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727Y1 -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727Y1
KR200304727Y1 KR20-2002-0035776U KR20020035776U KR200304727Y1 KR 200304727 Y1 KR200304727 Y1 KR 200304727Y1 KR 20020035776 U KR20020035776 U KR 20020035776U KR 200304727 Y1 KR200304727 Y1 KR 200304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banner
post
roller
cr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윤두
최은숙
Original Assignee
구윤두
최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윤두, 최은숙 filed Critical 구윤두
Priority to KR20-2002-0035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큰힘을 들이지 않고도 현수막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체인과 스프로킷의 구동에 따라 다수의 게첨대가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게첨대의 중심과 연결되며, 프레임을 따라 롤러의 구름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름체의 센터부와 체결되는 커넥터에 프레임의 내측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맞닿아 회전되는 보조롤러(225)와; 좌우측의 각 게첨대에는 회전되는 봉상바아가 구비되며 상기 봉상바아와 인접하여 현수막의 단부가 끼워지는 걸림고리의 자유단측 일측을 감싸게되는 지지체(232)와; 일측단부는 상기 커넥터와 체결되고 타측단부는 ㄱ 자형으로 돌출되어 돌출부에서 게첨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힌지판과 체결되는 링크(240)와; 상기 게첨대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보다 돌출되게 부착되는 안내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foldable placards stand}
본 고안은 현수막의 설치 혹은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현수막이 설치되는 게첨대가 차례대로 접철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조적으로 안정적일뿐 아니라 견고하고 사용에도 편리하도록 고안된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관공서나 학교 그리고 거리상에는 광고나 알림을 목적으로 현수막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현수막은 먼곳에서도 쉽게 보일 수 있도록 되도록 높은 곳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는 현수막의 양단을 사각형의 각목으로 고정시키고 편평하게 펼쳐서 가로수나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게시되는 현수막은 도시 미관을 해치게됨으로서 일정한 곳을 지정하여 현수막을 설치하기도 하며, 이를 위해 높게 설치되는 게시대에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 현수막을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었다.
이 보다 좀더 발전된 것으로 본원고안의 고안자에 의해 실용신안출원된 출원번호 20-2000-0027048호의 현수막 설치대가 있었고, 도1은 상기 현수막 설치대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그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현수막을 중심으로 한 양측 프레임(11)을 따라 다수개 수직으로 배열된 게첨대(17)와, 상기 프레임(11)의 내부에 구성되고 가장 상측 게첨대(17)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게첨대를 체인(27)과 스프로킷(23.25)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단과, 상기 가장 상측 게첨대로부터 가장 하측 게첨대까지 게첨대의 중심(17c)을 캐스캐이드방식으로 연결하여 하강시 게첨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젖혀지도록 쌓이도록 구성된 링크수단(2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수막 설치대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설치대는 도1에 보이는 것처럼, 게첨대와 게첨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들이 완전펼쳐진 상태에서도 둔각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므로 게첨대의 무게 및 바람의 작용등으로 인해 링크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게첨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질 때 각 게첨대가 상이한 방향으로 접히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현수막이 꼬이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외에도 다수의 종래기술들이 있으며, 또 하나의 종래기술을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또 다른 종래기술은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17486호의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이며 도2는 상기 현수막 게시대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3과 도4는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 기둥내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체인의 설치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의 상기 현수막 게시대는,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2개의 파이프형 기둥(2)과 상기 기둥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1쌍의 체인(18)과 상기 체인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구동수단과 상기 체인상에 설치되는 현수막 승강수단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수단은 상기 2개의 기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동축(42)과 상기 기둥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20,22)과ㅏ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스프로킷에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축의 양측 및 하부 스프로킷에 각각 설치되는 베벨기어(44)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가지며, 상기 현수막 승강수단은 상기 양측 기둥(2) 내에 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4)과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되는 다수의 롤러(38)와 상기 롤러를 고정하는 몸체부(3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막대형상의 현수막 지지대(24)와 상기 현수막 지지대를 접혀질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는 경첩(1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중 최상단의 롤러 고정 몸체부는 체인 연결부재(40)에 의해 체인(18)과 연결되어 체인의 회전과 함께 승하강되며 최하단의 현수막 지지대는 상기 레일(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현수막으로 하여금 접철식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하며, 상기 현수막 고정수단은 현수막 양단에 일체로 제공되는 현수막 고정막대(6')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각각의 현수막 지지대(2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막대 브래킷(26)으로 구성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의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는 상하로 설치되는 현수막 지지대(24)들이 경첩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경첩에는 항상 많은 힘이 작용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또한 접혀졌을 때 상하의 현수막 지지대는 충분한 이격공간을 유지할 수 없어 현수막의 교체/해체작업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게된다.
그리고 현수막의 설치는 고정막대에 현수막의 양단부를 끼운 후 브래킷에 삽입시켜 현수막을 고정시킴으로서 현수막이 적당을 장력을 유지토록 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가지게 된다.
또한, 기둥의 내측으로 연결핀에 의해 설치되는 현수막 지지대는 기둥의 내측 개구부와 이격공간을 유지하므로서 흔들림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하는 상황하에서는 상기 연결핀은 전후로 흔들리게 되며 결국에는 파손에 이르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현수막의 설치 및 위치조정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보다 내구성이 강하며 적은 힘으로 현수막의 승하강 조작이 가능한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현수막 설치대의 측면도.
도 2 -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대의 측면 구성도.
도 3~도4 - 도2에 있어서 기둥내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체인의 설치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6 - 도5에 있어서의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7 - 게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 정면도.
도 7a- 게첨대가 접힌 상태일때의 구름체와 링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 -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의 상세 사시도.
도 9 - 좌우 프레임에 균형추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10 -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의 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프레임 110 : 연결프레임
120 : 체인 125 : 스프로킷
200 : 게첨대 210 : 구름체
215 : 롤러 220 : 커넥터
225 : 보조롤러 230 : 봉상바아
231 : 걸림고리 232 : 지지체
240 : 링크 245 : 힌지판
250 : 안내판 260 : 균형추
270 : 케이블 280 : 와이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체인과 스프로킷의 구동에 따라 다수의 게첨대가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게첨대의 중심과 연결되며, 프레임을 따라 롤러의 구름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름체의 센터부와 체결되는 커넥터에 프레임의 내측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맞닿아 회전되는 보조롤러와; 좌우측의 각 게첨대에는 회전되는 봉상바아가 구비되며 상기 봉상바아와 인접하여 현수막의 단부가 끼워지는 걸림고리의 자유단측 일측을 감싸게되는 지지체와;일측단부는 상기 커넥터와 체결되고 타측단부는 ㄱ 자형으로 돌출되어 돌출부에서 게첨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힌지판과 체결되는 링크와; 상기 게첨대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보다 돌출되게 부착되는 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는 기본적으로 좌우 프레임(100)과 상기 두개의 프레임을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는 체인(120)과 스프로킷(125)이 설치되어져 어느 일측에서의 조작으로 양측의 체인이 연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양측의 스프로킷을 이어주는 연결축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한 연동구조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공지의 기술인 바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 프레임(100)의 사이로 다수의 현수막이 설치되며 이를 위한 게첨대(200)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게첨대는 링크(240)로 연결되어져 차례대로 접철/펼쳐지면서 하강 혹은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상에서 간편하게 현수막을 게첨대에 고정시켜 높은 곳에 게시할 수 있게된다.
첨부되는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도5에 있어서의 일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은 게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 정면도이고 도8은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의 상세사시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프레임(100)을 따라 다수의 게첨대(20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게첨대의 상하이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름체(210)가 갖추어진다. 상기 구름체(210)는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레일에 맞닿아 구름운동하는 다수의 롤러(215)가 갖추어진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보디에 네개의 롤러가 설치되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각각의 구름체(210)에 네개의 롤러(215)가 균형을 이루면서 사각형 보디(213)에 장착되어 게첨대(200)가 접힌 상태에서 상하 구름체의 인접한 롤러들이 맞닿게되며, 이로 인해 게첨대와 게첨대를 이어주는 링크(240)에 작용되는 하중이 구름체로 분산되도록하고 각 게첨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접히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첨부되는 도7a는 게첨대가 접힌 상태일때의 구름체와 링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상기 구름체(210)는 사각형 보디(213)의 상하측 좌우에 각각 하나씩의 롤러(215)가 장착되어져 구름운동하게 되며, 상부 구름체에 형성되는 하롤러와 하부 구름체에 구비되는 상롤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면서 맞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디의 센터부를 통해서는 게첨대와 링크가 체결될 커넥터가 결합되며 게첨대의 접철 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는 게첨대와 일직선을 이루던지 혹은 비스듬한 경사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링크는 게첨대와 게첨대를 이어주며 링크를 통해 게첨대의 접철시에 발생되는 힘이 전달된다. 게첨대는 여러개가 설치되며 따라서 링크로 전달되는 하중은 상당히 크게되고 더구나 바람등에 의해게첨대가 흔들리게 되면 링크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는 쉽게 휘어지지 않아야 하고 충분한 강도가 요구된다. 하지만, 설계상의 문제등으로 링크를 지나치게 굵게 할 수도 없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구름체와 구름체가 직접 맞닿도록 하여 링크에 작용되는 하중을 구름체로 분산시킨다. 한편, 상기 링크의 길이는 인접한 구름체와 구름체가 맞닿을 수 있도록 조정하여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는 링크에 하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름체와 구름체를 맞닿게함으로서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 어린아이등이 게첨대 위에 올라간다든지하는 경우와 같은 뜻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링크가 휘어진다던지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이처럼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 구름체와 구름체가 항상 맞닿게 함으로서 각 게첨대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므로서 현수막의 교체등이 용이하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첨대(200)는 각각의 구름체(210)와 커넥터(220)로서 연결되며 상기 게첨대는 커넥터에 대해 회전이 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이에 더해서 본원고안에서는 상기 커넥터(220)의 대략 중간지점에 보조롤러(22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프레임의 내측단부는 개구되는 좁은 빈 공간부를 이루고 있으며 이 공간부를 통하여 게첨대(200)와 구름체(210)를 연결하는 커넥터(220)가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의 양측면과 맞닿으면서 구름운동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에 보조롤러가 설치된다. 상기보조롤러(225)가 항상 프레임 내측단부 양측면과 맞닿아 있음으로 인해 커넥터(220)는 흔들림이 방지되며 게첨대의 승하강시에도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한다.
한편, 상기 게첨대(200)는 그 양단부에 돌출되는 아암에 길다란 봉상바아(230)가 설치되며 상기 봉상바아에는 또 하나의 걸림고리(231)가 상하부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걸림고리(231)는 봉상바아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마주보는 각 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이곳을 통하여 현수막의 상하부를 끼워넣게 된다. 특히, 본원고안에서는 상기 걸림고리(231)가 현수막의 장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유단 근처나 중간지점에 하나 혹은 두서너개의 지지체(232)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232)는 상기 봉상바아(230)로부터 형성되어 걸림고리(231)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현수막을 끼워넣을 시에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봉상바아(230)는 회전이 이루어지게되며 이를 위해 상기 아암에 레칫휠을 설치하고 조절레버를 형성시켜 상기 봉상바아를 선택적으로 회전/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좌우측 봉상바아가 회전가능토록 설치하여 현수막을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조정가능토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수막의 양단부를 좌우측 걸림고리(231)를 통하여 삽입시킨 후 봉상바아(230)를 적절히 회전시켜 몇회전 감도록 하며 이때 현수막이 일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기위해 좌우측 봉상바아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조정한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특징으로는 상하 게첨대를 연결구속하는 링크에 있다.상하로 배치되는 게첨대(200)를 접철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이들을 연결시키는 경첩이나 링크가 요구된다. 즉, 이와 같은 연결수단을 따라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며 현수막이 완전 상승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정해야 고하중을 견딜수가 있게된다. 이를 위해서는 게첨대와 게첨대를 연결하는 링크는 직립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원고안에서는 상기 링크(240)의 상단부는 ㄱ 자형으로 돌출되게 절곡성형시키고 그 돌출부에 홀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게첨대의 하단부 상면에 돌출되는 힌지판(245)을 형성시키고 여기에도 홀을 뚫어 상기 링크의 상단부와 회동되게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240)의 하단부는 인접한 하부의 게첨대(200)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커넥터(220)와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게첨대(200)의 하단부에는 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판상의 안내판(250)을 갖추게 된다. 상기 안내판(250)은 게첨대(200)가 상승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하강시킬시에 게첨대가 일정한 방향으로 접히지 못하게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즉, 게첨대(200)가 상승되어 직립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판(250)은 그 직하의 게첨대(200)의 상단부를 덮은 형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게첨대가 접철될 시에는 상기 게첨대는 안내판에 의해 항상 한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게된다.
이에 더해서, 본 고안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게첨대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좌우 프레임(100)의 내부에 하나씩의 균형추(260)를 설치토록 하며, 도9는 좌우 프레임의 내부에 균형추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균형추(260)는 케이블(27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270)의 타측 단부는 최상측 게첨대가 설치되는 커넥터(220)와 연결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블(270)을 유도하는 풀리(275)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풀리(275)는 좌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연결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균형추(260)는 케이블과 연결되어져 게첨대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게첨대가 접철되어 하강된 경우에는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균형추는 사각형의 길다란 바아 형상으로서 그 자중에 의해 게첨대를 대략 절반 정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며, 게첨대가 하강될 시에는 게첨대의 무게에 의해 절반 정도는 자동적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게첨대를 완전히 펼쳐지게 하거나 접히게 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게첨대와 균형추의 자중에 의한 자동적인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진 후 핸들을 사용하여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10은 이에 대한 측면도를 보여준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의 각 게첨대와 게첨대를 연결하는 링크로서 와이어(280)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의 링크 연결방법과 같이 와이어(280)의 상단부는 상부 게첨대의 하단과 연결시키며 와이어의 하단부는 하부 게첨대의 센터부와 체결시키도록 한다. 플렉시블한 와이어로서 링크와 링크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서 힘의 전달도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 자유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판상의 링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가공비 및 제작단가도 저렴하게 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현수막 게시대의 구조가 보다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되며 게첨대가 접철될 시에 오동작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적은 힘으로도 게첨대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체인과 스프로킷의 구동에 따라 다수의 게첨대가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게첨대(200)의 중심과 연결되며, 프레임(100)을 따라 롤러의 구름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름체(210)의 센터부와 체결되는 커넥터(220)에 프레임의 내측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맞닿아 회전되는 보조롤러(225)와;
    좌우측의 각 게첨대(200)에는 회전되는 봉상바아(230)가 구비되며 상기 봉상바아와 인접하여 현수막의 단부가 끼워지는 걸림고리(231) 일측을 감싸는 지지체(232)와;
    일측단부는 상기 커넥터(220)와 체결되고 타측단부는 ㄱ 자형으로 돌출되어 돌출부에서 게첨대(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힌지판(245)과 체결되는 링크(240)와;
    상기 게첨대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보다 돌출되게 부착되는 안내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는,
    좌우프레임의 최 상측 게첨대가 설치되는 커넥터(220)에 케이블(270)로 연결되는 균형추(26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40)는,
    와이어(2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는,
    네개의 롤러(215)가 설치되는 구름체(210)가 상하이동되면서 게첨대의 접철이 이루어지며, 게첨대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하 구름체(210)의 인접한 롤러(215)들이 맞닿게되어 게첨대와 게첨대를 이어주는 링크(240)에 작용되는 하중이 상기 구름체로 분산되도록하고 각 게첨대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접혀지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2002-0035776U 2002-11-29 2002-11-29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0304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776U KR200304727Y1 (ko) 2002-11-29 2002-11-29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776U KR200304727Y1 (ko) 2002-11-29 2002-11-29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132A Division KR100461749B1 (ko) 2002-10-22 2002-11-29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727Y1 true KR200304727Y1 (ko) 2003-02-19

Family

ID=4933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776U KR200304727Y1 (ko) 2002-11-29 2002-11-29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7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39B1 (ko) * 2008-08-27 2010-06-21 최상룡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1237818B1 (ko) * 2010-03-10 2013-02-28 최상룡 현수막 게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39B1 (ko) * 2008-08-27 2010-06-21 최상룡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1237818B1 (ko) * 2010-03-10 2013-02-28 최상룡 현수막 게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927707U (zh) 一种可翻转折叠的司钻操作台
KR100461749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N206516305U (zh) 一种折叠宣传展示架
KR200304727Y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348769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CN218815657U (zh) 一种警戒围栏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120117341A (ko) 접철식 받침장치
KR200304653Y1 (ko)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KR200254019Y1 (ko) 현수막 걸이장치
CN207662065U (zh) 一种带环链支撑臂的升降晒干架
KR200349346Y1 (ko) 현수막 게시대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KR200371409Y1 (ko) 잭스크류를 이용한 현수막 자동게시대
KR200388253Y1 (ko) 현수막게시대
KR200231546Y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0789950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0213683Y1 (ko) 현수막 설치대
CN221049864U (zh) 一种可折叠防滑落的三轮摩托车多功能车厢
CN215835045U (zh) 一种可上下翻转的支架结构
JP2011080340A (ja) 支柱立て起し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