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096B1 - 현수막 거치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096B1
KR101722096B1 KR1020150097001A KR20150097001A KR101722096B1 KR 101722096 B1 KR101722096 B1 KR 101722096B1 KR 1020150097001 A KR1020150097001 A KR 1020150097001A KR 20150097001 A KR20150097001 A KR 20150097001A KR 101722096 B1 KR101722096 B1 KR 10172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nner
block
fram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423A (ko
Inventor
염규익
Original Assignee
염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규익 filed Critical 염규익
Priority to KR102015009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0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 G09F11/1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이 좌우측에 구비되는 승강블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수막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상단봉;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체결프레임이 좌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현수막의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하측체결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하단봉; 상기 승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일측이 상기 현수막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걸리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수막 거치대 {Placard supporter}
본 발명은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현수막을 매우 높은 지점에 거치시킬 수 있고, 현수막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현수막의 상하단 뿐만 아니라 좌우 측단까지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직물에 각종 광고문구를 인쇄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광고수단으로, 그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 주로 사람들의 눈에 잘 뛰는 공공장소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수막은 주로 행사의 안내 또는 광고를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되며, 가로 또는 세로로 걸 수 있는 고정시설물에 끈 등을 사용하여 결속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종래의 현수막은 넓은 공간에 대형으로 제작된 경우 고정 시설물이 부족하거나 또는 현수막을 걸만한 적절한 장소에 고정 시설물이 위치해 있지 않아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광고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멀리서도 현수막을 볼 수 있도록 상기 현수막을 세로로 세워 거치시키는 '현수막 거치용 광고판(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1363호)가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의 현수막 거치용 광고탑은 현수막의 상단을 높은 지점까지 끌어올려 현수막의 노출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장점은 있으나, 현수막을 교체하는 작업이 난해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현수막 승강을 위한 이송장치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현수막 거치용 광고판은 현수막의 상단과 하단만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바, 현수막에 강한 바람이 인가되는 경우 현수막의 좌우 측단이 쉽게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현수막의 손상이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91136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현수막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높게 거치시킬 수 있고, 현수막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현수막의 상하단 뿐만 아니라 좌우 측단까지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이 좌우측에 구비되는 승강블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수막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상단봉;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체결프레임이 좌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현수막의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하측체결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하단봉;
상기 승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일측이 상기 현수막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걸리는 클램핑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은 중공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구름대차와, 일측이 상기 현수막의 좌측 또는 우측을 관통하도록 걸리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구름대차에 고정 결합되는 후크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의 좌우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대차가 구비된다.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도르래;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 하부에 고정되는 관통블록;
중단이 상기 관통블록을 관통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센터레일 후방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도르래에 걸쳐진 후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블록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블록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과 기어결합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블록이 승강되도록 상기 이송체인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블록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호 간에 이격 틈새가 마련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센터레일;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센터레일 이격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블록의 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인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체결핀 중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체인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체결핀 중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를 이용하면, 현수막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높게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현수막 착탈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현수막의 상하단 뿐만 아니라 좌우 측단까지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현수막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후면도이다.
도 3은 승강블록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4는 이송체인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후면 부분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현수막 거치가 완료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후면도이며, 도 3은 승강블록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이송체인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후면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현수막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상기 현수막(10)이 매우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되, 현수막(10)의 탈부착을 모두 지상에서 할 수 있도록 현수막의 상단이 결합되는 블록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20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을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비하며, 현수막(10)의 하단이 결합되는 고정블록(120)은 수직프레임(100) 하측에 고정 결합되되 현수막(10)의 상단이 결합되는 승강블록(400)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도 8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승강블록(40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현수막(1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승강블록(400) 및 고정블록(120)에 연결시킨 후, 상기 승강블록(400)을 상승시킴으로써 현수막(10)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수막(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승강블록(400)과 고정블록(12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현수막(10)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현수막(10)의 상단 및 하단에 삽입되는 상단봉(510) 및 하단봉(520)이 각각 상기 상측체결프레임(410)과 하측체결프레임(13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승강블록(40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되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410)을 좌우측에 구비하고, 상기 고정블록(120)은 한 쌍의 수평프레임(200)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되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체결프레임(130)을 좌우측에 구비하는바, 상기 상단봉(510)과 하단봉(520)은 각각 상측체결프레임(410)과 하측체결프레임(130)을 관통하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현수막(10)의 상단과 하단이 승강블록(400)과 고정블록(120)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200)의 상부에는 C.I.(Corporate Identity)나 B.I.(Brand Identity), 각종 로고 등이 새겨질 수 있는 광고블록(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고블록(21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직육면체 형상 이외에 원통형상이나 구체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거치되는 현수막(10)은 대부분 상단과 하단이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조로 배치되는바, 바람 등과 같은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현수막(10)의 상단과 하단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현수막(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은 전혀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심하게 흔들리고 결국에는 파손되는 현상도 빈번히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바람 등과 같은 외력이 현수막(10)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현수막(10)의 좌측단이나 우측단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현수막(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클램핑부재(700)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700)는, 가이드레일(300) 중 승강블록(400)과 고정블록(120) 사이의 지점에서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되, 일측이 상기 현수막(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걸리도록 구성되는바, 현수막(10)의 좌우 측단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부재(700)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은 중공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슬릿(310)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부재(700)는 가이드레일(30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구름대차(710)와, 일측이 상기 현수막(10)의 좌측 또는 우측을 관통하도록 걸리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슬릿(310)을 통과하여 상기 구름대차(710)에 고정 결합되는 후크(72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00) 내측에 인입된 구름대차(710)는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은 가능하지만 슬라이드슬릿(310)을 통과하지는 못하는 크기로 제작되는바, 가이드레일(300)로부터 탈거될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이때, 현수막(10)의 좌우측단이 과도하게 당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름대차(710)와 후크(720) 사이에는 슬라이드슬릿(310)을 덮도록 장착되는 승강편(7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0)이 슬라이드슬릿(310)을 구비하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승강블록(400) 역시 가이드레일(300)로부터 탈거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좌우측단에 승강대차(4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대차(420)는 구름대차(710)와 비교하였을 때 구성 및 기능면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블록(400)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동방식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현수막 거치대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상기 승강블록(400)은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200)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도르래(620)와,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200) 하부에 고정되는 관통블록(610)과, 중단이 상기 관통블록(610)을 관통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센터레일(110) 후방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도르래(620)에 걸쳐진 후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블록(400)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블록(400)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송체인(600)과, 상기 이송체인(600)과 기어결합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블록(400)이 승강되도록 상기 이송체인(6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6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블록(610)이 수직프레임(100) 하단에 구비된 하측판(230)에 장착되는 구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관통블록(610)은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200)의 하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만 있다면, 어떤 부재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체인(600)에 의해 승강블록(400)이 승강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회전레버(630)를 어느 방향으로 자전시키는지에 따라 이송체인(600)의 회전방향이 결정되고, 이송체인(6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블록(400)이 상승할 지 또는 하강할 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레버(630)를 시계방향으로 자전시키면 상기 이송체인(60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이송체인(6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된 승강블록(400)은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레버(630)를 반시계방향으로 자전시키면 상기 이송체인(60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이송체인(6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된 승강블록(400)은 상승하게 된다.
이때, 회전레버(630)의 자전에 의해 이송체인(6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체인(600)과 승강블록(400)이 결합된 부위가 좌우로 흔들리면 큰 소음이 발생 될 뿐만 아니라, 승강대차(420)와 가이드레일(300) 간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어 승강블록(4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즉, 이송체인(600)과 승강블록(400) 간의 결합 부위가 좌우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승강블록(4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호 간에 이격 틈새가 마련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센터레일(110)과,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센터레일(110) 이격 틈새에 삽입되어 승강블록(400)의 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핀(640)을 더 포함하고, 이송체인(600)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체결핀(640) 중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핀(640)에 결합되고, 이송체인(600)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체결핀(64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핀(64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블록(400)과 이송체인(600)을 연결하는 체결핀(640)이 한 쌍의 센터레일(110)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로 장착되면, 상기 이송체인(6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상기 체결핀(640)은 좌우로 흔들리지 아니하게 되는바, 체결핀(640)이 일체로 결합된 승강블록(400) 역시 좌우로 흔들리지 아니하게 되어 승강대차(420)와 가이드레일(300) 간의 마찰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현수막(10) 거치가 완료된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를 사용하여 현수막(10)을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록(400)과 클램핑부재(700)를 하강시킨다. 상기 승강블록(400)은 이송체인(600)의 회전에 의해 하강되지만, 클램핑부재(700)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승강블록(400) 및 클램핑부재(700)가 아래로 내려온 상태가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체결프레임(410)으로부터 상단봉(510)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현수막(10)의 상측을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41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측체결프레임(410)과 현수막(10) 상단을 관통하도록 상단봉(510)을 삽입 장착시킴으로써, 현수막(10)의 상단을 승강블록(400)에 연결시킨다. 이때, 하단봉(520) 역시 상단봉(510)과 마찬가지로 하측체결프레임(130)과 현수막(10) 하단을 관통하도록 삽입 장착됨으로써 현수막(10) 하단을 고정블록(120)에 연결시키는데, 상기 하단봉(520)의 체결구조는 상단봉(510)의 체결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현수막(10)의 상단과 하단이 승강블록(400)과 고정블록(120)에 각각 연결되면, 사용자는 회전레버(630)를 자전시켜 승강블록(400)을 상승시킴으로써, 현수막(10)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레버(630)와 이송체인(600)은 관통블록(610) 내에서 동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만 있다면, 별도의 동력전달기어(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는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승강블록(400)을 한 번에 끝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아니라, 승강블록(400)을 상승시키는 동안 각 클램핑부재(700)의 후크(720)를 순차적으로 현수막(10) 좌우측에 체결시키는바, 상기 클램핑부재(70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0)을 따라 상승하여 각각의 위치를 잡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현수막 거치대를 사용하면, 현수막(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단봉(510)과 하단봉(520)에 의해 승강블록(400)과 고정블록(120)에 고정되고, 현수막(10)의 좌우측단은 클램핑부재(700)에 의해 가이드레일(300)에 고정되는바, 현수막(10)에 바람이나 기타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현수막(10)은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직프레임 110 : 센터레일
120 : 고정블록 130 : 하측체결프레임
200 : 수평프레임 210 : 광고블록
230 : 하측판 300 : 가이드레일
310 : 슬라이드슬릿 400 : 승강블록
410 : 상측체결프레임 420 : 승강대차
510 : 상단봉 520 : 하단봉
600 : 이송체인 610 : 관통블록
620 : 고정도르래 630 : 회전레버
640 : 체결핀 700 : 클램핑부재
710 : 구름대차 720 : 후크
730 : 승강편

Claims (5)

  1. 삭제
  2.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200);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410)이 좌우측에 구비되는 승강블록(400);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수막(10)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상측체결프레임(4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상단봉(510);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200)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체결프레임(130)이 좌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록(120);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현수막(10)의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하측체결프레임(13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하단봉(520);
    상기 승강블록(400)과 상기 고정블록(120)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일측이 상기 현수막(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걸리는 클램핑부재(700);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은 중공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슬릿(310)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부재(700)는,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구름대차(710)와, 일측이 상기 현수막(10)의 좌측 또는 우측을 관통하도록 걸리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슬릿(310)을 통과하여 상기 구름대차(710)에 고정 결합되는 후크(7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400)의 좌우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대차(4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200)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도르래(620);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200) 하부에 고정되는 관통블록(610);
    상기 승강블록(4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상호 간에 이격 틈새가 마련되도록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센터레일(110);
    중단이 상기 관통블록(610)을 관통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센터레일(110) 후방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도르래(620)에 걸쳐진 후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블록(400)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블록(400)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송체인(600);
    상기 이송체인(600)과 기어결합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블록(400)이 승강되도록 상기 이송체인(6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6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센터레일(110) 이격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블록(400)의 후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핀(64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인(600)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체결핀(640) 중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핀(640)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체인(600)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체결핀(64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핀(64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KR1020150097001A 2015-07-08 2015-07-08 현수막 거치대 KR10172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001A KR101722096B1 (ko) 2015-07-08 2015-07-08 현수막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001A KR101722096B1 (ko) 2015-07-08 2015-07-08 현수막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423A KR20170006423A (ko) 2017-01-18
KR101722096B1 true KR101722096B1 (ko) 2017-03-31

Family

ID=5799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001A KR101722096B1 (ko) 2015-07-08 2015-07-08 현수막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7424B (zh) * 2022-05-12 2024-01-26 山东蒙能电力设备生产有限公司 一种防护性高的绿色环保型标示牌
DE102022133041B3 (de) 2022-12-12 2023-08-24 BAS Produktions- und Handels-GmbH Haltesystem für ein blattförmiges Gu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71B1 (ko) * 2009-11-25 2010-07-16 광주광역시 남구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544Y1 (ko) * 1992-11-11 1995-04-08 한봉현 자동 현수막
KR970004961Y1 (ko) * 1994-10-20 1997-05-22 한국종합시스템 주식회사 현수막 걸이용 광고탑
KR100855906B1 (ko) * 2006-11-03 2008-09-02 주식회사 신명애드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100911363B1 (ko) 2008-11-18 2009-08-07 최병무 현수막 거치용 광고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71B1 (ko) * 2009-11-25 2010-07-16 광주광역시 남구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423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0812A (zh) 运输式自动爬升物料平台
KR101722096B1 (ko) 현수막 거치대
US20150300090A1 (en) Ladder lift system
CN102231250A (zh) 广告条、板、旗帜或条幅的支承杆
JP2016133804A (ja) 布バナー固定装置
KR102030061B1 (ko) 현수막 거치장치
CN204772324U (zh) 一种皮带输送机用上托辊更换装置
KR101814705B1 (ko)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CN209949700U (zh) 一种机柜用可升降托盘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CN207166321U (zh) 一种大型电机转子抽芯装置
CN206901620U (zh) 机械加工设备辅助安装装置
CN207632163U (zh) 印刷机的不间断上纸装置
KR101237818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CN106703422A (zh) 一种新型样板房墙体安装装置
CN106185322B (zh) 一种折叠式a型架
CN201873610U (zh) 一种卡脖吊挂式水包车装置
CN210516122U (zh) 一种便于安装的显示宣传设备
CN204771468U (zh) 一种皮带输送机用下托辊更换装置
JP6297480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吊り雇
CN212302985U (zh) 一种媒体信息展示牌提升装置
CN204454193U (zh) 一种电梯轿厢玻璃侧板易拆装结构
CN210504685U (zh) 一种中空百叶玻璃窗运输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