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871A - 현수막 게시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871A
KR20110101871A KR1020100021203A KR20100021203A KR20110101871A KR 20110101871 A KR20110101871 A KR 20110101871A KR 1020100021203 A KR1020100021203 A KR 1020100021203A KR 20100021203 A KR20100021203 A KR 20100021203A KR 20110101871 A KR20110101871 A KR 2011010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eight
posted
connecting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818B1 (ko
Inventor
최상룡
Original Assignee
최상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룡 filed Critical 최상룡
Priority to KR102010002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8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게추를 이용하여 현수막을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현수막(20)이 게시될 공간을 두고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이송부(20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기둥부(100)와;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110)과 연접되는 다수의 로울러(220)와, 상기 몸체(210)로부터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축(240)과, 상기 연결축(240)의 일단에 연결되어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는 현수막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기둥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는 스프라켓(320)과, 상기 스프라켓(320)의 상부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양 단은 하측으로 연장된 체인(340)을 포함하는 견인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측으로 연장된 체인(340) 중 어느 한 라인에는 이송부(200)가 연결 설치되며 그 선단은 용수철(360)로부터 기둥부(10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작용하고, 나머지 한 라인의 선단에는 무게추(350)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시장치{DISPLAYING EQUIPMENT OF PLACARD}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 구동수단 및 구동 핸들을 돌리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무게추를 이용하여 현수막을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의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리상에 광고나 알림을 목적으로 현수막이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수막은 양단을 철사나 로프 등을 사용하여 도로변이나 교차로 등 공공장소의 가로수, 가로등, 전봇대 등에 묶는 방법으로 설치함으로써 도심경관을 해치고,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를 발생하며, 설치과정에서 낙상하거나 관리하지 않고 방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람의 통행이 많은 일정한 장소에 다수개의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게시대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수막 게시대는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상가 및 도로변에 각종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여러 개의 현수막을 상하 방향의 다단(多段)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현수막 게시대들은 상단에 현수막을 게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다리나 사다리 차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수막 게시 및 제거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게시된 현수막을 끌어내리는 방식에 있어서도, 선출원된 종래 기술들은 대부분 전기적 구동수단을 적용하거나, 하부에서 구동핸들을 돌려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방식이 적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복잡한 내부 구성에 의해 제작 단가가 올라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상에서 현수막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조작하되 무게추를 이용하여 현수막을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현수막이 게시될 공간을 두고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이송부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기둥부와; 몸체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과 연접되는 다수의 로울러와, 상기 몸체로부터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현수막을 고정 지지하는 현수막고정부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기둥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의 상부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양 단은 하측으로 연장된 체인을 포함하는 견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측으로 연장된 체인 중 어느 한 라인에는 이송부가 연결 설치되며 그 선단은 용수철로부터 기둥부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작용하고, 나머지 한 라인의 선단에는 무게추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부에는 마주보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간격을 형성하되 하부측을 향해 이격공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태의 회전유도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은 현수막고정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연결축의 일단에는 편중된 무게를 갖도록 편심 연결된 회전유도캠이 형성되어 회전유도레일의 이격된 간격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다수의 이송부가 구비되어 다수의 현수막 게시가 가능하고, 상기 회전유도레일은 게시되는 현수막의 수량에 대응하여 횡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다수개의 회전유도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회전유도캠 및 연결축이 서로 다른 이송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부는 게시되는 현수막의 수량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스프라켓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현수막 게시위치가 상부측에 해당할수록 상기 스프라켓의 직경도 상대적으로 큰 것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에 의하면, 무게추에 의한 간단한 구성으로 지상에서 현수막을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현수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동시에 홍보할 수도 있으며, 현수막을 하강시키면 각각의 현수막이 바닥을 향해 눕도록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서로의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현수막이 상호 적층됨으로 수용공간이 최소화되어 현수막에 대한 설치 및 교체, 철거 작업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전체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기둥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이송부 및 견인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승강고정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기둥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회전유도레일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이송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이송부 및 견인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현수막의 승강 및 하강 동작시 회전유도캠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현수막의 승강 및 하강 동작시 현수막고정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이송부 및 견인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현수막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전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기둥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이송부 및 견인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승강고정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10)는 현수막(20)이 게시될 공간을 두고 좌우 양측에 이격되어 각각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 설치되는 기둥부(100)와,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면서 승강 및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0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견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둥부(100)와, 이송부(200)와, 견인부(300)의 구성은 현수막(20)이 게시될 이격 공간을 두고 양측에 대응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 양측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기에, 이하, 어느 일측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기둥부(100)는 현수막(20)이 게시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 설치되며, 각각 기둥부(100)의 중공된 내측 공간에는 가이드레일(110)과, 안내홈(130)과, 무게추이동로(140)가 포함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가이드레일(110)은 후술되는 이송부(20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시 진행방향을 이탈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가이드레일(110)은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된 채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바(Bar)가 수직으로 설치된 것이며, 그 이격공간으로 후술되는 이송부(200)의 몸체(210)가 결합 지지되어 승강 및 하강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안내홈(130)은 한 쌍의 기둥부(100)가 서로 대향하는 일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으로, 후술되는 이송부(200)의 연결축(240)이 외부와 관통 연결되면서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측 및 하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관통된 안내로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무게추이동로(140)는 후술되는 견인부(300)의 무게추(350)가 수용되어 간섭받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에 해당한다.
또한, 기둥부(100)의 소정 위치에는 고리형태의 승강고정부(160)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고정부(160)를 통해 기둥부(100)의 외부에 노출된 현수막고정부(230) 및 연결축(240)을 걸어 고정함으로 승강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송부(200)는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면서 기둥부(10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승강 및 하강 동작하는 것으로, 몸체(210)와, 로울러(220)와, 현수막고정부(230)와, 연결축(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몸체(210) 및 로울러(22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0) 사이에 결합 지지되어 승강 및 하강 동작하는 것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로울러(220) 사이에 가이드레일(110)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몸체(210)의 양측면에 쌍을 이루며 설치된 각각의 로울러(220) 사이에는 가이드레일(110)이 끼움 결합되며, 몸체(2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견인부(300)의 체인(34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의 현수막고정부(230)는 기둥부(100)의 외부에서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는 것이며, 연결축(240)은 상기 몸체(210)와 현수막고정부(23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부(200)의 현수막고정부(230) 또는 연결축(240)에는 당김부재(260)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부측에 게시된 현수막을 하강시킴에 있어 사다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당김부재(260)를 이용해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 지상을 향해 연장된 손잡이 등의 당김 수단에 해당하는 것이다.
견인부(300)는 현수막(20)의 승강 및 하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기둥부(100)의 상부에는 회전축(310)이 연결 형성되고, 기둥부(100)에 대한 내측 상부의 회전축(310) 소정 위치에는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도록 스프라켓(320)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라켓(320) 상부에는 체인(340)이 걸리도록 연결되어 양 단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연장된 체인(340) 중 어느 한 라인에는 이송부(200)가 연결 설치되며 그 선단은 용수철(360)로부터 기둥부(10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 라인의 선단에는 무게추(350)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킨다.
즉, 무게추(350)가 중량에 의해 하강 동작시 이송부(200) 및 이에 연결된 현수막(20)은 승강하는 구성인 것으로, 무게추(350)는 기둥부(100)의 무게추이동로(140)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스프라켓(320) 및 체인(340)의 구성은 각각 풀리 및 벨트 또는 와이어의 구성으로 대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응되는 효과는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현수막(20)과 이를 고정하고 있는 이송부(200)는 승강고정부(16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가, 고정을 해제하면 무게추(350)가 하강하면서 현수막(20) 및 이송부(200)는 승강한다. 이는 무게추(350)가 현수막(20) 및 이송부(200)보다 조금 더 무겁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김부재(260)를 이용하여 사람의 인력으로 현수막(20) 및 이송부(200)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적정 위치에서 승강고정부(160)를 이용해 현수막(20)이 승강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 채 현수막(20)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현수막 게시장치의 구성에서, 다수의 현수막이 게시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현수막의 승강 및 하강 동작시 상호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각각 회전 동작하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기둥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회전유도레일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이송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이송부 및 견인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기둥부(10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나, 게시 가능한 현수막의 수량에 대응하여 회전유도레일(120)이 더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전유도레일(120)은 가이드레일(110)의 어느 일측 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후술되는 회전유도캠(250)의 회전동작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레일(120)은 마주보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간격을 형성하며 설치되고 그 이격된 간격내에 회전유도캠(250)이 수용 설치되는 것이며, 현수막 게시공간에 해당하는 좁은 이격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제1구간(121)과, 이격공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경사구간에 해당하는 제2구간(122)과, 현수막의 회전공간에 해당하는 넓은 이격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제3구간(12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회전유도레일(120)의 제1구간(121)에서는 편중된 무게를 갖는 회전유도캠(25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지만, 하부측 제3구간(123)은 회전유도레일(120)의 이격공간이 넓어서 회전유도캠(250)이 회전유도레일(120)로부터 지지되지 못하고 편중된 무게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또한, 회전유도레일(120)에서 제2구간(122)과 제3구간(123)이 전환되는 위치에는 걸림턱(124)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회전유도캠(250)의 승강 동작시 회전유도캠(250)의 걸림돌기(251)가 걸림턱(124)에 걸리도록 하여 현수막 게시위치인 수직위치로 회전유도캠(250)의 방향 전환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유도레일(120)은 게시 가능한 현수막의 수량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일 방향으로 나열 형성되되 회전유도캠(250)이 회전할 수 있는 각각의 현수막 회전구간(제2구간 및 제3구간)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으로 간섭을 최소화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현수막 회전구간(제2구간 및 제3구간)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현수막 게시 위치로부터 일부 하향된 지점에 형성되어 현수막의 하강시 회전된 상태로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0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나, 현수막(20)의 게시 위치와 교체 및 철거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된 현수막이 지면을 향해 눕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유도캠(250)의 구성이 더 형성된 것이다.
즉, 이송부(100)의 연결축(240)은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210)를 관통 결합하고, 연결축(240)의 일단은 기둥부(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현수막고정부(230)가 연결되고, 또 다른 일단은 기둥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회전유도캠(25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240)과 현수막고정부(230) 및 회전유도캠(250)은 일체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 동작하는 것이며, 원활한 회전동작을 위해 연결축(240)과 몸체(210) 사이에는 베어링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유도캠(250)은 "
Figure pat00001
"와 같은 물방울 형상을 갖는 것으로, 몸체(210)의 일면에서 돌출된 연결축(24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연결축(24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회전유도캠(250)은 연결축(240)으로부터 편심 결합되어 어느 일 방향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을 갖도록 한다.
도 13은 현수막의 승강 및 하강 동작시 회전유도캠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14는 현수막의 승강 및 하강 동작시 현수막고정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유도캠(250)은 편중된 무게를 갖는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려는 것으로, 회전유도레일(120)의 제1구간(121)에서는 대향하는 측벽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회전유도캠(25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게시된 현수막(20)은 수직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나, 점진적으로 회전유도레일(120)의 폭이 넓어지는 제2구간(122) 및 제3구간(123)에서는 회전유도캠(250)이 편중된 무게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기울어지다가 60°~ 80°가까이 기울어진 상태로 제3구간(123)의 일측벽에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유도캠(250)의 편중된 무게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회전유도캠(250)과 일체로 연결된 연결축(240) 및 현수막고정부(230)도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현수막고정부(23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게시되어 있던 현수막(20)도 함께 회전하여 바닥을 향해 눕도록 회전하는 것이며,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이송부(200) 및 그로부터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현수막(20)이 이와 같은 회전 과정을 통해 기울어져 현수막(20)의 교체 및 철거시에는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함으로 현수막(20) 상호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에서 다수의 현수막(20)이 각각 기울어지는 위치는 게시상태에서 하강되는 시점에 해당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게시된 현수막(20)의 회전 위치도 구분되도록 회전유도레일(120)의 회전유도구간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이송부(200)는 다수개가 가이드레일(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나, 서로 다른 회전유도구간을 갖는 회전유도레일(120)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이송부(200)의 회전유도캠(250)과 각각의 회전유도레일(120)은 그 위치가 상호 대응하도록 회전유도캠(250)을 연결 지지하는 연결축(240)은 각각의 길이가 구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캠(250)에서 무게가 편중된 일측과 대응되는 타단부에는 걸림돌기(251)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이송부(200)의 승강 동작에서 회전유도레일(120)의 일측벽에 형성된 걸림턱(124)에 맞닿아 회전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송부(200)의 승강 동작에서 걸림돌기(251)가 걸림턱(124)에 맞닿으면 편중되어 하향으로 기울어졌던 일측부가 회동 과정을 통해 상향으로 들릴 것이며, 그와 동시에 회전유도캠(250)이 회전유도레일(120)의 제1구간(121)으로 진입하여 회전유도캠(250)은 기울어지지 않고 양 측벽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견인부(10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나, 다수의 현수막(20)을 게시할 수 있도록 현수막의 게시 가능한 수량에 대응하는 견인부의 구성이 각각 요구된다.
이때, 현수막 게시장치(10)의 최상단에 게시되는 현수막(20)은 승강 및 하강 동작시 가장 빠르게 이동해야 효율적일 것이다. 즉, 최상단에 게시되는 현수막(20)과 최하단에 게시되는 현수막(20)은 이동 속도가 구별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회전축(310)에 결합되는 스프라켓(320)의 직경이 구분됨으로써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현수막(20) 게시위치가 상부측에 해당할수록 상기 스프라켓(320)의 직경도 점진적으로 큰 것이 적용되어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직경을 갖는 스프라켓(320)을 통해 현수막(2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시 서로 다른 동작속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하면 견인부의 구성이 응용된 것으로, 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1)는 그 전체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나, 기둥부(100)의 내측 바닥에는 용수철(360) 대신 고정도르래(370)가 설치되는 것이다.
즉, 기둥부(100)의 상부에는 회전축(310)이 형성되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스프라켓(320) 연결되어 회전하며, 기둥부(100)의 내측 하부에는 고정도르래(370)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라켓(320)과 고정도르래(370)를 각각 선회하도록 체인(340)이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의 스프라켓(320) 및 체인(340)의 구성은 각각 풀리 및 벨트 또는 와이어의 구성으로 대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응되는 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 상부측 스프라켓(320)과 하부측 고정도르래(370)를 선회하면서 걸리도록 연결된 체인(340) 중 어느 한 수직라인에는 이송부(200)가 연결 설치되며 대응되는 또 다른 수직라인에는 무게추(350)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이다. 즉, 무게추(350)가 중량에 의해 하강 동작시 이송부(200) 및 이에 연결된 현수막(20)은 승강하는 것이며, 인력으로 이송부(200)를 끌어 내리면 무게추(350)가 승강하는 것으로, 이송부(200)와 무게추(350)의 하부를 연결하고 고정도르래(370)에 걸리도록 설치된 체인(340)은 균형있는 안정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단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현수막 게시장치 20 : 현수막
100 : 기둥부 110 : 가이드레일
120 : 회전유도레일 121 : 제1구간
122 : 제2구간 123 : 제3구간
124 : 걸림턱 130 : 안내홈
140 : 무게추이동로 160 : 승강고정부
200 : 이송부 210 : 몸체
220 : 로울러 230 : 현수막고정부
240 : 연결축 250 : 회전유도캠
251 : 걸림돌기 260 : 당김부재
300 : 견인부 310 : 회전축
320 : 스프라켓 331 : 나선홈
340 : 체인 350 : 무게추
360 : 용수철 370 : 고정도르래

Claims (9)

  1. 현수막(20)이 게시될 공간을 두고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이송부(20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기둥부(100)와;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110)과 연접되는 다수의 로울러(220)와, 상기 몸체(210)로부터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축(240)과, 상기 연결축(240)의 일단에 연결되어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는 현수막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기둥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는 스프라켓(320)과, 상기 스프라켓(320)의 상부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양 단은 하측으로 연장된 체인(340)을 포함하는 견인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측으로 연장된 체인(340) 중 어느 한 라인에는 이송부(200)가 연결 설치되며 그 선단은 용수철(360)로부터 기둥부(10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작용하고, 나머지 한 라인의 선단에는 무게추(350)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2. 현수막(20)이 게시될 공간을 두고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이송부(20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기둥부(100)와;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110)과 연접되는 다수의 로울러(220)와, 상기 몸체(210)로부터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축(240)과, 상기 연결축(240)의 일단에 연결되어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는 현수막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기둥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상부에서 선회하도록 연결되어 양 단은 하측으로 연장된 벨트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견인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측으로 연장된 벨트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한 라인에는 이송부(200)가 연결 설치되며 그 선단은 용수철(360)로부터 기둥부(10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작용하고, 나머지 한 라인의 선단에는 무게추(350)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3. 현수막(20)이 게시될 공간을 두고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이송부(20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기둥부(100)와;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110)과 연접되는 다수의 로울러(220)와, 상기 몸체(210)로부터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축(240)과, 상기 연결축(240)의 일단에 연결되어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는 현수막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기둥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는 스프라켓(320)과, 기둥부(10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도르래(370)와, 상기 스프라켓(320)과 고정도르래(370)를 각각 선회하도록 연결된 체인(340)을 포함하는 견인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측 스프라켓(320)과 하부측 고정도르래(370)를 선회하면서 걸리도록 연결된 체인(340) 중 어느 한 수직라인에는 이송부(200)가 연결 설치되며 대응되는 또 다른 수직라인에는 무게추(350)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4. 현수막(20)이 게시될 공간을 두고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이송부(20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는 기둥부(100)와;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110)과 연접되는 다수의 로울러(220)와, 상기 몸체(210)로부터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축(240)과, 상기 연결축(240)의 일단에 연결되어 현수막(20)을 고정 지지하는 현수막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기둥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는 풀리와, 기둥부(10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도르래(370)와, 상기 풀리와 고정도르래(370)를 각각 선회하도록 연결된 벨트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견인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측 풀리와 하부측 고정도르래(370)를 선회하면서 걸리도록 연결된 벨트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한 수직라인에는 이송부(200)가 연결 설치되며 대응되는 또 다른 수직라인에는 무게추(350)가 연결되어 일정한 힘을 중력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고정부(230) 또는 연결축(240)에는 지상을 향해 연장된 당김부재(26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현수막 게시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350)의 중량은 현수막(20)과 이송부(200)의 중량 합과 비교해 같거나 더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0)에는 마주보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간격을 형성하되 하부측을 향해 이격공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태의 회전유도레일(1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240)은 현수막고정부(23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연결축(240)의 일단에는 편중된 무게를 갖도록 편심 연결된 회전유도캠(250)이 형성되어 회전유도레일(120)의 이격된 간격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10)에는 다수의 이송부(200)가 구비되어 다수의 현수막(20) 게시가 가능하고, 상기 회전유도레일(120)은 게시되는 현수막(20)의 수량에 대응하여 횡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다수개의 회전유도레일(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회전유도캠(250) 및 연결축(240)이 서로 다른 이송부(20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300)는 게시되는 현수막의 수량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스프라켓(32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현수막 게시위치가 상부측에 해당할수록 상기 스프라켓(320)의 직경도 상대적으로 큰 것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9.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300)는 게시되는 현수막의 수량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풀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현수막 게시위치가 상부측에 해당할수록 상기 풀리의 직경도 상대적으로 큰 것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KR1020100021203A 2010-03-10 2010-03-10 현수막 게시장치 KR101237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203A KR101237818B1 (ko) 2010-03-10 2010-03-10 현수막 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203A KR101237818B1 (ko) 2010-03-10 2010-03-10 현수막 게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871A true KR20110101871A (ko) 2011-09-16
KR101237818B1 KR101237818B1 (ko) 2013-02-28

Family

ID=4495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203A KR101237818B1 (ko) 2010-03-10 2010-03-10 현수막 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30B1 (ko) * 2019-03-28 2019-10-21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CN112576093A (zh) * 2020-12-08 2021-03-30 田明光 一种电动升降旗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302B1 (ko) * 2017-12-28 2020-04-16 주식회사 근하기공 다목적 자동 인양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27Y1 (ko) * 2002-11-29 2003-02-19 구윤두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757301B1 (ko) * 2005-05-12 2007-09-11 구윤두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800051B1 (ko) * 2007-02-09 2008-01-31 드림애드원 주식회사 세로형 현수막 다량 게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30B1 (ko) * 2019-03-28 2019-10-21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CN112576093A (zh) * 2020-12-08 2021-03-30 田明光 一种电动升降旗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818B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818B1 (ko) 현수막 게시장치
CN1254674A (zh) 限制在塔台内部的塔式升降机构
KR100922315B1 (ko) 아케이드 지붕청소 및 점검장치
CN107381091A (zh) 一种新型提升机
CN201533997U (zh) 一种避免滑轮和钢丝绳磨损的威亚运行小车
KR100348769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1194304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1814705B1 (ko)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CN204139557U (zh) 一种升降式门架
CN111284648A (zh) 舵叶支撑架和舵叶安装小车
KR101722096B1 (ko) 현수막 거치대
CN109057424B (zh) 一种自行车车库
US589881A (en) Apparatus for suspending
CN207609188U (zh) 一种防尘帘装置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CN111445781A (zh) 一种商场导购指示牌
CN210260918U (zh) 一种工地用物品提升装置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JP7334304B2 (ja) 工事用扉
CN217761059U (zh) 一种隧道风机接驳设备
KR20110134991A (ko) 현수막 게시장치
CN202346700U (zh) 多功能运物车
CN216104323U (zh) 一种皮带机垂直拉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