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522Y1 -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522Y1
KR200231522Y1 KR2020010002661U KR20010002661U KR200231522Y1 KR 200231522 Y1 KR200231522 Y1 KR 200231522Y1 KR 2020010002661 U KR2020010002661 U KR 2020010002661U KR 20010002661 U KR20010002661 U KR 20010002661U KR 200231522 Y1 KR200231522 Y1 KR 200231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slide
post
slide blo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 호 이
Original Assignee
광 호 이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호 이, 이현승 filed Critical 광 호 이
Priority to KR2020010002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522Y1/ko

Links

Landscapes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현수막을 높은 곳까지 단시간 내 편리하게 게시되도록 하고 게시된 현수막이 항상 소정 장력으로 팽팽하게 계시되도록 함은 물론 게시된 현수막이 바람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현수막 게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현수막을 게시하는데 따른 제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으로 즉, 작업 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되게 하고 현수막이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최적의 상태로 게시도록하며 현수막이 바람에 의하여 찢겨지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한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시대{HANGING BANNER OF NOTICE BOARD}
본 고안은 현수막 게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현수막을 높은 곳까지 단시간 내 편리하게 게시 되게하고 게시된 현수막이 항상 소정의 장력으로 팽팽하게 계시되도록 함은 물론 게시된 현수막이 바람에 의하여 찢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업적 광고를 옥외에서 대중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 폭을 갖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천에 상업적 내용을 기재한 이른바 '현수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소통이 원활한 곳에 게시되며, 이들은 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가로수, 전봇대, 가로등과 같은 공용시설물을 이용하여 현수막의 양 단부를 단순히 묶어 게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도시의 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현 위치에서현수막을 복수개 게시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복수개의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해서는 일정 높이를 갖는 포스트를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여 현수막의 양 단부를 묶어서 게시하였다.
그러나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사용하여 게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작업자의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게시된 현수막은 시각적 효과와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될 수 있는 한 팽팽하게 게시되어야 하지만, 게시된 후 현수막의 장력이 저하되어 현수막의 처짐이 발생하여 시각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다.
또한, 이와 같은 시각적인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현수막을 팽팽하게 게시할 경우 외부의 바람이 현수막에 부딪치면서 현수막이 찢겨지거나 뒤집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현수막을 복수개로 게시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함에 있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게시된 현수막이 항상 팽팽하게 게시되도록 함에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현수막이 팽팽하게 게시되면서도 바람에 의하여 찢김이나 현수막의 뒤집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현수막 게시대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현수막 게시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현수막이 게시된 상태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현수막 고정용 링과 현수막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 블록 구동장치의 구동 메카니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슬라이드 포스트 및 슬라이드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슬라이드 포스트와 슬라이드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슬라이드 포스트 130 : 슬라이드 블록구동장치
143 : 서포트 링크 144 : 현수막 위치고정유닛
145 : 현수막 고정용 링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현수막 게시대는 상호 이격된 2 개의 슬라이드 포스트와, 적어도 1 개 이상으로 가장 아래쪽은 슬라이드 포스트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슬라이드 포스트를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슬라이드 블록이 승하강 되도록 슬라이드 블록과 연관하여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 구동 수단과, 슬라이드 블록들이 승하강되면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접히고 펼침이 반복되도록 각 슬라이드 블록에 설치된 서포트 링크와, 서포트 링크에 각각 설치되어 현수막을 고정시키기 위한 현수막 게시용 로드를 지지하는 현수막 고정용 링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현수막 게시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구성에 따른 작용 및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독특한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현수막 게시대의 전체 외관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현수막 게시대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2, 도 3을 참조하면, 현수막 게시대(400)는 전체적으로 보아, 슬라이드 포스트(110,120), 슬라이드 블록(119), 슬라이드 블록 구동장치(130), 서포트 링크(143), 현수막 위치 고정 유닛(144), 현수막 고정용 링(145) 및 이들이 수납되는 외관 케이스(300)로 구성된다. 도 1의 미설명 도면부호 390은 가이드 홈이다.
구체적으로, 지면(10)에는 도 1에 도시된 현수막(1)의 길이 보다 다소 긴 사이 간격을 갖도록 2 개의 슬라이드 포스트(110,120)가 설치된다.
이후, 2 개의 슬라이드 포스트(110,120)에는 현수막(1)의 개수대로, 예를 들어, 현수막(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5개일 경우, 6개의 슬라이드 블록(111,112,113,114,115,116;119)이 삽입되는데, 이때, 가장 아래쪽 슬라이드 블록(111)은 슬라이드 포스트(110,120)에 용접, 나사 조임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은 슬라이드 포스트(110,120)를 따라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드 포스트(110,120)에는 움직임이 가능한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의 슬라이딩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윤활제(미도시)가 도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포스트(110,120)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119)은 현수막(1)의 승하강이 가능토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바, 이처럼 현수막(1)이 슬라이드 블록(119)에 의하여 승하강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블록 구동 장치(130) 및 현수막(1)들이 모두 게시되었을 때 어느 하나의 현수막(1)과 인접한 현수막이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수막이 지지되도록 슬라이드 블록(119)에 설치되는 서포트 링크(141,142;143)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블록(119)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블록 구동 장치(130)는 구체적으로 와이어(132), 와이어 권취 롤(133), 와이어(132)가 와이어 권취롤(133)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권취 모터(135) 및 와이어(132)의 경로를 지정하는 복수개의 풀리(136)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32)의 일측 단부는 슬라이드 포스트(110,120)에 끼워져 움직임 없이 고정된 가장 아래쪽 슬라이드 블록(111)에 용접 또는 나사 고정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후, 와이어(132)는 위쪽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에 순차적으로 용접, 나사 고정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바, 이때, 임의의 2 개의 슬라이드 블록의 사이에 해당하는 와이어(132)의 길이는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이 완전히 상승되었을 때, 일정 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이후, 각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에 와이어(132)가 모두 고정된 후, 와이어(132)의 타측 단부는 풀리(136)에 의하여 각각 방향 전환된 후, 와이어 권취 롤(133)에 고정되고, 와이어 권취 롤(133)의 회전 중심은 권취 모터(135)의 모터 축에 결합된다.
이처럼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을 와이어(132)로 승하강 시킴은 본 고안의 목적 중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함, 즉, 현수막(1)을 게시할 때에는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을 작업이 용이한 지면 부분으로 하강시키고, 현수막 설치 후에는 현수막(1)이 신속하면서 편리하게 승하강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수막(1)을 단순히 슬라이드 블록(112,113,114,115,116)에 설치한 후 승강 시키더라도 현수막(1)의 자중에 의하여 현수막(1)이 지정된 형태로 유지되기 힘들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현수막(1)이 게시되었을 때 지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강성이 있는 서포트 링크(143)가 슬라이드 블록(119)에 설치된다.
하나의 슬라이드 블록(119)에는 1 개의 서포트 링크(134)가 설치되는 바, 서포트 링크(134)는 각각 제 1 단위 링크(141), 제 2 단위 링크(142)로 구성되고, 제 1 단위 링크(142), 제 2 단위 링크(142)의 일측 단부는 슬라이드 블록(119)에 마련된 힌지(119a)에 공통적으로 링크된다. 한편, 제 1, 제 2 단위 링크(141,142)중 링크 되지 않은 타측 단부는 상호 다시 힌지 핀(143a)을 매개로 링크 즉, 접철이 가능한 링크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접철 링크로 인하여 현수막과 현수막은 항상 일정 간격이 유지됨은 물론 항상 지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수막이 옥외에 주로 계시됨에 따라 강풍에 의하여 강한 바람 저항을 받게 되는 바 이때 현수막이 바람의 힘에 의하여 찢기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앞서 설명한 서포트 링크(143)의 제 1 단위 링크(141), 제 2 단위 링크(142)에는 각각 현수막 위치 고정 유닛(144)이 설치된다.
현수막 위치 고정 유닛(144)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44b), 스프링 고정 돌기(144a), 스프링 위치 제한 롤러(144c), 스프링 가이드 부싱(144d)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44b)은 탄성에 의하여 신축되는 코일 형상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는 길이가 짧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는 길이가 길도록 제작되는 바, 스프링(144b)은 현수막(1)이 게시되었을 때, 스프링(144b)의 탄성력에 의해 현수막이 항상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다르게는 규격보다 다소 작은 현수막도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스프링(144b) 중 길이가 짧은 단부는 스프링 고정 돌기(144a)에 고정되고, 길이가 긴 스프링(144b)의 단부는 스프링 위치 제한 롤러(144c)에 걸쳐진 후 스프링 가이드 부싱(144d)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가이드 부싱(144d)을 통과한 스프링(144b)의 단부에는 현수막(1)을 고정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현수막 고정용 링(145)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현수막 고정용 링(145)의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이 위치한 상태에서 현수막 게시용 로드(1a)가 현수막 고정용 링 - 현수막- 현수막 고정용 링의 순서대로 관통 결합됨으로써 현수막(1)은 끼워진 후 고정 된다.
한편, 첨부된 도 8에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 블록 및 슬라이드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드 블록(119) 및 슬라이드 포스트(110,120)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슬라이드 성능이 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개구되고, 속이 빈 직육면체 관(212)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길게 절개하여 개구(210)를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포스트(214)를 구성한다.
한편, 블록(224)의 양측에 구름 롤러(222)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포스트(214)의 내벽을 따라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블록(226)을 형성한다.
물론, 이때 슬라이드 블록(226)에는 와이어(132)가 고정됨은 물론 앞서 설명한, 서포트 링크(143), 현수막 위치 고정 유닛(144), 현수막 고정용 링(145)이 모두 설치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현수막 게시대(400)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수막(1)을 게시하기 위하여 권취 롤(133)에 임시적으로 고정된 와이어(132)를 풀음으로써 슬라이드 포스트(110,120)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119)이 모두 하강되도록 한다.
이로써, 슬라이드 블록(119)은 접철되는 서포트 링크(143)가 접히는 허용 한도 내에서 하방으로 이송된다.
이후, 작업자는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적합한 높이로 하강된 서포트 링크(143)에 설치된 현수막 고정용 링(145)들 중 가장 상부에 위치한 한 쌍의 현수막 고정용 링(145)에 현수막(1)을 위치시킨 후 현수막 게시용 로드(1a)를 매개로 현수막 고정용 링(145) 및 현수막(1)을 끼워서 결합하고, 두 번째 현수막을 설치하기 위하여 권취 모터(135)를 작동시켜 첫 번째 슬라이드 블록(112)을 약간 상승시키고, 두 번째 현수막을 첫 번째 현수막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다.
이후, 나머지 현수막도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 후, 모든 현수막이 게시되면 와이어(132)가 역으로 풀리지 않도록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거나 권취 롤(133)이 역회전하지 않도록 마무리함으로써 도 1과 같은 형태로 현수막이 게시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따르면, 현수막 게시에 따른 제반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작업 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며, 현수막이 최적의 상태로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최적의 상태로 게시되며, 현수막이 바람에 의하여 찢겨지거나 뒤집히지 않는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에서는 일실시예로 슬라이드 블록을 승강, 하강시키는 동력으로 모터를 사용하였지만 모터 대신 권취 롤 회전 레버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드 블록을 승강, 하강 할 수 있도록 함 역시 가능한 바, 이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은 본 고안이 갖는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바, 이는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하는 본 고안의 단순한 형상 변경, 재질 변경, 극히 용이한 다른 실시예 또한 본 고안에 속한 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7)

  1. 상호 이격된 2 개의 슬라이드 포스트와;
    적어도 1 개 이상으로 가장 아래쪽은 상기 슬라이드 포스트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상기 슬라이드 포스트를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승하강 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연관하여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 구동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들이 승하강되면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접히고 펼침이 반복되도록 각 슬라이드 블록에 설치된 서포트 링크와;
    상기 서포트 링크에 각각 설치되어 현수막을 고정시키기 위한 현수막 게시용 로드를 지지하는 현수막 고정용 링을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크와 상기 현수막 고정용 링은 현수막 위치 고정 장치를 매개로 연결된 현수막 게시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위치 고정 장치는
    상기 서포트 링크를 구성하는 단위 링크에 각각 형성된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위치를 1차적으로 제한하는 스프링 위치 제한 롤러와;
    상기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위치를 2차적으로 제한하여 상기 스프링이 신축할 때 항상 일정 경로를 따라서 신축되도록 하는 스프링 가이드 부싱을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 구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각각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권취 롤(roll)과;
    상기 권취 롤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 모터와;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풀리를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 구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각각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권취 롤(roll)과;
    상기 권취 롤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 롤 회전 레버와;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풀리를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포스트는 원통 기둥 형상이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슬라이드 포스트에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드 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현수막 게시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포스트는 일측면이 슬릿 형상으로 길게 개구된 통체이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통체 내부 내측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구름 롤러가 설치된 블록 몸체로 구성된 현수막 게시대.
KR2020010002661U 2001-02-05 2001-02-05 현수막 게시대 KR200231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61U KR200231522Y1 (ko) 2001-02-05 2001-02-05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61U KR200231522Y1 (ko) 2001-02-05 2001-02-05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522Y1 true KR200231522Y1 (ko) 2001-07-19

Family

ID=7306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661U KR200231522Y1 (ko) 2001-02-05 2001-02-05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5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826B1 (ko) * 2001-06-14 2003-09-13 방진철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1017635B1 (ko) * 2008-07-09 2011-02-25 최상룡 현수막 걸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826B1 (ko) * 2001-06-14 2003-09-13 방진철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1017635B1 (ko) * 2008-07-09 2011-02-25 최상룡 현수막 걸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313B2 (en) Portable roll up window blind
US20060175019A1 (en) Adjustable canopy
US7000344B2 (en) Up-and-down display sign
CN209815616U (zh) 一种全自动防摇摆升降机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200231522Y1 (ko) 현수막 게시대
US5471774A (en) Lowerable changeable message and maintenance sign
KR100777208B1 (ko) 수직형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1173408B1 (ko) 벽면 고정형 현수막 게시대
KR102569328B1 (ko) 중첩식 슬라이드형 현수막 게시대
KR20020029525A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KR100626208B1 (ko)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2419997B1 (ko) 현수막 설치장치
KR0167030B1 (ko) 직립 승,하강식 스크린 장치
KR100303045B1 (ko) 풍향회전국기게양대
KR100517326B1 (ko) 상 하향 수직구동식 현수막 게시 장치
KR100869689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331901Y1 (ko)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CN220579827U (zh) 吊篮装置
CN217627231U (zh) 一种新型可视化起重机
WO2007040341A1 (en) The prop type installation for advertising
KR102648799B1 (ko)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