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923B1 -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923B1
KR101626923B1 KR1020130153736A KR20130153736A KR101626923B1 KR 101626923 B1 KR101626923 B1 KR 101626923B1 KR 1020130153736 A KR1020130153736 A KR 1020130153736A KR 20130153736 A KR20130153736 A KR 20130153736A KR 101626923 B1 KR101626923 B1 KR 10162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winding
elastic member
connecting means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018A (ko
Inventor
오철근
Original Assignee
오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근 filed Critical 오철근
Priority to KR102013015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9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사용과정에서 블라인드 줄에 아이들의 목이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안전사고예방을 위해 블라인드 줄을 묶어 놓거나, 벽의 돌출부, 창문의 고리등에 감는 등의 불편함을 일소하도록 구성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는, 일측에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상면에 좌우 1쌍의 고정부재(322)(324)가 입설되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310)가 탈착되기 위한 중공(中空)의 연결봉(326)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개구부(314)와 대향되는 위치에 개구부(328)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 상기 고정부재(322)(324)의 상부로부터 안착되는 탄성부재(330); 및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부로부터 안착되어 탄성부재(330)와 함께 회동하는 권취선조립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blind line}
본 발명은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라인드의 사용과정에서 블라인드 줄에 아이들의 목이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안전사고예방을 위해 블라인드 줄을 묶어 놓거나, 벽의 돌출부, 창문의 고리등에 감는 등의 불편함을 일소(一掃)하도록 구성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curtain)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한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롤 블라인드(roll blind),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 스크린 블라인드(screen blind), 로만 셰이드(roman shade), 콤비 스크린(combi screen) 등으로 분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롤 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 스크린 블라인드, 로만 셰이드등의 스크린 또는 블라인드를 브라켓(bracket)의 한쪽에 설치된 스프로켓(sprocket)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결된 볼 체인(ball chain)과 같은 블라인드 줄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크린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관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블라인드 줄(110)을 포함하는 블라인드(100)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에서 스크린 또는 블라인드를 상하,좌우로 작동시키기 위한 블라인드 줄(110)은 아이들의 목이 걸리는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외에서 블라인드 줄과 관련한 아동들의 인명 피해가 잇따르고 있으며, 블라인드 안전사고가 얼마나 발생하는지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미국은 1999년 이후 최근까지 블라인드 줄 사고로 숨진 아이가 120명에 달하고 캐나다도 28명이 사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많은 아동들의 사망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미국 및 유럽주요국 등은 어린이 질식사를 방지하려고 블라인드류의 안전기준 표시 및 경고 사항 등의 규정을 마련하였으며, 이와 관련 대한민국 정부는 공산품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안전 품질표시 대상 공산품에 포함 관리하는 등 블라인드 줄의 강도, 줄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부품 포함 의무화를 시행키로 하였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 통상 블라인드 줄을 묶어 놓거나, 벽의 돌출부 또는 창문의 고리등에 블라인드 줄을 감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43905호(2013. 03. 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가 블라인드 줄을 당기며 놀다가 목에 걸리는 일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 줄에 아이들의 목이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줄을 묶어놓거나, 벽의 돌출부, 창문의 고리등에 감아 놓은 불편함을 일소(一掃)하는 것이 가능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에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상면에 좌우 1쌍의 고정부재(322)(324)가 입설되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310)가 탈착되기 위한 중공(中空)의 연결봉(326)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개구부(314)와 대향되는 위치에 개구부(328)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 상기 고정부재(322)(324)의 상부로부터 안착되는 탄성부재(330); 및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부로부터 안착되어 탄성부재(330)와 함께 회동하는 권취선조립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322)(324)는,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상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편심(偏心)되게끔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권취선조립체(340)는, 실패 형상을 갖는 권취선감김부재(342)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선감김부재(342)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구부(314)(328)를 통해 인출되는 권취선(344)과; 상기 권취선(344)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블라인드 줄(210)이 통과되는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고리(348)이거나, 스냅링(snap ring)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동일 평면상의 본체(400)에 상기 블라인드 줄(210)이 통과하는 관통공(410)이 좌우 1쌍 구비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각각 'C'자 단면을 갖는 제 1연결부재(510) 및 제 2연결부재(5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따르면, 블라인드 줄을 사용하지 않을 때 블라인드 줄은 일정 높이 이상 위치한 상태에서 아이의 팔이 닿지 않으므로 아이가 블라인드 줄에 목이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줄에 아이들의 목이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줄을 묶어놓거나, 벽의 돌출부, 창문의 고리등에 감아 놓은 불편함을 일소(一掃)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블라인드 줄을 포함하는 블라인드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의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권취선감김부재에 권취선이 감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의 또 다른 예를 평면도 및 분리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의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권취선감김부재에 권취선이 감긴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의 또 다른 예를 평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는 크게 상부 케이스(310), 하부 케이스(320), 탄성부재(330), 권취선조립체(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3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이 개방된 원통체로서 일측에 개구부(314)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는 후술하는 권취선(344)의 입출 과정에서 마찰을 통한 권취선(344)의 훼손을 막기 위해 라운딩(rounding)진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케이스(3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원통체로서 상면에 좌우 1쌍의 고정부재(322)(324)가 일체로서 입설되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부 케이스(310)가 탈착되기 위한 중공(中空)의 연결봉(326)이 90°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부 케이스(310)의 개구부(314)와 대향되는 위치에 개구부(328)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328) 역시 전술한 개구부(314)와 같이 권취선(344)의 훼손을 막기 위해 라운딩진 형태를 갖도록 하며, 고정부재(322)(324)는 권취선(344)이 개구부(314)(328)를 통해 입출되는 과정에서 권취선(344)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하부 케이스(320)의 상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편심(偏心)되게끔 구비된다.
즉, 고정부재(322)(324)의 중심부와 개구부(314)(328)의 중심부가 평행하게끔 고정부재(322)(324)는 하부 케이스(320)의 상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끔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상부 케이스(310)에는 연결봉(326)과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봉에 삽입되기 위한 연결돌기(미도시)가 각각 일체로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연결봉(326)과 연결돌기의 결합 방식은 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사각 형태의 삽입홈에 쐐기 형태의 삽입돌기가 연결되는 등 여러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하부 케이스(310)(320)는 본 발명에서 원통 형태를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별, 원형, 타원형 등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부 케이스(310)(320)는 조립된 상태에서 실내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의 벽면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별도의 케이스 또는 나사못등 여러 다양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또는, 상부, 하부 케이스(310)(320)는 조립된 상태에서 실내의 천정에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토션 스프링(spiral torsion spring), 일명 태엽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재(322)(324)의 상부로부터 고정부재(322)(324)상에 안착되며, 탄성부재(330)의 안쪽 선단부가 고정부재(322)(324) 사이에 삽입된다.
권취선조립체(3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30)의 상부로부터 안착되어 탄성부재(330)과 함께 회동하며, 실패 형상을 갖는 권취선감김부재(342)가 구비되고, 권취선(344)의 일단부가 권취선감김부재(342)에 고정 연결되며, 권취선(344)의 타단부가 개구부(314)(328)를 통해 인출된다.
이때, 권취선감김부재(342)를 실패 형상으로 한 것은 직선 형태를 갖는 중앙부 외주면을 통해 권취선(344)이 고르게 감기고, 권취선의 이탈을 방지하며, 보다 많은 양의 권취선(344)을 감기 위함이다.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선(344)의 선단부에 연결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링 형태의 고리(348)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고리(348)는 블라인드 줄(210)의 승강 과정에서 미끄럼 작용이 용이하도록 외면이 라운딩진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원형 형태를 갖는 스냅링(snap ring, 일명 카라비너)(도면부호 미부여)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블라인드 줄(210)이 일정 직경 이상으로 고리(348)에 통과하기 어려울 경우, 스냅링의 스프링(미도시)을 통해 한쪽 면의 안쪽으로 오픈한 후, 블라인드 줄(210)을 통과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도 7을 참조하면 소정 두께를 갖는 대략 '8'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본체(400)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좌우 1쌍의 관통공(410)를 형성하여 이 관통공에 블라인드 줄(210)의 오르고 내리는 줄을 분리하여 따로 따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는 링 형태를 갖는 좌우 1쌍의 고리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도 8(a), 8(b)를 참조하면 좌우로 분리 가능한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C'자 단면을 갖는 제 1연결부재(510)가 구비되고, 역시 'C'자 단면을 갖는 제 2연결부재(520)의 일단이 제 1연결부재(510)에 결합돌기(522)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 1연결부재(510)의 양 단부에 결합홈(512)이 형성되고, 제 2연결부재(520)의 양단부에는 결합돌기(5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2연결부재(520)가 제 1연결부재(510)에 삽입 또는 탈거되며, 블라인드 줄(210)의 추(220)의 직경이 굵어서 전술한 고리(348)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위와 같이 제 2연결부재(520)를 제 1연결부재(51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블라인드 줄(210)을 넣고 다시 제 2연결부재(520)를 제 1연결부재(510)에 결합시켜서 블라인드 줄(21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줄(210)을 사용하지 않을 때, 탄성부재(330)가 곧게 펴지려는 성질이 나타나면서 권취선(344)은 권취선감김부재(342)에 모두 감겨서 권취선(344)이 상부, 하부 케이스(310)(3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200)의 사용을 위해 블라인드 줄(210)을 잡아당김에 따라 고리(348)가 상부, 하부 케이스(310)(320)로부터 이격되면서 권취선(344)이 풀려서 개구부(314)(328)를 통해 인출되며, 이때 탄성부재(330)는 여러번 감겨져서 조여진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22)(324)가 하부 케이스(320)의 상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구비되어 개구부(314)(328)와 권취선(344)이 일직선 형태가 되므로 권취선(344)이 풀리거나 감기는 과정에서 권취선(344)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줄(210)을 사용하고 난 후, 손을 놓음에 따라 탄성부재(330)가 다시 곧게 펴지려는 성질이 나타나면서 고리(348)가 상부, 하부 케이스(310)(320)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권취선(344)이 풀려서 개구부(314)(328)측으로 이동되고, 권취선(344)이 권취선감김부재(342)에 감기면서 도 2와 같은 초기 상태로 된다.
즉, 블라인드 줄(210)을 당기거나 놓음에 따라 권취선(344)이 탄성부재(330)의 탄성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그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블라인드 줄(210)을 사용하지 않을 때 블라인드 줄은 일정 높이 이상 위치한 상태에서 아이의 팔이 닿지 않으므로 아이가 블라인드 줄(210)을 당기며 놀다가 목에 걸리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블라인드 줄(210)에 아이들의 목이 걸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줄(210)을 묶어놓거나, 벽의 뾰족한 돌출부, 또는 창문의 고리등에 감아 놓은 불편함을 일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블라인드에 한정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튼, 버티컬, 롤스크린, 자바라형 빨래건조대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200 : 블라인드 210 : 블라인드 줄
300 :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310 : 상부 케이스
320 : 하부 케이스 322,324 : 고정부재
326 : 연결봉 330 : 탄성부재
340 : 권취선조립체 342 : 권취선감김부재
344 : 권취선 348 : 고리
350 : 스냅링 400 : 본체
410 : 관통공 510 : 제 1연결부재
520 : 제 2연결부재

Claims (7)

  1. 일측에 라운딩(rounding)진 형태를 갖는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상면에 좌우 1쌍의 고정부재(322)(324)가 입설되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310)가 탈착되기 위한 중공(中空)의 연결봉(326)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개구부(314)와 대향되는 위치에 라운딩(rounding)진 형태를 갖는 개구부(328)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
    상기 고정부재(322)(324)의 상부로부터 안착되는 탄성부재(330); 및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부로부터 안착되어 탄성부재(330)와 함께 회동하는 것으로, 실패 형상을 갖는 권취선감김부재(342)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선감김부재(342)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구부(314)(328)를 통해 인출되는 권취선(344)과, 상기 권취선(344)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블라인드 줄(210)이 통과되는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권취선조립체(3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하부 케이스(310)(320)는 조립된 상태에서 실내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의 벽면이나 실내의 천정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322)(324)는 상기 개구부(314)(328)와 평행하게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상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편심(偏心)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고리(3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스냅링(snap 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좌우 1쌍의 관통공(410)을 구비한 본체(400)의 상기 관통공(410)에 블라인드 줄(210)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줄 연결수단은,
    각각 'C'자 단면을 갖는 제 1연결부재(510) 및 제 2연결부재(5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KR1020130153736A 2013-12-11 2013-12-11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KR101626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36A KR101626923B1 (ko) 2013-12-11 2013-12-11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36A KR101626923B1 (ko) 2013-12-11 2013-12-11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18A KR20150068018A (ko) 2015-06-19
KR101626923B1 true KR101626923B1 (ko) 2016-06-02

Family

ID=5351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736A KR101626923B1 (ko) 2013-12-11 2013-12-11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898B1 (ko) * 2018-05-17 2019-09-02 정유석 블라인드 안전박스 어셈블리
KR102641431B1 (ko) * 2021-06-01 2024-02-27 박병규 블라인드 작동 안전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05B1 (ko) 2011-07-01 2013-03-15 김성철 블라인드 줄에 결합되는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1270204B1 (ko) * 2011-07-08 2013-05-31 이동원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KR20130011342A (ko) * 2011-07-21 2013-01-30 김남훈 조정 줄을 갖는 블라인드의 어린이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18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020B1 (en) Single pull-cord controller of roman shade
US8662136B2 (en) Anti-strangulation apparatus for, and hanging freely with, a looped cord of a window covering device
US9157274B2 (en) Window covering
US9045934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KR101323289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1626923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US11866992B2 (en)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US20140048217A1 (en) Cord protection sleeve for cordless blinds
WO2015057027A1 (ko) 블라인드 구동장치
KR200467065Y1 (ko) 분리가능한 커튼 코드
KR20130011342A (ko) 조정 줄을 갖는 블라인드의 어린이 안전장치
US9187952B2 (en) Cordless blind system and retro-fit method
US20150300083A1 (en) Safety device for a window blind
JP6204214B2 (ja) セーフティツール
KR10138380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블라인드
KR101437853B1 (ko) 소아 안전사고 방지용 롤 블라인드
KR20150123060A (ko) 블라인드의 안전장치
KR101562372B1 (ko)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WO2014204059A1 (ko) 코드줄 내장형 로만쉐이드
KR102050656B1 (ko) 안전결속구를 갖는 블라인드줄
JP6345526B2 (ja) セーフティツール
KR20190052764A (ko) 블라인드용 작동줄 안전홀더
JP6385807B2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構造
KR101591764B1 (ko) 안전성이 개선된 블라인드
US20240110440A1 (en) Blind line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