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171B1 -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171B1
KR101644171B1 KR1020140181401A KR20140181401A KR101644171B1 KR 101644171 B1 KR101644171 B1 KR 101644171B1 KR 1020140181401 A KR1020140181401 A KR 1020140181401A KR 20140181401 A KR20140181401 A KR 20140181401A KR 101644171 B1 KR101644171 B1 KR 10164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r
pressing
adjustm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064A (ko
Inventor
변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8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71B1/ko
Priority to US14/969,976 priority patent/US20160168907A1/en
Publication of KR2016007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06B2009/3265Emergency release to prevent strangulation or excessive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라인드의 승강이나 좌우이동 또는 각도조절과 같은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줄을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만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히 어린이가 조정줄에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블라인드 조정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줄의 하단부가 하우징에 의해 벽체에 구속된 상태에서만 조정줄의 조작이 허용됨에 따라 조정줄이 유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어린이가 유동하는 조정줄에 걸리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 가압슬라이더나 하우징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록커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가 라인레일의 협소부로 돌출되어 가압턱과 함께 조정줄을 가압하므로 하우징이 조정줄에 원활하게 록킹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BLIND CORD}
본 발명은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라인드의 승강이나 좌우이동 또는 각도조절과 같은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줄을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만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히 어린이가 조정줄에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블라인드 조정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형태에 따라 롤 블라인드(roll blinds),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s), 우드 블라인드(wood blinds), 로만셰이드(roman shade) 등의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블라인드에는 블라인드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줄이 모두 갖춰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줄은 특히 아이들의 발이나 목에 걸리면서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위험성이 있다.
예컨대, 미국에서는 블라인드 조정줄 때문에 숨진 어린이가 2001년 이후 8명이 나왔고, 질식사할 뻔한 사고도 29건에 이른다고 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블라인드의 조정줄에 의한 안전사고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미국 특허공개 2008/0251622호에 제안된 루프코드 텐셔너가 있다.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코드(22)의 하단부에 걸린형태로 결합되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30)와, 슬라이드부재(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과, 슬라이드부재(30)에 형성된 관통슬리브(31)에 체결되면서 하우징(40)을 벽체에 체결시키는 고정부재(5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슬라이드부재(30)가 스프링(32)을 압축시킨 상태로 하우징(40)과 함께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만 루프코드(22)가 순환되고, 하우징(40)이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30)가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단부의 톱니(78)를 통해 루프코드(22)를 가압함에 따라 하우징(40)이 루프코드(22)와 함께 순환하여 블라이드 구조물에 걸리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루프코드(22)의 정상적인 조정을 위해서 하우징(40)을 벽체에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조정줄의 유동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슬라이드부재(30)가 루프코드(22)의 한 부분만을 가압하기 때문에 가압력이 저하되어 루프코드(22)가 사용자의 계속된 당김에 의해 강제순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미국 특허등록 제8376022호에 제안된 텐션장치가 있으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슬라이드부재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관통슬리브를 파지하고 이동시켜야 하는데, 관통슬리브를 용이하게 파지하기가 어려워서 슬라이드부재의 고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US 2008/0251622 A1 US 8376022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블라인드의 조정줄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만 조정줄에 의한 블라인드의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히 어린이가 조정줄에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정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이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만 조정줄의 정상적인 순환을 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하우징이 조정줄과 함께 순환함에 따라 사용자가 조정줄의 안전여부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조정줄의 벽체 고정을 유도할 수 있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조정줄을 당기는 힘이 증가할수록 조정줄을 더욱 견고하게 록킹시킬 수 있으며, 가압슬라이더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견인할 수 있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는, 루프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순환하면서 블라인드의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줄의 유동을 방지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로서,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을 방향전환 가능하게 수용하면서 상기 조정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벽체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조정줄의 순환을 허용하며, 벽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에 록킹되어 상기 조정줄과 함께 순환하면서 블라인드의 상단부에 걸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가압슬라이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의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켜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을 벽체에 고정하는 결착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체로 상기 가압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통해 상기 조정줄의 여러부분을 동시에 가압시키면서 상기 조정줄을 상기 하우징에 록킹시키는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압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바형태의 슬라이더본체;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프링홀더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더본체나 상기 하우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홀더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변형시키는 스프링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슬롯; 상기 안내슬롯에 노출되는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가압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부위를 제공하면서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이루는 관체형의 견인슬리브; 및 상기 견인슬리브를 관통한 상태로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슬롯은, 일단부의 내경이 확장형성되어 상기 견인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파지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결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이루는 볼트공; 및 상기 볼트공을 관통한 상태로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부는, 벽체에 동일체로 고정되면서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록커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더레일; 상기 슬라이더레일의 외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하고, 일측부가 상기 슬라이더레일과 연통되어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가 상기 일측부로 출몰하는 라인레일; 및 상기 라인레일의 일측부 양측에 돌출되면서 상기 일측부의 폭을 협소해지는 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조정줄을 가압하는 가압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커는,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정줄에 밀착되는 쐐기형태의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턱과 함께 상기 조정줄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조정줄이 계속 당겨짐에 따라 상기 조정줄에 박히면서 상기 조정줄의 강제순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는, 조정줄의 하단부가 하우징에 의해 벽체에 구속된 상태에서만 정상적인 조정줄의 조작이 허용됨에 따라 조정줄이 유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어린이가 유동하는 조정줄에 걸리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 가압슬라이더나 하우징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록커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가 라인레일의 협소부로 돌출되어 양측의 가압턱과 함께 조정줄을 가압하므로 하우징이 조정줄에 원활하게 록킹될 수 있으며, 특히 조정줄의 두 부분이 양측의 가압턱에 의해 각각 가압되므로 하우징이 조정줄에 견고하게 록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결착부의 구성을 다양한 형태, 즉 가압슬라이더를 이동시켜 벽체에 고정하는 구성이나 하우징 자체를 이동시켜 벽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결착부가 가압슬라이더를 이동시켜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하우징의 고정시 가압슬라이더의 견인슬리브를 이동시켜 고정함에 따라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발생함으로써 조정줄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어린이가 유동하는 조정줄에 걸리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슬롯의 일단부에 형성된 파지안내홈에 의해 견인슬리브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슬라이더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결착부가 하우징 자체를 이동시켜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안내슬롯 및 가압슬라이더에 마련되는 견인슬리브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외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결볼트의 체결부위를 이루는 브래킷이 구비될 경우에는 하우징을 다양한 형태의 벽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이드 조정줄용 안전장치의 전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이드 조정줄용 안전장치의 전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s),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s), 우드 블라인드(wood blinds), 로만셰이드(roman shad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블라인드의 승강이나 좌우이동 또는 각도조절과 같은 상태를 조절하는 조정줄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가압슬라이더(200), 탄성부재(300), 결착부(400) 및 록커(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정줄(1)은 루프형태를 이루면서 블라인드의 하부로 연장되며, 로프타입이나 볼타입과 같이 다앙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줄(1)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루프형태를 이루는 조정줄(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만 조정줄(1)의 정상적인 순환을 허용하며,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에는 후술되는 구성을 통해 조정줄(1)에 록킹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벽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조정줄(1)에 록킹되면서 조정줄(1)과 함께 순환됨에 따라 미도시된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구조물에 걸리는 부재이다.
하우징(100)은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10) 및 하우징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케이스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이 내부에 형성되거나 수용된다.
하우징커버(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10)의 개방구를 차폐하면서 조정줄(1)의 하단을 하우징본체(110)에 수용시킨다.
여기서, 하우징커버(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을 따라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하우징본체(110)와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결합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하우징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가압슬라이더(200)는 하우징(100)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하우징(100)이 벽체에서 분리됨에 따라 이동하면서 하우징(100)의 일부분과 함께 조정줄(1)의 일부분을 가압함으로써 하우징(100)을 조정줄(1)에 록킹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압슬라이더(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210) 및 스프링홀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태로 구성되어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후술되는 슬라이더레일(5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링홀더(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본체(210)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탄성부재(300)가 수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프링홀더(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를 수용하면서 탄성부재(30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한편,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홀더(220) 측으로 돌출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돌기(150)가 돌출된다.
탄성부재(300)는 가압슬라이더(200)의 스프링홀더(220)에 수용된 상태로 가압슬라이더(200)와 함께 후술되는 슬라이더레일(510)에 설치되면서 양단부가 스프링홀더(220)의 단부 및 스프링돌기(150)에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0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슬라이더(200)의 이동이나 하우징(100)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돌기(150)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며, 하우징(100)의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 탄성력을 통해 복원되면서 조정줄(1)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제안되었으나 이와 달리, 인장코일스프링이나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가압슬라이더(200)나 하우징(100)의 이동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가압슬라이더(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본체(210)의 하부에 후술되는 견인슬리브(420)가 구비됨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본체(210)가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슬라이더(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견인슬리브(420)가 생략되면서 하우징(100)이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결착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슬라이더(200)나 하우징(100)을 이동시켜 탄성부재(300)를 압축시킨 상태로 가압슬라이더(200)나 하우징(100)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결착부(400)는 가압슬라이더(200)가 이동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슬롯(410), 견인슬리브(420) 및 체결볼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내슬롯(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가압슬라이더(200)의 견인슬리브(420)를 노출시키면서 견인슬리브(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견인슬리브(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을 이루면서 가압슬라이더(200)의 하단에 관통형되어 안내슬롯(410)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견인슬리브(420)는 가압슬라이더(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부위와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제공한다.
한편, 안내슬롯(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내경이 확장되어 견인슬리브(420)의 용이한 파지를 도모하는 파지안내홈(4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파지안내홈(411)은 안내슬롯(410)의 일단부에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견인슬리브(420)의 외주면과 이격됨에 따라 견인슬리브(420)의 외주면을 따라 파지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견인슬리브(420)의 용이한 파지 및 견인을 가능하게 한다.
체결볼트(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슬리브(420)를 관통하여 벽체에 체결되면서 가압슬라이더(200) 및 하우징(100)을 벽체에 고정한다.
한편, 결착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나 창틀에 동일체로 고정되는 브래킷(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450)은 벽체의 형태에 따라 체결볼트(430)의 직접체결이 어려울 경우, 벽체나 창틀에 동일체로 고정되면서 체결볼트(430)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브래킷(43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형태로 구성되어 벽면에 고정되거나 바닥면에 동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430)가 체결되는 체결공(451)이 형성된다.
여기서, 브래킷(4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451)이 형성되는 부위가 보스형태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체결공(451) 부위가 견인슬리브(420)에 끼워져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견인슬리브(420)은 보스형태의 체결공(451)을 통해 브래킷(450)에 임시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30)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결착부(400)는 하우징(100)이 이동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안내슬롯(410)과 견인슬리브(420)가 생략되면서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볼트공(440)과 체결볼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록커(500)는 하우징(100)에 마련되어 탄성부재(300)와 함께 가압슬라이더(20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면서 조정줄(1)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하우징(100)이 벽체에서 분리된 경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을 통해 조정줄(1)의 일부분을 하우징(100)에 록킹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록커(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레일(510), 라인레일(520) 및 가압턱(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레일(51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우징본체(110)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압슬라이더(20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한다.
라인레일(5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10)에 형성되면서 슬라이더레일(51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조정줄(1)의 일부분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한다.
이러한 라인레일(520)은 일측부가 슬라이더레일(510)과 연통되어 가압슬라이더(200)의 일단부가 연통부위로 출몰한다.
즉, 라인레일(5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슬라이더(200)가 이동하는 실시예에서는 상단부가 슬라이더레일(510)과 연통하여 가압슬라이더(200)의 상단부가 출몰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이동하는 실시예에서는 하단부가 슬라이더레일(510)과 연통하여 가압슬라이더(200)의 하단부가 출몰한다.
가압턱(530)은 라인레일(520)의 일측부, 즉 가압슬라이더(200)의 일단부가 출몰하는 부위 양측에 돌출되어 라인레일(520)의 폭을 협소해지도록 돌출형성되면서 가압슬라이더(200)의 일단부와 함께 조정줄(1)을 가압하여 록킹한다.
즉, 가압턱(53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 중앙으로 돌출되는 가압슬라이더(510)의 일단부와 함께 조정줄(1)을 가압함으로써 하우징(100)을 조정줄(1)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가압슬라이더(51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쐐기형태의 가압돌기(540)가 돌출됨에 따라 좀 더 견고하게 조정줄(1)을 록킹할 수 있다.
특히, 가압돌기(540)는 가압턱(530)과 함께 조정줄(1)을 가압하면서 사용자가 조정줄(1)을 당길수록 조정줄(1)에 박혀 하우징(100) 내부에서 방향전환되어 순환하려고 하는 조정줄(1)을 더욱 가압하여 록킹함으로써 조정줄(1)의 강제순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슬라이더(200)가 이동하는 구조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가압슬라이더(200)가 견인슬리브(420)를 통해 견인되어 안내슬롯(4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체결볼트(430)를 통해 벽체에 체결됨에 따라 벽체에 고정된다.
이때, 가압슬라이더(200)는 스프링돌기(150)와 함께 탄성부재(300)를 압축시키면서 이동하며, 상단부가 라인레일(520)의 가압턱(530)이 돌출된 부분에서 분리됨에 따라 조정줄(1)의 정상적인 순환을 허용하게 된다.
한편, 가압슬라이더(200)는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압턱(530)과 함께 조정줄(1)을 가압하여 하우징(100)을 조정줄(1)에 록킹시킨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이동하는 구조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사용자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스프링돌기(150)를 통해 탄성부재(300)를 압축시키고, 체결볼트(430)가 볼트공(440)에 체결됨에 따라 벽체에 고정된다.
이때, 가압슬라이더(200)는 스프링돌기(150)와 함께 탄성부재(300)를 압축시키며, 라인레일(520)의 가압턱(530)이 돌출된 부분에서 하단부가 분리됨에 따라 조정줄(1)의 순환을 허용하게 된다.
한편, 가압슬라이더(200)는 하우징(100)이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00)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단부가 가압턱(530)과 함께 조정줄(1)을 가압하여 하우징(100)을 조정줄(1)에 록킹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조정줄(1)의 하단부가 하우징(100)에 의해 벽체에 구속된 상태에서만 정상적인 사용이 허용됨에 따라 조정줄(1)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어린이가 유동하는 조정줄에 걸리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이 벽체에서 분리될 경우 가압슬라이더(200)나 하우징(100)이 록커(500)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레일(510)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슬라이더(200)의 일단부가 라인레일(520)의 협소부로 돌출되어 가압턱(530)과 함께 조정줄(1)을 가압하므로 하우징(100)이 조정줄(1)에 원활하게 록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100)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결착부(400)의 구성을 다양한 형태, 즉 가압슬라이더(200)를 이동시켜 벽체에 고정하는 구성이나 하우징(100) 자체를 이동시켜 벽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결착부(400)가 가압슬라이더(200)를 이동시켜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하우징(100)의 고정시 가압슬라이더(200)의 견인슬리브(420)를 이동시켜 고정함에 따라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이 발생함으로써 조정줄(1)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어린이가 유동하는 조정줄(1)에 걸리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착부(400)가 하우징(100) 자체를 이동시켜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안내슬롯(410) 및 가압슬라이더(200)에 마련되는 견인슬리브(42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00)의 외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조정줄 100 : 하우징
110 : 하우징본체 120 : 하우징커버
150 : 스프링돌기 200 : 가압슬라이더
210 : 슬라이더본체 220 : 스프링홀더
300 : 탄성부재 400 : 결착부
410 : 안내슬롯 411 : 파지안내홈
420 : 견인슬리브
430 : 체결볼트 440 : 볼트공
450 : 브래킷 500 : 록커
510 : 슬라이더레일 520 : 라인레일
530 : 가압턱 540 : 가압돌기

Claims (9)

  1. 루프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순환하면서 블라인드의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줄의 유동을 방지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로서,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을 방향전환 가능하게 수용하면서 상기 조정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벽체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조정줄의 순환을 허용하며, 벽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에 록킹되어 상기 조정줄과 함께 순환하면서 블라인드의 상단부에 걸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가압슬라이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의 이동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켜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을 벽체에 고정하는 결착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체로 상기 가압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이 벽체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가압슬라이더나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통해 상기 조정줄의 여러부분을 동시에 가압시키면서 상기 조정줄을 상기 하우징에 록킹시키는 록커;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바형태의 슬라이더본체;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프링홀더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더본체나 상기 하우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홀더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변형시키는 스프링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슬롯;
    상기 안내슬롯에 노출되는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가압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부위를 제공하면서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이루는 관체형의 견인슬리브; 및
    상기 견인슬리브를 관통한 상태로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슬롯은,
    일단부의 내경이 확장형성되어 상기 견인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파지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위를 이루는 볼트공; 및
    상기 볼트공을 관통한 상태로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벽체에 동일체로 고정되면서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더레일;
    상기 슬라이더레일의 외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조정줄의 일부분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하고, 일측부가 상기 슬라이더레일과 연통되어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가 상기 일측부로 출몰하는 라인레일; 및
    상기 라인레일의 일측부 양측에 돌출되면서 상기 일측부의 폭을 협소해지는 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조정줄을 가압하여 록킹하는 가압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가압슬라이더의 일단부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조정줄에 밀착되면서 상기 가압턱과 함께 상기 조정줄을 가압하여 록킹하는 쐐기형태의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턱과 함께 상기 조정줄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조정줄이 계속 당겨짐에 따라 상기 조정줄에 박히면서 상기 조정줄의 강제순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KR1020140181401A 2014-12-16 2014-12-16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KR101644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01A KR101644171B1 (ko) 2014-12-16 2014-12-16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US14/969,976 US20160168907A1 (en) 2014-12-16 2015-12-15 Safety device of blind co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01A KR101644171B1 (ko) 2014-12-16 2014-12-16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64A KR20160073064A (ko) 2016-06-24
KR101644171B1 true KR101644171B1 (ko) 2016-07-29

Family

ID=5611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401A KR101644171B1 (ko) 2014-12-16 2014-12-16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68907A1 (ko)
KR (1) KR101644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33B1 (ko) 2019-04-15 2019-08-28 김재홍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245B1 (en) * 2016-12-15 2018-06-26 Norbert Marocco Tension device
ES1190860Y (es) * 2017-08-04 2017-11-27 Bandalux Ind S 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a cadena de una cortina
CN109380963B (zh) * 2017-08-08 2021-09-07 德侑股份有限公司 用于窗帘操作线的限制器及使用限制器的窗帘
TWI640279B (zh) * 2017-08-08 2018-11-11 德侑股份有限公司 用於窗簾操作線的限制器及使用限制器的窗簾
KR102012859B1 (ko) * 2018-02-26 2019-08-21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및 그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US11098528B2 (en) 2018-06-19 2021-08-24 Hunter Douglas Inc. Tensioner for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GR1009584B (el) * 2018-07-03 2019-09-03 Στυλιανος Αθανασιου Κουπουρτιδης Μηχανισμος ασφαλους διαταξης κορδονιου-αλυσιδας χειρισμου περσιδων
CN108937507B (zh) * 2018-09-21 2023-08-11 宁波高新区一昊窗饰贸易有限公司 窗帘控制器安装结构及窗帘系统
CN217538514U (zh) * 2022-05-16 2022-10-04 广州市煦雅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上锁伸缩防护门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1622A1 (en) 2007-04-10 2008-10-16 Comfortex Corporation Looped-cord tensioner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20120211180A1 (en) 2011-02-18 2012-08-23 Whole Space Industries Ltd Loop Cord Tension Device for Window Coverings
US20120279021A1 (en) 2011-05-05 2012-11-08 Marocco Mario M Cord lock guide for blind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84A (en) * 1867-06-25 Improved curtain fixture
US86634A (en) * 1869-01-09 1869-02-09 Improved cord-tightener for curtains
US2200895A (en) * 1939-09-13 1940-05-14 Clarence J Rio Shoestring fastener
US4878269A (en) * 1986-09-10 1989-11-07 National Molding Corp. Cord fastener
GB8718662D0 (en) * 1987-08-06 1987-09-09 Cope & Timmins Ltd Cord tensioner
US5242006A (en) * 1992-10-14 1993-09-07 Eudelio Ortega Drapery weight and method
US5577543A (en) * 1994-08-19 1996-11-26 Verosol Usa Inc. Child safety device for looped cords
US5553650A (en) * 1994-08-19 1996-09-10 Verosol Usa Inc. Child safety device for looped cords
US5572770A (en) * 1995-08-18 1996-11-12 Boden; Robert O. Self locking cord lock
US5752558A (en) * 1997-06-16 1998-05-19 Lin; Cheng-Tai Tensioning device for a control cord of a blind assembly
US5894639A (en) * 1998-03-19 1999-04-20 Robert O. Boden Cord lock apparatus
US5845696A (en) * 1998-05-01 1998-12-08 Rainbow Industrial, Inc. Chain and cord safety device for adjustable blinds
US6085824A (en) * 1998-05-13 2000-07-11 All-Teck Blinds, P.T.B. Inc. Control cord end security device
US6792999B2 (en) * 2001-11-13 2004-09-21 Rollease, Inc. Tab release cord tension device
US7114544B2 (en) * 2004-09-07 2006-10-03 Hunter Douglas Inc. Cord tensioner for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931069B2 (en) * 2008-02-19 2011-04-26 Rollease Inc. Active tension device for a window covering
US8499814B2 (en) * 2009-02-27 2013-08-06 Philip Ng Chain locking device for window blind chain
TWM373190U (en) * 2009-08-13 2010-02-01 My Home Global Co Fixing device for bead chain chord of window curtain
TWM373187U (en) * 2009-08-13 2010-02-01 My Home Global Co Bead chain safety device for roller blinds
KR100994401B1 (ko) * 2010-04-13 2010-11-15 곽재석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
US9091117B2 (en) * 2010-08-26 2015-07-28 Philip Ng Universal child safety tensioner for roller blind
US8286686B2 (en) * 2010-12-23 2012-10-16 Rollease, Inc. Window treatment with cord guard
WO2012092549A1 (en) * 2010-12-30 2012-07-05 Hunter Douglas Inc. Operating cord system for retractable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935832B2 (en) * 2012-04-04 2015-01-20 Syn Yao Enterprise Co. Ltd. Structure to secure curtain rope
ITMI20121292A1 (it) * 2012-07-25 2014-01-26 Pellini Spa Dispositivo per comandare l'azionamento di un gruppo di movimentazione di una tenda
US9212518B2 (en) * 2013-03-15 2015-12-15 Bill Mann Control device for shades
CN203271549U (zh) * 2013-06-06 2013-11-06 宁波先锋新材料股份有限公司 窗帘拉珠固定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1622A1 (en) 2007-04-10 2008-10-16 Comfortex Corporation Looped-cord tensioner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20120211180A1 (en) 2011-02-18 2012-08-23 Whole Space Industries Ltd Loop Cord Tension Device for Window Coverings
US20120279021A1 (en) 2011-05-05 2012-11-08 Marocco Mario M Cord lock guide for bli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33B1 (ko) 2019-04-15 2019-08-28 김재홍 블라인드 작동줄의 감김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설치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64A (ko) 2016-06-24
US20160168907A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171B1 (ko) 블라인드 조정줄용 안전장치
EP3152382B1 (en) Child safe operating wand for a blind
US5513687A (en) Safety device for pull cords of window coverings
US9308838B2 (en) Center-pull latch mechanism
US20130091968A1 (en) Tension device for looped-cord system
AU2004200526B2 (en) Cord tensioner
WO2003052234A1 (en) Brake for a cordless blind
CA2921529C (en) Bi-directional clutch with return feature
KR20090024089A (ko) 앵커링 디바이스
DK201470008A1 (en) Window covering
US20030201076A1 (en) Venetian blind with concealed lift cords
CA2472424C (en) Cord member control device for venetian blind
KR20120122592A (ko)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JP5394892B2 (ja)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ガイド
EP3037619A1 (en) Shielding for doors or windows frame equipped with side-scrolling lateral box suitable to be free of lower guide
JP3266168B2 (ja) ベネシャンブラインドの昇降操作装置
KR101096852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KR200492078Y1 (ko) 롤 방충망의 핸들바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577812B1 (ko) 캐터필러식 방충망용 개폐안내장치
KR101562372B1 (ko)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CN214432385U (zh) 自动伞的开收控制装置
JP6166677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6345526B2 (ja) セーフティツール
KR101538885B1 (ko) 개선된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KR20120007976U (ko) 윈도우 쉐이드용 양방향 작동/전환 가능한 풀 코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