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633B1 -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633B1
KR102015633B1 KR1020190043860A KR20190043860A KR102015633B1 KR 102015633 B1 KR102015633 B1 KR 102015633B1 KR 1020190043860 A KR1020190043860 A KR 1020190043860A KR 20190043860 A KR20190043860 A KR 20190043860A KR 102015633 B1 KR102015633 B1 KR 10201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inding
blind
elastic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19004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라인드 작동줄이 아동의 목 부위와 같은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작동줄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리된 작동줄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의 창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2); 상기 롤러하우징(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를 작동시키는 작동하우징(14); 상기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에 권취연결되어 롤러하우징(12)의 하단 개방측으로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승강하는 이중 브라인드지(16); 상기 작동하우징(14) 내의 동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블라인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향으로 구비되며,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줄이 이어진 작동줄(23); 상기 작동줄(23)은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줄(23)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안전분리체(30)에 결합토록 하되,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상부체(31) 및 하부체(35)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 각각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1,45)을 고정삽입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의 탄성스프링(41)은 상부체(31) 내부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하부체(35)의 탄성스프링(45)은 하부체(35)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1,45)은 핀공이 형성되어 고정핀(52) 상에 끼움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에 각각 작동줄(23)이 고정연결되어, 상기 작동줄(23)이 아동의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지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줄(23)에 연결된 하부체(35)측 탄성스프링(45)과, 고정용분리끈(61) 및 상부체(31)측 탄성스프링(41)의 탄성 연동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늘어난 후,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탄성스프링(41,45)을 결속하는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면서 상,하 작동줄(23)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Line of blinds retractable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인드 작동줄이 아동의 목 부위와 같은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작동줄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리된 작동줄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Roll Blind)는 각종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조절 또는 실내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라인드 원단을 구비하고, 이를 상부의 권취봉에 말아 올려서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창문을 막아주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벽체 등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양측에 구동 브라켓과 종동 브라켓이 설치되고, 그 각각의 브라켓 사이에는 파이프 형태의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권취봉에는 블라인드 원단이 감겨지고, 그 하단에는 웨이트가 고정되어 웨이트 무게에 의해서 권취봉으로부터 블라인드 원단이 하부로 풀려서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브라켓의 내부에는 권취봉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체인 풀리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체인 풀리에는 당김 끈이 감겨져서 이와 같은 당김 끈의 일측을 당기면 체인 풀리를 통하여 권취봉이 회전되고, 블라인드 원단이 권취봉에 감겨서 상승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당김 끈의 타측을 당기게 되면 체인 풀리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면서 권취봉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이 권취봉으로부터 풀리고 하강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당김 끈은 무한 궤도형으로서, 상기 체인 풀리에 감겨 있는 것으로, 그 하단은 아래로 길게 늘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당김 끈은 매우 위험한 안전사고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당김 끈의 하단을 분리시켜서 그 길이를 짧게 하고, 어린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높게 위치시키는 기술개발이 당 업계에서는 심각하게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등록특허 제10-164417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블라인드 작동줄이 아동의 목 부위와 같은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작동줄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리된 작동줄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의 창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2); 상기 롤러하우징(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를 작동시키는 작동하우징(14); 상기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에 권취연결되어 롤러하우징(12)의 하단 개방측으로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승강하는 이중 브라인드지(16); 상기 작동하우징(14) 내의 동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블라인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향으로 구비되며,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줄이 이어진 작동줄(23); 상기 작동줄(23)은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줄(23)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안전분리체(30)에 결합토록 하되,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상부체(31) 및 하부체(35)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 각각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1,45)을 고정삽입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의 탄성스프링(41)은 상부체(31) 내부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하부체(35)의 탄성스프링(45)은 하부체(35)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1,45)은 핀공이 형성되어 고정핀(52) 상에 끼움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에 각각 작동줄(23)이 고정연결되어, 상기 작동줄(23)이 아동의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지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줄(23)에 연결된 하부체(35)측 탄성스프링(45)과, 고정용분리끈(61) 및 상부체(31)측 탄성스프링(41)의 탄성 연동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늘어난 후,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탄성스프링(41,45)을 결속하는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면서 상,하 작동줄(23)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좌우양측으로 구비된 작동줄(23) 상에 각각 마련되는 안전분리체(30)는 일측 작동줄(23) 상의 상단부측 및 타측 작동줄(23) 상의 하단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강 작동 시 안전분리체(30)의 상부체(31)를 파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연성 재질을 갖는 납으로 구성되어지되,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의 단면굵기를 달리 구비토록 하여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블라인드 작동줄(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2중으로 안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초기설치 상태에서는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1
” 형태로 설치구비되며, 하부측으로 하중이 작용되면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2
”형태로 양측부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끊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의 몸체 상에 절개홈부(62)를 형성하여 작동줄(61)의 하강 당김 시 상기 절개홈부(62)에 의해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되,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각각의 양단부(41a,45a) 상에 둘레홈부(49)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홈부(49)에 작동줄(23)이 삽입 안착되어 매듭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의 마주하는 단부의 탄성결합시 부딪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체(31)의 하단부(32)는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35)의 상단부(36)는 상기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32)의 삽입되도록 상향 축소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의 창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2)과, 상기 롤러하우징(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를 작동시키는 작동하우징(14)과, 상기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에 권취연결되어 롤러하우징(12)의 하단 개방측으로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승강하는 이중 브라인드지(16)와, 상기 작동하우징(14) 내의 동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블라인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향으로 구비되며,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줄이 이어진 작동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줄(23)은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줄(23)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안전분리체(30)에 결합토록 하되,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상부체(31) 및 하부체(35)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 각각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1,45)을 고정삽입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의 탄성스프링(41)은 상부체(31) 내부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하부체(35)의 탄성스프링(45)은 하부체(35)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1,45)은 핀공이 형성되어 고정핀(52) 상에 끼움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에 각각 작동줄(23)이 고정연결되고, 상기 좌우양측으로 구비된 작동줄(23) 상에 각각 마련되는 안전분리체(30)는 일측 작동줄(23) 상의 상단부측 및 타측 작동줄(23) 상의 하단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강 작동 시 안전분리체(30)의 상부체(31)를 파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줄(23)이 아동의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지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줄(23)에 연결된 하부체(35)측 탄성스프링(45)과, 고정용분리끈(61) 및 상부체(31)측 탄성스프링(41)의 탄성 연동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늘어난 후,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탄성스프링(41,45)을 결속하는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면서 상,하 작동줄(23)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연성 재질을 갖는 납으로 구성되어지되,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의 단면굵기를 달리 구비토록 하여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블라인드 작동줄(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2중으로 안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초기설치 상태에서는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3
” 형태로 설치구비되며, 하부측으로 하중이 작용되면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4
”형태로 양측부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끊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의 몸체 상에 절개홈부(62)를 형성하여 작동줄(61)의 하강 당김 시 상기 절개홈부(62)에 의해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되,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각각의 양단부(41a,45a) 상에 둘레홈부(49)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홈부(49)에 작동줄(23)이 삽입 안착되어 매듭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의 마주하는 단부의 탄성결합시 부딪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체(31)의 하단부(32)는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35)의 상단부(36)는 상기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32)의 삽입되도록 상향 축소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라인드 작동줄이 아동의 목 부위와 같은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작동줄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된 작동줄을 탄성스프링 상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전체 설치 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분리체의 설치상태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분리체의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스프링 상에 작동줄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용분리끈의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체 및 하부체의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스프링과 고정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작동줄이 아동의 목 부위와 같은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작동줄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리된 작동줄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롤러하우징(12), 작동하우징(14), 이중 브라인드지(16), 작동줄(23), 안전분리체(30), 탄성스프링(41,45) 및 고정용분리끈(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실내공간의 창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2)이 구비되고, 상기 롤러하우징(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를 작동시키는 작동하우징(14)이 구비되며, 상기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에 권취연결되어 롤러하우징(12)의 하단 개방측으로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승강하는 이중 브라인드지(16)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하우징(14) 내의 동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블라인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향으로 구비되며,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줄이 이어진 작동줄(23)이 구비되는 통상의 블라인드 구조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통상의 블라인드 구조에서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줄(23)은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줄(23)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안전분리체(30)에 결합토록 하되,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상부체(31) 및 하부체(35)로 분할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 각각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1,45)을 고정삽입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여 구성되게 하였다.
또한 이때, 상기 상부체(31)의 탄성스프링(41)은 상부체(31) 내부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하부체(35)의 탄성스프링(45)은 하부체(35)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1,45)은 도 7에서와 같이 핀공(48)이 형성되어 고정핀(52) 상에 끼움밀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에 각각 작동줄(23)이 고정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고정핀(52) 상에 탄성스프링(41,45)의 핀공(48)이 끼움되면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예상보다 큰 외력 또는 충격이 발생하여 탄성스프링(41,45)의 이탈이 발생되더라도 다시 쉽게 끼울 수 있으며, 고장 발생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으나 핀공(48)의 직경보다 고정핀(52)의 직경을 크게 형성토록 하되, 상기 고정핀(52)의 외면을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고정핀(52)이 삽입 용이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핀공(48)에 삽입된 고정핀(52)의 외면 탄성재질의 탄성확장에 의해 고정력이 증대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작동줄(23)이 아동의 목 부위와 같은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지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줄(23)에 연결된 하부체(35)측 탄성스프링(45)과, 고정용분리끈(61) 및 상부체(31)측 탄성스프링(41)의 탄성 연동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늘어난 후,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탄성스프링(41,45)을 결속하는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면서 상,하 작동줄(23)이 분리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양측으로 구비된 작동줄(23) 상에 각각 마련되는 안전분리체(30)는 일측 작동줄(23) 상의 상단부측 및 타측 작동줄(23) 상의 하단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강 작동 시 안전분리체(30)의 상부체(31)를 파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작동줄(23) 보다 굵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작동하우징(14) 내에 삽입이 되지 않는 구조이며, 이에 일측 작동줄(23) 상의 상단부측 및 타측 작동줄(23) 상의 하단부측에 각각 구비되는 초기상태에서 양측 안전분리체(30)의 위치가 바뀌는 거리 내에서만 이중 브라인드지(16)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연성 재질을 갖는 납으로 구성되어지되,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의 단면굵기를 달리 구비토록 하여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블라인드 작동줄(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2중으로 안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도 5의 (a)에서와 같이 초기설치 상태에서는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5
” 형태로 설치구비되며, 하부측으로 하중이 작용되면 도 5의 (b)에서와 같이“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6
”형태로 양측부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도 5의 (c)에서와 같이 끊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의 몸체 상에 절개홈부(62)를 형성하여 작동줄(61)의 하강 당김 시 상기 절개홈부(62)에 의해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도록 구성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양측이 각각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게 하여 시간차를 두고 끊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작은 직경의 고정용분리끈(61)만 끊어지게 되면 그 끊어진 하나의 고정용분리끈(61)만 연결하면 되므로 유지비용이 적게 들게 된다.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납 뿐만 아니라 다른 연성재질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합성섬유사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되,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각각의 양단부(41a,45a) 상에 둘레홈부(49)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홈부(49)에 작동줄(23)이 삽입 안착되어 매듭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위와 같은 고정용분리끈(61) 및 둘레홈부(49) 등의 구성으로서 분리된 작동줄(23)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의 마주하는 단부의 탄성결합시 부딪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체(31)의 하단부(32)는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35)의 상단부(36)는 상기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32)의 삽입되도록 상향 축소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마주하는 하부체(35)의 단부가 상부체(31)의 단부 내측에 안전하게 진입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실내공간의 창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2)과, 상기 롤러하우징(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를 작동시키는 작동하우징(14)과, 상기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에 권취연결되어 롤러하우징(12)의 하단 개방측으로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승강하는 이중 브라인드지(16)와, 상기 작동하우징(14) 내의 동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블라인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향으로 구비되며,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줄이 이어진 작동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줄(23)은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줄(23)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안전분리체(30)에 결합토록 하되,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상부체(31) 및 하부체(35)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 각각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1,45)을 고정삽입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의 탄성스프링(41)은 상부체(31) 내부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하부체(35)의 탄성스프링(45)은 하부체(35)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1,45)은 핀공이 형성되어 고정핀(52) 상에 끼움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에 각각 작동줄(23)이 고정연결되고, 상기 좌우양측으로 구비된 작동줄(23) 상에 각각 마련되는 안전분리체(30)는 일측 작동줄(23) 상의 상단부측 및 타측 작동줄(23) 상의 하단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강 작동 시 안전분리체(30)의 상부체(31)를 파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줄(23)이 아동의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지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줄(23)에 연결된 하부체(35)측 탄성스프링(45)과, 고정용분리끈(61) 및 상부체(31)측 탄성스프링(41)의 탄성 연동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늘어난 후,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탄성스프링(41,45)을 결속하는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면서 상,하 작동줄(23)이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연성 재질을 갖는 납으로 구성되어지되,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의 단면굵기를 달리 구비토록 하여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블라인드 작동줄(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2중으로 안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초기설치 상태에서는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7
” 형태로 설치구비되며, 하부측으로 하중이 작용되면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8
”형태로 양측부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끊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의 몸체 상에 절개홈부(62)를 형성하여 작동줄(61)의 하강 당김 시 상기 절개홈부(62)에 의해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되,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각각의 양단부(41a,45a) 상에 둘레홈부(49)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홈부(49)에 작동줄(23)이 삽입 안착되어 매듭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의 마주하는 단부의 탄성결합시 부딪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체(31)의 하단부(32)는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35)의 상단부(36)는 상기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32)의 삽입되도록 상향 축소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에 의하면, 블라인드 작동줄이 아동의 목 부위와 같은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작동줄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리된 작동줄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 : 롤러하우징 14 : 작동하우징
16 : 이중 브라인드지 23 : 작동줄
30 : 안전분리체 41,45 : 탄성스프링
52 : 고정핀 61 : 고정용분리끈

Claims (10)

  1.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의 창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2);
    상기 롤러하우징(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를 작동시키는 작동하우징(14);
    상기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에 권취연결되어 롤러하우징(12)의 하단 개방측으로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승강하는 이중 브라인드지(16);
    상기 작동하우징(14) 내의 동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블라인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향으로 구비되며,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줄이 이어진 작동줄(23);
    상기 작동줄(23)은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줄(23)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안전분리체(30)에 결합토록 하되,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상부체(31) 및 하부체(35)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 각각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1,45)을 고정삽입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의 탄성스프링(41)은 상부체(31) 내부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하부체(35)의 탄성스프링(45)은 하부체(35)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1,45)은 핀공이 형성되어 고정핀(52) 상에 끼움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에 각각 작동줄(23)이 고정연결되어,
    상기 작동줄(23)이 아동의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지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줄(23)에 연결된 하부체(35)측 탄성스프링(45)과, 고정용분리끈(61) 및 상부체(31)측 탄성스프링(41)의 탄성 연동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늘어난 후,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탄성스프링(41,45)을 결속하는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면서 상,하 작동줄(23)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양측으로 구비된 작동줄(23) 상에 각각 마련되는 안전분리체(30)는 일측 작동줄(23) 상의 상단부측 및 타측 작동줄(23) 상의 하단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강 작동 시 안전분리체(30)의 상부체(31)를 파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연성 재질을 갖는 납으로 구성되어지되,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의 단면굵기를 달리 구비토록 하여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블라인드 작동줄(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2중으로 안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초기설치 상태에서는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09
    ” 형태로 설치구비되며, 하부측으로 하중이 작용되면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10
    ”형태로 양측부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끊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의 몸체 상에 절개홈부(62)를 형성하여 작동줄(61)의 하강 당김 시 상기 절개홈부(62)에 의해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되,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각각의 양단부(41a,45a) 상에 둘레홈부(49)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홈부(49)에 작동줄(23)이 삽입 안착되어 매듭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의 마주하는 단부의 탄성결합시 부딪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체(31)의 하단부(32)는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35)의 상단부(36)는 상기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32)의 삽입되도록 상향 축소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7.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의 창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12)과, 상기 롤러하우징(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를 작동시키는 작동하우징(14)과, 상기 롤러하우징(12) 내의 권취롤바(13)에 권취연결되어 롤러하우징(12)의 하단 개방측으로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승강하는 이중 브라인드지(16)와, 상기 작동하우징(14) 내의 동작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블라인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향으로 구비되며,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줄이 이어진 작동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줄(23)은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나열된 상태에서 상,하 작동줄(23)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안전분리체(30)에 결합토록 하되, 상기 안전분리체(30)는 상부체(31) 및 하부체(35)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 각각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1,45)을 고정삽입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체(31)의 탄성스프링(41)은 상부체(31) 내부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하부체(35)의 탄성스프링(45)은 하부체(35)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52)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각각의 탄성스프링(41,45)은 핀공이 형성되어 고정핀(52) 상에 끼움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에 각각 작동줄(23)이 고정연결되고, 상기 좌우양측으로 구비된 작동줄(23) 상에 각각 마련되는 안전분리체(30)는 일측 작동줄(23) 상의 상단부측 및 타측 작동줄(23) 상의 하단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강 작동 시 안전분리체(30)의 상부체(31)를 파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줄(23)이 아동의 신체부위에 감기면서 지면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줄(23)에 연결된 하부체(35)측 탄성스프링(45)과, 고정용분리끈(61) 및 상부체(31)측 탄성스프링(41)의 탄성 연동작동에 의해 일정거리 늘어난 후,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탄성스프링(41,45)을 결속하는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면서 상,하 작동줄(23)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연성 재질을 갖는 납으로 구성되어지되,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의 단면굵기를 달리 구비토록 하여 허용장력 이상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두가닥의 블라인드 작동줄(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2중으로 안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은 초기설치 상태에서는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11
    ” 형태로 설치구비되며, 하부측으로 하중이 작용되면 “
    Figure 112019038536391-pat00012
    ”형태로 양측부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끊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용분리끈(61)의 몸체 상에 절개홈부(62)를 형성하여 작동줄(61)의 하강 당김 시 상기 절개홈부(62)에 의해 고정용분리끈(61)이 끊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양단부(41a,45a)를 양측 한쌍의 고정용분리끈(61)으로 결속하되, 상하 탄성스프링(41,45)의 마주하는 각각의 양단부(41a,45a) 상에 둘레홈부(49)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홈부(49)에 작동줄(23)이 삽입 안착되어 매듭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1) 및 하부체(35)의 마주하는 단부의 탄성결합시 부딪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체(31)의 하단부(32)는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35)의 상단부(36)는 상기 외향확개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32)의 삽입되도록 상향 축소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KR1020190043860A 2019-04-15 2019-04-15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KR10201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60A KR102015633B1 (ko) 2019-04-15 2019-04-15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60A KR102015633B1 (ko) 2019-04-15 2019-04-15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633B1 true KR102015633B1 (ko) 2019-08-28

Family

ID=6777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60A KR102015633B1 (ko) 2019-04-15 2019-04-15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6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0054A1 (en) * 2006-06-29 2008-01-03 Tai-Long Huang Cord-releasing safety device for window blind
WO2011004199A2 (en) * 2009-07-09 2011-01-13 Jason Taylorson Anti ligature device
KR20150019982A (ko) * 2013-08-16 2015-02-25 주식회사 비엔엘 블라인드 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KR101644171B1 (ko) 2014-12-16 2016-07-29 주식회사 윈플러스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KR101808036B1 (ko) * 2016-01-07 2017-12-12 주식회사 제이원커머스 블라인드 작동줄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0054A1 (en) * 2006-06-29 2008-01-03 Tai-Long Huang Cord-releasing safety device for window blind
WO2011004199A2 (en) * 2009-07-09 2011-01-13 Jason Taylorson Anti ligature device
KR20150019982A (ko) * 2013-08-16 2015-02-25 주식회사 비엔엘 블라인드 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KR101644171B1 (ko) 2014-12-16 2016-07-29 주식회사 윈플러스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KR101808036B1 (ko) * 2016-01-07 2017-12-12 주식회사 제이원커머스 블라인드 작동줄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296B2 (ja) 横型ブラインド
CA2815134C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JP6144306B2 (ja) 横型ブラインド
US9249619B2 (en) Window covering
CA2953344C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JP5868578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4704772B2 (ja) ブラインド
CA2639632C (en) Window covering having at least one deformable connector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US20130020037A1 (en) Window shade
KR102015633B1 (ko)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KR200467065Y1 (ko) 분리가능한 커튼 코드
KR101517228B1 (ko) 건물 개방부를 가리는 커버링을 조작 구동하는 스프링모터와 드레그 브레이크
PL200454B1 (pl) Urządzenie zasłaniające okno i urządzenie hamujące do urządzenia zasłaniającego
JP6082088B2 (ja) 横型ブラインド
CA2814575C (en) Blind assembly
KR101626923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CN106193974A (zh) 百叶窗的升降装置
CN216406660U (zh) 双系统窗帘分线组合件及窗帘系统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JP7490856B2 (ja) ブラインド
JP6239955B2 (ja) 日射遮蔽装置
JP6771378B2 (ja) 遮蔽装置
KR200464245Y1 (ko)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CA3178817A1 (en) Operating device for a window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