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372B1 -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372B1
KR101562372B1 KR1020140141044A KR20140141044A KR101562372B1 KR 101562372 B1 KR101562372 B1 KR 101562372B1 KR 1020140141044 A KR1020140141044 A KR 1020140141044A KR 20140141044 A KR20140141044 A KR 20140141044A KR 101562372 B1 KR101562372 B1 KR 10156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blinds
main body
operating
oper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희
정근영
황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엘
Priority to KR1020140141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삽입되도록 끼움부와 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에서 타단의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억지끼움 되며, 상기 협지부는, 줄이 통과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 통하는 걸림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손잡이로 사용하면서, 상기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부와 협지부에 작동줄을 각각 끼워 유아의 손이 닿지 않도록 높은 위치에 줄을 고정함으로써 블라인드 작동줄에 유아의 목이 감기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Blind Wire Holder}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라인드를 승강작동시에 사용되는 작동줄이 결합되고, 작동줄을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사무실의 창문에는 내부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채광량의 조절을 위해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블라인드의 종류로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 스크린 블라인드(screen blind), 로만셰이드(roman shade), 콤비 스크린(combi screen) 등이 있다.
블라인드는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된 스프로켓(sprocket)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결된 볼체인과 같은 블라인드 줄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크린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관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블라인드와 관련된 사고가 종종 발생되는데 주로 아이들이 창가 주변의 소파에 올라가서 블라이드 줄을 갖고 놀다 목에 감긴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목에 상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특허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162896호의 「블라인드 줄의 안전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관상체로 마련되어 블라인드 줄이 내부로 통과되며, 상기 블라인드 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주름관; 상기 주름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서 상기 블라인드 줄의 단부 영역이 이동 가능하게 파지되는 줄 파지용 하부 캡; 관상체로 마련되고 상기 주름관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름관에 대해 상기 블라인드 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우징; 상기 블라인드 줄이 통과되는 통과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블라인드 줄을 상기 통과구 영역에서 클램핑(clamping)시키는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여 제품 단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볼타입과 일반 줄타입으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2가지 타입의 작동줄에 공히 적용되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라인드 작동줄의 하단에 매달려 사용되고, 블라인드 작동줄을 블라인드용 줄고정구 홈에 끼워 유아의 손이 닿지 않도록 하여 블라인드 작동줄에 유아의 목이 감기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도록하고, 볼타입과 일반 줄타입의 작동줄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삽입되도록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에서 타단의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삽입되도록 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협지부는 줄이 통과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 통하며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삽입되도록 끼움부와 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에서 타단의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억지끼움 되며, 상기 협지부는 줄이 통과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 통하는 걸림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는 블라인드 작동줄의 손잡이로 사용하면서, 상기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부와 협지부에 작동줄을 각각 끼워 유아의 손이 닿지 않도록 높은 위치에 줄을 고정함으로써 블라인드 작동줄에 유아의 목이 감기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볼타입과 일반 줄타입의 작동줄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A)는, 블라인드의 작동줄(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2)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100)이 통과되는 관통구(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동줄(100)이 삽입되도록 끼움부(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24)는, 상기 본체(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통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241)에서 타단의 개구부(242)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타단 개구부(242)의 직경은 작동줄(10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2)는 손으로 쥐기 용이하도록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관통구(22)가 형성되며, 타측 상면에 끼움부(24)가 형성된다.
끼움부(24)는 본체(2)의 상면으로부터 직선형태로 인입되어 일정깊이로 패여져 형성되므로 그 양단부는 본체(2)의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기 개구부(241,242)가 형성된다.
끼움부(24)의 깊이는 대략 작동줄(100)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끼움부(24)의 내면에 돌출부(25)가 형성되고, 돌출부(25)의 외면에는 거칠기를 갖도록 다수의 미세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간격이 협소해지는 돌출부(25)에 작동줄(100)에 억지끼움되고 아울러 미세돌기가 작동줄(100)에 박히게 되므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의 일측 관통구(22)를 통해 작동줄(100)이 통과되도록 결합된다. 이후 유아가 손이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은 위치에 본체(2)를 위치한 후 일측 작동줄(100)을 끼움부(24)에 끼워넣고, 직경이 협소한 쪽으로 작동줄(100)을 당겨 견고하게 끼임 상태가 되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외면이 밋밋한 줄(102')과, 줄(102')에 다수로 결합된 볼(104')로 구성된 블라인드의 볼타입 작동줄(100')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2)의 일측에 볼타입 작동줄(100)이 통과되는 관통구(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되도록 협지부(26)가 형성된다.
협지부(26)는 줄(102)이 통과되는 슬릿(262)과, 상기 슬릿(262)의 양측에 형성되어 볼(104)이 걸리는 단턱(264)과, 상기 슬릿(262)에 통하며 볼(104) 보다 직경이 작은 걸림공(26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의 일측 관통구(22)를 통해 작동줄(100)이 통과되도록 결합된다.
이후 유아가 손이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은 위치에 본체(2)를 위치시킨 후 볼타입 작동줄(100)을 협지부(26)의 슬릿(262)으로 밀어넣고, 볼(104)이 걸림공(266)의 상부에 걸려 끼임 상태가 되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22 : 관통구
24 : 끼움부 25 : 돌출부
26 : 협지부 262 : 슬릿
264 : 단턱 266 : 걸림공
100 : 작동줄

Claims (5)

  1.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삽입되도록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에서 타단의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2.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삽입되도록 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협지부는
    줄이 통과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 통하며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3. 블라인드의 작동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삽입되도록 끼움부와 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통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에서 타단의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블라인드의 작동줄이 억지끼움 되며,
    상기 협지부는
    줄이 통과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 통하는 걸림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내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양측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 줄 고정구.
KR1020140141044A 2014-10-17 2014-10-17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KR10156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44A KR101562372B1 (ko) 2014-10-17 2014-10-17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44A KR101562372B1 (ko) 2014-10-17 2014-10-17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372B1 true KR101562372B1 (ko) 2015-10-22

Family

ID=5442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044A KR101562372B1 (ko) 2014-10-17 2014-10-17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3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478A (ko) * 2017-12-08 2017-12-1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KR20210039016A (ko) * 2019-10-01 2021-04-0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89B1 (ko) 2013-07-24 2013-10-2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1442465B1 (ko) 2013-08-26 2014-09-23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89B1 (ko) 2013-07-24 2013-10-2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1442465B1 (ko) 2013-08-26 2014-09-23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478A (ko) * 2017-12-08 2017-12-1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KR102071032B1 (ko) 2017-12-08 2020-01-2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KR20210039016A (ko) * 2019-10-01 2021-04-0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2271085B1 (ko) 2019-10-01 2021-06-29 유상원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96B1 (ko) 블라인드 줄의 안전장치
US9175512B2 (en) Curtain pull bead fixing apparatus
KR101159248B1 (ko) 블라인드용 안전 보호구
CA2747919A1 (en) Cord lock guide for blinds
KR101562372B1 (ko)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WO2015030540A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및 그의 부착장치
KR101442465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1323289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TWM373190U (en) Fixing device for bead chain chord of window curtain
KR101630619B1 (ko)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구동장치
US10584529B2 (en) Safety device for a chain of a shade
CN205297267U (zh) 一种安全扣及安装有该安全扣的卷帘
KR10138380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블라인드
CA2954336C (en) Device for stopping, releasing and restoring the position of roller-type window nets
US20170022756A1 (en) Safety bead chain for blinds
KR102071032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무게추 겸용 안전 손잡이
CN105332635A (zh) 一种安全扣及安装有该安全扣的卷帘
KR101549068B1 (ko) 블라인드 줄의 안전장치
NZ593189A (en) A guide for a blind cord with a slot to allow the cord to escape if the cord has a force exerted over normal use
TWI640279B (zh) 用於窗簾操作線的限制器及使用限制器的窗簾
KR20190041135A (ko) 안전결속구를 갖는 블라인드줄
GB2531911A (en) Safety device for a roman blind assembly
KR102271085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TWM422932U (en) Rope-control and draw-brace apparatus for curtain
KR20190090943A (ko) 블라인드용 작동줄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