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617B1 -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617B1
KR102564617B1 KR1020230009979A KR20230009979A KR102564617B1 KR 102564617 B1 KR102564617 B1 KR 102564617B1 KR 1020230009979 A KR1020230009979 A KR 1020230009979A KR 20230009979 A KR20230009979 A KR 20230009979A KR 102564617 B1 KR102564617 B1 KR 10256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sides
vertical
elevating
operat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riority to KR102023000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핸들 조작을 통해 현수막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현수막 거치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구성되는 수직지주(10,20)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10,20)를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30)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10,2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현수막의 양단부의 거치가 이루어지는 현수막 거치구(11,21)와; 상기 현수막 거치구(11,21)의 승하강을 위해 양측 수직지주에 형성되는 승강 안내홈(12,22)과; 상기 현수막 거치구(11,2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연결 구비되는 작동 케이블(40)과; 상기 작동 케이블(40)을 당기거나 풀어주기 위해 일측 수직지주(20)에 구성되는 작동 핸들(5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Elevating banner stand device}
본 발명은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의 거치작업이 승강식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직물지 등에 선전이나 광고 문구 따위를 써서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플래카드라고도 하며, 이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의 거치대가 사용된다.
이러한 현수막은 주로 행사의 선전이나 안내 또는 광고를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철사나 끈 등을 사용하여 결속하는 고정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주로 사람들의 눈에 잘 뛰는 장소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로변에 현수막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지주 기둥의 일정 높이로 올라가서 끈으로 고정시키게 되며, 설치된 현수막이 수평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필요 작업인원이 증가하게 되며,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과정에서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92963호(2017.08.14.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52969호(2004.10.05.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현수막 거치장치는,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구성되는 수직지주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를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현수막의 양단부의 거치가 이루어지는 현수막 거치구와; 상기 현수막 거치구의 승하강을 위해 양측 수직지주에 형성되는 승강 안내홈과; 상기 현수막 거치구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연결 구비되는 작동 케이블과; 상기 작동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어주기 위해 일측 수직지주에 구성되는 작동 핸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 케이블은 상부에서 양측 수직지주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측 현수막 거치구가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현수막 거치장치는, 간단한 핸들 조작을 통해 현수막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현수막 거치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외관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의 구동부 개략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수직지주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현수막 거치장치의 승강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장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직지주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현수막 거치장치는,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구성되는 수직지주(10,20)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10,20)를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30)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10,2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현수막(P)의 양단부의 거치가 이루어지는 현수막 거치구(11,21)와, 상기 현수막 거치구(11,21)의 승하강을 위해 양측 수직지주에 형성되는 승강 안내홈(12,22)과, 상기 현수막 거치구(11,2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연결 구비되는 작동 케이블(40)과, 상기 작동 케이블(40)을 당기거나 풀어주기 위해 일측 수직지주에 구성되는 작동 핸들(50)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케이블(40)은 상부에서 양측 수직지주(10,2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측 현수막 거치구(11,21)가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구(10,20) 내부에는 작동 케이블(4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3,23)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보강프레임(14,24)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24)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ㄱ"형태의 절곡 구조를 이루는 보강 브라켓(27)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지주(10,20) 하부에는 현수막 거치구(11,21)를 받쳐주기 위한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완충재질의 거치구 받침대(60)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현수막(P)은 직물지 또는 금속판재 재질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 및 크기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1은 작동 케이블(40)이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작동 핸들(50)과 연결된 권취 롤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현수막 거치장치는 현수막(P)을 지상에서 거치시킨 상태에서 1~6M 높이로 자유롭게 설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양측 수직 지주(10,20)에 구비된 현수막 거치구(11,21)에 현수막(P)의 양단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동 핸들(50)을 돌려주게 되면, 작동 케이블(40)이 권취 롤러(51)에 감겨지면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측의 현수막 거치구(11,21)에는 상승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현수막(P)의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현수막(P)이 적절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작동 핸들(50)의 동작을 멈춤과 함께 풀림 방지를 위한 스토퍼(미도시)를 걸어주게 되면 현수막(P)의 하강이 방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현수막(P)을 교체하거나 철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동 핸들(50)을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돌려줌으로써 현수막(P)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최 하단으로 하강되는 과정에서는 거치구 받침대(60)에 의해 현수막 거치구(11,21)가 받쳐지게 되어 충격 및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양측 수직지주(10,20)가 상단부에서 상부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하부에서는 하부 연결판(7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승강 과정에서 작동 케이블(40)의 장력에 의한 시설물의 손상 발생이 방지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직지구(10,20) 내부에는 작동 케이블(4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3,23), 내구성 향상을 위한 보강프레임(14,24) 및 보강 브라켓(27)이 각각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 동작을 위한 구성 부품들의 외부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보다 깔끔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현수막 거치장치는, 간단한 핸들 조작을 통해 현수막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현수막 거치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거치구 받침대(60) 상면에는 표면 손상 방지를 위한 보호층(61)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층(61)은 메타크릴 수지 20~40중량%, 세리사이트 분말 10~30중량% , 디메톡시벤젠 1~10중량%, 폴리아크릴아미드 5~20중량%, 프롤리나아제 1~20중량%, 폴리솔베이트 1~10중량%,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5~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지주(20) 내부에는 보강프레임(24)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ㄱ"형태의 절곡 구조를 이루는 보강 브라켓(27)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탄성스프링(28)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보호층(61)의 형성으로 인해 현수막이 하강되었을 때 현수막 거치구(11,21)와의 충격으로부터 거치구 받침대(6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보호층(61)에는 세리사이트 분말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코팅층의 내구성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되고, 디메톡시벤젠 및 폴리아크릴아미드는 보호층(61)의 변색 및 변질 발생을 방지하며, 프롤리나아제는 메타크릴 수지의 촉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및 폴리솔베이트는 각각 보호층(61)의 밀도를 강화시킴과 함께 표면 오염을 방지하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수직지주(20) 내부에 구비된 보강 브라켓(27) 및 탄성스프링(28)의 구성으로 인해 내부 보강프레임(24)의 지지력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되어, 승강 동작 과정에서 작동 케이블(40)의 인장력으로 인한 수직지주(20)의 변형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현수막 거치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외관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설치 장소의 고유 색상과 매칭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20 : 수직지주 11,21: 현수막 거치구
12,22 : 승강 안내홈 13,23 : 가이드롤러
24 : 보강 프레임 25 : 가이드 커버체
30 : 상부 지지대 40 : 작동 케이블
50 : 작동 핸들 51 : 권취 롤러
60 : 거치구 받침대 70 : 하부 연결판
P : 현수막

Claims (6)

  1.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구성되는 수직지주(10,20)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10,20)를 상단부에서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30)와;
    상기 양측 수직지주(10,2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현수막(P)의 양단부의 거치가 이루어지는 현수막 거치구(11,21)와;
    상기 현수막 거치구(11,21)의 승하강을 위해 양측 수직지주에 형성되는 승강 안내홈(12,22)과;
    상기 현수막 거치구(11,2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연결 구비되는 작동 케이블(40)과;
    상기 작동 케이블(40)을 당기거나 풀어주기 위해 일측 수직지주(20)에 구성되는 작동 핸들(50);
    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주(10,20)의 내부에는 작동 케이블(4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3,23)가 구성되고,
    일측의 수직지주(20)의 외측에는 작동 케이블(40)의 하향 안내를 위한 안내롤러(26)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커버체(25)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지주(20)의 내부에는 보강프레임(24)이 구성되며, 승강 동작 과정에서 상기 작동 케이블(40)의 인장력으로 인한 상기 수직지주(2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프레임(24)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ㄱ"형태의 절곡 구조를 이루는 보강 브라켓(27)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탄성스프링(28)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케이블(40)은 상부에서 양측 수직지주(10,2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측 현수막 거치구(11,21)가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주(10,20)는 하부에서 하부 연결판(70)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수직지주(10,20) 각각의 하부에는 현수막 거치구(11,21)를 받쳐주기 위한 완충재질의 거치구 받침대(6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 받침대(60) 상면에는 표면 손상 방지를 위한 보호층(61)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보호층(61)은 메타크릴 수지, 세리사이트 분말, 디메톡시벤젠, 폴리아크릴아미드, 프롤리나아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폴리솔베이트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6. 삭제
KR1020230009979A 2023-01-26 2023-01-26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KR10256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79A KR102564617B1 (ko) 2023-01-26 2023-01-26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79A KR102564617B1 (ko) 2023-01-26 2023-01-26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617B1 true KR102564617B1 (ko) 2023-08-08

Family

ID=8756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979A KR102564617B1 (ko) 2023-01-26 2023-01-26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6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804A (ko) * 2004-07-26 2004-08-30 최광철 도로용 현수막거치대
KR100452969B1 (ko) 2003-09-05 2004-10-15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현수막 거치대
KR100869690B1 (ko) * 2007-10-25 2008-11-21 주식회사 남신테크 현수막 게시장치
KR20100025471A (ko) * 2008-08-27 2010-03-09 최상룡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20170092963A (ko) 2016-02-04 2017-08-14 염규익 현수막 거치대
KR102403273B1 (ko) * 2021-11-11 2022-05-30 이경묵 반자동 현수막 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9B1 (ko) 2003-09-05 2004-10-15 주식회사 이노프로모션 현수막 거치대
KR20040075804A (ko) * 2004-07-26 2004-08-30 최광철 도로용 현수막거치대
KR100869690B1 (ko) * 2007-10-25 2008-11-21 주식회사 남신테크 현수막 게시장치
KR20100025471A (ko) * 2008-08-27 2010-03-09 최상룡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20170092963A (ko) 2016-02-04 2017-08-14 염규익 현수막 거치대
KR102403273B1 (ko) * 2021-11-11 2022-05-30 이경묵 반자동 현수막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271B1 (ko)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102403273B1 (ko) 반자동 현수막 거치대
KR102564617B1 (ko) 승강식 현수막 거치장치
CN216444850U (zh) 一种节能建筑施工升降防坠装置
KR20090039880A (ko) 아케이드 지붕청소 및 점검장치
CN110921518B (zh) 汽车装配运输线
KR101056442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CN214006678U (zh) 一种结构稳固的大跨度桁架
CN214570537U (zh) 一种高空作业平台用安全防护升降机
CN211169743U (zh) 建筑外墙防护脚手架升降机
KR100976955B1 (ko)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CN207844819U (zh) 一种具有单电机双升降室驱动结构的升降电梯
JP2003128359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方法
JP6654810B2 (ja) 養生装置の設置構造
JP2022112630A (ja) 仮囲い養生装置
JP2899506B2 (ja) 高層用エレベータ
KR102540016B1 (ko)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CN216785561U (zh) 调度绞车盘绳器
KR200231546Y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JP2009243085A (ja) ガイド付きロールスクリーン
JP4989926B2 (ja)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のロープ掛け方法
KR200397735Y1 (ko) 세로형 자동 현수막 승하강장치
KR200143773Y1 (ko) 입체주차장치의 차량탑재 팔레트 낙하방지장치
CN203529653U (zh) 用于施工升降机的电缆滑车及施工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