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242A -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 Google Patents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242A
KR20070051242A KR1020050108826A KR20050108826A KR20070051242A KR 20070051242 A KR20070051242 A KR 20070051242A KR 1020050108826 A KR1020050108826 A KR 1020050108826A KR 20050108826 A KR20050108826 A KR 20050108826A KR 20070051242 A KR20070051242 A KR 2007005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board
lifter
leaf spring
wind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식
Original Assignee
안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식 filed Critical 안영식
Priority to KR102005010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1242A/ko
Publication of KR2007005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 설치대는 리프터의 수직 상승력을 이용하여 원형으로 말려있는 광고물의 한쪽 끝단을 리프터의 상단 끝부분에 구비된 이동편의 결속구 지지대를 통한 결속구에 고정시키고 리프터를 상승 시킴으로서 말려있던 광고물이 펴지면서 광고 효과를 내기위한 장치로서, 상기 광고판 설치대에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 상기 리프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광고판의 한쪽 끝단을 결속하는 집게 형상의 결속구; 상기 결속구를 지지하는 결속구지지바; 상기 결속구지지바를 고정하는 이동편; 상기 판스프링 리프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고판을 감아 보관하는 와인더; 상기 와인더가 풀리거나 감길때 광고판을 항상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한 광고판구동부; 상기 광고판구동부의 동작을 광고판와인더에 전달하여주는 와인더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광고, 프랜카드, 현수막

Description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돌출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요홈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가로방향의 결합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가로방향 고정상태가 지그재그로 결합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돌출부가 요홈부에 결합되는 초기단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돌출부가 요홈부에 결합되는 중간단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 서 판스프링의 돌출부가 요홈부에 4분의3 정도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돌출부가 요홈부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돌출부와 요홈부의 결합으로 삼각형의 기둥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판스프링 리프터의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판스프링 리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판스프링 리프터를 밑면에서 바라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판스프링 리프터가 부착된 광고판 설치대의 이동편이 하강하여 광고물이 와인더에 말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며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하기위한 설명도.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판스프링 리프터가 부착된 광고판 설치대에서 광고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판스프링 리프터가 부착된 광고판 설치대의 이동편의 상승으로 인하여 광고물이 완전히 펴져있는 상태를 보여준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리프터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광고물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것을 예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리프터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광고판이 가로방향으로 리프팅된 상태를 보여준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리프터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리프팅되어 광고물이 게시된 상태를 보여준 사시도.
도 20은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있어서 동력전달부에 스파이럴기어을 적용시킨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내지 22는 종래의 광고판(현수막)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판스프링 150: 돌출부
151: 돌출부 상단걸림턱 152: 돌출부 하단걸림턱
153: 돌출편 160: 요홈부
161: 요홈부 상단걸림턱 162: 요홈부 하단걸림턱
163: 요홈부 수직방향걸림턱 164: 돌출부 안내편
170: 웜 기어홈 180: 고정판 조립홀
200: 밑판 300: 구동부
310: 동력 전달부 320: 웜기어
340: 가이드 롤러 350: 고정판
400: 판스프링 와인더 410: 판스프링 유도롤러
412: 베어링 414: 지지대
500: 리프터 500a: 수직형리프터
500b: 수평형리프터 600: 이동편
610: 결속구지지대 620: 광고판결속구
630: 광고판 640: 광고판 와인더
640a: 광고판고정홈 650: 광고판구동부
660: 광고판동력전달부 670: 클러치베어링
680: 스파이럴기어
본 발명은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판의 설치와 이동등을 최소한 간단하게 하여 각종 이벤트 행사 및 광고의 필요성이 있는 어떠한 장소에서도 간단하게 광고판을 설치 및 철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이벤트나 행사가 있으면 행사 전에 행사를 준비하거나 하 는 과정에서 행사자료를 홍보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테면 광고판(현수막을 예로 들자면)을 설치하기 위해 나무로 사각등의 형태를 만들어서 거기에 못 등을 박아 현수막의 형태를 유지시키거나 압정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그것을 원하는 위치에 가서 로프를 사용하거나 사다리 또는 고가 사다리 등을 타고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다. 예를 들어 관공서건물 등의 입구나 건물의 옥상등에 설치하는 경우가 그런 것이다 또한 빈번한 행사와 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매번 광고판을 부착 또는 철거하면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설치공간의 환경이나 공간등의 제한적인 요소로 인하여 광고판 설치방법의 거의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광고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광고판 설치의 외관을 일률적으로 하여 외관으로도 정리가 되고, 광고판의 수시 교체를 손쉽게 하기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또한 설치와 철거의 기동성과 안전사고의 예방에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 설치대는, 세로 방향의 양 가장자리에 주기적으로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형성된 띠 형상의 판스프링(100); 상기 판스프링(100) 각각의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결합하여 삼각 기둥형상을 이루어 리프터의 기능을 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광고판 고정장치를접목한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판스프링(100)의 가로방향의 중앙부분에는 웜기어홈(1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00)의 세로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돌출부(150)의 돌출부 상단걸림턱(151), 돌출부 하단걸림턱(152), 돌출편(1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00)의 세로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요홈부(160)의 요홈부 상단걸림턱(161), 요홈부 하단걸림턱(162), 요홈부 수직방향걸림턱(163), 돌출안내편(1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둥형태의 판 스프링 구조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세로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삼각기둥형태의 결합방법은 상기 판스프링(100)의 세로방향으로 곡면상태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판스프링(100)의 예시도 이다.
상기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는 판스프링(100)이 3매가 한 쌍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1 을 참조하여 판스프링(100)을 살펴보면, 띠 형상으로 된 판스프링(100)의 세로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좌우 대칭으로 언바란스하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돌출부(150)는 돌출부 상단걸림턱(151), 돌출부 하단걸림턱(152), 돌출편(153)이 포함되며, 상기 요홈부(160)는 요홈부 상단걸림턱(161), 요홈부 하단걸림턱(162), 요홈부 수직방향걸림턱(163), 요홈부 돌출안내편(164)이 포함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스프링(100)을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각각의 판스프링(100)의 돌출부(150)와 요홈부(160)의 결합으로 인하여 수직방향으로 기둥을 이루는 과정에서 동력전달;이 필요한데 상기 동력전달을 수직방향으로 높은 토르크를 얻기 위하여 웜기어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판스프링(100)의 세로방향의 중간 부분에 웜기어홈(17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웜기어는 수직방향으로 큰 토르크를 얻을수 있는 반면에 동작속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는 사용용도의 특성(동작속도의 증감)에 따라 스파이럴기어(680)나 또는 스프라켓 등을 사용할수도 있을것이다.
도2 와 도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판 스프링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00)의 돌출부(150)와 요홈부(160)를 설명한 설명도 이며 돌출부(150)의 돌출부 상단걸림턱(151)과 돌출부 하단걸림턱(152)이 상기 구비된 판스프 링(100) 3매 중 다른 판스프링(100)의 요홈부(160)의 요홈부 상단걸림턱(161)과 요홈부 하단걸림턱(162)에 결합되어 기둥 형태의 가로방향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결합시 구비된 3매의 판스프링(100)은 도 6, 7, 8, 9와 같이 곡선상태에서 동시에 결합하기 시작하여 웜기어의 회전으로 인하여 직선구간으로 가는 동안 돌출부(150)의 돌출부 상단걸림턱(151)이 우선적으로 요홈부(160)의 요홈부 상단걸림턱(161)에 결합되며 뒤이어, 돌출부(150)의 돌출부 하단걸림턱(152)이 요홈부(160)의 요홈부 하단걸림턱(162)에 결합되며, 이때 돌출부(150)의 돌출편(153)은 요홈부(160)의 돌출부안내편(164)의 안내를 받아 자연스럽게 결합이 되며 결합이 완료된 상태는 도 5와 같이 직선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도 6내지 9에서 보듯이 판스프링의 결합이 시작되면서부터 완전히 결합되는 구간까지의 형상이 R(라운드)형상의 상태에서 결합이 되므로 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되는 상황이 상기 직선상태라 함은 3매의 판스프링(100) 결합과정에서 보듯이 판스프링(100)이 직선상태에서는 결합이 불가능하며 이것은 곧 직선 상태에서는 판스프링(100)이 물리적인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한 판스프링(100)의 이탈이 이루어 질수 없는 것이다.
도 4의 "가", "나"는 본 판스프링 결합에 있어서 돌출부(150)의 돌출부 상단걸림턱(151)과 돌출부 하단걸림턱(152)이 요홈부(160)의 요홈부 상단 걸림턱(161)과 요홈부 하단걸림턱(162)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있는 상태를 보여준 사시도 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00)의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세로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판스프링(100)의 세로방향에서 보자면 판스프 링(100)의 돌출부(150)와 요홈부(160)의 결합후에 다시 돌출부(150)의 결합이 이어지므로 돌출부(150)는 X축, 요홈부(160)는 Y축을 각각 이탈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또다시 이어지는 돌출부(150)와 요홈부(160)에 의해서 각 판스프링의 X와 Y축의 이탈을 연속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00)의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세로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100)의 세로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돌출부(150)와 요홈부(160)가 언바란스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100)각각의 세로방향의 중심에서 보자면, 좌측에는 돌출부(150)와 요홈부(160)의 순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반면, 우측에는 요홈부(160)와 돌출부(150)의 순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서 판스프링의 결합이 더욱더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돌출부(150)와 요홈부(160)의 주기적인 결합으로 인하여 요홈부 수직방향 걸림턱(163)이 다른 판스프링(100)에 의하여 수직방향(Z축)을 지지하게 되어 삼각기둥형태가 이루어질때 수직력의 지지력을 갖게되는 것이다.
도 6,7,8,9는 본 판스프링(100) 결합에 있어서 돌출부(150)가 요홈부(160)에 결합되는 과정을 초기 상태부터 완전히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돌출부가 요홈부에 삽입되는 조건은 상기 판스프링 3매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각도를 유지해야하며 그 각도에 따라서 요홈부 의 돌출안내편의 형상이 달라질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를 큰 힘을 필요로 하는 리프터에 사용하고자 한다면 후술할 판스프링 와인더의 크기도 판스프링의 특성(판스프링이 부러지지않고 휠수있는 최대치)에 의하여 커질것이며 이것은 상기 판스프링 요홈부의 돌출 안내편의 형상도 그에 맞도록 형상을 달리해야 하는것이다. 또한 이것은 작업의 표준화를 통하여 실행될수 있을것이다.
도 10은 본 판스프링 결합에 있어서 3매의 각 판스프링(100)의 결합이 이루어져 삼각기둥형태를 갖춘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판스프링(100)의 결합이 이루어져 삼각기둥형태가 만들어지므로 외부의 추가적인 동작이 없이도 간단하며 견고한 기둥을 만들수 있으며 기둥형태의 길이를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자유 자재로 늘리고 줄일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판스프링(100)의 결합을 역순으로 동작시키면 삼각기둥형상이 소멸하는 것이다.
도 11 및 도12와 13은 상기 전술한 바에 의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삼각기둥형태의 리프터는 기둥형태를 구성하기 위한 필수요소인 동력부와 동력전달부 웜기어등을 통하여 리프터로서의 기능을 갖게 되는데 이것의 바람직한 일례을 보여준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서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로서의 구동방법을 설명하자면, 판스프링을 3매 구비하여, 그것을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부분은 일정량(여기서 일정량이라 함은 광고판의 길이에 비례하는양의 판스프링의 길이을 말한다) 판스프링 와인더에 의해서 감겨있고, 상기 판스프링의 삼각형 형상의 하단부 내측으로 웜기어를 배치하여 판스프링의 웜기어홈과 맞물리도록 하고, 동시에 그의 외측으로는 가이드롤러로 상기 판스프링 와인더에 말려있는 판스프링을 일정한 라운드 형상으로 휘어지게 하며, 삼각기둥형상의 판스프링의 가로방향을 지지하도록 하며, 구동부와 동력전달부로 부터 전달된 힘을 웜기어를 통해 회전시키므로 서 판스프링 와인더에 말려있던 판스프링이 삼각형의 형태로 결합되면서 수직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는 본 발명의 명칭에서 암시한 것과 같이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에 대해서는 상기에 서술한 내용으로 대체하고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리프터의 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설치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는 본 발명인의 이름으로 기 특허출원(출원번호:10-2005-0098084)된 바 있음을 참고로 밝혀둔다.
현재 광고판의 한 종류로서 현수막이라는 명칭으로 도로, 학교, 관공서, 행사장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수 있을 것이다. 그렇듯 광고와 생활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앞으로도 끊임없이 사용되어질 도구인것은 틀림없는 사실인 것이다.
본 광고판 설치대는 이러한 광고판(현수막 등)을 일률적이고 효율적이며 최대한 적절한 공간에 최소한의 동작으로 광고판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도 14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고판 설치대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 상기 판스프링 리프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광고판의 일단 끝면을 고정시키는 결속구 (620); 상기 결속구를 지지하는 결속구 지지대(610); 상기 결속구 지지대를 고정하는 이동편(600); 상기 판스프링 리프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고판의 감김과 풀림을 도와주는 광고판 와인더(640); 상기 광고판 와인더에 말려있는 광고판(630); 상기 광고판와인더의 한쪽 측면에 붙어 광고판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광고판구동부(650);와 광고판동력전달부(6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프터의 상부에 결속구 지지대(610)를 통하여 고정된 집게와 같은 형상의 결속구(620)에 광고판의 한쪽 끝단을 고정시키고,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500)를 상승 시키면 와인더에 말려있던 광고판이 상기 리프터가 상승한 만큼 펴지면서 광고내용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때 광고판의 무게에 의하여 광고판의 중간 정도가 쳐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500)의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가를 체크하여 전원이 끊어 졌을때는 광고판와인더를 설정된 턴(회전)수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광고판을 팽팽하게 할수있는 것이다. 즉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의 전원인가로 인한 이동편의 상승에 따라 광고판이 펴지는데 이에 동기하여 광고판이 펴지는 쪽으로는 구동부의 축이 슬립(헛돌음)을 하게 되고, 상기 리프터의 전원이 끊겼을때 정해진 회전수 만큼 광고판 와인더가 역회전을 하여 광고판을 팽팽하게 보정하여 주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광고판이 펴질때 광고판구동부 축이 슬림을 한다고 했는데 이것은 클러치베어링 등을 사용하면 간단히 해결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클러치베어링(670)이란 베어링의 한쪽방향은 슬림(헛돌음)하게 하고 그의 반대 방향은 부하가 걸리도록하여 스핀들을 회전하게하는 특성을 가진 베어링이다. 또한 이 것을 제어하는 전기적인 제어방법에 대하여 블록도를 도14b에 도시하였다.
한편, 결속구(620)에 물려있는 광고판의 한쪽 끝단은 최소 3지점 이상이거나 끝단의 전체를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원터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고판이 길이방향으로 길고 바람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하여 압력이 주어질때에도 항상 평형을 유지하여 광고판이 이탈되거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부 환경에 의한 압력에 광고판(630)이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도14 "가"의 결속구지지대(610)와 결속구(620)의 결합은 서로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광고판(630)을 제거한 상태를 예시한 와인더의 형상을 설명한 설명도 이다.
본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인더의 한쪽면에는 광고판의 또다른 한쪽 끝단이 와인더에 쉽게 고정될수 있도록 관의 안쪽으로 광고판 고정홈(640a)을 구비하고 그곳에 고정핀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와인더가 리프터의 상승이나 하강으로 인한 회전동작을 할때 와인더의 형상이 각이 진다거나 모가 나 있으면 회전할때 소음이나 회전력의 바란싱(같은조건의 회전에 따른 순간적인 원형지름의 증가)이 맞지않아 상기 구동부에 부하를 발생시키거나 소음의 요인이 되기 때문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에 있어서 리프터를 이중으로 설치한 수직형리프터(500a)와 수평형리프터(500b)의 바람직한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도에 의하면 결속구는 수직형리프터(500a)의 상승 및 수평형리프터(500b)의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수직형리프터(500a)의 기본 중심과 멀어지기 때문에 결속구가 기능이 제한 받지 않는 한도내에서 최소한도의 무게를 차지하는 재질이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알미늄 소재등과 같은 다이캐스팅이 바람직 할것이다, 또한 이동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결속구지지대(610)는 이동편(600)과 탈착식으로 제작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리프터(500)의 상승으로 결속구에 결속된 광고판의 한쪽 끝단이 수직방향으로 끌어올려 지면서 광고판 와인더에 말려있던 광고판이 펴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다.
본 도에 따르면 광고판이 수직방향으로 전개되었으나 이것을 수평방향, 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프터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광고판이 수평방향으로도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8은 수직형리프터(500a)만 상승한 상태를 보여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9와 같이 광고판를 높은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하고자 할때 도 16과 같이 수직형리프터(500a)를 하강시켜 광고판(630)을 광고판 와인더에 부착한 후 수직형리프터(500a)와 수평형리프터(500b)를 동작 시키면 어떠한 공간에서도 간단하게 광고판을 설치 및 제거 할수 있는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 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광고판, 현수막 등 이와 유사한 광고판의 빠른 설치와 편리성, 광고판의 규격화로 경제적 이득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를 포함하여 리프터를 이용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원형으로 말려있는 광고판의 한쪽 끝단을 리프트의 상단의 결속구에 고정시키고 리프트를 상승 시키므로서 말려있던 광고판이 펴지면서 광고효과를 내기위한 리프트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로서 광고판을 감아서 보관하는 광고판 와인더; 리프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광고판의 또 다른 한쪽 끝단을 고정하여 리프트가 상승하거나 하강할때 광고판이 펴지거나 감기도록 광고판을 고정시키는 결속구; 이동편에 결합되어 결속구를 지지하는 결속구지지대; 상기 와인더가 감김이나 풀림동작을 진행할때 광고판이 항상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압력을 가해주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힘을 전달받아 광고판 와인더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2. 상기 1항에 있어서,
    원형 형태의 광고판 와인더에는 광고판의 한쪽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이 구비되어 있고, 광고판의 또 다른 한쪽에 광고판의 끝단을 결속하는 결속구가 구비된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3. 상기 1항에 있어서,
    광고판이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사용할수 있도록 리프터를 1단이상 중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4. 상기 1항에 있어서,
    광고판이 항상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동력을 전달해주는 광고판구동부와 광고판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5. 상기 1항에 있어서,
    광고판이 와인더에 말려있다가 필요한 시기에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KR1020050108826A 2005-11-14 2005-11-14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KR20070051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26A KR20070051242A (ko) 2005-11-14 2005-11-14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26A KR20070051242A (ko) 2005-11-14 2005-11-14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124U Division KR200412802Y1 (ko) 2005-12-13 2005-12-13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242A true KR20070051242A (ko) 2007-05-17

Family

ID=3827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826A KR20070051242A (ko) 2005-11-14 2005-11-14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12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7128A (zh) * 2020-06-09 2020-07-31 嵊州略白广告有限公司 一种广告牌安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7128A (zh) * 2020-06-09 2020-07-31 嵊州略白广告有限公司 一种广告牌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9194T3 (es) Aparato para subir y bajar una pancarta
KR100556785B1 (ko) 이중 승강구조를 갖는 현수용 광고장치
US20020170217A1 (en) Banner holder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US6493973B1 (en) Banner holder
KR100645890B1 (ko) 물체의 승강장치
KR200412802Y1 (ko)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20070051242A (ko) 리프터를 이용한 광고판 설치대
KR101173408B1 (ko) 벽면 고정형 현수막 게시대
KR200475149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1227095B1 (ko)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CN114108832B (zh) 一种装配式建筑安装简易的连接组件
KR101448215B1 (ko) 현수막 및 중량물 승강장치
JP2008267115A (ja) ブラインド
KR200419113Y1 (ko) 리프터를 이용한 이동형 대형화면 표시장치
KR200290795Y1 (ko) 현수막게시탑의 현수막 현수장치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CN216839833U (zh) 一种带有升降调节功能的可拆卸式门楼结构
JPH0722475Y2 (ja) 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KR20030018480A (ko) 배너 스탠드
KR20100013109A (ko) 승강형 현수막 지지장치
CN215069034U (zh) 一种防撞显示屏
KR200184259Y1 (ko) 커텐 설치장치
KR200349346Y1 (ko) 현수막 게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