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726B1 -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726B1
KR100799726B1 KR1020060005256A KR20060005256A KR100799726B1 KR 100799726 B1 KR100799726 B1 KR 100799726B1 KR 1020060005256 A KR1020060005256 A KR 1020060005256A KR 20060005256 A KR20060005256 A KR 20060005256A KR 100799726 B1 KR100799726 B1 KR 10079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banner
tension
pos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175A (ko
Inventor
김철
이현승
Original Assignee
김철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이현승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102006000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7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8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mounted in or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chip-type antenna or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into an IC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대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보는 지주와; 상기한 양 지주에 각각 동일한 수로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사슬로 연결되어 연동되며,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장력 슬라이드 블록 및, 탄성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부착되고 현수막이 고정되는 부착구로 구성된 게시부가; 포함되며 상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하부 게시부와 하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상부 게시부가 각각 짝을 이루어 현수막의 양단 상하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시한다.
현수막게시대, 장력 슬라이드 블록, 탄성 슬라이드 블록, 장력조절부

Description

현수막 게시대{A Placard Bulletin 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작동을 보여주는 지주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력조절부의 동작원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 슬라이드 블록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현수막이 게시된 외부 사시도.
*주요부호의 설명
10. 스프로킷 11. 체인 12. 연결축
20. 사슬
30. 장력 슬라이드 블록
31. 블록A 31a. 이동홈 32. 장력조절부 32a. 회전축
33. 제어판
40. 탄성 슬라이드 블록
41. 블록B 42. 스프링 릴 42a. 브라켓 42b. 축 42c. 스프링 42d. 스풀(spool) 42e. 브라켓 커버
42f. 가이드 홈
50. 게시부 51. 와이어 52. 부착구 52a. 걸림부 53. 고정봉
100. 수직 지주 200. 수평 지주
300. 구동장치 400. 현수막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대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내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다수의 슬라이드 블록이 포함되는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승 작동 될때는 양측의 슬라이드 블록이 현수막을 당겨 팽팽한 상태로 게시되고, 현수막 게시장치가 하강 작동 될때는 슬라이드 블록의 장력이 제거되어 쉽게 현수막의 게시와 철거가 용이한 주에 사슬과 스프로킷 구동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각각 크기가 다른 현수막을 게시함에 있어서 게시된 상태가 일측에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일측면을 게시부와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고정하고, 타측면은 게시부와 유동성 있게 거리가 조절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게시대란 긴 천에 특별한 문구나 구호, 광고 등을 선전하기 위해 작성한 현수막 여러개를 한번에 게시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종래에는 현수막 양단을 철사나 로프 등을 사용하여 도로변이나 교차로 등 공공장소의 가로수, 가로등, 전봇대 등에 묶는 방법으로 설치함으로써 도심경관을 해치고,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를 발생하며, 설치과정에서 낙상하거나 관리하지 않고 방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마주보는 두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내부에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부착되는 현수막 게시부를 제시하는 많은 현수막 게시대가 제시된바 있다. 상기 현수막 게시대는 슬라이드 블록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현수막을 게시하고, 지정된 장소에 현수막이 게시되어 관리 및 유지가 매우 용이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현수막 게시대는 강한 바람에 의해 현수막이 점차 늘어져 미관뿐만 아니라 광고의 효과도 떨어졌으며, 다양한 크기의 현수막을 게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일정한 크기로 현수막의 크기를 제한하는 등 현수막 각각의 차별화된 광고가 어려웠고, 또한 현수막의 지지대 양끝을 고정용 링으로 단순하게 고정하는 구조로 현수막 게시가 이루어져 잦은 바람의 출렁거림에 의해 현수막이 접혀 게시능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강한 바람에 의해 늘어지는 현수막에 장력 조절이 가능하여 현수막이 항상 팽팽히 당겨져 미관과 광고효과를 향상시키고, 각각 길이가 다른 현수막의 일측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다양한 길이의 현수막 게시가 이루어져 차별화된 광고 효과가 가능하며, 게시부와 현수막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출렁거림에 의한 현수 막 접힘의 방지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막의 게시부가 상하 승강 작동되어 현수막의 설치 및 해제를 편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보는 지주와; 상기한 양 지주에 각각 동일한 수로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사슬로 연결되어 연동되며,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장력 슬라이드 블록 및, 탄성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부착되고 현수막이 고정되는 부착구로 구성된 게시부가; 포함되며 상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하부 게시부와 하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상부 게시부가 각각 짝을 이루어 현수막의 양단 상하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시한다.
상기 지주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 지주와, 상기 수직 지주를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수평 지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지주는 원형과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와, 앵글과 철판 및 스테인리스스틸과 H빔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며, 기존의 현수막 게시대의 지주를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직 지주의 내부에는 지주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상부와 하부의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스프로킷이 구동되도록 일측의 지주에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 지주에는 일측의 지주에서 구동되는 상부 스프로킷의 회전력이 타측의 스프로킷에 전달되도록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체인 또는 연결 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이용된다. 상기 연결부에 의해 스프로킷에 사슬로 고정된 일측 지주의 슬라이드 블록은 타측 지주의 슬라이드 블록과 동시에 승강 작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판형태와 원통형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승강 작동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드 블록에는 바퀴부가 형성되며, 지주의 양측에 쌍을 이루는 구조로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일측의 지주에는 장력조절부로 구성된 장력 슬라이드 블록이 설치되고, 타측의 지주에는 스프링릴 또는 태엽구조로 구성된 탄성 슬라이드 블록이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양 지주의 내부를 정면 상태로 나란히 배열한 모습이며, 제시된 실시예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수직 지주(100)와, 상기 수직 지주(100)를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수평 지주(2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지주(100)의 내부에는 지주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로킷(10)과, 상기 상부와 하부 스프로킷(10)을 연결하는 체인(11), 상기 스프로킷(10)이 구동되도록 일측의 지주에 구동장치(300)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 지주(200)에는 일측의 수직 지주(100)에서 구동되는 상부 스프로킷(10)의 회전력을 타측의 스프로킷(10)에 전달하도록 연결축(12)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축(12)에 의해 일측 지주의 슬라이드 블록은 타측 지주의 슬라이드 블록과 동시에 승강 작동되며, 연결축외에 스프로킷을 이용한 체인을 사용하여 동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바퀴부가 형성된 활차 형태의 다수의 슬라이드 블록이 설치되고, 각 슬라이드 블록은 사슬(20)로 연결되고, 수동 또는 자동의 구동장치(300)에 의해 연동되어 승강 작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장력조절부로 구성된 장력 슬라이드 블록(30)과, 스프링 릴(42)로 구성된 탄성 슬라이드 블록(40)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수직 지주(100)에 설치된다.
상기 장력 슬라이드 블록(30)은 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31a)이 형성된 장방형의 블록A(31)와 상기 블록A(31)의 이동홈(31a)의 하부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회전축(32a)에 부착되어 회전의 중심이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사슬(20)이 연결되고, 승강 작동에 의한 사슬(20)의 움직임에 의해 현수막(400)을 향해 상측이 회전되어 현수막에 장력이 부여 또는 제거되며, 현수막 게시부(50)가 부착되는 장력조절부로 구성된다.
상기 하단 장력조절부의 상측부에 사슬(20)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단의 장력조절부의 하측부에 사슬(20)의 타측이 고정되는 구조가 반복되어 각각의 슬라이드 블록이 연동되어 움직이며, 최상단층과 최하단층의 장력조절부에 연결된 타측 사슬이 스프로킷(10)에 거치 되는 체인에 고정되어 구동장치(300)에 의해 감겨 슬라이드 블록이 승강 작동된다.
상기 장력조절부(32)가 승강작동에 의해 현수막(400)에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각도조절되고 이에 의해 현수막(400)에 장력이 부여 또는 제거된다.
본 발명의 타측 지주에 설치되는 탄성 슬라이드 블록(40)은 승강 작동되도록 사슬(20)로 연결되는 블록B(41)와, 상기 블록B(41)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스프링 릴 (42)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B(41)는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며 하단의 슬라이드 블록의 상측부에 사슬(20)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단의 슬라이드 블록의 하측부에 사슬(20)의 타측이 고정되는 구조가 반복되어 각각의 슬라이드 블록이 연결되며, 최상단과 최하단층의 슬라이드 블록은 스프로킷(10)과 사슬(20)으로 고정되어 구동장치(300)에 의해 감겨 슬라이드 블록이 승강작동 된다.
상기 스프링 릴(42)은 블록B(41)상에 형성된 브라켓(42a)과, 상기 브라켓(42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의 중심이 되는 축(42b)과, 상기 축(42b)을 감싸는 탄성력 있는 스프링(42c)과, 상기 축(42b)을 감싼 스프링(42c)에 연결된 스풀(42d)과, 상기 브라켓(42a)에 부착되고 와이어(51)를 스풀(42d)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홈(42f)을 갖는 브라켓 커버(42e)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릴(42)에는 두 개 또는 하나의 축(42b)이 설치되며, 실시된 예는 하나의 축(42b)이 설치된 것으로 축(42b)의 상하부에 스풀(42d)이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게시부(50)는 상기 장력조절부 또는 스프링 릴(42)의 스풀(42d)에 일측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와이어(51)와, 상기 와이어(51)의 타측에 연결된 원통형의 부착구(52)와, 상기 부착구(52)에 현수막(400)을 끼우고 세로방향으로 팽팽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51)는 현수막(400)의 길이에 의해 스풀(42d)에 감겨 현수막(400)이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며, 순간적으로 강풍이 불어도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완충하여 현수막(400)의 찢김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51)의 끝에 연결되는 부착구(52)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구(52)는 고리모양의 걸림부(52a)를 형성하여 현수막(400)을 부착구(52)에 끼운 뒤 걸림부(52a)에 걸치고 고정봉(53)으로 고정하여 현수막(400)이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작동을 도시한 지주 단면도로서, 제시된 실시예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지주에서 일측의 지주에 설치된 장력 슬라이드 블록(30)의 상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하부 게시부(50)와 하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상부 게시부(50)에 현수막(400)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의 지주에 설치된 탄성 슬라이드 블록(40)의 상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하부 게시부(50)와, 하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상부 게시부(50)에 현수막(400)의 타측이 고정되어 현수막(400)이 게시된다.
도시된 도 2의 a는 슬라이드 블록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측 지주에 설치된 장력 슬라이드 블록(30)의 장력조절부가 사슬(20)의 처짐에 의해 현수막(400)쪽으로 기울어져 현수막(400)이 느슨해짐으로써 현수막(400)의 철거 및 교체작업이 편리한 모습이며, 도 2의 b는 슬라이드 블록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측 지주에 설치된 장력 슬라이드 블록(30)이 승강됨에 따라 장력조절부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현수막(400)을 당겨 장력이 형성되고, 타측의 슬라이드 블록에도 스프링 릴(42)에 의한 탄성이 생겨 현수막(400)을 양측에서 팽팽하게 당겨 게시된 모습이다.
장력 슬라이드 블록(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 슬라이드 블록(30)이 구동장치(300)의 상승 작동에 의해 상부로 수직이동이 시작될 때, 먼저 사슬(20)이 수직상태로 당겨지고, 상기 사슬(20)에 연결된 장력조절부(32)가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장력조절부에 부착된 게시부(50)가 현수막(400)을 당겨 팽팽하게 게시된다. 상기 장력조절부가 슬라이드 블록의 배면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의 배면부에 제어판(33)이 설치되고, 구동장치(300)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을 돕기위해 바퀴부가 설치된다.
탄성 슬라이드 블록(4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슬라이드 블록(40)은 사슬(20)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블록에는 스프링 릴(42)이 설치되며 도시된 실시예는 블록의 중앙에 하나의 축(42b)이 형성된 한개의 스프링 릴(42)이 설치된 모습으로 상기 스프링 릴(42)은 브라켓(42a)과, 상기 브라켓(42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의 중심이 되는 축(42b)과, 상기 축(42b)을 감싸는 탄성력 있는 스프링(42c)과, 상기 축(42b)을 감싼 스프링(42c)의 양측에 고정되는 스풀(42d)과, 상기 브라켓(42a)에 부착되고 와이어(51)를 스풀(42d)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홈(42f)을 갖는 브라켓 커버(42e)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홈(42f)을 갖는 브라켓 커버(42e)는 스풀(42d)로 유도되는 상하부 와이어(51)의 범위를 한정하며 와이어(51)의 걸림과 엉김을 방지하고 스풀(42d)에 균일하게 감기도록 부드러운 형태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현수막(400)이 게시된 외부 모습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마주보는 두개의 수직지주(100)와, 상기 수직 지주를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수평 지주(200)로 구성된 현수막 게시대가 제시된 모습이며, 상기 수직 지주에서 일측의 지주에는 장력조절부(32)에 연결된 고정된 길이의 와이어(51)에 의해 현수막(400)의 위치가 고정되며, 타측의 지주에는 스프링 릴(42)의 탄성력에 의해 다양한 길이로 유동되는 와이어(51)에 의해 다양한 길이의 현수막(400) 게시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가 제시된다.
본 발명은 현수막에 장력을 가하여 팽팽하게 게시되어 미관과 광고의 효과를 향상되고, 다양한 길이의 현수막이 게시되어 차별화된 광고가 가능하며, 게시부와 현수막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출렁거림에 의한 현수막의 접힘이 방지되며, 현수막의 게시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이루어져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보는 지주와; 상기한 양 지주에 각각 동일한 수로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사슬로 연결되어 연동되며,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장력 슬라이드 블록 및, 탄성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부착되고 현수막이 고정되는 부착구로 구성된 게시부가; 포함되며 상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하부 게시부와 하부측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된 상부 게시부가 각각 짝을 이루어 현수막의 양단 상하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장력 슬라이드 블록은 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장방형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이동홈의 하부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회전축에 부착되어 회전의 중심이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사슬이 연결되고, 승강 작동에 의한 사슬의 움직임에 의해 현수막을 향해 상측이 회전되어 현수막에 장력이 부여 또는 제거되며, 게시부의 일측이 부착되는 장력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3. 제 1항에 있어서, 탄성 슬라이드 블록은 승강 작동되도록 사슬로 연결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의 중심이 되는 축과, 상기 축을 감싸는 탄성력 있는 스프링과, 상기 축을 감싼 스프링에 연결된 스풀과,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고 와이어를 스풀로 유도하는 가이드 홈을 갖는 브라켓 커버로 구성된 스프링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4. 제 1항에 있어서, 게시부는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끝에 연결되며 원통 형태로 일측에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부착구와; 상기 부착구에 끼움 되는 고정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20060005256A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게시대 KR10079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56A KR100799726B1 (ko)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56A KR100799726B1 (ko)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175A KR20070076175A (ko) 2007-07-24
KR100799726B1 true KR100799726B1 (ko) 2008-02-01

Family

ID=3850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256A KR100799726B1 (ko)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027B1 (ko) * 2007-08-14 2008-02-26 이원영 현수막 게시장치
KR102543923B1 (ko) * 2022-12-14 2023-06-20 유종섭 반자동 현수막 게시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99Y1 (ko) * 2000-03-24 2000-08-16 방진철 현수막 지지대
KR100348769B1 (ko) * 2000-10-13 2002-08-14 (주)드림테크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356314B1 (ko) * 1999-12-30 2002-10-18 방진철 현수막 게시대 걸이 장치
KR100461749B1 (ko) * 2002-10-22 2004-12-17 구윤두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314B1 (ko) * 1999-12-30 2002-10-18 방진철 현수막 게시대 걸이 장치
KR200192999Y1 (ko) * 2000-03-24 2000-08-16 방진철 현수막 지지대
KR100348769B1 (ko) * 2000-10-13 2002-08-14 (주)드림테크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461749B1 (ko) * 2002-10-22 2004-12-17 구윤두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175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271B1 (ko)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US6618973B2 (en) Banner holder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NO321178B1 (no) Opphengningsanordning for et flakformet informasjonsmedium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101025936B1 (ko) 현수막게시대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1227095B1 (ko)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101151806B1 (ko) 육교용 현판 게시대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JP4032315B1 (ja) 屋内施設におけるネット等の吊張体の吊り張り方法
JP2014161711A (ja) 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及び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の昇降移動方法
KR101814705B1 (ko)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69690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1055452B1 (ko) 국기 게양장치
KR100356314B1 (ko) 현수막 게시대 걸이 장치
KR200382057Y1 (ko) 현수막게시장치
KR200231546Y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20070005299A (ko) 현수막 게시대
KR200192999Y1 (ko) 현수막 지지대
KR20100013109A (ko) 승강형 현수막 지지장치
KR102673443B1 (ko) 권취구조 개선에 기인한 장력 간편조절형 현수막 게시장치
JP2011115535A (ja) 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収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