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520Y1 -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 Google Patents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520Y1
KR200210520Y1 KR2020000021337U KR20000021337U KR200210520Y1 KR 200210520 Y1 KR200210520 Y1 KR 200210520Y1 KR 2020000021337 U KR2020000021337 U KR 2020000021337U KR 20000021337 U KR20000021337 U KR 20000021337U KR 200210520 Y1 KR200210520 Y1 KR 200210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rum
ratchet
balancer
spind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규
Original Assignee
박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규 filed Critical 박승규
Priority to KR2020000021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520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무거운 공구 등을 작업 중 사용하기 용이하게 공중에 매달아 놓기 위한 밸런서를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그 탄성조정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면서 케이스에 내장되는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외관이 깨끗하고 거추장스럽지 않게 하기 위한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밸런서를 구성하는 가장 큰 부재인 케이스와 드럼을 플라스틱 수지로써 사출 성형하여 조합한 것이며, 그 탄성조정장치는 외주면에 스파이럴 스프링의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된 다수의 톱니기어를 가지며 그 상면 중앙부에 조정홈이 형성된 스핀들 헤드를 그 조정홈만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케이스와 드럼의 사이에서 스핀들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스핀들 헤드의 톱니기어를 걸어주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을 케이스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되 래칫의 조정간은 상방향으로 절곡·연장하고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홈을 통해 인출하여 조정편에 결합하며, 래칫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은 그 일단을 케이스의 내하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에 고정하고 타단을 래칫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Light balancer being liable to control elasticity}
본 고안은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거운 공구 등을 작업 중 사용하기 용이하게 공중에 매달아 놓기 위한 밸런서를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그 탄성조정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면서 케이스에 내장되는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함은 물론 외관이 깨끗하고 거추장스럽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밸런서는 각종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지속적으로 무거운 공구를 사용할 때 보다 편리하게 공구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무거운 공구를 공중에 매달아 놓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케이스(101) 내측에 나선형으로 홈(102a)이 파여 있는 사다리꼴의 드럼(102)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이 드럼(102)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파이럴 스프링(103)이 그 일단은 드럼(102)에 타단은 드럼(102)의 스핀들(102b)에 고정되며, 드럼(102)의 나선형 홈(102a)에는 하부로부터 와이어(104)가 감겨 그 단부가 케이스(101)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와이어(104)의 단부에는 공구를 매달기 위한 후크(105)가 연결되며, 후크(105)와 와이어(104)의 단부 사이에는 스토퍼 역할을 하면서 후크(10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로 된 완충부재(106)가 케이스(101)의 와이어 인출홈(101a)에 걸리게 개재되고, 케이스(101)의 외부 일측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03)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드럼(102)의 스핀들(102b)과 결합·연장된 스핀들 헤드(107)가 상면에 다수의 걸림홈(107a)을 형성하면서 위치되며, 스핀들 헤드(107)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108)이 스핀들 헤드(107)의 걸림홈(107a)에 걸리도록 케이스(101)에 고정되고, 케이스(101)의 와이어 인출측 반대편에는 밸런서를 천장과 같은 장소에 매달기 위한 고리(109)가 형성된다.
이때, 스핀들 헤드(107)의 중앙부에는 6각 렌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6각 형상의 조정홈(10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01), 드럼(102), 스핀들(102b), 그리고 스핀들 헤드(107) 등 모든 부재가 다이캐스팅(Diecasting)에 의해 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각각 구성되어 조합된다.
이러한 밸런서를 그 고리(109)를 통해 위치가 높은 천장과 같은 장소에 고정하고 후크(105)를 당기면 와이어(104)가 케이스(101)의 와이어 인출홈(101a)을 통해 인출되는데, 스파이럴 스프링(103)의 일단은 드럼(102)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케이스(101)에 고정되어 있는 스핀들(102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104)의 인출에 따라 드럼(102)이 회전하게 되면 스파이럴 스프링(103)이 자연히 감기게 되어 탄성력을 발하게 되며, 여기에 무거운 공구를 걸게 되면 스파이럴 스프링(103)에 의한 탄성력과 공구의 무게가 대등해지는 위치에서 공구가 공중에 매달리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공구를 들게 되면 와이어(104)가 스파이럴 스프링(103)의 탄성력에 의해 드럼(102)의 나선형 홈(102a)에 순차 감기면서 공구를 들어올리는 힘을 제공하게 되어 작업자는 공구를 용이하게 들어 작업하는 장소로 옮길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을 마치고 공구를 놓게 되면 원위치에서 공구가 와이어(104)에 걸려 있는 탄성력에 의해 공중에 매달려 있게 된다.
다른 공구를 매달고 싶으면 후크(105)로부터 먼저 있던 공구를 빼내고 다른 공구를 연결할 수 있으며, 공구를 빼내고 후크(105)를 놓게 되면 와이어(104) 및 드럼(102)이 자유상태가 되므로 스파이럴 스프링(104)이 풀어지면서 드럼(102)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104)가 드럼(102)의 나선형 홈(102a)에 순차 감기게 되는데, 후크(105)와 와이어(104)의 사이에는 고무로 된 완충부재(106)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후크(105)가 와이어(104)의 감김속도에 따라 케이스(101)의 와이어 인출홈(101a)에 부딪칠 때 그 충격력을 분산 흡수할 수 있으며, 완충부재(106)의 직경이 케이스(101)의 와이어 인출홈(101a)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므로 케이스(101)의 내측으로 후크(105)가 들어가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래칫(108)을 푼 상태에서 스핀들 헤드(107)의 조정홈(107b)에 6각 렌치를 끼우고 정방향으로 돌린 후 래칫(108)을 원위치시키면 스파이럴 스프링(103)의 감김수가 달라져 매달고자 하는 공구의 무게에 따라 그 탄성력이 강해지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스핀들 헤드(107)의 걸림홈(107a)이 래칫(108)에 걸린 상태에 있으므로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래칫(108)을 풀고 스핀들 헤드(107)를 역방향으로 돌려 탄성력을 약하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밸런서는 그 케이스, 드럼, 스핀들, 스핀들 헤드 등이 모두 다이캐스팅에 의해 철재 또는 알루미늄재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재질 및 다이캐스팅 작업에 의해 제조원가가 증가됨은 물론 무게가 무거워 완성된 밸런서를 운반, 휴대하기에 힘이 들고, 매달려 있는 밸런서를 떼어낼 때 실수로 미끄러지거나 작업도중 매달려 있는 부위가 떨어져 나가 밸런서가 낙하할 때 그 무게에 의해 에너지가 매우 크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밸런서의 탄성조정장치는 드럼의 스핀들과 결합·연장된 스핀들 헤드가 상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면서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되며, 스핀들 헤드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이 스핀들 헤드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케이스에 고정되는 구조이어서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래칫을 들어주어 그 걸림위치를 해제한 후 스핀들 헤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려주어야 되므로 조정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았으며, 특히 정방향 회전시에는 탄성력이 점차 강해지게 되므로 조정 중 약간의 실수로 6각렌치를 놓치거나 스핀들 헤드의 조정홈으로부터 6각렌치가 이탈되었을 때에는 스핀들이 고속으로 반대방향으로 돌아가게 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핀들 헤드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가중되었고,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스핀들 헤드 및 래칫으로 인하여 외관이 지저분해지고 사용상 거추장스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케이스, 드럼 등 밸런서를 구성하는 가장 큰 부재들을 사출에 의해 수지로써 성형하여 조합함으로써 그 재질 및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가볍게 하여 사용상 안전성을 도모하며, 탄성조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외주면이 톱니형으로 된 스핀들 헤드 및 그 역회전을 방지하는 래칫을 케이스에 내장시키되 스핀들 헤드의 조정홈만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시키며, 래칫을 스프링에 탄지시키면서 그 조정간을 케이스 외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연장하여 조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외관이 깨끗하고 위험성이 배제된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런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밸런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밸런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밸런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조정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탄성을 높일 경우.
(b)는 탄성을 줄일 경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드럼
2a : 스핀들 3 : 스파이럴 스프링
4 : 스핀들 헤드 4a : 톱니기어
4b : 조정홈 5 : 래칫
5a : 조정간 6 : 가이드홈
7 : 조정편 8 : 스프링
9 : 지지대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밸런서는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종래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나 각 부재의 재질 및 제조방법, 탄성조정장치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밸런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 및 드럼(2)을 플라스틱재로써 각각 사출 성형하고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며, 탄성조정장치는 외주면에 스파이럴 스프링(3)의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된 다수의 톱니기어(4a)를 가지며 그 상면 중앙부에 조정홈(4b)이 형성된 스핀들 헤드(4)를 그 조정홈(4b)만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되게 케이스(1)와 드럼(2)의 사이에서 스핀들(2a)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스핀들 헤드(4)의 톱니기어(4a)를 선택적으로 걸어주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5)을 케이스(1)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되 래칫(5)의 조정간(5a)은 상방향으로 절곡·연장하고 케이스(1)의 외면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홈(6)을 통해 인출하여 조정편(7)에 결합하며, 래칫(5)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8)은 그 일단을 케이스(1)의 내하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9)에 고정하고 타단을 래칫(5)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케이스(1) 및 드럼(2)을 플라스틱재로써 사출 성형하더라도 종래 철재 또는 알루미늄재와 동등한 강성을 가져야 하므로 본 고안에 적용되는 플라스틱재로는 난연성, 내구성 등이 뛰어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케이스(1)를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밸런서의 내부구조가 외부로 비쳐지게 되어 외관상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 및 드럼(2)을 ABS수지로써 사출 성형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ABS수지의 특성에 따라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어 종래 철재 또는 알루미늄재의 케이스 및 드럼과 비교할 때 동등한 수준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데 반해, 그 재질 및 사출 공정에 따른 비용이 종래 철재 또는 알루미늄재를 다이캐스팅하는 공정과 비교해 볼 때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자명하며, 밸런서의 무게가 가볍게 되어 취급이 용이함은 물론 실수로 낙하하였을 때 위험성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탄성조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동되며,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스핀들 헤드(4)의 조정홈(4b)에 6각렌치를 삽입하여 스파이럴 스프링(3)이 감기는 방향으로 돌리면 스핀들 헤드(4)의 톱니기어(4a)가 그 경사각에 의해 래칫(5)을 밀어주면서 슬라이딩되며, 래칫(5)은 스프링(8)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아 상기 슬라이딩되는 톱니기어(4a)가 끝나는 지점에서 다음번 톱니기어(4a)에 채워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스파이럴 스프링(3)이 감기게 되어 탄성력이 강해지게 되므로 와이어(104)를 당기는 힘이 강하게 되어 보다 무거운 공구를 매달 수 있게 된다. 즉, 와이어(104)에 걸리는 탄성을 강하게 하기 위해 스파이럴 스프링(3)이 감기는 방향으로 스핀들 헤드(4)를 회전시킬 때에는 래칫(5)을 조작하지 않고도 조정이 가능하며, 래칫(5)은 스프링(8)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별도의 조작없이도 스핀들 헤드(4)가 회전되면 그 회전된 지점에서 스핀들 헤드(4)를 멈추어주어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스파이럴 스프링(3)을 풀어주어 탄성력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는 스핀들 헤드(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된 조정편(7)을 그 호형의 가이드홈(6)을 따라 당겨주어 래칫(5)을 그 취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핀들 헤드(4)의 톱니기어(4a)로부터 래칫(5)의 선단부가 빠져나오게 하여 그 걸림위치를 해제시킨 후 스핀들 헤드(4)의 조정홈(4b)에 삽입되어 있는 6각렌치를 이용하여 스핀들 헤드(4)를 반대방향으로 돌리게 되며, 원하는 만큼 돌린 후 래칫(5)의 조정간(5a)과 연결되어 있는 조정편(7)을 놓아주면 스프링(8)에 의해 래칫(5)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스핀들 헤드(4)의 톱니기어(4a)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스파이럴 스프링(3)이 풀리면서 탄성이 점차 약해지게 되는 것이어서 탄성 조정에 무리가 없으며, 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되는 조정편(7)을 가이드홈(6)을 따라 당겼다 놓아주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래칫(5)의 걸림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한 것이다. 아울러, 작업자의 미숙으로 6각렌치를 놓치거나 조정홈(4b)에 삽입되어 있는 6각렌치가 조정홈(4b)으로부터 이탈될 경우에도 스핀들 헤드(4)가 케이스(1)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드럼(2), 스핀들(2a), 스핀들 헤드(4) 등이 케이스(1)의 내부에서만 회전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밸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 헤드(4), 래칫(5) 등이 케이스에 내장되는 구조이므로 외관이 깨끗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고, 구조물이 손에 걸리지 않게 되어 작업이 용이해지는 부수적인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 드럼 등 밸런서를 구성하는 가장 큰 부재들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ABS 수지로 사출 성형하여서 된 것이므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그 재질 및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실수로 낙하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주면이 톱니형으로 된 스핀들 헤드 및 그 역회전을 방지하는 래칫을 케이스에 내장시키되 스핀들 헤드의 조정홈만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시키며, 래칫을 스프링에 탄지시키면서 그 조정간을 케이스 외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연장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정방향 회전시에는 래칫을 조작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래칫이 잠금될 수 있고 역방향 회전시에도 조정편만 간단히 당겼다 놓아주면 되므로 탄성조정이 용이하며, 케이스에 내장된 구조이어서 외관이 깨끗하고 거추장스러운 구조물이 없어 사용이 편리하며, 위험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측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며 나선형으로 홈이 파여 있는 사다리꼴 형태의 드럼, 상기 드럼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은 드럼에 타단은 드럼의 스핀들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드럼의 나선형 홈에 감기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어 공구를 매다는 후크,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조정장치를 포함하여서 된 밸런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드럼은 플라스틱 수지로써 사출 성형하여 조합되고;
    상기 탄성조정장치는, 외주면에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된 다수의 톱니기어를 가지며 그 상면 중앙부에 조정홈이 형성된 스핀들 헤드를 그 조정홈만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케이스와 상기 드럼의 사이에서 상기 스핀들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상기 스핀들 헤드의 톱니기어를 선택적으로 걸어주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을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되 상기 래칫의 조정간은 상방향으로 절곡·연장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홈을 통해 인출하여 조정편에 결합하며, 상기 래칫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은 그 일단을 상기 케이스의 내하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래칫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KR2020000021337U 2000-07-26 2000-07-26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KR200210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37U KR200210520Y1 (ko) 2000-07-26 2000-07-26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37U KR200210520Y1 (ko) 2000-07-26 2000-07-26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520Y1 true KR200210520Y1 (ko) 2001-01-15

Family

ID=7305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37U KR200210520Y1 (ko) 2000-07-26 2000-07-26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5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39B1 (ko) * 2008-08-27 2010-06-21 최상룡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39B1 (ko) * 2008-08-27 2010-06-21 최상룡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70819A (en) Fabric gate
JP2007069898A (ja) 手動操作式の車輪固定システム、車輪フォーク、フロントフォーク、車両ラックシステム、クイックレリーズ車輪固定・解除システム
KR200210520Y1 (ko)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JP2011256042A (ja) 手動式補助チェーンブロック
US3641846A (en) Firemen{40 s wrenchlike tool
US11118654B2 (en) Apparatus for timely and secur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KR200206554Y1 (ko) 가볍고 탄성조정이 용이한 밸런서
JP3617014B2 (ja) 自転車用変速操作装置
EP2678137A1 (en) Tool supporting apparatus
US9446505B2 (en) Strap wrench
US20070131067A1 (en) Tool for removing engine oil filter
US6574845B2 (en) Pincer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pring of the brake shoes in a drum brake
US20080156151A1 (en) Stepless telescopic hand tool
US6431032B1 (en) Alex wrench
JP6836125B2 (ja) スペアタイヤ脱落防止装置
JP4584644B2 (ja) シャワーフック
JP2510888Y2 (ja) 吊掛装置
JP6295032B2 (ja) タイヤ滑り止め用ワイヤ緊張装置
KR200276363Y1 (ko) 3단 장도리
KR20050042397A (ko)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
CN210101912U (zh) 一种抓握舒适且美观的电动车手柄
KR100373794B1 (ko) 퀵보드
KR20110007824A (ko) 수공구용 걸이 고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0611005B2 (en) Power tool accessory for preventing fastener falls during fastener removal or installation operations
JP2017030060A (ja) 工具とそれを用いた締結具の着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