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32B1 -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32B1
KR101982932B1 KR1020170122259A KR20170122259A KR101982932B1 KR 101982932 B1 KR101982932 B1 KR 101982932B1 KR 1020170122259 A KR1020170122259 A KR 1020170122259A KR 20170122259 A KR20170122259 A KR 20170122259A KR 101982932 B1 KR101982932 B1 KR 10198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adder
housing
sheav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737A (ko
Inventor
서윤영
Original Assignee
서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영 filed Critical 서윤영
Priority to KR102017012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9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6Rail or rope for guiding a safety attachment, e.g. a fall arres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타워크레인의 타워 마스터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와, 상기 사다리 상부 영역에 설치된 도르래 하우징과, 지면을 향하는 단부에 안전벨트가 설치되고 타단에 중량추가 설치되어 상기 도르래 하우징에 권취 안내되며 사용자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에 있어서,도르래 하우징에 권취되어 지면방향을 향하는 와이어의 단부영역 상측에 고착된 걸림구와, 상기 와이어 단부 영역에 연결링으로 연결되며 상하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연결링으로 연결된 안전벨트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분기된 연결고리의 단부에 연결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사다리에 탈착시킬 수 있는 걸이부재와;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일정한 간격을 둔 하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나사축을 갖고 상기 걸림홈 측으로 회전 승강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된 상기 사다리의 저면과 접촉되는 지그가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를 걸이하는 홈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전벨트 지지부재와; 상기 사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간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사선방향으로 안내하는 도르래 및 상기 와이어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도르래를 갖는 제 1 도르래 하우징과; 상기 타워 마스터(400)의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르래 하우징 및 도르래 하우징에 안내된 상기 와이어를 사선으로 안내받는 사선도르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에 상기 와이어를 권취 안내하여 상기 중량추의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에 권취시켜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 2 도르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를 도르래 하우징 및 제 1 도르래 하우징과, 제 2 도르래 하우징 및 중량추의 도르래에 권취시켜 사용자가 사다리를 승강함으로써 승강이 쉽고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장착하고 사다리를 승강할 때 와이어가 단락되는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면 안전벨트와 함께 제 2 와이어에서 승강하는 와이어 스토퍼가 안전벨트를 제 2 와이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낙하 충격을 줄임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량추의 양측에 제 3 와이어와 제 4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중량추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및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도 중량추가 수직 승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추의 유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SAFETY SYSTEM FOR GOING UP AND DOWN OF TOWER-CRANE}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타워크레인의 타워마스터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를 승강할 때, 승강이 편리하고 안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할 때 사용자의 실수 또는 와이어가 단락되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고층, 대형화에 따라 건물의 신축시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운반하기 위해 타워크레인(TOWER CRANE)을 사용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지반에 수직으로 세워진 타워 마스터, 타워 마스터의 상부 선단부에서 카운터 웨이트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수평대인 지브 및, 타워 마스터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로 구비된 스윙모터의 회전에 의해 지브를 회전시키는 선회장치와, 선회장치 상부의 운전실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운전실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타워 마스터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사다리가 구비된다.
이에 사용자는 사다리를 통해 운전실까지 올라가 작업을 한 후, 작업이 끝나면 다시 사다리를 통해 지상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승강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로프를 설치하고 있는데, 안전로프는 운전실에서 지상까지 길게 드리워진 상태로 단순히 그 끝단을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실수 또는 동절기, 우기, 강풍 등의 자연변화에 의한 추락이 발생 될 경우 사용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수의 타워크레인 승강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나 그 제안 정도로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공고일자 2001. 11.04)에 개재된 등록 제 0294121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에서는,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또는 풀기 위한 와이어로프 권취부와, 사다리형으로 형성되되 그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마다 고정볼이 구비된 와이어로프와, 와이어로프의 승강을 안내하거나 또는 갑작스런 풀림을 제어하는 안전장치 및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타워크레인에 승강할 수 있고, 또한 추락이 발생하였을 경우 안전장치에 의해 와이어로프의 풀림을 즉시 정지시켜 사용자의 생명을 보호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는, 일정속도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와 이를 가이드 하면서 제어하는 안전장치 및 센서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전기적 신호를 받는 정역구동모터의 급작스런 정지가 발생하거나 이를 센싱하는 센서가 오동작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기적 신호로 구동되는 안전장치는 공사장과 같이 외력에 의해 공급 전원의 단락이 빈번한 곳에서는 신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제 1 와이어를 도르래 하우징 및 제 1 도르래하우징과, 제 2 도르래 하우징 및 중량추의 도르래에 권취시켜 사용자가 사다리를 승강할 때 승강이 쉽고 편리하며 안전할 수 있도록 한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장착하고 사다리를 승강할 때 사용자의 실수 또는 제 1 와이어가 단락되는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면 안전벨트와 함께 제 2 와이어에서 승강하는 와이어 스토퍼가 안전벨트를 제 2 와이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낙하 충격을 줄임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목적이 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은 중량추의 양측에 제 3 와이어와 제 4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중량추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및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흔들림 없이도 수직방향으로만 승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추의 유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타워 마스터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와, 상기 사다리 상부 영역에 설치된 도르래 하우징과, 지면을 향하는 단부에 안전벨트가 설치되고 타단에 중량추가 설치되어 상기 도르래 하우징에 권취 안내되며 사용자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하우징에 권취되어 지면방향을 향하는 와이어의 단부영역 상측에 고착된 걸림구와, 상기 와이어 단부 영역에 연결링으로 연결되며 상하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연결링으로 연결된 안전벨트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분기된 연결고리의 단부에 연결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사다리에 탈착시킬 수 있는 걸이부재와;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일정한 간격을 둔 하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나사축을 갖고 상기 걸림홈 측으로 회전 승강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된 상기 사다리의 저면과 접촉되는 지그가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를 걸이하는 홈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전벨트 지지부재와; 상기 사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간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사선방향으로 안내하는 도르래 및 상기 와이어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도르래를 갖는 제 1 도르래 하우징과; 상기 타워 마스터(400)의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르래 하우징 및 도르래 하우징에 안내된 상기 와이어를 사선으로 안내받는 사선 도르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에 상기 와이어를 권취 안내하여 상기 중량추의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에 권취시켜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 2 도르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르래 하우징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향하는 실린더를 갖고 상기 사다리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에 탄지되는 피스톤이 설치된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단부에 설치된 제 2 와이어와; 측벽에 상기 제 2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과 일정한 간격을 둔 하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나사축을 갖고 상기 걸림홈 측으로 회전 승강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된 상기 사다리의 저면과 접촉되는 지그가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에 설치되는 제 2 와이어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와이어가 단락되면 상기 안전벨트를 상기 제 2 와이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량추는 상기 중량추의 상/하부영역 외면 양측에 통공을 갖는 와이어 안내편이 더 설치되며; 어느 한 측의 와이어 안내편의 통공으로 삽입된 제 3 와이어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며, 나머지 어느 한 측에 설치된 와이어 안내편의 통공으로 삽입된 제 4 와이어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중량추의 수직 승강을 안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중량추의 와이어 안내편 통공에 삽입된 상기 제 3 와이어 및 제 4 와이어의 하단부는 지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된 받침부재의 양측 고정편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은 상부영역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타워 마스터에 삽입 고정하는 통공과;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상기 와이어를 사선방향으로 안내받도록 설치된 사선도르래 및 상기 사선도르래의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와;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에 설치되어 제 3 와이어와 제 4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와이어를 도르래 하우징 및 제 1 도르래 하우징과, 제 2 도르래 하우징 및 중량추의 도르래에 권취시켜 사용자가 사다리를 승강함으로써 승강이 쉽고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장착하고 사다리를 승강할 때 와이어가 단락되는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면 안전벨트와 함께 제 2 와이어에서 승강하는 와이어 스토퍼가 안전벨트를 제 2 와이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낙하 충격을 줄임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량추의 양측에 제 3 와이어와 제 4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중량추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및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도 중량추가 수직 승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추의 유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의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을 타워 마스터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와이어 고정부재와 제 2 와이어 고정부재에 부속된 부속물 들을 보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와이어가 제 1도르래 하우징에 안내되어 제 2 도르래 하우징과 중량추에 권취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도르래 하우징과 실린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의 발췌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을 타워 마스터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와이어 고정부재와 제 2 와이어 고정부재에 부속된 부속물 들을 보인 측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와이어가 제 1도르래 하우징에 안내되어 제 2 도르래 하우징과 중량추에 권취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도르래 하우징과 실린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은, 타워크레인의 타워마스터(400) 및 그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사다리(10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1)의 일단에 설치된 안전벨트(5)를 사다리(100)에 고정할 수 있는 안전벨트 지지부재(60)와, 사다리(100)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어 와이어(1)를 권취 안내하는 도르래 하우징(300)과, 와이어(1)를 수직 및 사선방향으로 권취 안내하는 제 1 도르래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있으며, 타워 마스터(400)에 설치되어 와이어(1)를 권취 안내하는 제 2 도르래 하우징(14) 및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14)에 권취 안내되는 와이어(1)에 권취된 중량추(2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하우징(300)에 권취되어 지면방향을 향하는 와이어(1)의 단부영역에는 걸림구(2)를 형성하고 있고, 와이어(1) 단부 영역에는 연결링(3)으로 연결된 연결부재(4)를 설치하고 있으며, 연결부재(4)의 하부에는 연결링(3a)으로서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안전벨트(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4)로부터 분기된 연결고리(6)의 단부에는 연결링(3b)을 설치하여 안잔벨트(5)와 연결된 와이어(1)를 사다리(100)에 탈착시킬 수 있는 걸이부재(7)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안전벨트(5)를 사다리(100)에 걸어두거나 또는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지지부재(60)는 사다리(100)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와이어(1)를 걸어두거나 또는 걸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재(11)와 와이어 걸이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 지지부재(60)를 이루는 지지부재(11)에는 안전벨트 지지부재(60)를 사다리(100)에 걸림시킬 수 있는 걸림홈(8)(8a)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있으며, 안전벨트 지지부재(60)의 걸림홈(8a) 하부 방향에는 지그(10)를 설치하여 나사축(9)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지그(10)가 걸림홈(8a)에 삽입된 사다리(100)의 저면을 가압하여 안전벨트 지지부재(60)를 사다리(10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지지부재(11)의 후벽에는 홈(12a)를 갖는 와이어 걸이부재(12)를 고정하여, 안전벨트(5)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와이어(1)의 걸림구(2)를 홈(12a)에 걸림시켜 두는 것으로서 안전벨트(5)를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하우징(300)은 와이어(1)를 권취 안내시킬 수 있도록 타워 마스터(400)의 상부 영역에 설치하고 있으며, 도르래 하우징(300)에 권취 안내된 와이어(1)는 제 1 도르래 하우징(13)의 도르래(13b)에 수직 방향으로 안내된 후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도르래(13a)에 안내되어 와이어(1)를 사선방향으로 안내시켜 와이어(1)를 제 2 도르래 하우징(14) 방향으로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도르래 하우징(13)에서 부호 71, 71a는 걸림홈이며, 73은 지그(72)를 승강시키는 나사축을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제 1 도르래 하우징(13)은 지그(72)에 의해 사다리(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르래 하우징(14)에는 제 1 도르래 하우징(13)에 안내된 와이어(1)를 사선으로 안내받는 사선도르래(52)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일측에는 도르래(53)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하여 와이어(1)를 권취 안내시키는 역할을 행한다. 그리고 도르래(53)에 권취 안내된 와이어(1)를 중량추(200)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200a)에 권취시키고 그 와이어(1)의 단부는 제 2 도르래 하우징(14)에 설치된 고정구(5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중량추(200)는 사용자가 안전벨트(5)을 몸에 착용하고 사다리(100)를 승강할 때 사용자와 함께 승강되어 사용자가 사다리(100)를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안전벨트 지지부재(60)와 제 1 도르래 하우징(13)과 도르래 하우징(300), 그리고 제 2 도르래 하우징(14) 및 중량추(200)에 권취 안내된 와이어(1)를 포함하는 승강 안전시스템에 의해 사용자가 타워 마스터(400)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100)를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르래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안전벨트(5)와 연결된 와이어(1)가 단락되는 경우 사용자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하우징(20)과 연결된 제 2 와이어(24)와 제 2 와이어(24) 및 안전벨트(5)의 연결부재(4)에 연결된 와이어 스토퍼(3)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20)은 실린더(21) 내부에는 스프링(22)을 설치하고 있고, 스프링(22)의 상부에는 피스톤(23)의 상단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피스톤(23) 단부에는 제 2 와이어(24)를 설치하고 있고, 제 2 와이어(24)의 하단부는 제 2 와이어 고정부재(28)의 고정구(29)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구(29)가 형성된 제 2 와이어 고정부재(28)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홈(25)(25a)을 형성하고 있으며, 걸림홈(25a) 저면에는 나사축(26)을 갖는 지그(27)를 설치하여 나사축(26)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지그(27)가 승강되어 걸림홈(25a)에 걸림된 사다리(100)의 저면을 가압하여 제 2 와이어 고정부재(28)를 사다리(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하우징(20)의 피스톤(23)에 연결된 제 2 와이어(24)는 안전벨트(5)와 연결된 와이어(1)가 단락되면 사용자의 몸에 착용된 안전벨트(5)는 와이어 스토퍼(30)에 의해 제 2 와이어(24)에 매달리게 되고, 사용자의 중량이 와이어 스토퍼(30)와 제 2 와이어(24)에 전달되면 스프링(22)에 탄지된 피스톤(23)은 사용자의 중량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와이어(1)의 단락으로 인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승강에 따라 와이어(1)와 함께 승강하는 중량추(200)는 와이어(1) 만으로 승강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중량추(200)가 전후 좌우로 흔들려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량추(200)의 전후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도르래 하우징(14)의 고정구(54)에 제 3 와이어(43)의 일단을 고정하고, 제 3 와이어(43)를 중량추(200)의 상하부 양측벽에 설치된 와이어 안내편(42)의 통공(41)으로 삽입하여 앵커볼트(45)로 지면에 고정된 받침부재(46)의 양측 고정편(47)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 2 도르래 하우징(14)의 고정구(55)에 제 4 와이어(44)의 일단을 고정하고, 제 4 와이어(44)를 중량추(200)의 상하부 양측벽에 설치된 와이어 안내편(42)의 통공(41)으로 삽입하여 앵커볼트(45)로 지면에 고정된 받침부재(46)의 양측 고정편(47)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중량추(200)는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전후 좌우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르래 하우징 및 제 1 도르래 하우징과, 제 2 도르래 하우징 및 중량추의 도르래에 와이어를 권취 안내시켜 와이어와 연결된 안전벨트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사다리를 승강하면 승강이 쉽고 편리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장착하고 사다리를 승강할 때 와이어가 단락되는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면 안전벨트와 함께 제 2 와이어에서 승강하는 와이어 스토퍼가 안전벨트를 제 2 와이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낙하 충격을 줄임과 동시에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량추의 양측에 제 3 와이어와 제 4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중량추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및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도 중량추가 전후 좌우 유동없이 수직 승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추의 유동에 의한 안전사고가 사전에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와이어
2 : 걸림구
3, 3a, 3b : 연결링
4 : 연결부재
5 : 안전벨트
6 : 연결고리
7 : 걸이부재
8, 8a, 25, 25a : 걸림홈
9, 26, 73 : 나사축
10, 27, 72 : 지그
11 : 지지부재
12 : 와이어 걸이부재
12a : 홈
13 : 제 1 도르래 하우징
13a, 13b : 도르래
14 : 제 2 도르래 하우징
20 : 실린더 하우징
21 : 실린더
22 : 스프링
23 : 피스톤
24 : 제 2 와이어
25, 25a : 걸림홈
28 : 제 2 와이어 고정부재
29, 54, 55, 56 : 고정구
30 : 와이어 스토퍼
41 : 통공
42 : 와이어 안내편
43 : 제 3 와이어
44 : 제 4 와이어
45 : 앵커볼트
46 : 받침부재
47 : 고정편
51 : 통공
52 : 사선도르래
53, 200a : 도르래
60 : 안전벨트 지지부재
71, 71a : 걸림홈
100 : 사다리
200 : 중량추
400 : 타워 마스터

Claims (5)

  1. 타워크레인의 타워 마스터(400)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100)와, 상기 사다리(100) 상부 영역에 설치된 도르래 하우징(300)과, 지면을 향하는 단부에 안전벨트(5)가 설치되고 타단에 중량추(200)가 설치되어 상기 도르래 하우징(300)에 권취 안내되며 사용자를 승강시키는 와이어(1)로 이루어진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하우징(300)에 권취되어 지면방향을 향하는 와이어(1)의 단부영역 상측에 고착된 걸림구(2)와, 상기 와이어(1) 단부 영역에 연결링(3)으로 연결되며 상하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부재(4)와, 상기 연결부재(4)의 하부에 연결링(3a)으로 연결된 안전벨트(5)와, 상기 연결부재(4)로부터 분기된 연결고리(6)의 단부에 연결링(3b)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1)를 상기 사다리(100)에 탈착시킬 수 있는 걸이부재(7)와;
    상부에 걸림홈(8)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8)과 일정한 간격을 둔 하부에 걸림홈(8a)이 형성되며 나사축(9)을 갖고 상기 걸림홈(8a) 측으로 회전 승강되어 상기 걸림홈(8a)에 걸림된 상기 사다리(100)의 저면과 접촉되는 지그(10)가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10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1) 및 상기 와이어(1)를 걸이하는 홈(12a)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 걸이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전벨트 지지부재(60)와;
    상기 사다리(100)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간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를 사선방향으로 안내하는 도르래(13a) 및 상기 와이어(1)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도르래(13b)를 갖는 제 1 도르래 하우징(13)과;
    상기 타워 마스터(400)의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르래 하우징(13) 및 도르래 하우징(300)에 안내된 상기 와이어(1)를 사선으로 안내받는 사선도르래(5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53)에 상기 와이어(1)를 권취 안내하여 상기 중량추(200)의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200a)에 권취시켜 상기 와이어(1)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 2 도르래 하우징(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을 향하는 실린더(21)를 갖고 상기 사다리(100)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21)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22)에 탄지되는 피스톤(23)이 설치된 실린더 하우징(20)과;
    상기 피스톤(23) 단부에 설치된 제 2 와이어(24)와;
    측벽에 상기 제 2 와이어(24)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구(29)가 형성되고, 상부에 걸림홈(25)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5)과 일정한 간격을 둔 하부에 걸림홈(25a)이 형성되며 나사축(26)을 갖고 상기 걸림홈(25a) 측으로 회전 승강되어 상기 걸림홈(25a)에 걸림된 상기 사다리(100)의 저면과 접촉되는 지그(27)가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100)에 설치되는 제 2 와이어 고정부재와(28);
    상기 제 2 와이어(24)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5)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와이어(1)가 단락되면 상기 안전벨트(5)를 상기 제 2 와이어(24)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스토퍼(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추(200)는 상기 중량추(200)의 상/하부영역 외면 양측에 통공(41)을 갖는 와이어 안내편(42)이 더 설치되며;
    어느 한 측의 와이어 안내편의 통공으로 삽입된 제 3 와이어(43)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14)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며, 나머지 어느 한 측에 설치된 와이어 안내편의 통공으로 삽입된 제 4 와이어(44)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14)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중량추(200)의 수직 승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추(200)의 와이어 안내편(42) 통공(41)에 삽입된 상기 제 3 와이어(43) 및 제 4 와이어(44)의 하단부는 지면에 앵커 볼트(45)로 고정된 받침부재(46)의 양측 고정편(4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14)은 상부영역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타워 마스터(400)에 삽입 고정하는 통공(51)과;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14)의 내부 일측에 상기 와이어(1)를 사선방향으로 안내받도록 설치된 사선도르래(52) 및 상기 사선도르래(52)의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도르래(53)와;
    상기 제 2 도르래 하우징(14)에 설치되어 제 3 와이어(43)와 제 4 와이어(44)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구(54)(55)와;
    상기 와이어(1)를 고정하는 고정구(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KR1020170122259A 2017-09-22 2017-09-22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KR10198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59A KR101982932B1 (ko) 2017-09-22 2017-09-22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59A KR101982932B1 (ko) 2017-09-22 2017-09-22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37A KR20190033737A (ko) 2019-04-01
KR101982932B1 true KR101982932B1 (ko) 2019-05-27

Family

ID=6610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59A KR101982932B1 (ko) 2017-09-22 2017-09-22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686A (ko) 2022-02-17 2023-08-24 카고텍코리아 (주) 카고 크레인 탑시트 탑승용 보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5045A1 (en) 2005-08-31 2007-03-01 Deuer Joseph F Climb assis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314B1 (ko) * 2010-05-31 2012-06-08 서윤영 타워크레인용 승강 도르래
KR101710380B1 (ko) * 2015-06-18 2017-02-27 서윤영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5045A1 (en) 2005-08-31 2007-03-01 Deuer Joseph F Climb assis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686A (ko) 2022-02-17 2023-08-24 카고텍코리아 (주) 카고 크레인 탑시트 탑승용 보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37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4121Y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
CA2894485A1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lift
CN209253981U (zh) 一种高空作业防坠落装置
CN112960070B (zh) 波浪自适应的海洋平台全自动舷梯装置及其应用方法
CN111021749A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及其施工方法
KR101982932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CN102556890B (zh) 自升钢井架物料提升机安装平台及其安装方法
WO2007104155A1 (en) Apparatus for escaping area of accident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JPWO2018138831A1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CN215516427U (zh) 一种用于建设工程施工的安全升降机
JP6825834B2 (ja) 墜落防止装置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CN211691536U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CN202064624U (zh) 建筑施工提升脚手架防坠安全机构
KR101897154B1 (ko) 로프형 승강장치
CN217867853U (zh) 一种攀爬省力且安全性高的塔吊
KR101150314B1 (ko) 타워크레인용 승강 도르래
JP2002070017A (ja) 法面作業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法面作業安全帯
CN101566009B (zh) 一种壁挂式布料杆
CN214993118U (zh) 桥梁底面施工平台
CN212151526U (zh) 一种螺杆升降机
CN212837703U (zh) 一种石油钻井用工程机械架
CN203158962U (zh) 一种施工电梯的防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