)를 인출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차의 트렁크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결합부재(300)와 비상표시등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을 이루며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고리부(41)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는데, 이는 승용차의 트렁크 도어가 이루는 각도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SUV 차량이나 승합차와 같이 오픈된 트렁크 도어의 각도가 다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부재(300a)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부재(300a)에는 회전고리부(41a)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각으로 회전하기에 용이하며, 두 개의 회전고리부(41a) 사이에는 와이어(23)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고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00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V 차량이나 승합차의 트렁크 도어에 결합하여 사용하기에 알맞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고리부(41)(41a)는 승용차용과 SUV용에 따라 달라지는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은 차량의 트렁크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00)(300a)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이동판(6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며, 비상시에는 이동판(60)을 해제하여 비상표시등의 하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표시부재(100)를 신속히 펼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부재(100)를 삽입부(21)(31)의 내측에 삽입하고 제1압착부(22) 및 탄성력이 있는 제2압착부(32)로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어 보관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10 : 하측표지판 10a : 측면표지판
11 : 힌지축 20 : 본체
21, 31 : 삽입부 22 : 제1압착부
23 : 와이어 24 : 걸림고리
25 : 슬롯 26 : 고정봉
30 : 전면커버 32 : 제2압착부
33 : 절개부 40 : 밀착판
41, 41a : 회전고리부 42 : 안내부
43, 61 : 볼트홀 44, 64 : 쿠션부
45 : 와이어고리부 50 : 결합판
51 : 결합부 52 : 절곡부
53 : 절곡홈 60 : 이동판
62 : 고정고리부 63 : 손잡이
100 : 표시부재 200 : 보관부재
300, 300a: 결합부재

Claims (7)

  1. 세 개의 표시판이 서로 결합되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표시부재와, 상기 표시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접혀진 표시부재를 몸체의 내측에 보관하는 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에 있어서,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내측에는 결합부재(300)(300a)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300)(300a)에 구비된 회전고리부(41)(41a)에는 보관부재(200)에 구비된 고정봉(26)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300)(300a)에는 보관부재(200)와 결합부재(300)(300a)를 고정 또는 분리하는 고정고리부(62)가 하측에 형성된 이동판(6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상기 보관부재(20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부(21)(31)에는 표시부재(100)를 후면과 전면에서 각각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압착부(22) 및 제2압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압착부(32)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양측에 절개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300a)의 양측에는 결합판(5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50)에는 절곡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곡부(52) 및 절곡홈(53)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리부(41)(41a)는 승용차용과 SUV용에 따라 달라지는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300a)에는 운행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쿠션부(44)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고리부(62)에는 손잡이(6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고리부(62) 및 손잡이(63)에는 운행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쿠션부(6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재(200)에는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와이어(23) 및 걸림고리(24)가 결합되고, 상기 걸림고리(24)에는 와이어(23)를 이동하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전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슬롯(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6.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0)의 전면에는 복수 열의 엘이디(L)가 좌우 방향의 화살표 형상 또는 차량의 엠블럼 형상으로 설치된 전면커버(30)가 결합되고,
    상기 엘이디(L)는 후방으로만 빛을 방출하고, 측면으로는 빛이 방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 설치되어 비상표시등을 지나치는 차량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7. 삭제
KR1020210040994A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10229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94A KR102295419B1 (ko)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94A KR102295419B1 (ko)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419B1 true KR102295419B1 (ko) 2021-08-30

Family

ID=7750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94A KR102295419B1 (ko)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147A (ko) 2022-09-22 2024-03-29 김강 안전 경고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489B1 (ko) * 2009-11-18 2011-02-22 강봉수 파티션에 장착되는 모니터 거치장치
KR20200099719A (ko) * 2019-02-15 2020-08-25 김인수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489B1 (ko) * 2009-11-18 2011-02-22 강봉수 파티션에 장착되는 모니터 거치장치
KR20200099719A (ko) * 2019-02-15 2020-08-25 김인수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147A (ko) 2022-09-22 2024-03-29 김강 안전 경고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419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US20150307046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utomobile bumpers
JPH04135841U (ja) 自動車用ウインカ装置
US6718670B2 (en) Triangular warning sign
CN109383394A (zh) 具有危险警告标志的车辆货物遮篷
KR101883103B1 (ko) 자동차용 안전 표지판
KR20120036112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KR20150031947A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US2451875A (en) Traffic signaling device
KR101380295B1 (ko) 글로브 박스에 수납 가능한 차량 안전 삼각대
KR20200099719A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200463370Y1 (ko) 차량용 삼각대
KR101990263B1 (ko) 빠른 설치와 시인성을 증대시킨 재귀반사 역 삼각판
KR101537049B1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JP3028340U (ja) 三角表示停止板補助装置
KR101209816B1 (ko) 자동차용 오버헤드 콘솔
KR102048306B1 (ko) 자동차용 사고방지 안전장치
KR20230112875A (ko) 원터치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0118573Y1 (ko) 위험표지판 겸용 트렁크 덮개판
KR200351228Y1 (ko) 도로안전표시장치
JP7272573B1 (ja) スポイラ状表示板および自動車
JP3184250B2 (ja) 停止表示器及び停止表示器用停止表示板
JPH086612Y2 (ja) 車両用ハイマウントストツプ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