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788B1 -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788B1
KR101647788B1 KR1020150163853A KR20150163853A KR101647788B1 KR 101647788 B1 KR101647788 B1 KR 101647788B1 KR 1020150163853 A KR1020150163853 A KR 1020150163853A KR 20150163853 A KR20150163853 A KR 20150163853A KR 101647788 B1 KR101647788 B1 KR 10164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tensioner
elevator
governor rope
te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주)미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주하이텍 filed Critical (주)미주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16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7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속기 로프가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자동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조속기 로프를 절삭하지 않고,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에 따른 텐셔너의 위치 보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조속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Elevator governor tension maintenance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텐션이 유지되어야 하는 조속기 로프가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자동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의 승강로에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 가능하도록 레일 등을 통해 설치되고, 권양기 등과 같은 구동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됨에 따라 건축물의 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가 구동부(8)의 작동에 의해 승강 시 조속기의 일종인 거버너(2:governor)도 함께 작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카(1)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과속 승하강되는 경우 조속기(2)가 작동하여 조속기 풀리(3)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조속기 로프(4)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조속기 로프(4)의 일측에 연결되는 레버(5)가 작동되며,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1)의 하부에 구비되는 통상의 비상제동수단(6,6')을 작동시켜 가이드 레일(7,7')상에 가압하여 엘리베이터 카(1)를 급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의 과속 시 조속기(2)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의 비상제동수단(6.6')이 즉각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조속기 로프(4)의 텐션이 팽팽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로 조속기 로프(4)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1)의 반복적인 승강 운행에 따라 조속기 로프(4)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속기 로프(4)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텐셔너(20)가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의 조속기(2)는 승강로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10)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로 조속기 풀리(3)의 외주에 조속기 로프(4)가 체결되고, 그 조속기 풀리(3)의 수직 하방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4)가 일정한 장력으로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셔너(20)가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텐셔너(20)는 상기 조속기 로프(4)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텐션 풀리(22)와, 상기 텐션 풀리(22)의 중심축(22a)에 연결되어 승강로의 고정 부재(2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6)와, 상기 텐션 풀리(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26)에 연결되어 상기 텐션 풀리(22)가 처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중량의 균형추(28)가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텐셔너(20)에 관한 특허로는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4299호(발명의 명칭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을 포함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조속기 로프(4)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는 텐셔너(20)(인용발명에서는 텐션 풀리 장치)의 텐션 조정 거리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텐셔너(20)의 텐션 조정 거리 보다 조속기 로프(4)가 더 늘어나면 조속기 로프(4)의 텐션을 유지하지 못 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과속 상태에서도 비상정지가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텐셔너(20)의 텐션 조정 거리 보다 조속기 로프(4)가 더 줄어들면 엘리베이터 카(1)가 과속이 아닌 상태에서도 임의적으로 상기 비상제동수단(6.6')이 작동되어 급정지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텐션 풀리(22)가 연결부재(26)에 의해 고정 부재(24)와 연결되어 있어서, 조속기 로프(4)가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고정부재(24)를 중심으로 텐션 풀리(22)가 원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므로 조속기 로프(4)가 엘리베이터 카(1), 레일 등에 간섭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주기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을 방문하여 조속기 로프(4)가 과도하게 늘어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1)의 외부에 고정된 조속기 로프(4)를 잘라서 조정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카(1)의 외부에서 조속기 로프(4)를 작업자가 당기고, 자르는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노하우와 숙련도가 요구되는 작업이므로 관리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42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속기 로프를 절삭하지 않고,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에 따른 텐셔너의 위치 보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조속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속기 로프의 길이 조정을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엘리베이터 카 외부 또는 승강로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안전한 승강로 상부의 엘이베이터 기계실 내부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텐셔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 상기 위치검출센서의 검출값을 분석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를 판단하는 판단제어부와,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속기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정부가 구성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판단제어부가 위치검출센서의 검출값에 의해 조속기의 텐셔너 위치를 인식하고, 텐셔너 위치에 따른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를 판단하여 텐셔너가 적정 위치에 위치되어서 텐셔너가 조속기 로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조속기의 고정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므로 조속기 로프 자체를 절삭하지 않고도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에 따른 텐셔너의 위치 보상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조속기 로프의 텐션 유지가 매우 용이하며,
조속기 로프의 길이 조정이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엘리베이터 카 외부 또는 승강로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안전한 승강로 상부의 엘이베이터 기계실 내부에서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텐셔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 상기 위치검출센서의 검출값을 분석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를 판단하는 판단제어부와,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속기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조속기 로프의 텐션 유지를 위해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텐셔너의 위치가 적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높이조정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정부는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조속기의 고정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며, 도 3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조속기의 하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승강판과, 상기 조속기 로프가 통과하는 통공과,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며, 표면에 톱니가 형성된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톱니에 맞물려서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는 조정기어 및 상기 조정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정모터가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판은 조속기와 상기 조속기가 설치된 기계실 등과 같은 장소의 바닥 사이에 구성되는 것이며, 조속기의 하부를 감싸거나 조속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조속기의 높이 조정 중에 조속기가 전복되거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봉은 승강판 하부에 고정되고, 표면에 톱니가 형성된 것이며, 바닥에 지지된 조정기어와 상기 톱니가 항상 기어결합되어 있어서, 승강봉이 조속기를 포함한 승강판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되고, 조정모터에 의해 조정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봉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조속기의 고정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승강봉이 바닥에 고정되고, 조속기와 함께 조정기어와 조정모터가 승강판에 구성되어 조정기어가 회전하면서 승강봉을 따라 승강판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는 승강봉이 조속기의 상방으로 돌출되므로 작업자가 부딪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승강봉이 승강판의 하부에 고정되어 승강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에는 조속기 로프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봉 역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어서 조속기의 높이 조정 범위가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정부는 도 4로 예시한 바와 같이, 조속기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조속기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조속기 로프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서 텐셔너의 위치가 너무 내려가 텐셔너의 균형추가 바닥에 닿으면 조속기 로프의 텐션 유지가 되지 않게 되고, 조속기 로프가 비정상적으로 줄어들어서 텐셔너의 위치가 너무 올라가면서 조속기 로프가 당겨지면 비정상적인 비상정지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텐셔너가 적정한 기준범위 이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판단제어부는 비접촉식이며, 적외선센터 등으로 구성 가능한 위치검출센서가 검출한 텐셔너의 위치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텐셔너의 위치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텐셔너의 위치가 기준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높이조정부를 제어하여 조속기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며, 이러한 판단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와 통신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 중에 있을 때 조속기의 높이 조정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텐셔너는 조속기 로프에 매달려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텐션풀리가 회전하면서 조속기 로프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것이어서, 먼지나 습기의 침투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의 베어링 등이 녹슬거나 손상되어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 하거나 이물질이 상기 회전축에 끼어서 텐션풀리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으면 텐셔너가 흔들릴 수 있으며, 이러한 텐셔너의 흔들림은 조속기 로프를 출렁이게 하므로 간섭,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순간적인 당김 현상으로 비정상적인 비상제공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판단제어부는 텐셔너의 균형추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흔들림감지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아 텐셔너의 이상을 판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와 통신하여 엘리베이터에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에 연결되어 관리자에게 직접 이상을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판단제어부가 위치검출센서의 검출값에 의해 조속기의 텐셔너 위치를 인식하고, 텐셔너 위치에 따른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를 판단하여 텐셔너가 적정 위치에 위치되어서 텐셔너가 조속기 로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조속기의 고정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므로 조속기 로프 자체를 절삭하지 않고도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에 따른 텐셔너의 위치 보상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속기 로프의 길이 조정이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엘리베이터 카 외부 또는 승강로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안전한 승강로 상부의 엘이베이터 기계실 내부에서 가능하므로 점검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기계실 120:승강로 200:조속기
210:조속기 로프 230:텐셔너 231:텐션풀리
232:회전축 233:균형추 300:판단제어부
310:위치검출센서 320:흔들림 감지센서 400:높이조정부
410:승강판 411:통공 420:승강봉
421:톱니 430:조정모터 431:조정기어
440:유압실린더 441:피스톤 442:유압탱크
443:브라켓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텐셔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 상기 위치검출센서의 검출값을 분석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의 길이변화를 판단하는 판단제어부와,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속기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정부가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정부는 조속기의 하부를 감싸서 지지 및 고정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며, 표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조속기 로프가 통과하는 기계실 바닥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 돌출된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톱니에 맞물려서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는 조정기어 및 상기 조정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정모터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위치검출센서가 검출한 텐셔너의 위치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텐셔너의 위치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텐셔너의 위치가 기준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높이조정부를 제어하여 조속기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텐셔너의 균형추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흔들림감지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아 텐셔너의 이상을 판단하고,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와 통신하여 이상을 알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0150163853A 2015-11-23 2015-11-23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647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53A KR101647788B1 (ko) 2015-11-23 2015-11-23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53A KR101647788B1 (ko) 2015-11-23 2015-11-23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788B1 true KR101647788B1 (ko) 2016-08-11

Family

ID=5671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8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7788B1 (ko) 2015-11-23 2015-11-23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7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8271A (zh) * 2017-07-31 2017-09-19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风电机组塔架的自动开合平台盖板装置及系统和控制方法
CN107191095A (zh) * 2017-08-02 2017-09-22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风电机组塔架的自动开合平台盖板装置及系统和控制方法
CN107269152A (zh) * 2017-07-31 2017-10-20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风电机组塔架的自动开合平台盖板装置及系统和控制方法
CN110770154A (zh) * 2017-06-22 2020-02-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US11738971B2 (en) 2021-06-25 2023-08-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946A (ja) * 1993-11-08 1995-05-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調速機
JPH09290975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KR100874299B1 (ko) 2005-07-05 2008-12-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JP2009007098A (ja) * 2007-06-27 2009-01-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状態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946A (ja) * 1993-11-08 1995-05-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調速機
JPH09290975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KR100874299B1 (ko) 2005-07-05 2008-12-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JP2009007098A (ja) * 2007-06-27 2009-01-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状態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0154A (zh) * 2017-06-22 2020-02-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10770154B (zh) * 2017-06-22 2021-10-2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07178271A (zh) * 2017-07-31 2017-09-19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风电机组塔架的自动开合平台盖板装置及系统和控制方法
CN107269152A (zh) * 2017-07-31 2017-10-20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风电机组塔架的自动开合平台盖板装置及系统和控制方法
CN107191095A (zh) * 2017-08-02 2017-09-22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风电机组塔架的自动开合平台盖板装置及系统和控制方法
US11738971B2 (en) 2021-06-25 2023-08-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788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CN109665426B (zh) 电梯配重对置曳引机构
CN101466630B (zh) 用于装设电梯的提升绳索的方法
KR101975775B1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JP2012153507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方法
WO200602784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9116337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15009989A (ja)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抑制システム
JP2005104672A (ja) エレベータかご自動バランス調整装置
WO2019123583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07039240A (ja)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クリア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KR101048348B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방지장치
KR102612005B1 (ko) 스마트형 와이어로프 길이 자동 조정장치
JPWO2004074157A1 (ja) エレベータ
JP2002003118A5 (ko)
CN117383431A (zh) 确定起重机的穿绳滑车的物理行程终点位置的自动方法
JP5951666B2 (ja) エレベータ
JP2000118914A (ja)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の張力補正装置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CN104936880B (zh) 电梯装置
JP6620600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420973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019167200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7446194B2 (ja) 搬器の昇降駆動システムと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