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095B1 -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095B1
KR101227095B1 KR1020110014590A KR20110014590A KR101227095B1 KR 101227095 B1 KR101227095 B1 KR 101227095B1 KR 1020110014590 A KR1020110014590 A KR 1020110014590A KR 20110014590 A KR20110014590 A KR 20110014590A KR 101227095 B1 KR101227095 B1 KR 10122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coupled
rotating shaft
faste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116A (ko
Inventor
추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1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0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는, 현수막의 폭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빔과, 상기 체결빔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다각형의 홈이 형성된 구동지시부, 및 상기 체결빔 또는 상기 구동지시부에 형성된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지시부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구동지시부의 홈과 요철결합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연결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작동레버; 현수막의 장착 위치에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위치고정부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구동을 구속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현수막의 폭방향에 장력이 골고루 전달되어 현수막이 현판과 같이 고른 면을 유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육교나 보도의 게시대 등 여러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TENSION CONTROLLER OF BANNER, AND BULLETIN BOAR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이 현판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현수막의 폭방향에 장력을 가하는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교나 보도 주변 등에는 광고효과를 위하여 현판을 게시하였다. 현판의 경우, 목재 등의 패널에 제작하기 때문에 면이 고르게 구비되어 광고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디자인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판은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 현판이 파손되어 광고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파손된 현판 조각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고 기한이 만료된 이후에는 현판이 폐기처분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드는 처리비용 및 폐기물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한 현수막을 광고용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수막의 경우, 길이방향 양 단을 팽팽하게 당겨주게되면, 주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현수막에 인쇄된 광고문구 또는 디자인이 왜곡되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현수막을 고정시키는 로프나 철사 등이 느슨해지면 현수막에 기재된 내용을 확인하기가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수막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로프나 철사 등에 의해 보행자가 다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폐기물의 양이 적게 발생하면서 현판과 같이 현수막에 기재된 광고문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현수막에 인쇄된 광고가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현수막의 폭방향을 당겨주는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를 장착하여 현수막이 현판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수막의 폭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빔과, 상기 체결빔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다각형의 홈이 형성된 구동지시부, 및 상기 체결빔 또는 상기 구동지시부에 형성된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지시부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구동지시부의 홈과 요철결합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연결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작동레버;
현수막의 장착 위치에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위치고정부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구동을 구속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수막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현수막의 두께보다 두꺼운 가요성의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빔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대 체결홈이 상기 체결빔의 길이방향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 체결홈은 상단부로 갈수록 현수막 바깥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체결빔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이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후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가 장착되는 기둥; 및
현수막을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현수막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수막 승강장치는,
현수막의 상단부와 체결하며, 한 쌍의 상기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현수막 파지구,
상기 현수막 파지구에 결합된 한 쌍의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와이어 각각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고정도르래 및 제2고정도르래를 포함하는 도르래부, 및
상기 도르래부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한 쌍의 와이어가 동시에 권취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수막 게시대에는 복수개의 현수막이 게시되고,
상기 현수막 승강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현수막이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가 기둥측에 위치하고,
상기 롤러가 장착된 기둥에 근접한 제2고정도르래에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가 동시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브라켓은 상기 기둥에 고정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수막의 폭방향 단부 전체가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폭방향에 장력이 골고루 전달되어 현수막이 현판과 같이 고른 면을 유지할 수 있어 광고효과가 상승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육교나 보도의 게시대 등 여러 장소에 적용이 가능하며, 종래에 비해 폐기물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수막을 팽팽하게 잡아당기기 때문에, 현수막이 바람에 펄럭이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가 장착된 현수막 게시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회전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고정구 및 위치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부분 전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는, 현수막(1)을 이용하여 현판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현수막(1)을 폭방향으로 당겨주는 회전축(110)이 현수막(1) 설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현수막(1)의 폭방향 단부에 결합된 회전축(110)을 현수막(1) 반대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현수막(1)이 폭방향으로 편평한 면을 구현할 수 있고, 현수막(1)이 일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현수막(1)이 현판과 동일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 및 폐기비용이 현판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제반 비용이 동일할 시에 현판보다 높은 광고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가 장착된 현수막 게시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회전축(1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 게시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는, 현수막(1)의 폭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빔(111)과, 상기 체결빔(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다각형의 홈(h)이 형성된 구동지시부(112), 및 상기 체결빔(111) 또는 상기 구동지시부(112)에 형성된 위치고정부(114)를 포함하는 회전축(110);
상기 구동지시부(112)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구동지시부(112)의 홈(h)과 요철결합하는 체결구(122) 및 상기 체결구(122)에 연결형성되는 손잡이(124)를 포함하는 작동레버(120);
현수막(1)의 장착 위치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110)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10)과 결합된 브라켓(140); 및,
상기 위치고정부(114)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축(110)의 회전 구동을 구속하는 고정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가 장착되는 기둥(217); 및
현수막(1)을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현수막 승강장치(210);를 포함한다
현수막 장력조절장치는, 현수막 게시대 뿐만 아니라, 육교 등의 난간에 브라켓(140)을 고정한 후 브라켓(140)에 회전축(110)을 결합시킴으로써, 현수막을 설치할 수도 있고, 기 설치된 현수막 게시대에 브라켓(140)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현수막(1)은 폭방향 단부가 체결빔(11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현수막(1)의 폭방향 양단을 따라 형성된 지지대(3)와 체결빔(111)이 결합함으로써, 현수막(1)을 폭방향으로 당겨주는 힘이 현수막(1)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체결빔(111)의 길이방향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대 체결홈(116)을 체결빔(111)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대 체결홈(116)에 지지대(3)가 결합되도록 한다. 지지대 체결홈(116)의 입구는 상기 지지대(3)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회전축(110)이 회전구동하여 현수막(1)에 폭방향으로 장력이 부가될 때 지지대(3)가 지지대 체결홈(116)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따라서, 지지대(3)를 체결할 때에는, 지지대 체결홈(116)의 상단부나 하단부 중 일측에 지지대(3)를 삽입하고, 지지대 체결홈(1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대(3)가 전체가 지지대 체결홈(116)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대(3)를 회전축(1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현수막(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지지대(3)는, 지지대 체결홈(116)에 지지대(3)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현수막 게시대의 상기 기둥(217)에 고정 결합함으로써, 현수막 게시대에 현수막 장력조절장치가 장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110)은 현수막(1)의 폭방향 양단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의 폭방향 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회전축(110)이 결합되지 않은 현수막(1)의 폭방향 단부는 회전축(110)에서 현수막(1)을 당길 때 현수막(1)에 장력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직물로 제조되는 현수막(1)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단부를 당겨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고정된 현수막(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의 길이방향으로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때, 구동지시부(112)에 체결된 작동레버(120)를 상기 현수막(1)의 바깥쪽 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면, 체결빔(111)에 형성된 지지대 체결홈(116)이 회전하게 되고, 지지대 체결홈(116)에 결합된 지지대(3)가 현수막(1)의 바깥쪽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현수막(1)이 팽팽해진다.
이때, 체결빔(111)에 형성되는 지지대 체결홈(116)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체결홈(116)이 상단부로 갈수록 현수막(1) 바깥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빔(111)은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빔(111)의 형상 특성상 체결빔(111)의 하부에 형성된 구동지시부(112)가 회전할 때 체결빔(111)의 하부가 회전하는 각도와 체결빔(111)의 상부가 회전하는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브라켓(140)과 회전축(110)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지시부(112)의 회전력이 체결빔(111)의 상단부까지 완전히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의해 체결빔(111)의 상단부가 체결빔(111)의 하단부보다 적게 회전하더라도 현수막(1)의 폭방향으로 전달되는 장력은 균일하도록 지지대 체결홈(116)이 상단부로 갈수록 현수막(1) 바깥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현수막(1)의 폭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도록 회전축(110)이 체결빔(111)이 회전한 이후에는 고정구(130, 130')를 이용하여 회전축(110)이 회전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구(130, 130')는 회전축(110)에 형성된 위치고정부(114, 114')와 연동되면 체결빔(111)이 회전이동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30)와 위치고정부(114)가 각각 후크와 고정홈의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114')로는 구동지시부(112)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고정구(130')로는 구동지시부(112)의 톱니의 이동방향을 제한하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130')에 의해 회전축(110)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도록 구동지시부(112)의 방사(放射)방향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상기 톱니형상의 위치고정부(114')가 형성된다. 즉, 구동지시부(1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야할 경우, 톱니의 말단은 구동지시부(112)의 시계방향을 향해 휘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후크 형상의 고정구(130')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에 결합시킴으로써, 톱니가 회전하게 될 때 상기 톱니 사이에 위치하는 후크의 말단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톱니의 말단을 일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함과 더불어 후크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현수막을 당겨주는 방향으로 구동지시부(112)가 회전한 뒤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가 고정된 회전축(110)은 후크(130, 130')를 각각의 위치고정부(114, 114')에서 탈착하게 되면, 회전축(110)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현수막 승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현수막 승강장치(210)는, 현수막 게시대에서 현수막 승강장치(210)가 어떤 방법으로 구동되는지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펼쳐서 도시한 전개도로 실제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이 서로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에는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와 더불어 현수막 승강장치(21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현수막 승강장치(210)는, 현수막(1)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의 상단부와 체결하며, 한 쌍의 상기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현수막 파지구(212),
상기 현수막 파지구(212)에 결합된 한 쌍의 와이어(214),
상기 한 쌍의 와이어(214) 각각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고정도르래(216a) 및 제2고정도르래(216b)를 포함하는 도르래부(216), 및
상기 도르래부(216)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한 쌍의 와이어(214)가 동시에 권취되는 롤러(2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수막 승강장치(210)는 복수 개의 현수막(1)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조절할 수 있다.
현수막 파지구(212)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214)는 각각 제1고정도르래(216a) 및 제2고정도르래(216b)에 결합하여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이때, 복수개의 현수막(1)이 하나의 롤러(218)에 의해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2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현수막(1) 사이에 형성된 기둥(2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복수 개의 현수막(1) 중간 지점에 롤러(218)를 구비함으로써, 현수막(1)에 연결된 와이어를 동일한 힘으로 권취할 수 있다.
제1고정도르래(216a)에 체결되는 와이어(214)와 제2고정도르래(216b)에 체결되는 와이어(214)는 와이어홀더(219)에 의해 일체화된다. 따라서, 동일한 현수막 파지구(212)에 결합된 한 쌍의 와이어(214)는 롤러(218)에 동시에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와이어(214)에 결합되어 있는 현수막 파지구(212)가 기울어짐 없이 한 쌍의 와이어(214)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면서 현수막(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현수막 3: 지지대
110: 회전축 111: 체결빔
112: 구동지시부 114, 114': 위치고정부
116: 지지대 체결홈 120: 작동레버
122: 체결구 124: 손잡이
130, 130': 고정구 140: 브라켓
210: 현수막 승강장치 212: 현수막 파지구
214: 와이어 216: 도르래부
216a: 제1고정도르래 216b: 제2고정도르래
217, 230: 기둥 218: 롤러
219: 와이어홀더 h: 홈

Claims (9)

  1. 현수막의 폭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빔과, 상기 체결빔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다각형의 홈이 형성된 구동지시부, 및 상기 체결빔 또는 상기 구동지시부에 형성된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지시부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구동지시부의 홈과 요철결합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에 연결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작동레버;
    현수막의 장착 위치에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위치고정부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구동을 구속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막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현수막의 두께보다 두꺼운 가요성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빔에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대 체결홈이 상기 체결빔의 길이방향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체결홈은 상단부로 갈수록 현수막 바깥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체결빔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이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6. 제1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가 장착되는 기둥; 및
    현수막을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현수막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막 승강장치는,
    현수막의 상단부와 체결하며, 한 쌍의 상기 기둥 사이에 위치하는 현수막 파지구; 상기 현수막 파지구에 결합된 한 쌍의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와이어 각각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고정도르래 및 제2고정도르래를 포함하는 도르래부; 상기 도르래부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한 쌍의 와이어가 동시에 권취되는 롤러; 및 상기 현수막 파지구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를 일체화시키는 와이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게시대에는 복수개의 현수막이 게시되고,
    상기 현수막 승강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현수막이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가 기둥측에 위치하고,
    상기 롤러가 장착된 기둥에 근접한 제2고정도르래에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가 동시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장력조절장치의 상기 브라켓은 상기 기둥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20110014590A 2011-02-18 2011-02-18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10122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590A KR101227095B1 (ko) 2011-02-18 2011-02-18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590A KR101227095B1 (ko) 2011-02-18 2011-02-18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16A KR20120095116A (ko) 2012-08-28
KR101227095B1 true KR101227095B1 (ko) 2013-02-06

Family

ID=4688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590A KR101227095B1 (ko) 2011-02-18 2011-02-18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188A (ko) 2014-12-31 2016-07-08 스마일배너시스템 주식회사 모바일 앱을 활용한 현수막 게시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3061A9 (nl) * 2015-05-07 2016-12-15 Letterop Bvba Spaninrichting voor een banier
EP3446304A4 (en) * 2016-02-26 2020-01-22 Die Du Toit Familie Trust DISPLAY STAND
KR101962270B1 (ko) * 2018-09-21 2019-03-26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장력조절유닛을 이용한 현수막게시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283Y1 (ko) 2004-04-17 2004-07-05 최광철 도로용 현수막거치대
KR100864191B1 (ko) 2008-05-02 2008-10-17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광고탑 및 광고물 지지용 띠
KR20090123251A (ko) * 2008-05-27 2009-12-02 최상룡 바람에 반응하는 현수막 걸이대
KR20100012685U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현수막 게시대의 폭 장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283Y1 (ko) 2004-04-17 2004-07-05 최광철 도로용 현수막거치대
KR100864191B1 (ko) 2008-05-02 2008-10-17 주식회사 맥스코리아 광고탑 및 광고물 지지용 띠
KR20090123251A (ko) * 2008-05-27 2009-12-02 최상룡 바람에 반응하는 현수막 걸이대
KR20100012685U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현수막 게시대의 폭 장력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188A (ko) 2014-12-31 2016-07-08 스마일배너시스템 주식회사 모바일 앱을 활용한 현수막 게시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16A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095B1 (ko)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101151806B1 (ko) 육교용 현판 게시대
KR101173408B1 (ko) 벽면 고정형 현수막 게시대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KR200334499Y1 (ko) 현수막 게시용 지지장치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84706B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192999Y1 (ko) 현수막 지지대
KR100991706B1 (ko) 현수막 설치대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477734Y1 (ko) 현수막 고정 장치
KR200168846Y1 (ko) 현수막 게양대
KR100864191B1 (ko) 광고탑 및 광고물 지지용 띠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0452949Y1 (ko) 현수막 게시대의 폭 장력 조절장치
KR20160002627U (ko) 현수막 걸이장치
KR102311598B1 (ko) 베너 걸이장치
KR200185750Y1 (ko) 현수막 게시대
JP4327442B2 (ja) スクリーンパネル
KR200296211Y1 (ko) 현수막 현수장치
KR200380385Y1 (ko) 현수막 게시대용 간판 및 이의 상하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