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348B1 -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348B1
KR101048348B1 KR1020090031715A KR20090031715A KR101048348B1 KR 101048348 B1 KR101048348 B1 KR 101048348B1 KR 1020090031715 A KR1020090031715 A KR 1020090031715A KR 20090031715 A KR20090031715 A KR 20090031715A KR 101048348 B1 KR101048348 B1 KR 10104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king
truss
rolling gea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242A (ko
Inventor
장오성
Original Assignee
창화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화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창화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09003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3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4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dr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50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hang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industrial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제동부를 구비하여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 상기 각 도어 프레임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상부를 고정하는 수평 트러스;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하단 트러스에 연결된 승강 와이어; 상기 수평 트러스의 상단에서 상기 최하단 트러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승강 와이어에 전달하는 도어 구동부를 구비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트러스의 양쪽 끝단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최하단 트러스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최하단 트러스에 제동을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캔버스 도어, 도어 프레임, 고정 브라켓, 하부 트러스

Description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 DROP OF A CANVAS DOOR}
본 발명은 캔버스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제동부를 구비하여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 도어 또는 셔터라고 지칭하기도 하는 캔버스 도어장치는 각종 출입구 및 대문, 공장 출입문, 상가 건물, 전동차류의 도어 등에 사용되어 출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공장이나 주차장 등의 출입문에서는 대면적의 도어를 모터의 동작에 의해 단일의 작업자가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형 선박이나 차량 및 전자제품 등의 조립 공장이나 제조 공장과 같은 대형화된 공장건물, 격납고, 대형 차량이나 크레인 등이 운집되는 주차장 및 대형 차량이 입고되는 창고건물 등에는 초대형화된 캔버스 도어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해 밀폐의 기능이 아닌 비바람 및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캔버스 도어장치는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와이어 드럼에 승강용 와이어들이 감겨 올라감으로써, 도어가 상부로 이동하여 출입구 등이 오픈된다. 그리고 와이어 드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와이어 드럼에 감겨있던 승강용 와이어가 풀리면서 도어가 하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캔버스 도어장치는 대형화 될수록 그 도어의 중량이 약 3 내지 10톤(ton)에 달하기도 하므로 도어의 개폐를 위해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어 이송되는 승강용 와이어가 도어의 동작중에 절단되거나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 부품 등이 파손되면, 그 하부에 위치된 물건 또는 사람 등이 크게 부서지거나 다치게 되는 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캔버스 도어를 승강하기 위한 승강용 와이어의 절단시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다양한 기술개발 및 특허출원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제동부를 구비하여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 상기 각 도어 프레임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상부를 고정하는 수평 트러스;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하단 트러스에 연결된 승강 와이어; 상기 수평 트러스의 상단에서 상기 최하단 트러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승강 와이어에 전달하는 도어 구동부를 구비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트러스의 양쪽 끝단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최하단 트러스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최하단 트러스에 제동을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는 상기 각 도어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최하단 트러스의 일측에 연결 고정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응 되는 위치의 하부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 롤러,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평 트러스의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된 롤링 기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 고리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지지 롤러와 상기 롤링 기어를 둘러싸도록 맞물림으로써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와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 트러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강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롤링 기어와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을 통해 상기 최하단 트러스에 제동을 걸어주는 제동 기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 와이어는 전체 길이의 절반인 상기 고정 브라켓이 승강하는 동안 상기 롤링 기어와 접속되는 길이가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승강시 상기 지지 롤러와 접속되는 나머지 절반은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링 기어는 중심부에 골이 형성된 롤러의 형태로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pinion gea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 기기는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 동력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승강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승강 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 동력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동력전달 클러치 및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로부터의 회전동력 전달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에 제동을 걸어줌으로써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에 제동을 걸어주는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는 상기 롤링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롤링 기어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밸런스 웨이트,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가동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밸런스 웨이트와 함께 회전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의 가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레버, 상기 무게추에 대한 조절력을 상기 조절 레버에 발생하게 하는 조절 레버 스프링,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 작동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끝단과 맞물리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상기 무게추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의 맞물림을 유지시켜주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 압착력을 발생시키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그 일부가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내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 트러스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는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제동부를 구비하여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캔버스 도어가 설치되는 영역 내에 설치되어 소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 및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는 적어도 하나씩 절첩되거나 감길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16); 상기 각 도어 프레임(16)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12); 각 가이드 레일(12)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도어 프레임(16)들 중 최상부를 고정하는 수평 트러스(14); 각각의 도어 프레임(16) 사이를 통과하여 복수의 도어 프레임(16) 중 최하단 트러스(31)에 연결된 승강 와이어(28); 수평 트러스(14)의 상단에서 최하단 트러스(31)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승강 와이어(28)에 전달하는 도어 구동부(13)를 구비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수평 트러스(14)의 양쪽 끝단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도어 프레임(16) 및 최하단 트러스(31)의 하강 속도에 따라 최하단 트러스(31)에 제동을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15)를 구비한다.
상기의 도어 구동부(13)는 수평 트러스(14)의 중앙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각 도어 프레임(16)을 포함하여 최하단 트러스(31)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와이어(28)들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롤러 형태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드럼 및 상기 각각의 모터와 와이어 드럼의 사이에서 회전 속도를 조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각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각각의 와이어 드럼에는 소정의 거리 간격으로 각 도어 프레임(16) 및 최하단 트러스(31)에 연결된 승강 와이어(28)들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수평 트러스(14)의 상면 양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상부 롤러(25a,25d)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어 프레임(16) 중 최하단에 마련된 최하단 트러스(31)에는 승강 와이어(28)가 연결된다. 그리고, 각 도어 프레임(16) 등으로 이루어진 도어에 자중을 부여하는 최하단 트러스(31)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30b,30c,30c,30d)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에, 승강 와이어(28)는 좌우측 하단의 하부 롤러(30e,30f)를 통해 연결되며, 다시 일정간격 이격된 하면에 구비된 또 다른 하부 롤러(30b,30c)를 통해 연결되고, 그 승강 와이어(28)는 다시 수평 트러스(14)에 고정된 각각의 상부 롤러(25a,25b,25c,25d)를 통해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최하단 트러스(31)에 구비된 고정부(30a,30d)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승강 와이어(28)는 각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의해 그 와이어 드럼에 감기게 됨으로써, 상부로 이송되어 도어가 상승 및 오픈될 수 있으며, 와이어 드럼의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와이어 드럼에 감겼던 승강 와이어(28)가 풀리면서 도어가 하강 및 닫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초대형 캔버스 도어는 양측의 가이드 레일(12)에 의해 지지되는 도어 즉,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도어 프레임(16) 및 최하단 트러스(31)가 상하로 절첩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어 제동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제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제동부(15)는 상기 각 도어 프레임(16) 중 어느 하나 또는 최하단 트러스(31)의 일측에 연결 고정된 고정 브라켓(32), 고정 브라켓(32)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 롤러(52), 고정 브라켓(32)과 대응되는 위치의 수평 트러스(14)의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된 롤링 기어(61), 고정 브라켓(32)의 상부 및 하부 고리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고 지지 롤러(52)와 롤링 기어(61)를 둘러싸도록 맞물림으로써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제동 와이어(50) 및 롤링 기어(61)와 연결되도록 수평 트러스(14)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 와이어(50) 및 상기 롤링 기어(61)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32)의 하강 속도를 감지하고 고정 브라켓(32)의 하강 속도에 따라 롤링 기어(61)와 제동 와이어(50) 및 고정 브라켓(32)을 통해 최하단 트러스(31)에 제동을 걸어주는 제동 기기(51)를 구비한다.
고정 브라켓(32)은 절첩 가능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16) 중 어느 한 도어 프레임(16)의 일 측면이나 최하단 트러스(31)의 일측에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32)은 각 도어 프레임(16)과 최하단 트러스(31)의 재질 특성상 최하단 트러스(31)의 일측에 연결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하단 트러스(31)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경우에는 최하단 트러스(31)와 함께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 롤러(52)와 접촉되지 않도록 바닥면 모서리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롤러(52)는 도 3과 같이, 고정 브라켓(32)의 상부에 제동 와이어(5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롤링 기어(61)를 통해 고정 브라켓(32)의 하부 측에 제동 와이어(50)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마 련된다. 이러한, 지지 롤러(52)가 상기 최하단 트러스(31)와 고정 브라켓(32)의 하부 경사부분에 형성됨으로써 본원발명의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는 기존의 캔버스 도어가 설치되는 영역 내에 설치되어 소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롤링 기어(61)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형태가 골이 형성된 롤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그 골의 깊이와 폭에 따라서 제동 와이어(50)와 마찰력 즉, 급 제동시 제동 와이어(50)를 고정하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롤링 기어(61)가 피니언 기어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면, 상기 제동 와이어(50)의 경우에는 레크 기어(rack gear)의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롤링 기어(61)와 제동 와이어(50)는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 또는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롤링 기어(61)는 제동 기기(51)에 직접적으로 결합 또는 조립되기도 하며, 제동 기기(51)와 일체로 형성되기도 한다.
제동 와이어(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32)의 상부 및 하부 고리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고, 지지 롤러(52)와 롤링 기어(61)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루프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동 와이어(50)는 상기의 롤링 기어(61)를 통해 제동력을 확실히 전달받기 위해 상기의 도어와 고정 브라켓(32)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안 상기 롤링 기어(61)에 맞물리는 부분들이 모두 체인(50a)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제동 와이어(50)는 전체 길이의 절반인 고정 브라켓(32)이 승강하는 동안 롤링 기어(61)와 접속되는 길이가 체인(50a)으로 이루어지고, 고정 브라 켓(32)의 승강시 지지 롤러(52)와 접속되는 나머지 절반은 와이어(5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동 와이어(50)는 상기 고정 브라켓(32)의 급 제동시 체인(50a) 부분이 골이 형성된 롤링 기어(61)로부터 제동력을 확실하게 전달받고 고정 브라켓(32)을 급 제동시킬 수 있다.
제동 기기(51)는 롤링 기어(61)와 연결되거나 또는 롤링 기어(61)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 트러스(14)의 일측 상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동 기기(51)는 제동 와이어(50) 및 롤링 기어(61)를 통해 전달되는 고정 브라켓(32)의 하강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고정 브라켓(32)의 하강 속도에 따라 롤링 기어(61)와 제동 와이어(50) 및 고정 브라켓(32)을 통해 최하단 트러스(31)에 제동을 걸어주게 된다. 이러한, 제동 기기(51)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롤링 기어와 제동 기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동 기기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동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동 기기(51)는 제동 와이어(50) 및 롤링 기어(61) 등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 동력에 따라 고정 브라켓(32)의 승강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승강 속도에 따라 회전 동력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동력전달 클러치(40) 및 동력전달 클러치(40)로부터의 회전동력 전달 여부에 따라 동력전달 클러치(40)에 제동을 걸어줌으로써 제동 와이어(50) 및 롤링 기어(61)에 제동을 걸어주는 일방향 클러치(48)를 구비한다.
상기 롤링 기어(61)의 경우 제동 기기(51)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기도 하지만 이하에서는 롤링 기어(61)가 제동 기기(51)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롤링 기어(61)는 상기 제동 와이어(50) 중 체인(50a) 부분과 물려서 회전하며, 롤링 기어(61)와 동력전달 클러치(40)의 사이에는 롤링 기어(6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 클러치(40)로 전달하는 피니언 축(6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피니언 축(60)은 베어링(62)에 의해 지지된다.
동력전달 클러치(40)는 롤링 기어(61)에 연결되어 롤링 기어(61)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밸런스 웨이트(58), 밸런스 웨이트(58)에 가동 상태로 설치되어 밸런스 웨이트(41)와 함께 회전하는 무게추(74), 무게추(74)의 가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레버(73), 무게추(74)에 대한 조절력을 조절 레버(73)에 발생하게 하는 조절 레버 스프링(72a), 동력전달 클러치(40) 작동 상태에서 무게추(74)의 끝단과 맞물리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56), 무게추(74)와 돌기(56)의 맞물림을 유지시켜주는 스토퍼(71a) 및 스토퍼(71a)에 압착력을 발생시키는 판 스프링(71)을 구비한다.
일방향 클러치(48)는 동력전달 클러치(40)의 돌기(56)가 형성된 구동축(64), 구동축(64)의 외주 면에 그 일부가 설치되는 스프링(53), 스프링(53) 내로 설치되며 수평 트러스(14)에 고정되는 고정축(5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축(64)의 회전 방향은 스프링(53)의 감김 방향이어야 하며, 구동축(64)은 구동축 지지케이스(54)에 의하여 베어링(57)으로 지지된다.
구동축 지지케이스(5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3)에 의하여 수평 트러스(14)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축(55)은 중공축으로 하고 상기 고정축(55) 내로 상기 구동축(64)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제동 기기(51)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고정 브라켓(32)과 최하단 트러스(31)가 정상 속도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 롤링 기어(61) 및 밸런스 웨이트(58)는 저속 회전하고, 밸런스 웨이트(58)에 설치된 무게추(74)의 원심력이 조절 레버 스프링(72a)의 조절력보다 작아서 무게추(74)와 돌기(56) 사이에 물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롤링 기어(61)의 회전이 구동축(64)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하지만, 고장 등의 사고로 인하여 고정 브라켓(32)과 최하단 트러스(31)가 추락하게 되면, 롤링 기어(61)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밸런스 웨이트(58) 및 무게추(74)의 회전 속도도 빨라져서, 무게추(74)에 큰 원심력이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원심력이 조절 레버 스프링(72a) 조절력보다 커지면 무게추(74)가 조절 레버(73)를 당기게 되어 도 6에서와 같이 무게추(74)와 돌기(56)와 서로 물리게 된다. 무게추(74)와 돌기(56) 사이에 물림이 발생하면 롤링 기어(61) 회전이 구동축(64)으로 전달된다.
구동축(64) 및 고정축(55)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53)은 초기 상태에서는 구동축(64)과 함께 회전하지 않으나, 구동축(64)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의 증가로 구 동축(64)과 함께 회전하면서 구동축(64)과 수평 트러스(14)에 고정된 고정축(55)을 조이게 되며, 일정 시간 후에 마찰력이 최고 값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마찰력이 최고 값에 이르게 되면 구동축(64)이 고정축(55)과 스프링(53)에 의해 고정되고 이에 따라 롤링 기어(61)의 회전 또한 정지하게 된다.
즉, 롤링 기어(61)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동축(64)이 고정축(55)과 스프링(53)에 의해 고정되면, 롤링 기어(61)의 회전이 정지되고 롤링 기어(61)에 맞물린 제동 와이어(50)와 고정 브라켓(32) 및 최하단 트러스(31)의 하강이 중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는 고정 브라켓(32) 및 최하단 트러스(31)가 구비된 도어의 하강 속도에 대응하여 도어를 제동시킴으로써 캔버스 도어의 갑작스런 하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어 제동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제동부의 측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롤링 기어와 제동 기기의 측면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동 기기의 정면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동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정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2: 가이드 레일 13: 도어 구동부
14: 수평 트러스 15: 도어 제동부
16: 도어 프레임 28: 승강 와이어
31: 최하단 트러스 32: 고정 브라켓
40: 동력전달 클러치 48: 일방향 클러치
50: 제동 와이어 51: 제동 기기

Claims (7)

  1. 수평으로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복수의 도어 프레임;
    상기 각 도어 프레임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상부를 고정하는 수평 트러스;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최하단 트러스에 연결된 승강 와이어;
    상기 수평 트러스의 상단에서 상기 최하단 트러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승강 와이어에 전달하는 도어 구동부를 구비한 캔버스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트러스의 양쪽 끝단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최하단 트러스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최하단 트러스에 제동을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는
    상기 각 도어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최하단 트러스의 일측에 연결 고정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평 트러스의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된 롤링 기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 고리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롤링 기어를 둘러싸도록 맞물림으로써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와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 트러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강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롤링 기어와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을 통해 상기 최하단 트러스에 제동을 걸어주는 제동 기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제동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 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동 와이어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 및 하부 고리에 양 끝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지지 롤러와 상기 롤링 기어를 둘러싸도록 맞물림으로써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와이어는
    전체 길이의 절반인 상기 고정 브라켓이 승강하는 동안 상기 롤링 기어와 접속되는 길이가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승강시 상기 지지 롤러와 접속되는 나머지 절반은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기어는
    중심부에 골이 형성된 롤러의 형태로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pinion gea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기기는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 동력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승강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승강 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 동력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동력전달 클러치, 및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로부터의 회전동력 전달 여부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에 제동을 걸어줌으로써 상기 제동 와이어 및 상기 롤링 기어에 제동을 걸어주는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는
    상기 롤링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롤링 기어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밸런스 웨이트,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가동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밸런스 웨이트와 함께 회전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의 가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레버,
    상기 무게추에 대한 조절력을 상기 조절 레버에 발생하게 하는 조절 레버 스 프링,
    상기 동력전달 클러치 작동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끝단과 맞물리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상기 무게추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의 맞물림을 유지시켜주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 압착력을 발생시키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그 일부가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내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 트러스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1020090031715A 2009-04-13 2009-04-13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10104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15A KR101048348B1 (ko) 2009-04-13 2009-04-13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15A KR101048348B1 (ko) 2009-04-13 2009-04-13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42A KR20100113242A (ko) 2010-10-21
KR101048348B1 true KR101048348B1 (ko) 2011-07-14

Family

ID=4313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715A KR101048348B1 (ko) 2009-04-13 2009-04-13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104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업다운 도어의 급락 방지장치
KR20230154621A (ko) 2022-05-02 2023-11-09 이봉재 캔버스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33B1 (ko) * 2011-09-20 2012-03-16 창화엔지니어링 (주) 캔버스 도어
KR101992636B1 (ko) * 2018-09-17 2019-10-01 주식회사 씨알 캔버스도어의 문 추락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684Y1 (ko) * 2004-04-01 2004-07-07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KR20070000709U (ko) * 2007-05-30 2007-06-19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2중 권취구조를 가진 캔버스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684Y1 (ko) * 2004-04-01 2004-07-07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KR20070000709U (ko) * 2007-05-30 2007-06-19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2중 권취구조를 가진 캔버스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104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업다운 도어의 급락 방지장치
KR102555987B1 (ko) 2020-07-13 2023-07-14 주식회사 성산엔지니어링 업다운 도어의 급락 방지장치
KR20230154621A (ko) 2022-05-02 2023-11-09 이봉재 캔버스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42A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101048348B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JP2012153507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方法
KR20150013410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KR101647788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504235B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20170113868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JP6174304B2 (ja) 引き戸用手摺、引き戸装置
JP2839872B2 (ja) 立坑用ロープ式エレベータ
KR200412960Y1 (ko) 도어 개폐구동 장치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JP3510966B2 (ja) ブラインド式防寒シャッター
JP2007177430A (ja) シートシャッター
KR20070046996A (ko) 수직이동장치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CN103492305B (zh) 电梯的门开闭装置
US20070089937A1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JP5040667B2 (ja) エレベータかご救出装置
CN217516469U (zh) 一体式家用电梯的轿底安全钳装置
KR101406019B1 (ko) 로프형 스크린 안전장치
JP4010706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の昇降装置
JP2019163018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ネット転落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