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621A - 캔버스 도어 - Google Patents

캔버스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621A
KR20230154621A KR1020220054269A KR20220054269A KR20230154621A KR 20230154621 A KR20230154621 A KR 20230154621A KR 1020220054269 A KR1020220054269 A KR 1020220054269A KR 20220054269 A KR20220054269 A KR 20220054269A KR 20230154621 A KR20230154621 A KR 20230154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vas
bar
binding band
truss
lif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재
Original Assignee
이봉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재 filed Critical 이봉재
Priority to KR102022005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621A/ko
Publication of KR2023015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4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dr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하여 손상된 캔버스 도어의 추락을 지연시켜서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캔버스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출입구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트러스와, 상기 트러스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캔버스와, 상기 캔버스의 일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트랜섬과, 상기 복수의 트랜섬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캔버스의 하단에 고정된 승강베이스와, 상기 승강베이스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와이어로 연결된 구동부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트러스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베이스에 결속되며 그 사이는 상기 복수의 트랜섬에 승강 가능하게 결속되어 화재 발생시 캔버스의 손상으로 인한 추락을 방지하도록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결속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섬은 프런트바과, 상기 프런트바의 후방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리어바와, 상기 프런트바와 상기 리어바의 양측 단부를 전후로 연결하는 사이드바를 포함하여 폐라인을 이루고, 상기 결속밴드는 상기 트러스와 상기 트랜섬 및 상기 승강베이스의 전면에 결속되는 프런트결속밴드와 후면에 결속되는 리어결속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Description

캔버스 도어{CANVAS DOOR}
본 발명은 캔버스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손상된 캔버스 도어의 추락을 지연시켜서 인명 피해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캔버스 도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캔버스 도어는 철재 구조물로 형성된 대형문의 하나로서, 선박을 수리하는 조선소의 대형 공장과 항공기를 정비하는 격납고 및 대형 물류 창고 등을 포함하는 대형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이러한 캔버스 도어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409호(등록일자 2017년05월10일) ‘캔버스 도어’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8348호(등록일자 2011년07월05일)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후자의 종래기술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 상기 각 도어 프레임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상부를 고정하는 수평 트러스;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하단 트러스에 연결된 승강 와이어; 상기 수평 트러스의 상단에서 상기 최하단 트러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승강 와이어에 전달하는 도어 구동부를 구비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트러스의 양쪽 끝단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최하단 트러스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최하단 트러스에 제동을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는 상기 각 도어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최하단 트러스의 일측에 연결 고정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평 트러스의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된 롤링 기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 고리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롤링 기어를 둘러싸도록 맞물림으로써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와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 트러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강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롤링 기어와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을 통해 상기 최하단 트러스에 제동을 걸어주는 제동 기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를 기술의 요지로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최하단 트러스의 무거운 무게로 인하여 강풍이 불 때에 캔버스와 도어 프레임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술한 종래기술은 화재 발생으로 캔버스가 불에 타서 연소되거나 찢어질 경우 무거운 최하단 트러스가 단시간 내에 추락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대피할 겨를도 없이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409호(등록일자 2017년05월10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8348호(등록일자 2011년07월0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로 인하여 손상된 캔버스 도어의 추락을 지연시켜서 대피 시간의 확보를 통해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캔버스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물의 출입구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트러스와, 상기 트러스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캔버스와, 상기 캔버스의 일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트랜섬과, 상기 복수의 트랜섬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캔버스의 하단에 고정된 승강베이스와, 상기 승강베이스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와이어로 연결된 구동부재로 구성된 캔버스 도어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트러스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베이스에 결속되며 그 사이는 상기 복수의 트랜섬에 승강 가능하게 결속되어 화재 발생시 캔버스의 손상으로 인한 추락을 방지하도록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결속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섬은 프런트바와, 상기 프런트바의 후방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리어바와, 상기 프런트바와 상기 리어바의 양측 단부를 전후로 연결하는 사이드바를 포함하여 폐라인을 이루고, 상기 결속밴드는 상기 트러스와 상기 트랜섬 및 상기 승강베이스의 전면에 결속되는 프런트결속밴드와 후면에 결속되는 리어결속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트랜섬은 상기 양측 사이드바 사이에서 상기 프런트바와 상기 리어바를 보강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승강와이어의 승강을 안내하는 와이어홀을 형성하는 링크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결속밴드에는 상기 승강베이스의 상승 시 프런트결속밴드가 프런트바의 바깥쪽으로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벤딩웨이트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벤딩웨이트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프런트결속밴드 방향으로 상기 리어결속밴드를 이끌도록 상기 프런트결속밴드와 상기 리어결속밴드를 연결하는 부드러운 재질의 연경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베이스와 복수의 트랜섬을 결속하는 결속밴드가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 시 쉽게 연소되는 캔버스에 비해 불이 잘 붙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인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베이스의 상승 시 벤딩웨이트에 의해 프런트결속밴드가 프런트바의 바깥쪽으로 휘어지도록 유도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베이스의 상승 시 리드스트링으로 프런트결속밴드에 연결된 리어결속밴드가 복수의 트랜섬 사이, 트랜섬과 승강베이스 사이를 지나 프런트결속밴드와 함께 프런트바의 바깥쪽으로 휘어져 정렬된 상태를 이루므로 안정적인 상승을 유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요부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버스 도어는, 구조물의 출입구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110)의 상단을 연결하는 트러스(100)와, 상기 트러스(100)에 상단이 고정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캔버스(200)와, 상기 캔버스(200)의 일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트랜섬(300)과, 상기 복수의 트랜섬(30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캔버스(200)의 하단에 고정된 승강베이스(400)와, 상기 승강베이스(400)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와이어(540)로 연결된 구동부재(5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단은 상기 트러스(100)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베이스(400)에 결속되며 그 사이는 복수의 트랜섬(300)에 승강 가능하게 결속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캔버스(200)의 손상으로 인한 추락을 방지하도록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결속밴드(600)를 포함한다.
상기 트러스(100)는 포스트(110)와 함께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룬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형 구조물의 출입구 좌우 양측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포스트(110)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포스트(110)의 상단은 트러스(100)에 의해 수평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측 포스트(110)에는 가이드레일(111)이 구비되어 캔버스(200)의 승강을 안내한다.
상기 캔버스(200)는 대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가로세로가 적절한 크기로 이루어진 사각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캔버스(200)의 상단은 트러스(100)에 고정되고, 양측 단부는 포스트(110)의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상승 및 하강시 안내된다.
상기 캔버스(200)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랜섬(300)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캔버스(2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트랜섬(300)은 캔버스(200)의 가로 길이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된 복수로 이루어져 캔버스(200)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에 따라 벌여 놓은 상태로 배열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트랜섬(300)은, 프런트바(310), 프런트바(310)의 후방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리어바(320), 프런트바(310)와 리어바(320)의 양측 단부를 전후로 연결하는 사이드바(330)를 포함하여 끊어진 곳이 없는 사각형의 폐라인(closed line)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트랜섬(300)은 양측 사이드바(330) 사이에서 프런트바(310)와 리어바(320)를 보강하도록 연결하여 승강와이어(540)의 승강을 안내하는 와이어홀(WH)을 형성하는 링크바(340)를 더 포함한다.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트랜섬(300)의 리어바(320)는 볼팅 또는 리벳팅 따위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캔버스(200)의 일면에 결속밴드(600)와 함께 고정된다.
상기 트랜섬(300)의 프론트바(310)에는 볼팅 또는 리벳팅 따위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결속밴드(600)가 고정된다.
즉, 상기 복수의 트랜섬(300)은 승강베이스(400)의 상승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캔버스(200)를 끌고 위로 올라가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승강베이스(400)의 하강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캔버스(200)를 끌고 아래로 내려가 출입구를 폐쇄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승강베이스(40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트랜섬(30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베이스(400)는 가로 방향으로 길고 납작한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다. 승강베이스(400)의 후면은 볼팅 또는 리벳팅 따위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캔버스(200)의 하단에 고정된다. 승강베이스(400)의 상면은 승강와이어(540)의 하단에 연결되어 구동부재(500)의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500)는 승강베이스(400)에 승강와이어(540)로 연결되어 승강베이스(4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작동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재(500)는 트러스(10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빈(520)을 갖는 구동축(510), 구동축(510)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모터(530), 모터(530)의 구동에 의해 승강베이스(400)를 승강시키도록 보빈(520)에 권취되는 승강와이어(54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510)은 트러스(100)에 고정된 브래킷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축(510)에는 복수의 보빈(52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승강와이어(540)를 풀거나 감는 작용을 한다.
상기 모터(530)는 트러스(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와이어(540)의 상단은 보빈(52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하단은 상기 승강베이스(400)의 상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구동부재(500)는 모터(530)의 구동으로 구동축(510)이 회전하면 보빈(520)에 권취된 승강와이어(540)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상기 승강베이스(4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결속밴드(600)는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하여 쉽게 불이 붙지 않거나 불이 붙어도 잘 연소되지 않는 특성의 난연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화재로 인해 자신이 완전히 연소될 때까지 상기 트랜섬(300)과 승강베이스(400)를 결속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속밴드(600)는 좁고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볼팅 또는 리벳팅 따위를 포함하는 결속수단에 의해 트러스(100)와 트랜섬(300) 및 승강베이스(400)의 전면에 결속되는 프런트결속밴드(610)와 후면에 결속되는 리어결속밴드(620)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프런트결속밴드(610)와 리어결속밴드(620)의 상단은 트러스(100)의 전면에 결속되고, 상기 프런트결속밴드(610)와 리어결속밴드(620)의 하단은 승강베이스(400)의 전후면에 각각 결속되며, 상기 프런트결속밴드(610)와 리어결속밴드(6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부분은 프런트바(310)와 리어바(320)에 각각 결속된다.
이러한 결속밴드(600)는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100)와 트랜섬(300) 및 승강베이스(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밴드(600)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시 쉽게 연소되는 캔버스(200)에 비해 불이 잘 붙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인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밴드(600)는 딱딱하지 않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의 트랜섬(300) 사이, 트랜섬(300)과 승강베이스(400) 사이를 지나 프런트바(310)의 바깥쪽으로 휘어져 정렬된 상태로 상승하므로 캔버스(200)의 승강 작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트랜섬(300) 3개와 승강베이스(400) 1개로 이루어진 4단으로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출입구의 크기에 따라 상기 트랜섬(300)의 갯수를 증감가시켜 단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버스 도어의 승강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530)의 구동으로 구동축(510)이 회전하면 보빈(520)에 권취된 승강와이어(540)가 감기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배치된 트랜섬(300)까지 승강베이스(4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캔버스(200)는 리어바(320)의 바깥쪽으로 유연히 휘어져 늘어지고, 상기 프런트결속밴드(610)는 프런트바(310)의 바깥쪽으로 유연히 휘어져 늘어지며, 상기 리어결속밴드(620)는 유연히 휘어져 트랜섬(300)과 승강베이스(400) 사이에 개재된다.
이어서, 상기 보빈(520)에 승강와이어(540)를 계속 감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베이스(400)는 하부의 트랜섬(300)을 끌어서 중앙에 배치된 트랜섬(300)까지 상승시킨다.
다음, 상기 승강베이스(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와 중앙의 트랜섬(300)을 끌어서 상부에 배치된 트랜섬(300)까지 상승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승강베이스(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와 중앙 및 상부의 트랜섬(300)을 끌어서 상기 트러스(100)의 하단까지 상승시켜 대형 구조물의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반면, 대형 구조물의 출입구를 폐쇄하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이므로 캔버스 도어의 하강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버스 도어는, 승강베이스(400)의 상승시 프런트결속밴드(610)가 프런트바(310)의 바깥쪽으로 유연히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벤딩웨이트(630)와 상기 벤딩웨이트(630)에 의해 휘어지는 프런트결속밴드(610) 방향으로 리어결속밴드(620)를 이끌도록 프런트결속밴드(610)와 리어결속밴드(620)를 연결하는 연결끈(6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벤딩웨이트(630)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기 벤딩웨이트(630)는 승강베이스(400)에 결속된 프런트결속밴드(610)의 상부 지점과 프런트바(310)에 결속된 프런트결속밴드(610)의 상부 지점에 각각 고정되어, 승강베이스(400)가 상승할 때에 프런트결속밴드(610)가 프런트바(310)의 바깥쪽으로 휘어지도록 유도한다.
상기 연결끈(640)은 난연성 및 유연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벤딩웨이트(630)가 고정된 프런트결속밴드(610)의 상부 지점과 리어결속밴드(620)를 수평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끈(640)은 승강베이스(400)의 상승시 상기 벤딩웨이트(630)에 의해 프런트바(310)의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프런트결속밴드(610)의 방향으로 상기 리어결속밴드(620)를 강제로 견인하여 복수의 트랜섬(300) 사이, 상기 트랜섬(300)과 승강베이스(400) 사이를 지나 상기 프런트결속밴드(610)와 함께 프런트바(310)의 바깥쪽으로 휘어져 정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트러스 200 : 캔버스
300 : 트랜섬 310 ; 프런트바
320 : 리어바 330 : 사이드바
340 : 링크바 400 : 승강베이스
500 : 구동부재 540 : 승강와이어
600 : 결속밴드 610 : 프런트결속밴드
620 : 리어결속밴드 630 : 벤딩웨이트
640 : 연결끈

Claims (4)

  1. 구조물의 출입구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트러스와, 상기 트러스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캔버스와, 상기 캔버스의 일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트랜섬과, 상기 복수의 트랜섬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캔버스의 하단에 고정된 승강베이스와, 상기 승강베이스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와이어로 연결된 구동부재로 구성된 캔버스 도어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트러스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베이스에 결속되며 그 사이는 상기 복수의 트랜섬에 승강 가능하게 결속되어 화재 발생시 캔버스의 손상으로 인한 추락을 방지하도록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결속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섬은 프런트바와, 상기 프런트바의 후방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리어바와, 상기 프런트바와 상기 리어바의 양측 단부를 전후로 연결하는 사이드바를 포함하여 폐라인을 이루고,
    상기 결속밴드는 상기 트러스와 상기 트랜섬 및 상기 승강베이스의 전면에 결속되는 프런트결속밴드와 후면에 결속되는 리어결속밴드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은 상기 양측 사이드바 사이에서 상기 프런트바와 상기 리어바를 보강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승강와이어의 승강을 안내하는 와이어홀을 형성하는 링크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결속밴드에는 상기 승강베이스의 상승시 프런트결속밴드가 프런트바의 바깥쪽으로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벤딩웨이트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벤딩웨이트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프런트결속밴드 방향으로 상기 리어결속밴드를 이끌도록 상기 프런트결속밴드와 상기 리어결속밴드를 연결하는 부드러운 재질의 연결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
KR1020220054269A 2022-05-02 2022-05-02 캔버스 도어 KR20230154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69A KR20230154621A (ko) 2022-05-02 2022-05-02 캔버스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69A KR20230154621A (ko) 2022-05-02 2022-05-02 캔버스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621A true KR20230154621A (ko) 2023-11-09

Family

ID=8874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269A KR20230154621A (ko) 2022-05-02 2022-05-02 캔버스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46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48B1 (ko) 2009-04-13 2011-07-14 창화엔지니어링 (주)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101736409B1 (ko) 2015-10-05 2017-05-16 김정년 캔버스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48B1 (ko) 2009-04-13 2011-07-14 창화엔지니어링 (주)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101736409B1 (ko) 2015-10-05 2017-05-16 김정년 캔버스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562B2 (ja) 工業用ロールドアの高負荷運転
JP5937296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6144306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JP5868578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230154621A (ko) 캔버스 도어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JP3714776B2 (ja) 巻き取り式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090099036A (ko) 캔버스 도어 안전 개폐장치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JP6082088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JPH0242873Y2 (ko)
KR102363762B1 (ko) 창호 손상방지 및 안전 운반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양중기 및 그 제어방법
JPS63165683A (ja) シ−トシヤツタ−の捲込み昇降装置
KR102015633B1 (ko)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SU6610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шторных ворот
JPH08312268A (ja) ヘッドボックス昇降型ブラインド
JP2541891Y2 (ja) シートシャッタの昇降装置
JPH0620876Y2 (ja) シートシャッター
JP2541892Y2 (ja) シートシャッタの昇降装置
JP3008214U (ja) 上下開閉式扉の安全装置
JP2023023422A (ja) 防鳥装置
JPH0248629Y2 (ko)
KR20240037687A (ko) 와이어 로프의 권취용 무동력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