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653Y1 -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653Y1
KR200304653Y1 KR20-2002-0033309U KR20020033309U KR200304653Y1 KR 200304653 Y1 KR200304653 Y1 KR 200304653Y1 KR 20020033309 U KR20020033309 U KR 20020033309U KR 200304653 Y1 KR200304653 Y1 KR 200304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 rope
truss
hanger
canv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33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1Removable or disappearing walls for hangars or other hall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를 구성하는 철재의 지지부를 와이어 로프로 구성하고, 그 양단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행거를 상하 방향으로 구성하여 전체 도어의 중량을 저감시켜 소용량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밸런스 유지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어의 양측방에 입설되어 도어의 좌/우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수직 트러스와; 그 수직 트러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수평 트러스와;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어 폐쇄시 일정 하중을 부여하는 입체 트러스와; 상기 수평 트러스의 중앙 상단에 구비되어 도어 개폐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와; 그 모터축에 결합된 드럼과; 그 드럼에 결합되어 도어를 접철 수집/해제하기 위한 승강용 지지로프로 구성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트러스와 수직 트러스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기 위해 일정 간격 상하부로 이격된 다수의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이격간격을 폐쇄시키기 위해 그 와이어 로프의 전면에 설치된 스틸시트와; 상기 수평 트러스의 상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입체 트러스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4개의 하부 롤러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 트러스에 밀착되는 가이드 롤러가 그 양단에 결합되며, 그 전면 소정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되게결합시키는 행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는 기존의 도어를 구성하는 지지봉에 비해 그 중량이 매우 작으므로 소용량 모터만으로도 충분히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그 와이어 로프의 중량이 작음에 따라 기존의 지지봉과 같이 그 양단이 자중에 의해 휘어지지 않으며, 상하부에 이웃하는 와이어 로프간의 간격차에 의한 밸런스 붕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의 드럼에 권취되어져 있는 복수개의 승강용 지지로프가 최하단의 와이어 로프를 통해 최상단의 와이어 로프에 결합되므로 단일의 드럼 및 모터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승강용 지지로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CANVAS DOOR APPARATUS FOR REDUCTING A WEIGHT}
본 고안은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어를 구성하는 철재의 지지부를 와이어 로프로 구성하고, 그 양단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행거를 상하 방향으로 구성하여 전체 도어의 중량을 저감시켜 소용량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밸런스 유지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용접공장이나 대형 선박 조립 공장 또는 페인트 공장 등에는 초대형 전동 도어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완전한 밀폐의 기능이 아닌 다소의 비바람 및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초대형 캔버스 도어는 양측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도어가 상하로 접철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종래의 초대형 전동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기둥(1)을 지지하여 도어(2)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모터(3)가 설치됨과 함께 도어(2)의 배면에 4개의 와이어 로프(4)가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모터(3)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 로프(4)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도어(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었다.
종래에 사용되는 호이스트(Hoist), 예컨대 물체를 들어올리는 일반적인 방법과 장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기둥(1)이 삽입부(5)를 가진 "⊃" 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삽입부(5)에 구비된 지지부(6)에 의해 지지되는 도어(2)가 삽입되어 이동되게 됨으로써 도어(2)의 이동시 도어(2)의 양측 끝단이 삽입부(5) 내측에 걸려서 도어(2)의 어느 한쪽이 기울어지게 되므로 도어(2)의 평형이 맞지 않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모터(3)를 사용하여 캔버스 도어(2) 이동시 모터(3)에 연결되는 로프(4)가 도어(2)의 중심에 연결되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중심부분이 휘어지게 되므로 도어(2)나 모터(3)에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모터(3)의 구동력만으로 도어(2)를 이동시켜야 되므로 도어(2)의 중량이 큰 대형 도어의 경우에는 모터(3)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대형 캔버스 도어(2)에 사용되는 모터(3)는 대용량의 모터가 사용되어야만 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를 구성하는 철재의 지지부를 와이어 로프로 구성하고, 그 양단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행거를 상하 방향으로 구성하여 전체 도어의 중량을 저감시켜 소용량의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밸런스 유지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장치의 기둥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의 기둥 연결부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의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캔버스장치, 12:수직 트러스,
14:수평 트러스, 16:와이어 로프,
18:스틸시트, 22:모터,
24:드럼, 28:승강용 지지로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양측방에 입설되어 도어의 좌/우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수직 트러스와; 그 수직 트러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수평 트러스와;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어 폐쇄시 일정 하중을 부여하는 입체 트러스와; 상기 수평 트러스의 중앙 상단에 구비되어 도어 개폐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와; 그 모터축에 결합된 드럼과; 그 드럼에 결합되어 도어를 접철 수집/해제하기 위한 승강용 지지로프로 구성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트러스와 수직 트러스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기 위해 일정 간격 상하부로 이격된 다수의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이격간격을 폐쇄시키기 위해 그 와이어 로프의 전면에 설치된 스틸시트와; 상기 수평 트러스의 상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입체 트러스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4개의 하부 롤러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 트러스에 밀착되는 가이드 롤러가 그 양단에 결합되며, 그 전면 소정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되게 결합시키는 행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행거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행거의 측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고정편과; 행거와 수직되게 부착되어져 있으며, 와이어 클립 및 행거 벨트를 통해 와이어 로프와 결합된 로프 지지대와; 행거의 중앙 소정부에 부착된 행거 벨트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행거의 관통공을 통해 삽입한 후 측면으로 꺾어서 결합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 로프는 고장력의 경량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는 그 종단 소정부에 3개의 와이어 클립과 턴버클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으며, 와이어 로프의 설치 장력 조절을 위한 더블 너트가 상기 고정편을 통과해 와이어 로프의 종단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10)는 도어의 양측방에 입설되어 도어의 좌/우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수직 트러스(12)로 구성되고, 그 수직 트러스(12)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수평 트러스(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트러스(14)와 수직 트러스(12) 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와이어 로프(16)가 제공되며, 그 와이어 로프(16)의 이격간격을 폐쇄시키며 그 도어 내측으로의 시야를 차단하기 위해 그 와이어 로프(16)의 전면에 설치된 스틸시트(18)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로프(16)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행거(도 4, 5 참조: 34)를 연결하기 위한 행거 벨트(2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평 트러스(14)의 중앙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행거(34)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22)가 제공되며, 그 모터축에는 드럼(2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드럼(24)에는 일정 거리 간격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16)에 각각 연결된 승강용 지지로프(28)의 일부가 권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트러스(14)의 상면 양측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롤러(25a, 25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로프(16)중 최하단의 와이어 로프에 연결되어 도어에 자중을 부여하는 입체 트러스(31)의 상면에 4개의 하부 롤러(30a, 30b, 30c, 30d)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승강용 지지로프(28)는 어느 하나의 상면 롤러(25a)를 통해 연결되고, 다시 하면에 구비된 제 1, 2 하부 롤러(30a, 30b)를 통해 연결되고, 그 종단이 상기 수평 트러스(14)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방향의 승강용 지지로프(28)는 다른 하나의 상면 롤러(25b)를 통해 연결되고, 다시 하면에 구비된 제 3, 4 하부 롤러(30c, 30d)를 통해 연결되고, 그 종단이 상기 수평 트러스(14)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방향에서 권취되는 승강용 지지로프(28)는 상기 드럼(24)에 대해 권취됨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승강용 지지로프(28)는 드럼(24)의 상부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권취되고, 다른 하나의 승강용 지지로프(28)는 드럼(24)의 하부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일의 드럼(24) 및 모터(22)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가하게 되면, 드럼(24)의 회전에 따라 양측의 승강용 지지로프(28)의 동작은 동일하게 권취 및 풀림이 반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용 지지로프(28)가 드럼(24)에 의해 권취되는 방향으로 드럼(24)이 회전하게 되면, 승강용 지지로프(28)의 종단 결합부를 기준으로 전체 승강용 지지로프(28)의 펼쳐진 길이가 점차적으로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로프(16)는 상부방향으로 상승되는 과정에 단계적으로 접혀서 도어가 오픈되게 된다.
도어의 폐쇄동작은 상기한 동작의 반대 동작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 로프(16)는 기존의 도어를 구성하는 지지봉에 비해 그 중량이 매우 작으므로 소용량 모터(22)만으로도 충분히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의 기둥 연결부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의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10)의 양측면에 입설되게 설치된 수직 트러스(12)의 내부에는 상하부로 이동되면서 그 양단에 절개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16)의 양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행거(34)가 제공되는 바, 그 행거(34)의 측면에는 그 내부에 관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16)를 관통시키고, 그 종단에 더블 너트(36)를 장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38)이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행거(34)의 내측벽에는 그 행거(34)와 수직되게 로프 지지대(50)가 부착되어져 있으며, 그 로프 지지대(50)는 와이어 클립(42b) 및 행거 벨트(21a)를 통해 와이어 로프(16)와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로프(16)를 상기 행거(34)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도시 생략)을 통해 행거(34)의 내측을 통과하여 행거(34)의 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므로, 와이어 로프(16)의 종단부는 행거(34)와 수직되게 꺾인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16)의 종단 소정부에는 3개의 와이어 클립(42a)과 턴버클(40)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16)의 설치 장력은 상기 더블 너트(36)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또, 상기 행거(34)의 중앙 소정부에는 행거 벨트(20)가 부착되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는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는 기존의 도어를 구성하는 지지봉에 비해 그 중량이 매우 작으므로 소용량 모터만으로도 충분히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그 와이어 로프의 중량이 작음에 따라 기존의 지지봉과 같이 그 양단이 자중에 의해 휘어지지 않으며, 상하부에 이웃하는 와이어 로프간의 간격차에 의한 밸런스 붕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의 드럼에 권취되어져 있는 복수개의 승강용 지지로프가 최하단의 와이어 로프를 통해 최상단의 와이어 로프에 결합되므로 단일의 드럼 및 모터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승강용 지지로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도어의 양측방에 입설되어 도어의 좌/우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수직 트러스와; 그 수직 트러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수평 트러스와;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어 폐쇄시 일정 하중을 부여하는 입체 트러스와; 상기 수평 트러스의 중앙 상단에 구비되어 도어 개폐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와; 그 모터축에 결합된 드럼과; 그 드럼에 결합되어 도어를 접철 수집/해제하기 위한 승강용 지지로프로 구성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트러스와 수직 트러스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기 위해 일정 간격 상하부로 이격된 다수의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이격간격을 폐쇄시키기 위해 그 와이어 로프의 전면에 설치된 스틸시트와;
    상기 수평 트러스의 상면에 일정거리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입체 트러스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4개의 하부 롤러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 트러스에 밀착되는 가이드 롤러가 그 양단에 결합되며, 그 전면 소정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되게 결합시키는 행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행거의 측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고정편과; 행거와 수직되게 부착되어져 있으며, 와이어 클립 및 행거 벨트를 통해 와이어 로프와 결합된 로프 지지대와; 행거의 중앙 소정부에 부착된 행거 벨트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를 행거의 관통공을 통해 삽입한 후 측면으로 꺾어서 결합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고장력의 경량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그 종단 소정부에 3개의 와이어 클립과 턴버클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으며, 와이어 로프의 설치 장력 조절을 위한 더블 너트가 상기 고정편을 통과해 와이어 로프의 종단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KR20-2002-0033309U 2002-11-07 2002-11-07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KR200304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09U KR200304653Y1 (ko) 2002-11-07 2002-11-07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09U KR200304653Y1 (ko) 2002-11-07 2002-11-07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653Y1 true KR200304653Y1 (ko) 2003-02-15

Family

ID=4940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309U KR200304653Y1 (ko) 2002-11-07 2002-11-07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6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020B1 (ko) 2011-02-11 2013-05-06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건축물 입구용 절첩 도어장치
KR200470589Y1 (ko) 2012-01-30 2014-01-03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캔버스 도어의 행거벨트 고정부재
KR101451890B1 (ko) 2013-06-12 2014-10-22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패스도어가 구비된 캔버스 도어장치
KR101466868B1 (ko) 2014-09-15 2014-12-03 화신기업(주) 캔버스 도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020B1 (ko) 2011-02-11 2013-05-06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건축물 입구용 절첩 도어장치
KR200470589Y1 (ko) 2012-01-30 2014-01-03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캔버스 도어의 행거벨트 고정부재
KR101451890B1 (ko) 2013-06-12 2014-10-22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패스도어가 구비된 캔버스 도어장치
KR101466868B1 (ko) 2014-09-15 2014-12-03 화신기업(주) 캔버스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079B2 (en) Tarp loa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S62228573A (ja) 建築構造物
US7886757B2 (en) Temporary shelter with adjustble door system
KR200304653Y1 (ko)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JPH1150666A (ja) シートの展張装置
CN212295900U (zh) 一种施工围档加固用防风墙
US4346929A (en) Truck with loading platform and body
US493596A (en) Lerxn
JP7033345B1 (ja) 仮囲い養生装置
US4962782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ent zippers
JP5390917B2 (ja) 温室用のドアー装置
JP3438012B2 (ja) 屋根用ケーブル式可変ハサミ構造体
JP2010017507A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移動システム
CN210913750U (zh) 开顶集装箱
US5301732A (en) Door
JP2873663B2 (ja) 緊張索による幕支持構造
KR100295777B1 (ko) 시트셔터
JP2002356296A (ja) 門型クレーン
JP3806837B2 (ja) 仮設片持ち式開閉屋根構造
JP2670507B2 (ja) 大型倉庫の扉体
KR100461749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JP2506504Y2 (ja) パネルシヤツタ
KR200254019Y1 (ko) 현수막 걸이장치
KR200304727Y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JP3980027B2 (ja) 収納タ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