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705B1 -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 Google Patents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705B1
KR101814705B1 KR1020150175982A KR20150175982A KR101814705B1 KR 101814705 B1 KR101814705 B1 KR 101814705B1 KR 1020150175982 A KR1020150175982 A KR 1020150175982A KR 20150175982 A KR20150175982 A KR 20150175982A KR 101814705 B1 KR101814705 B1 KR 101814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banner
b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921A (ko
Inventor
염규익
Original Assignee
염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규익 filed Critical 염규익
Priority to KR102015017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7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수직으로 세워져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는 회전기둥; 현수막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거치되며, 폭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기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유닛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하측과 상측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각각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블록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의 하부에 장착되며 현수막의 하단이 결합되는 하단봉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승강블록에 결합되는 상단봉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상기 상단봉에 결합되며 상기 현수막의 상단이 결합되는 착탈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Rotary type placard supporter}
본 발명은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현수막을 매우 높은 지점에 거치시킬 수 있고, 현수막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현수막이 사방으로 보일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직물에 각종 광고문구를 인쇄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광고수단으로, 그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 주로 사람들의 눈에 잘 뛰는 공공장소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수막은 주로 행사의 안내 또는 광고를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되며, 가로 또는 세로로 걸 수 있는 고정시설물에 끈 등을 사용하여 결속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종래의 현수막은 넓은 공간에 대형으로 제작된 경우 고정 시설물이 부족하거나 또는 현수막을 걸만한 적절한 장소에 고정 시설물이 위치해 있지 않아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광고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멀리서도 현수막을 볼 수 있도록 상기 현수막을 세로로 세워 거치시키는 '현수막 거치용 광고판(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1363호)가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의 현수막 거치용 광고탑은 현수막의 상단을 높은 지점까지 끌어올려 현수막의 노출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장점은 있으나, 현수막을 교체하는 작업이 난해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현수막 승강을 위한 이송장치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현수막 거치용 광고판은 어느 일방향에서만 현수막 내용을 볼 수 있어 홍보성이 떨어지고, 하나의 현수막만 거치 가능하므로 공간 효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91136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현수막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높게 거치시킬 수 있고, 현수막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현수막 내용이 사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수직으로 세워져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는 회전기둥;
현수막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거치되며, 폭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기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유닛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하측과 상측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각각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블록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의 하부에 장착되며 현수막의 하단이 결합되는 하단봉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승강블록에 결합되는 상단봉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상기 상단봉에 결합되며 상기 현수막의 상단이 결합되는 착탈봉을 포함한다.
상기 하단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킷과,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단 좌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도르레와, 상기 스프라킷에 걸쳐지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도르레에 걸쳐지되 상기 체인의 양단을 상기 승강블록에 연결시키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수직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단봉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은 중공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구름대차를 구비한다.
상기 하단프레임의 좌우측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승강블록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봉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을 각각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상단봉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승강브라켓을 관통한 후 상기 승강블록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착탈봉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승강브라켓을 각각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고정블록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와, 수직으로 세워져 하측이 상기 고정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기둥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에 안착되되,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홈이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회전기둥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기둥이 자전함에 따라 상기 안착홈으로의 인입 및 인출이 반복되는 다수 개의 볼베어링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둥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기둥의 자전축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기어 이빨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래칫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역회전방지블록과, 하단이 상이 역회전방지블록에 결합되고 상단이 고정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를 이용하면, 현수막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높게 거치시킬 뿐만 아니라 현수막 내용을 사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현수막 착탈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하단봉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내부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와이어가 도르레에 걸리는 구조를 도시하는 내부사시도이다.
도 6은 거치유닛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에 포함되는 고정블록과 회전기둥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에 포함되는 회전기둥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래칫기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하단봉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내부사시도이며, 도 5는 연결와이어가 도르레에 걸리는 구조를 도시하는 내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현수막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상기 현수막이 매우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되, 다수 개의 현수막을 동시에 거치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현수막 내용이 어느 방향에서도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100)과, 수직으로 세워져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100)에 결합되는 회전기둥(200)과, 현수막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거치되며 폭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기둥(2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거치유닛(300)은 하나의 회전기둥(20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는바, 회전기둥(200)이 자전될 때 각각의 거치유닛(300)에 거치된 현수막은 360도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는 장점 즉, 현수막의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와 같이 현수막을 끊임없이 움직이는 경우, 현수막을 고정해두는 종래의 현수막 거치대에 비해 사람의 시선을 보다 쉽게 끌 수 있고, 이에 따라 광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거치유닛(300)은 사용자가 지상에서 현수막을 쉽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거치유닛(300)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 하측과 상측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320) 및 상단프레임(33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과, 각각의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블록(312)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 사이의 하부에 장착되며 현수막의 하단이 결합되는 하단봉(340)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승강블록(312)에 결합되는 상단봉(350)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상기 상단봉(350)에 결합되며 상기 현수막의 상단이 결합되는 착탈봉(36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하단프레임(320), 상단프레임(330)은 사각틀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기둥(200)에 부착되고, 상기 하단봉(340)은 하단프레임(320) 상부에 체결되며, 상단봉(350) 및 착탈봉(360)은 길이방향 양단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봉(350)과 착탈봉(360)을 아래로 하강시켜 두고 현수막의 하단과 상단을 각각 하단봉(340)과 착탈봉(360)에 장착시킨 후, 승강블록(312)을 상승시켜 현수막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현수막을 하단봉(340)과 착탈봉(36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승강블록(312)은 리니어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구동수단을 추가하는 경우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설치장소에 제약이 있을 수 있고,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블록(312)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상기 하단봉(34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킷(342)과, 상기 상단프레임(330)의 하단 좌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도르레(332)와, 상기 스프라킷(342)에 걸쳐지는 한 쌍의 체인(370)과, 상기 도르레(332)에 걸쳐지되 상기 체인(370)의 양단을 상기 승강블록(312)에 연결시키는 연결와이어(372)와,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단봉(340)에 결합되는 손잡이(34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344)를 손으로 잡고 돌려 하단봉(340) 및 이에 결합된 스프라킷(342)을 자전시키면, 상기 스프라킷(342)에 걸린 체인(370)은 스프라킷(342)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바, 연결와이어(372)에 의해 체인(370)과 연결된 승강블록(312) 역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르레(332) 및 연결와이어(372)를 사용하는 대신, 스프라킷(342)을 위 아래에 각각 설치하고 체인(370)의 길이방향 양단이 직접 승강블록(312)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체인(370)의 전체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체인(370)과 스프라킷(342)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하단봉(340)을 회전시키는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체인(370)은 승강블록(312)이 최대한 상승 및 하강되었을 때 스프라킷(342)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 길이로 적용되고, 체인(370)의 길이방향 양단은 연결와이어(372)에 의해 승강와이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312)이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승강할 때, 승강블록(312)과 가이드레일(311) 간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블록(312)은 가이드레일(311)과 대향되는 측에 구름대차(3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름대차(313)가 가이드레일(311)로부터 탈거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은 중공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구름대차(313)는 가이드레일(311)의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단봉(340)은 스프라킷(342)을 자전시킬 수 있도록 자전 가능한 구조로 프레임에 장착되되, 현수막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프레임에 장착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하단봉(340)의 길이방향 양측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하단봉(340)이 회전기둥(200)에 간섭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하단봉(340)의 탈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하단봉(340)이 안정적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장착됨과 동시에 착탈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프레임(320)의 좌우측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315)이 구비되고, 상기 하단봉(34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15)을 각각 관통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고정브라켓(315)이 구비되면, 스프라킷(342)을 고정브라켓(315)에 자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하단봉(340) 일단이 스프라킷(34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라킷(342)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하단봉(340)만을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현수막 거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수막의 상단이 끼워지는 착탈봉(360) 역시, 하단봉(340)과 유사한 구조로 승강블록(312)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승강블록(312)에 각각 결합되는 승강브라켓(314)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상단봉(35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승강브라켓(314)을 관통한 후 상기 승강블록(312)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착탈봉(36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승강브라켓(314)을 각각 관통하도록 장착시킴으로써, 상단봉(350)은 승강블록(3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착탈봉(360)만을 분리 및 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단봉(340)과 착탈봉(360)이 각각 고정브라켓(315)과 승강브라켓(314)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빠르게 현수막을 걸거나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의 효용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거치유닛(3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에 현수막을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록(312)을 최대한 하강시킨 후, 하단봉(340)과 착탈봉(360)을 고정브라켓(315)과 승강브라켓(314)으로부터 탈거시킨다. 하단봉(340)과 착탈봉(360)의 탈거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봉(340)과 착탈봉(360)을 현수막(10)의 하단과 상단에 끼워넣은 후, 상기 하단봉(340)과 착탈봉(360)을 다시 고정브라켓(315)과 승강브라켓(314)에 장착시킨다.
이후, 손잡이(344)를 회전시켜 승강블록(312)을 상승시키면, 승강블록(312)에 결합되어 있는 착탈봉(360) 역시 승강블록(312)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0)이 수직으로 완전하게 세워지게 된다.
상기 현수막(10)은 폭방향이 회전기둥(200)의 지름방향과 약간 어긋나게 배치되므로,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바람이 부는 경우 거치유닛(300)이 장착된 회전기둥(200)은 풍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자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는, 종래의 회전형 입간판 등에 적용되고 있는바, 바람이 현수막(10)에 인가되어 회전기둥(200)이 자전하는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회전기둥(200)이 자전하게 되면, 각각의 거치유닛(300)에 거치된 현수막(10) 내용이 모든 방향으로 노출되므로, 현수막(10)의 광고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기둥(200)이 풍력에 의해서만 자전하도록 구성되면, 바람이 불지 아니하는 날에는 현수막(10) 내용이 모든 방향으로 노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기둥(200)은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자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회전기둥(200)의 자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회전기둥(200)을 자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속도 미만으로 회전기둥(200)이 자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회전기둥(200)을 자전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와 구동모터와 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되면, 일정 수준 이상의 바람이 부는 날에는 회전기둥(200)이 풍력에 의해 자전되고, 바람이 일정 수준 미만으로 부는 날에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기둥(200)이 자전하게 되는바, 현수막(10)의 광고효과를 최대로 유지시키면서 전력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에 포함되는 고정블록과 회전기둥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에 포함되는 회전기둥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래칫기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회전기둥(200)이 고정블록(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자전할 수 있도록, 고정블록(100)의 상단이 회전기둥(200)의 내부를 상향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블록(100)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110)와, 수직으로 세워져 하측이 상기 고정파이프(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샤프트(12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기둥(200)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12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파이프(110)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둥(200)의 저면과 고정파이프(110)의 상면이 매끈한 평면을 이루는 경우, 바람이 강하게 불 때 상기 회전기둥(200)이 과도하게 빨리 회전하여 보행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현수막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회전기둥(200)이 과도하게 빨리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파이프(110)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홈(112)이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회전기둥(2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기둥(200)이 자전함에 따라 상기 안착홈(112)으로의 인입 및 인출이 반복되는 다수 개의 볼베어링(2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착홈(112)과 볼베어링(210)이 구비되면, 볼베어링(210)이 안착홈(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베어링(210)이 안착홈(11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시점까지 회전기둥(200)의 자전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되므로, 회전기둥(200)이 과도한 속도로 자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의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기둥(200)의 자전방향이 변경되면 회전기둥(200) 및 거치유닛(300)이 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10) 광고효과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상기 회전기둥(200)은 어느 일방향으로만 자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는, 상기 회전기둥(200)의 자전축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기어 이빨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래칫기어(220)가 상기 회전기둥(20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220)와 기어결합되는 역회전방지블록(130)과, 하단이 상이 역회전방지블록(130)에 결합되고 상단이 고정샤프트(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프링(140)이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래칫기어(220)에 역회전방지블록(130)이 안착되면, 상기 역회전방지블록(130)이나 스프링(140)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래칫기어(220)는 항상 일방향(도 10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는바, 상기 래칫기어(220)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기둥(200) 역시 항상 일방향으로만 자전이 가능해 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현수막 100 : 고정블록
110 : 고정파이프 120 : 고정샤프트
130 : 역회전방지블록 140 : 스프링
200 : 회전기둥 210 : 볼베어링
220 : 래칫기어 300 : 거치유닛
310 : 수직프레임 311 : 가이드레일
312 : 승강블록 313 : 구름대차
314 : 승강브라켓 315 : 고정브라켓
320 : 하단프레임 330 : 상단프레임
332 : 도르레 340 : 하단봉
342 : 스프라킷 344 : 손잡이
350 : 상단봉 360 : 착탈봉
370 : 체인 372 : 연결와이어

Claims (5)

  1.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100);
    수직으로 세워져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블록(100)에 결합되는 회전기둥(200);
    현수막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거치되며, 폭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기둥(2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유닛(300);
    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유닛(300)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 하측과 상측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320) 및 상단프레임(33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과, 각각의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블록(312)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 사이의 하부에 장착되며 현수막의 하단이 결합되는 하단봉(340)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승강블록(312)에 결합되는 상단봉(350)과, 수평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상기 상단봉(350)에 결합되며 상기 현수막의 상단이 결합되는 착탈봉(36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100)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110)와, 수직으로 세워져 하측이 상기 고정파이프(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샤프트(12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기둥(200)은,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12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파이프(110)의 상단에 안착되되,
    상기 고정파이프(110)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안착홈(112)이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회전기둥(2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기둥(200)이 자전함에 따라 상기 안착홈(112)으로의 인입 및 인출이 반복되는 다수 개의 볼베어링(210)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둥(20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기둥(200)의 자전축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기어 이빨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래칫기어(220)가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220)와 기어결합되는 역회전방지블록(130)과, 하단이 상이 역회전방지블록(130)에 결합되고 상단이 고정샤프트(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프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봉(34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킷(342)과, 상기 상단프레임(330)의 하단 좌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도르레(332)와, 상기 스프라킷(342)에 걸쳐지는 한 쌍의 체인(370)과, 상기 도르레(332)에 걸쳐지되 상기 체인(370)의 양단을 상기 승강블록(312)에 연결시키는 연결와이어(372)와,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단봉(340)에 결합되는 손잡이(3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은 중공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록(312)은 상기 가이드레일(311)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구름대차(3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320)의 좌우측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315)과, 상기 한 쌍의 승강블록(312)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브라켓(3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봉(34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315)을 각각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상단봉(35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승강브라켓(314)을 관통한 후 상기 승강블록(312)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착탈봉(36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승강브라켓(314)을 각각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5. 삭제
KR1020150175982A 2015-12-10 2015-12-10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KR10181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982A KR101814705B1 (ko) 2015-12-10 2015-12-10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982A KR101814705B1 (ko) 2015-12-10 2015-12-10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921A KR20170068921A (ko) 2017-06-20
KR101814705B1 true KR101814705B1 (ko) 2018-01-04

Family

ID=5928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982A KR101814705B1 (ko) 2015-12-10 2015-12-10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2737B (zh) * 2018-03-22 2020-04-28 重庆远望广告有限公司 自旋转广告灯箱
KR101933172B1 (ko) * 2018-07-12 2019-01-17 주식회사 자우버 회전식 조형구조물의 구동모터의 역방향 부하전달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51B1 (ko) * 2007-02-09 2008-01-31 드림애드원 주식회사 세로형 현수막 다량 게시대
KR100970271B1 (ko) * 2009-11-25 2010-07-16 광주광역시 남구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51B1 (ko) * 2007-02-09 2008-01-31 드림애드원 주식회사 세로형 현수막 다량 게시대
KR100970271B1 (ko) * 2009-11-25 2010-07-16 광주광역시 남구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921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35400A1 (zh) 一种防倾倒的室外展示牌及其使用方法
KR101814705B1 (ko)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ES2245675T3 (es) Dispositivo de suspension para medio de informacion en forma de lamina.
CN102231250A (zh) 广告条、板、旗帜或条幅的支承杆
KR100942182B1 (ko) 회전 현수막 게시장치
KR101004381B1 (ko) 회전식 현수막 홍보탑
CN108188892A (zh) 一种紧贴式路灯灯柱定点除锈装置
KR101722096B1 (ko) 현수막 거치대
KR20100026160A (ko) 현수막 게시대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20080040449A (ko)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100626208B1 (ko)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KR101237818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20110134991A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58353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CN213904845U (zh) 一种广告展架
KR200331901Y1 (ko)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KR101569077B1 (ko) 회전용 광고 게시대
KR100864191B1 (ko) 광고탑 및 광고물 지지용 띠
KR101163190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374025Y1 (ko) 현수막 게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