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868B1 - 캔버스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캔버스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868B1
KR101466868B1 KR20140121934A KR20140121934A KR101466868B1 KR 101466868 B1 KR101466868 B1 KR 101466868B1 KR 20140121934 A KR20140121934 A KR 20140121934A KR 20140121934 A KR20140121934 A KR 20140121934A KR 101466868 B1 KR101466868 B1 KR 10146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rubber plate
horizontal
canv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오
Original Assignee
화신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기업(주) filed Critical 화신기업(주)
Priority to KR2014012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1Removable or disappearing walls for hangars or other hall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팅 룸과 같이 쇼트 블라스팅 강구 등에 의한 충격과 소음을 완화할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가볍고, 측면 개폐가 아닌 상하 개폐 방식을 채택한 캔버스 도어 방식의 새로운 구조의 캔버스 도어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캔버스 도어 장치{CANVAS DOOR APPARATUS}
본 발명은 캔버스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쇼트 블라스팅 룸과 같이 특히 높은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 적합한 캔버스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 블라스팅(SHOT BLASTING)은 고압의 에어에 의하여 강구를 투사하여 도장하기 전의 철구조물, 열간단조, 열간압연 강판의 스케일이나 흑피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와 같은 쇼트 블라스팅은 통상 쇼트 블라스팅 룸 내에서 이루어지며, 쇼트 블라스팅 룸의 도어로서는 일반적으로 스틸 빅 도어(steel big door)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틸 빅 도어가 채택된 쇼트 블라스팅 룸의 사진이다.
쇼트 블라스팅 룸의 내부는 강력한 압축공기에 의하여 강구를 투사하게 되므로, 스틸 빅 도어는 강구 등에 의한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틸 빅 도어는 강한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는 철 구조물이며, 아울러 쇼트 블라스팅 룸 내부로 자재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매우 큰 크기를 가지므로, 매우 부피가 클 뿐 아니라 그 중량 또한 매우 무겁다.
이와 같은 스틸 빅 도어의 경우 그 큰 부피로 인하여 제작 후 육상 이동이 불가능하여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하여야 하며, 장기간 사용시 그 하중으로 인하여 공장 건물에 처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스틸 빅 도어의 경우 그 무거운 하중으로 인하여 측면 개폐 방식을 택하고 있는데, 스틸 빅 도어가 개방된 경우 그 개방된 스틸 빅 도어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서 캔버스 도어가 널리 알려져 있다.
캔버스 도어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709호 "2중 권취구조를 가진 캔버스도어"(2007. 6.1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5684호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2004. 6.30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캔버스 도어는 타포린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도어용 캔버스를 이용하여 조선소, 항공기, 격납고, 대형 조립 및 용접공장 등 초대형 건물의 개방구 등에 사용되며 출입구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캔버스 도어는 상하 개폐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도 이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캔버스 도어는 오직 개폐의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도어용 캔버스가 쇼트 블라스팅 강구의 충격에 견딜 수 없으므로 캔버스 도어는 쇼트 블라스팅 룸용으로는 채택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709호 "2중 권취구조를 가진 캔버스도어"(2007. 6.1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5684호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2004. 6.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가볍고, 측면 개폐가 아닌 상하 개폐 방식을 채택한 캔버스 도어 방식을 쇼트 블라스팅 룸과 같이 고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 즉 쇼트 블라스팅 강구 등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캔버스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용 개방구의 양 측방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고정대 ; 도어 개폐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고정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와이어 드럼 ;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최하부에 위치되되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웨이트 프레임과, 상기 웨이트 프레임과 상기 상부 고정대 사이에서 수평상으로 배치되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프레임 ; 일단이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되되 타단부는 상기 웨이트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승강용 와이어 ;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되, 상기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웨이트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면서 고정되는 도어용 캔버스 ;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면마다 장착되되,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며 하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하단은 상단이 결합된 수평 프레임의 직하부에 위치된 수평 프레임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위치되는 고무판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하로 이웃한 상기 수평 프레임들은 상부의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향 폭이 하부의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향 폭보다 넓은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은 하부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의 상기 수평 프레임을 향한 면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시트판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향한 면의 반대 면이 엠보싱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어, 도어가 열린 경우에도 도어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대부분의 구성이 외부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스틸 빅 도어에 비하여 중량이 매우 가벼우므로 공장 건물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판에 의하여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게 되며, 특히 고무판은 상단만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보다 충격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구조물의 변경 없이 고무판의 교체에 의하여 영구히 사용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매우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틸 빅 도어가 채택된 쇼트 블라스팅 룸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버스 도어 장치의 정면 개념도,
도 3은 도어가 닫힌 상태로서 도 2의 측면 개념도,
도 4는 도 3의 상부의 확대도,
도 5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도 3에 대응되는 측면 개념도,
도 6은 도 5의 상부의 확대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버스 도어 장치의 정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도어가 닫힌 상태로서 도 2의 측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부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도 3에 대응되는 측면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부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캔버스 도어 장치는 가이드부재(110), 상부 고정대(120), 구동모터(121), 와이어 드럼(122), 웨이트 프레임(131)과 복수의 수평 프레임(132)로 이루어지는 도어 프레임(130), 승강용 와이어(140), 도어용 캔버스(150), 수평 프레임(132)마다 장착되는 고무판(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가 도어용 개방구의 양 측방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10)는 후술하는 웨이트 프레임(131)의 양 단부 및 수평 프레임(132)의 양 단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의 상부에 상부 고정대(120)가 마련된다.
상부 고정대(120)에는 구동모터(121)와 와이어 드럼(122)이 마련된다.
구동모터(121)는 도어 개폐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와이어 드럼(122)은 구동모터(1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와이어 드럼(122)은 후술하는 승강용 와이어(140)의 일단이 권취되거나 풀려나가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구동모터(121)에 의하여 2개의 와이어 드럼(122)이 회전가능하도록 하였다.
도어용 개방구, 즉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 사이의 공간에 도어 프레임(130)이 마련된다.
도어 프레임(130)은 하나의 웨이트 프레임(131)과 복수의 수평 프레임(132)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웨이트 프레임(131)과 복수의 수평 프레임(132) 각각은 그 양단에 가이드롤러 등이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웨이트 프레임(131)은 도어 프레임(130)의 최하부에 위치되되 별도의 외력이 없다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도어용 개방구를 닫게 된다.
수평 프레임(132)은 웨이트 프레임(131)과 상부 고정대(120) 사이에서 수평상으로 배치되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프레임(130)의 전면에 도어용 캔버스(150)가 장착된다.
즉 수평 프레임(132)의 전면과 웨이트 프레임(131)의 전면에 도어용 캔버스(150)가 장착된다.
이때 도어용 캔버스(150)의 후면에 수평 프레임(132)들과 웨이트 프레임(131)이 서로 이격되면서 고정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어용 캔버스(150)는 타포린시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용 캔버스(150)는 쇼트 블라스팅 룸의 도어용 개방구를 내부와 외부로 구획하여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쇼트 블라스팅 룸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프레임(130) 및 도어용 캔버스(150)가 도어용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용 와이어(14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용 와이어(140)는 일단이 와이어 드럼(122)에 권취되되 타단부가 웨이트 프레임(131)을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용 와이어(140)의 타단은 웨이트 프레임(131)에 고정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승강용 와이어(140)의 타단은 상부 고정대(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승강용 와이어(140)는 웨이트 프레임(13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웨이트 프레임(131)을 지나거나 혹은 웨이트 프레임(131)에 고정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아울러 승강용 와이어(140)는 상부 고정대(120)의 와이어용 롤러(123)들과 웨이트 프레임(131)의 와이어용 롤러(131a)들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웨이트 프레임(131)과 수평 프레임(132)을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승강용 와이어(140)의 배치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와이어 드럼(122)이 2개가 마련되며, 아울러 승강용 와이어(140)도 2개가 마련되지만, 이들의 갯수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수평 프레임(132)의 후면에는 고무판(16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고무판(160)은 볼트 결합 등에 의하여 수평 프레임(13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무판(160)은 그 상단이 수평 프레임(132)에 결합되는 한편 하단은 자유단을 이루게 된다.
한편 고무판(160)의 하단은 고무판(160)의 상단이 결합된 수평 프레임(132)의 직하부에 위치된 수평 프레임(132)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상하로 이웃한 고무판(160)들은, 상부의 고무판(160)의 하단이 하부의 고무판(160)의 상단에 오버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고무판(160)은 쇼트 블라스팅 강구가 본 도어 장치에 부딪힐 경우 그 충격과 이로 인한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고무판(160)에 쇼트 블라스팅 강구가 부딪히는 경우에도 고무판(160)은 충격과 소음을 완화하면서 쇼트블라스팅 강구가 고무판(160)을 지나 수평 프레임(132)이 위치한 부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무판(160)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쇼트 블라스팅 강구에 의하여 훼손되므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즉 도 3의 상태에서 모든 수평 프레임(132)은 고무판(160)과 도어용 캔버스(150)에 의하여 포위되도록 배치된다.
즉 고무판(160)과 도어용 캔버스(150) 사이에 위치된 구조물들은 쇼트 블라스팅 강구의 직접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고무판(160)으로 인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으로부터도 보호된다.
한편 고무판(160)의 수평 프레임(132)을 향한 면(즉 외부를 향한 면)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sheet) 형상의 보강시트판(161)이 부가된다. 보강시트판(161)은 경우에 따라 고무판(160)을 관통하는 쇼트 블라스팅 강구를 막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무판(160)의 수평 프레임(132)을 향한 면의 반대면(즉, 내부를 향한 면)이 엠보싱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엠보싱 형상은 하부의 고무판(160)이 상부의 고무판(160)과 접촉할 때 고무판(160)의 미세 먼지가 진동에 의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아울러 고무판(160)이 상부의 보강시트판(161) 혹은 고무판(160)과 장기간 접촉할 때 고무판(160)이 상부의 보강시트판(161) 혹은 고무판(160)에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즉 도 5의 상태와 같이 수평 프레임(132)들이 적층될 때 고무판(160)들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로 이웃한 수평 프레임(132)들은 상부의 수평 프레임(132)의 전후방향 폭이 하부의 수평 프레임(132)의 전후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수평 프레임(132)의 전후방향 폭을 동일하게 하고, 고무판(160)이 하부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경우 도 4의 상태에서 고무판(160)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개폐 동작을 설명한다.
즉 구동모터(121)에 의하여 와이어 드럼(12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용 와이어(140)의 일단이 와이어 드럼(122)에 감겨지면서 승강용 와이어(140)의 타단이 웨이트 프레임(131)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부로 이동하는 웨이트 프레임(131)은 그 위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132)을 만날 경우 그 수평 프레임(132)도 함께 상부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도 5와 같은 상태로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된다.
한편 구동모터(121)에 의하여 와이어 드럼(122)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용 와이어(140)의 일단이 와이어 드럼(122)에서 풀리게 되며 그 풀린 길이만큼 웨이트 프레임(131)이 하부로 이동하며, 하부로 이동하는 웨이트 프레임(131)과 함께 수평 프레임(132)도 하부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도 3과 같은 상태로 도어가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캔버스 도어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어, 도어가 열린 경우에도 도어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캔버스 도어 장치는 대부분의 구성이 외부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캔버스 도어 장치는, 종래의 스틸 빅 도어에 비하여 중량이 매우 가벼우므로 공장 건물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캔버스 도어 장치는, 고무판에 의하여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게 되며, 특히 고무판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처진 상태이므로 보다 충격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캔버스 도어 장치는, 다른 구조물의 변경 없이 고무판의 교체에 의하여 영구히 사용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매우 향상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가이드부재
120 : 상부 고정대 121 : 구동모터
122 : 와이어 드럼 123 : 와이어용 롤러
130 : 도어 프레임 131 : 웨이트 프레임
131a : 와이어용 롤러 132 : 수평 프레임
140 : 승강용 와이어
150 : 도어용 캔버스
160 : 고무판 161 : 보강시트판

Claims (5)

  1. 도어용 개방구의 양 측방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고정대 ;
    도어 개폐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고정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와이어 드럼 ;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최하부에 위치되되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웨이트 프레임과, 상기 웨이트 프레임과 상기 상부 고정대 사이에서 수평상으로 배치되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프레임 ;
    일단이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되되 타단부는 상기 웨이트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승강용 와이어 ;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되, 상기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웨이트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면서 고정되는 도어용 캔버스 ;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면마다 장착되되, 상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며 하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하단은 상단이 결합된 수평 프레임의 직하부에 위치된 수평 프레임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위치되는 고무판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로 이웃한 상기 수평 프레임들은 상부의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향 폭이 하부의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향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은 하부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의 상기 수평 프레임을 향한 면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시트판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향한 면의 반대 면이 엠보싱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장치.
KR20140121934A 2014-09-15 2014-09-15 캔버스 도어 장치 KR10146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1934A KR101466868B1 (ko) 2014-09-15 2014-09-15 캔버스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1934A KR101466868B1 (ko) 2014-09-15 2014-09-15 캔버스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868B1 true KR101466868B1 (ko) 2014-12-03

Family

ID=5267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1934A KR101466868B1 (ko) 2014-09-15 2014-09-15 캔버스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621A (ko) * 2022-05-02 2023-11-09 이봉재 캔버스 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53Y1 (ko) 2002-11-07 2003-02-15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KR20060000027U (ko) * 2006-10-21 2006-11-10 (주)롱테크 캔버스 도어의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53Y1 (ko) 2002-11-07 2003-02-15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KR20060000027U (ko) * 2006-10-21 2006-11-10 (주)롱테크 캔버스 도어의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621A (ko) * 2022-05-02 2023-11-09 이봉재 캔버스 도어
KR102698707B1 (ko) 2022-05-02 2024-08-23 이봉재 캔버스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9563C (en) High-speed door assembly
KR101466868B1 (ko) 캔버스 도어 장치
WO201318689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034301A (ja) 建物開口部構造
US20160177624A1 (en) Low headroom curtain riser for a roll-up door, and roll-up door using the same
CN105484652B (zh) 软帘防撞拉链快速门
JP2012030927A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の落下養生方法
KR102426928B1 (ko) 압연 시스템
ITMI20091741A1 (it) Dispositivo per realizzare gli spazi di sicurezza per interventi di manutenzione nella fossa e nella testata del vano corsa degli ascensori
US20150361703A1 (en) Wind resistant door assembly
JP2006002395A5 (ko)
JP6453442B2 (ja) ドアカーテンを保持および再供給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163379U (ja) 車輪組立体を備えた工場設備
JP5005217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
JP6528702B2 (ja) 車両昇降装置
KR101345311B1 (ko) 산업용 자동문의 하단바 구조
KR100736444B1 (ko) 자동 복원이 가능한 스피드 도어
JP2015048599A (ja) シートシャッタ
US9248711B2 (en) Tire explosion safety system
CN209493198U (zh) 施工升降机防撞机构
JP2019085794A (ja) 耐衝撃性を有する引き戸装置
KR101200334B1 (ko) 크레인 승강용 방진벨트 텐션 조절장치
CA2875026C (en) Low headroom curtain riser for a roll-up door, and roll-up door using the same
CN210828989U (zh) 一种自复位卷帘门
KR20100025392A (ko) 산업용 스피드 도어의 자동복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