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739B1 -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739B1
KR100964739B1 KR1020090070954A KR20090070954A KR100964739B1 KR 100964739 B1 KR100964739 B1 KR 100964739B1 KR 1020090070954 A KR1020090070954 A KR 1020090070954A KR 20090070954 A KR20090070954 A KR 20090070954A KR 100964739 B1 KR100964739 B1 KR 10096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guide
lifting
elevat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471A (ko
Inventor
최상룡
Original Assignee
최상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룡 filed Critical 최상룡
Publication of KR2010002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홍보용 현수막을 설치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현수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현수막을 통해 홍보함과 더불어, 다수의 현수막을 아래쪽에서 겹쳐지도록 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풍압에 대응하여 현수막이 각도 조절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는, 한 쌍의 기둥(100,100')과; 상기 한 쌍의 기둥 사이에 대응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승강수단과; 양측이 승강개체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고 상호간에 유연성 있는 연결재(와이어, 사슬 등)로 연결되는 다수의 현수막(800)과; 상기 다수의 현수막을 상기 기둥의 아래쪽에서 지면을 향해 회전시켜 겹쳐지도록 하는 틸팅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틸팅수단은, 상부에서부터 제1구간, 상기 제1구간보다 폭이 좁은 제2구간, 상기 제1,2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개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승강개체와 상기 현수막을 연결하며 상기 승강개체가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부를 경유하여 제2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현수막을 지면측으로 회전시켜 눕혀지도록 하여 겹치도록 하는 회전조절부로 구성된다.
기둥, 동력전달부재, 승강안내대, 승강개체,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

Description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BANNER HANGER REACTING ON WIND PRESSURE}
본 발명은 홍보용 현수막을 설치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시물의 홍보시에는 현수막을 대략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유지하여 홍보물이 잘 보이도록 하고,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때에는 현수막을 지면측으로 하강시키면서 지면에 대해 대략 수평에 가깝도록 포개어 현수막의 설치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수막이 바람에 대응하여 각도 변화되어 풍압에 의한 현수막과 게시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상점이나 상품, 각종행사 등을 홍보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섬유에 문구를 인쇄하여 게시대에 설치된다.
종래 현수막 게시대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진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사이에 개재되며 양측이 상기 기둥에 연결되는 현수막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수막은 다수개가 상하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다.
다수의 현수막이 다단으로 설치되는 경우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교체 시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게시대에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위험성이 늘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수의 현수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각각 홍보물을 게시하도록 하며, 작업자가 지상에서 보조기구 없이 현수막의 설치와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수막이 바람에 의해 각도 조절되어 현수막과 게시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한 쌍의 기둥 사이에 대응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승강수단과; 양측이 승강개체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고 상호간에 유연성 있는 연결재(와이어, 사슬 등)로 연결되는 다수의 현수막과; 상기 다수의 현수막을 상기 기둥의 아래쪽에서 지면을 향해 회전시켜 겹쳐지도록 하는 틸팅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틸팅수단은, 상부에서 부터 제1구간, 상기 제1구간보다 폭이 좁은 제2구간, 상기 제1,2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개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승강개체와 상기 현수막을 연결하며 상기 승강개체가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부를 경유하여 제2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현수막을 지면측으로 회전시켜 눕혀지도록 하여 겹치도록 하는 회전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의하면, 다수의 현수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다수의 홍보물을 동시에 홍보할 수 있으며, 이때, 다수의 현수막을 서로 겹쳐지도록 하면서 지면측으로 하강시켜 높은 곳에 배치된 현수막의 설치와 교체시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현수막의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고 지면측에서 설치와 교체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현수막의 설치와 교체 작업이 용이해지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현수막을 지면측으로 하강시킴과 아울러 현수막을 바람에 의해 각도 조절시키며, 이때, 현수막의 각도 조절과 지면측에서 겹쳐지는 동작이 서로 연동하여 구성이 단순해지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는, 기둥(100,100'), 동력전달부재(200), 승강안내대(300,300'), 승강부재(400,400'),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 걸이대(700,700')로 이루어진다.
기둥(100,100')은 예컨대, 내부가 중공의 형태이며, 하단부에 베이스판(120,120')이 구비되고 지면에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세워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되는 일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10,110')이 형성된다.
동력전달부재(200)는 수직축(210,210')과 수평축(240)으로 구성된다. 수직축(210,210')은 기둥(100,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하 양단에 베어링(220,220')이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강수단(500)으로 하강용 제 2와이어(540,540')를 권취할 수 있도록 제 2드럼(530,530')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동력전달요소로 베벨기어(230,230')가 구비되어 수평축(240)과 연동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수평축(240)은 수직축(210,210')과 베벨기어(230,230')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양단에는 승강수단(500)으로 승강용 제 1와이어(520,520')를 권취하도록 하는 제1드럼(510,510') 및 무게중심추(570,570')와 연결된 제 3와이어(560,560')를 권취하도록 하는 제 3드럼(550,550')이 기둥(100,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제1드럼(510,510')과 제2드럼(540,540')은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드럼(510,510')과 제2드럼(540,540')의 구조는 후술하는 무게상쇄드럼(571)과 동일한 효과를 도출한다. 즉, 도 20a에서 보이는 것처럼, 현수막(80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1와이어(520,520')가 제1드럼(510,510')의 단면적이 큰 쪽에 감겨 있지만, 도 20b처럼 현수막(800)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제1와이어(520,520')가 제1드럼(510,510')의 단면적이 작은 쪽에 감겨 단면적이 큰 쪽에 감겨 있을때 보다 작은 힘으로 현수막(800)을 승강 조작할 수 있다.
무게중심추(570,570')는 틸팅수단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전술한 동력전달구조는 일 예를 설명한 것일 뿐이며, 수평축(240)을 회전시키는 방법은 이 방법 이외에 수평축(240)에 모터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구동하는 방법, 무게중심추(570,570')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추(570,570')의 자중에 의해 현수막(800)이 상승하도록 하고 외력에 의해 현수막(800)을 내리는 방법 등도 가능하다.
후술하는 방법에 따르면, 무게중심추(570,570')에 의해 수평축(240)이 일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현수막(800)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상태에서 현수막(800)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이 힘이 무게중심추(570,570')의 하중보다 크기 때문에 무게중심추(570,570')는 감기거나 풀리게 되고 현수막(800)이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현수막(800)으로부터 손을 놓으면 외력이 없어지므로 현수막(800)이 무게중심추(570,570')의 자중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현수막(800)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를 적용할 수 있다.
승강안내대(300,300')는 기둥(100,100')의 내부에 안내홈(110,1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기둥(100,100')의 내면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하단은 베이스판(120,120')에 고정되고 상단은 고정브라켓(330,330')에 의해 기둥(100,100')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안내대(300,3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 2와이어(540,54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승강부재(400,400')가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 시에 간섭받지 않도록 승강부재(400,400')가 내접하는 승강안내대(300,300')의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320,320')를 형성한다.
또한 승강안내대(300,300')에는 현수막(800)이 회전하면서 겹쳐지도록 예컨대 지면에 대해 대략 수평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겹쳐지도록 안내레일(310,310')이 구비된다.
안내레일(310,310')은 가로 폭이 동일한 제1구간(310-1,310'-1), 제1구간(310-1,310'-1)의 하부에 제1구간(310-1,310'-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제2구간(310-2,310'-2)로 구성된다.
제1,2구간(310-1,310'-1)(310-2,310'-2)은 경사부(310-3,310'-3)을 통해 연결된다.
즉, 승강부재(400)는 제2레일(310-2,310'-2)로 이동하면서 현수막(800)이 지면을 향해 회전하면서 포개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 걸이대(700,700')와 연동에 의한 것이므로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 걸이대(700,700')의 구성 설명에서 명확히 한다.
승강부재(400,400')는 승강안내대(300,300')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승강개 체(410,410')로 구성된다. 각 승강개체(410,410')는 제 1롤러(420,420')가 안내레일(310,310')에 지지 되도록 결합되어 승강안내대(300,300')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제 1롤러(420,420')와 대향되게 볼트고정공(460)이 형성된 연결부재(430,430')가 구비된다. 또한 각 연결부재(430,430')에는 후술하는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가 볼트(470)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기둥(100,100')의 안내홈(110,110')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각 승강개체(410,41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와이어(440,440')에 의해 연결핀(450,450')으로 고정되어 승강안내대(300,300)와 안내홈(110,110')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각 승강개체(410,410')는 승강안내대(300,300') 하부에서 안내레일(310,310')의 경사부(310-3,310'-3)를 경유하여 제2구간(310-2,310'-2)을 따라 이동하면서 현수막(800)이 지면을 향해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500)은 드럼(510,530,550)과 와이어(520,540,560)와 무게중심추(570)와 제 2롤러(580)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승강안내대(300,300')의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승강개체(410,410')는 상기 수평축(240)에 구비된 제 1드럼(510,510')과 승강용 제 1와이어(520,520')로 연결되어 권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축(210,210')에 구비된 제 2드럼(530,530')에도 하강용 제 2와이어(540,540')로 연결되어 권취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강용 제 2와이어(540,540')는 각 승강개체(410,410')가 상하로 이동시와 수평으로 이동시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각 승강개체(410,410') 안쪽의 공간 부(320,320')에 제 2와이어(540,540')를 구성하여 승강안내대(300,300') 하부에 구비된 제 2롤러(580,58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수직축(210,210')의 제 2드럼(530,530')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와이어(520,520')와 제 2와이어(540,540')는 반드시 서로 역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하여, 수평축(240)의 제 1드럼(510,510')에 승강용 제 1와이어(520,520')가 감기게 되면 가장 위에 배치된 승강개체(410,410')가 승강됨과 동시에 수직축(210,210')의 제 2드럼(530,530')은 하강용 제 2와이어(540,540')가 풀리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축(240)이 회전하여 제 1드럼(510,510')으로부터 승강용 제 1와이어(520,520')가 풀리게 되면 승강개체(410,410')가 승강안내대(300,300')와 안내홈(110,110')을 따라 하강하게 되지만, 현수막(800)의 장력과 장애요인으로 인해 하강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수직축(210,210')에 제 2드럼(530,530')이 구비되어 하강용 제 2와이어(540,540')가 감기면서 각 승강개체(410,410')를 밀어 당겨 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가장 위에 배치된 승강개체(410,410')는 아래에 배치된 각 승강개체(410,410')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하강하지 않을 경우 순차적으로 밀어서 하강시키게 되며, 승강안내대(300,300')의 하부에 이르러 안내레일(310,310')의 제2구간(310-2,310'-2)에서 각 승강개체(410,410')가 현수막(8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하강이 이루어진다.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게시각도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는 현 수막(8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2가지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첫 번째는 승강개체(410,410')가 안내레일(310,310')의 제2구간(310-2,310'-2)으로 이동할 때 현수막(800)이 지면을 향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바람에 의해 각도를 조절하여 바람이 순조롭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게시각도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는, 기둥(100,100')과 대향되는 면의 연결부재(430,430')와 고정되며, 현수막(800)의 장력 변화시(승강개체(410,410')가 제2구간(310-2,310'-2)으로 이동하면 현수막(800)의 장력이 변화된다) 회전조절부(720)가 현수막(800)을 지면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는 현수막(800)이 지면측으로 하강하여 장력이 변할 때 현수막(800)을 지면측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바람에 의해 현수막(800)을 각도 조절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특허출원번호10-2008-0076276의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 걸이대(700)는 고정부재(710), 회전조절부(720), 지지대(730), 현수막걸이부(740), 장력조절부(75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430,430')가 고정부재(710)의 삽입구(711)에 삽입되어 볼트고정공(460)과 볼트구멍(712)을 일치시켜 볼트(4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조절부(720)는 현수막(800)의 각도를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고 정부재(710)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안내하우징(721)이 구비된다.
안내하우징(721)은 내부에 삽입공간(725)이 구비되고 회전안내장공(722)(예컨대 사선방향)이 대응되는 방향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부재(710)와 대향면의 단부가 개방되게 형성한다.
또한, 안내하우징(721)의 삽입공간(725)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안내대(723)는 외면에 안내돌기(724)가 구성되어 삽입되는 쪽의 단부가 개방되어진 중공된 형태를 이루며, 안내돌기(724)는 회전안내장공(722)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될 수 있게 형성한다.
중공의 안내대(72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726)가 안내대(723)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일측단은 안내하우징(721)의 고정부재(710)쪽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안내대(723)의 지지대(730)쪽의 단부에 연결되어 진다. 즉, 걸이봉(741)이 고정된 안내대(723)와 안내하우징(721)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726)는 고정체인 안내하우징(721)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안내대(723)를 일방향으로 탄력지지하며, 예를 들어, 승강개체(410,410')가 제2구간(310-2,310'-2)으로 하강하면 탄성부재(726)는 탄성력에 의해 안내대(723)를 지면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현수막(8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현수막(800)이 바람의 순방향을 따라 틸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회전조절부(720)는 지지대(730) 방향에서 안내대(723)에 당겨지는 외력이 가해지면 안내대(723)와 안내돌기(724)가 사선형의 회전안내장공(722)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안내대(723)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대(730)는, 회전조절부(720)와 수직 방향으로 구성되어 일측 단부는 경첩(731)과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판(751)이 형성된다.
도 8에서와 같이, 경첩(731)은 걸이봉(741)의 회전축(745)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브라켓(746)과 연결되며, 브라켓(746)이 경첩(731)에 의해 걸이봉(741) 방향으로는 접히지 않도록 설치된다.
고정판(751)에는 걸이봉(741)의 저부에 형성된 연결대(7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대(754)에서 지지대(730) 쪽으로 절개홈(753)이 구비되고, 고정대(756)가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구멍(752)이 형성된다.
현수막 걸이부(740)는 걸이봉(741) 일측 단부에 회전축(745)이 브라켓(746)과 힌지부를 구성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브라켓(746)을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하여 연장된 회전축(745)에는 스프링(743)을 구비하고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744)을 형성한다.
그리고 브라켓(746)은 지지대(730)에 구비된 경첩(731)과 연결하여 현수막걸이부(740)가 경첩축(732)을 중심으로 지지대(730)로 부터 회전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걸림턱(744)과 대향되는 회전축(745)의 단부에는 걸이봉(741)이 구비되고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결대(754)가 형성되며, 연결대(754)는 고정판(751)의 절개홈(753)에 원활하게 끼움 되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대(754)는 걸이봉(741) 단부와 고정판(751)과 간격을 확보하여, 핸들(755)을 연결대(75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 고정대(756)가 고정판(751)의 구멍(752)으로 부터 빠질 수 있도록 형성 한다.
또한 걸이봉(741)은 현수막(800)을 주름지지 않게 감을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다수의 돌기(742)를 형성한다.
연결대(754)의 단부에 구성되는 장력조절부(750)는 현수막걸이부(7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대(754) 단부에 핸들(755)이 형성되고, 핸들(755)에는 고정대(756)가 고정판(751)의 구멍(7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대(756)는 절개홈(753) 안으로 연결대(754)가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745)에 구비된 스프링(7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정되게 삽입되고, 연결대(754)의 길이방향으로 핸들(755)을 당겨 현수막걸이부(740)를 절개홈(753)에서 빼낼 수 있는 길이로 고정대(756)를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는 타측에 구성되는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와 모든 것이 다 동일하지만, 회전안내장공(722)은 반드시 서로 거울 복사된 형태로 방향을 형성하여 현수막(800)의 게시각도가 같은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의 핸들(755)을 연결대(754)의 연장된 방향으로 당겨 고정대(756)를 고정판(751)의 구멍(752)으로부터 빼낸 다음, 절개홈(753)으로 부터 이격시키고 걸이봉(741)에 현수막(800) 한쪽의 재봉된 부분을 삽입하여 돌기(742)에 단부를 고정한 후 고정대(756)를 고정판(751)의 구멍(752)에 끼운다. 이어서 타측의 게시각도 조절 현수 막걸이대(700')에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현수막의 다른쪽 재봉된 부분을 끼우고 현수막(800)이 주름지지 않도록 상하로 당겨 돌기(742)에 끼워 핸들(755)을 회전시켜 현수막(800)을 감는다.
이때 현수막(800)은 약간 길게 제작된 상태에서 핸들(755)을 회전시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현수막(800)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수직축(2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된 구동축(610)을 수동 및 전동에 의해 회전시키면 구동기어(600)로 결합된 수직축(210')이 연동됨과 동시에 수평축(240)이 회전 하면서 승강용 제 1와이어(520,520')를 제 1드럼(510,510')에 감기게 됨과 동시에, 수직축(210,210')에 구비된 제 2드럼(530,530')에 하강용 제 2와이어(540,540')가 풀리게 됨으로써 가장 위에 배치된 승강개체(410,410')가 승강되는 것이다. 이때 승강안내대(300,300')에 구비된 안내레일(310,310')의 제1구간(310-1,310'-1)에서 현수막(800)의 게시 거리가 늘게 됨으로써 현수막(800)이 양단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장력이 증가한다. 이는 곧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의 안내대(723)가 회동되면서 안내돌기(724)가 회전안내장공(722)의 중간지점으로 이동하게 되어 현수막(800)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위에 배치된 승강개체(410,410')와 연결와이어(440,440')에 의해 연결된 각 승강개체(410,410')는 순차적으로 승강되면서 현수막(800)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현수막(800)을 승강시킬 때 수평축(240)에 구비된 무게중심 추(570,570')로 인하여 승강되는 무게를 상쇄시키며 힘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구동시 가볍게 구동축(6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게중심추(570,570')와 연결된 제 3와이어(560,560')를 승강용 제 1와이어(520,520')와 역방향으로 권취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현수막(800)의 게시위치 및 교환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610)에 한 쌍으로 구비된 브레이크판(620)의 구멍을 일치시켜 브레이크핀(630)을 삽입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브레이크판(620)은 하나는 구동축(61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기둥(10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구동축(6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현수막(800)이 게시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어 현수막(800)에 풍압이 증가하게 되면 탄성부재(726)의 탄성력의 한계를 넘게 되는 순간부터 현수막(800)이 뒤로 밀리게 되는데, 이는 곧 안내대(723)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현수막(800)의 각도가 변화되므로 풍압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수막(80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수동 및 전동에 의해 동력이 수직축(210')을 통해 수평축(240)에 전달되면서 수평축(240)의 양단에 구비된 제 1드럼(510,510')에 감겨진 승강용 제 1와이어(520,520')가 풀리게 됨과 동시에 수직축(210,210')에 구비된 제 2드럼(530,530')에 하강용 제 2와이어(540,540')가 감기면서 가장 위에 배치된 승강개체(410,41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아래쪽에 배치된 각 승강개체(410,410')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거나, 아니 면 가장 위에 배치된 승강개체(410,410')의 연결부재(430,430')에 연결된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가 아래에 위치한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를 밀어 내리게 됨으로 순차적으로 각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가 서로 밀착되어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현수막(800)이 게시된 상태에서는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의 지지대(730) 양단부분이 밀착되지만, 현수막(800)이 게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700,700')의 지지대(730)가 수평에 가깝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대(730)의 중간 부위나 안내하우징(721)에 밀착되어 하강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안내대(300,300')의 하부에 이르러 각 승강개체(410,410')가 안내레일(310,310')의 경사부(310-3,310'-3)를 경유하여 제2구간(310-2,310'-2)으로 이동하면, 현수막(800)의 장력이 줄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부재(72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대(730,730')가 지면을 향해 회전하여 지면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이 아닌 각도로 경사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개체(410,410')가 제2구간(310-2,310'-2)으로 하강하면 승강개체(410,410')와 현수막 걸이부(740) 사이의 간격이 승강개체(410,410')가 제1구간(310-1,310'-1)에 있을 때보다 좁아지며, 이와 같은 간격의 변화시 안내하우징(721)은 승강개체(410,410')에 고정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부재(726)가 탄성 변형되며, 탄성부재(726)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현수막 걸이부(740)가 고정된 안내대(723)의 안내돌기(724)가 사선형의 회전안내장공(722)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현수막이 지면을 향해 회전하게 됩니다.
즉, 다수의 현수막(800)은 승강개체(410,410')가 안내레일(310,310')의 경사부(310-3,310'-3)를 경유하는 순간부터 지면에 대해 수평을 향해 틸트되어 서로 겹쳐진다(도 5참고).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게시대의 승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발명에 속한다.
도 11은 걸이봉(741)과 지지대(730)의 다른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대(730)의 상하부에는 각각 플랜지(730a,730b)가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730a)의 저부에는 지지축(730c)이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730b)에는 걸이봉(741)의 하부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걸이봉(741)은 하부가 지지대(730)의 하부 플랜지(730b)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부의 내부에는 지지축(730c)이 끼워진다.
지지축(730c)의 둘레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730d)이 끼워지며, 압축코일스프링(730d)은 걸이봉(741)을 지지대(730)의 상부 플랜지(730a)측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에 따라, 걸이봉(741)은 압축코일스프링(730d)을 통해 상하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지지축(730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즉, 걸이봉(741)의 위치를 설정한 후 걸이봉(741)을 아래 방향으로 당긴 후 설정한 위치로 회전시키고 걸이봉(741)을 놓게 되면 압축코일스프링(730d)의 탄성력에 의해 걸이봉(741)이 상부 플랜지(730a)에 지지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플랜지(730a)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걸이봉(741)에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구비된다.
도 12는 현수막(800)을 팽팽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현수막(800)의 양단부에 상하로 관통된 걸이공(810)이 형성되도록 재봉되며, 걸이봉(741)은 지지대(730)의 상하부 플랜지(730a,730b)(걸이봉(741)을 낄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는 현수막(8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을 방 향으로 형성된다)에 지지되면서 둘레부에 다수개(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의 돌기(741a,741b,741c)가 형성된다.
현수막(800)의 걸이공(810)에 걸이봉(741)을 끼우되, 걸이봉(741)을 지지대(730)의 상부 플랜지(730a)까지 올려 끼우고, 현수막(800)을 일측의 돌기(741a)에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현수막(800)을 잡아당겨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나머지 돌기(741b,741c)에 끼워 현수막(800)을 팽팽하게 설치한다.
도 13은 다수의 현수막(800)을 이용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14는 무게중심추(57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무게중심추(570)는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며 수평축(240)에 결합된 무게상쇄드럼(571)에 감긴다. 이렇게 되면 무게 변화에 대응해서 능동적으로 무게의 상쇄가 가능하다.
도 15와 도 16은 승강수단의 다른 예로서, 체인(250,250')에 의해 다수의 승강개체(410,410')가 승강하는 것이다.
체인(250,250')은 각각 상하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프로킷(251,252)(251',252')에 무한궤도 형태로 배치된다.
가장 높은 곳에 설치된 승강개채(410,410')는 각각 체인(250,250')에 고정되어 체인(250,250')의 회전시 승강한다. 각각의 승강개체(410,410')는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곳의 승강개체(410,41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도 16에서 보이는 것처럼, 승강개체(41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하여 승강개체(410)가 고정되는 안내대(723)에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보조롤러(723a)가 설치된다. 보조롤러(723a)는 기둥(100)에 장착된 레일(723b)을 따라 승강한다.
도 17과 도 18은 승강개체(410,410)가 스크류봉(260,260')에 의해 승강하는 것이다.
스크류봉(260,260')은 각각 상부가 기어를 통해 수평축(240)과 연결되어 구동한다.
가장 높은 곳에 설치된 승강개채(410,410')는 각각 슬라이더(261,261')를 통해 스크류봉(260,26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크류봉(260,260')의 회전시 승강한다. 각각의 승강개체(410,410')는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곳의 승강개체(410,41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도 1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조롤러(723a)는 도 16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5 내지 도 18에서는 가장 높은 곳의 승강개체(410,410')에 연결된 현수막(800)은 아래쪽의 승강개체(410,410')에 연결된 현수막(800)처럼 눕혀지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나머지의 현수막(800)들이 눕혀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곳의 현수막(80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높이가 높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지상에서 설치와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9는 승강개체(410,410)가 1개의 수직축(270), 수평축(240) 및 승강개 체(410,410')과 각각 대응되는 승강안내드럼(280,280')에 의해 승강하는 것이다.
수직축(270)은 상부가 기어를 통해 수평축(240)과 연결되어 구동한다.
승강안내드럼(280,280')은 각각 제1,2승강안내드럼(281,282)(281',282')으로 이루어지며, 승강개체(410,410')에 연결된 승강용 와이어(290,290')를 감거나 풀어 승강개체(410,410')를 승강시킨다.
가장 높은 곳에 설치된 승강개채(410,410')는 승강용 와이어(290,290')에 연결되어 수평축(240)의 회전시 승강안내드럼(280,280')을 통해 승강용 와이어(290,290')를 감거나 풀어 승강개체(410,410')를 승강시킨다.
즉, 제1승강안내드럼(281,281')이 승강용 와이어(290,290')를 감거나 풀면 제2승강안내드럼(282,282')은 반대로 승강용 와이어(290,290')를 풀거나 감아 승강개체(410,41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91,291'은 승강용 와이어(290,290')의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롤러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내부 구성의 확대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기둥 내부 하부를 확대한 정면도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걸이부의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확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된 현수막 걸이대의 다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현수막 걸이대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수의 현수막을 이용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무게중심추의 다른 예시도.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수단의 다른 예시도.
도 20a와 도 20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상승용 제1드럼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둥
110 : 안내홈 120 : 베이스판
200 : 동력전달부재
210 : 수직축 220 : 베어링 230 : 베벨기어 240 : 수평축
300 : 승강안내대
310 : 안내레일 320 : 공간부 330 : 고정브라켓
400 : 승강부재
410 : 승강개체 420 : 제1롤러 430 : 연결부재 440 : 연결와이어
450 : 연결핀 460 : 볼트고정공 470 : 볼트
500 : 승강수단
510 : 제1드럼 520 : 제1와이어 530 : 제2드럼 540 : 제2와이어
550 : 제3드럼 560 : 제3와이어 570 : 무게중심추 580 : 제2롤러
600 : 구동기어 610 : 구동축 620 : 브레이크판 630 : 브레이크핀
700 :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걸이대
710 : 고정부재 711 : 삽입구 712 : 볼트구멍
720 : 회전조절부 721 : 안내하우징 722 : 회전안내장공
723 : 안내대 724 : 안내돌기 725 : 삽입공간 726 : 탄성부재
730 : 지지대 731 : 경첩 732 : 경첩축
740 : 현수막걸이부 741 : 걸이봉 742 : 돌기 743 : 스프링
744 : 걸림턱 745 : 회전축 746 : 브라켓
750 : 장력조절부 751 : 고정판 752 : 구멍 753 : 절개홈
754 : 연결대 755 : 핸들 756 : 고정대
800 : 현수막

Claims (12)

  1. 한 쌍의 기둥(100,100')과;
    상기 한 쌍의 기둥 사이에 대응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승강수단과;
    양측이 승강개체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고 상호간에 유연성 있는 연결재로 연결되는 다수의 현수막(800)과;
    상기 다수의 현수막을 상기 기둥의 아래쪽에서 지면을 향해 회전시켜 겹쳐지도록 하는 틸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수단은,
    상부에서부터 제1구간, 상기 제1구간보다 폭이 좁은 제2구간, 상기 제1,2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개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승강개체와 상기 현수막을 연결하며 상기 승강개체가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부를 경유하여 제2구간을 이동할 때 상기 현수막을 지면측으로 회전시켜 눕혀지도록 하여 겹치도록 하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절부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삽입공간이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회전안내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현수막측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안내하우징,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둘레부에 상기 안내하우징의 회전안내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승강개체측에 고정되는 안내대, 및 상기 안내대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단부가 상기 안내하우징과 상기 안내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개체가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부를 경유하여 제2구간으로 이동할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내하우징을 통해 상기 현수막을 지면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기둥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축, 상기 수직축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축, 상기 수평축에 감기며 상기 승강개체 중 가장 높은 곳에 배치된 승강개체에 연결되는 승강용 제1와이어, 상기 한 쌍의 수직축에 감기며 상기 승강개체 중 가장 높은 곳에 배치된 승강개체에 연결되는 하강용 제2와이어, 상기 안내레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개체의 이동시 상기 하강용 제2와이어로 인해 간섭받지 않도록 상기 승강개체가 내접하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승강안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의 승강을 위하여 상기 수평축이 회전할 때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현수막의 수량에 따라 무게를 상쇄시키는 무게중심추가 포함되고, 상기 무게중심추는, 일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사다리꼴 단면이면서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축에 고정된 무게상쇄드럼의 상기 나선형의 홈에 감겨 상기 현수막의 수량에 따른 하중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장공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하우징이 회전하면서 상기 안내대가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12. 삭제
KR1020090070954A 2008-08-27 2009-07-31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0964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917 2008-08-27
KR20080083917 2008-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71A KR20100025471A (ko) 2010-03-09
KR100964739B1 true KR100964739B1 (ko) 2010-06-21

Family

ID=4217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954A KR100964739B1 (ko) 2008-08-27 2009-07-31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125B1 (ko) 2009-03-02 2013-02-14 최은숙 현수막 게시대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86B1 (ko) * 2011-09-30 2012-01-06 전정숭 다단 접철 타입의 회전형 현수막 게시대
KR102403273B1 (ko) * 2021-11-11 2022-05-30 이경묵 반자동 현수막 거치대
KR102564617B1 (ko) * 2023-01-26 2023-08-08 김유신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20Y1 (ko) * 2000-07-26 2001-01-15 박승규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KR200290795Y1 (ko) * 2002-06-28 2002-10-04 배경희 현수막게시탑의 현수막 현수장치
KR200304727Y1 (ko) * 2002-11-29 2003-02-19 구윤두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806027B1 (ko) * 2007-08-14 2008-02-26 이원영 현수막 게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20Y1 (ko) * 2000-07-26 2001-01-15 박승규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KR200290795Y1 (ko) * 2002-06-28 2002-10-04 배경희 현수막게시탑의 현수막 현수장치
KR200304727Y1 (ko) * 2002-11-29 2003-02-19 구윤두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806027B1 (ko) * 2007-08-14 2008-02-26 이원영 현수막 게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125B1 (ko) 2009-03-02 2013-02-14 최은숙 현수막 게시대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71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2608B1 (en)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a banner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CN1254674A (zh) 限制在塔台内部的塔式升降机构
US20050188571A1 (en) Elevated sign system with lowering mechanism to enable ground level servicing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KR101227095B1 (ko)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JP6628310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06027B1 (ko) 현수막 게시장치
JP4453109B1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ワイヤロープ等の紐状体の移動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KR101448215B1 (ko) 현수막 및 중량물 승강장치
KR101103134B1 (ko) 리깅장치
KR100869690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200009981A (ko) 골프공 티업장치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20170068921A (ko)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KR20110101871A (ko) 현수막 게시장치
JP3087894B1 (ja) 幕昇降装置
KR200412802Y1 (ko)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KR101493232B1 (ko) 블라인드형 플래카드 게시대
KR20070051242A (ko)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WO2007040341A1 (en) The prop type installation for advertising
KR200231522Y1 (ko) 현수막 게시대
CN210838699U (zh) 一种新型电缆展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