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54B1 - 로프형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로프형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54B1
KR101897154B1 KR1020170064975A KR20170064975A KR101897154B1 KR 101897154 B1 KR101897154 B1 KR 101897154B1 KR 1020170064975 A KR1020170064975 A KR 1020170064975A KR 20170064975 A KR20170064975 A KR 20170064975A KR 101897154 B1 KR101897154 B1 KR 10189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raking device
rotating body
rotation
releas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수
이우준
강병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to KR102017006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54B1/ko
Priority to US16/616,415 priority patent/US11097135B2/en
Priority to PCT/KR2017/015186 priority patent/WO2018216867A2/ko
Priority to CN201780091217.XA priority patent/CN11066258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4Capstans
    • B66D1/7415Friction drives, e.g. pulleys, having a cable winding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4Capstans
    • B66D1/7489Capstans having a particular use, e.g. rope asc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형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과 하강 동작과정에서 전기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낙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형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는, 이송용 로프를 권취하여 동력에 의하여 상기 로프를 상하로 이동하는 전자식 제동장치와 상기 이송용 로프를 기계식으로 상하 이동하는 기계식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로프형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는, 일정 회전범위량 내에서 외부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잠금해제레버; 상기 잠금해제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잠금해제레버의 회전에 연동해서 일정량만큼 전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진량만큼 회전하고, 상기 이송용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회전체에 의해서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프형 승강장치{A rope type ascender}
본 발명은 로프형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과 하강 동작과정에서 전기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낙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형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는 15층 이상의 고층 건물이 많고, 이러한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현재 국내 소방 장치 또는 소방기술로는 신속한 화재 진압이 힘든 상태이다.
따라서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을 탈출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고, 그 중의 한가지가 로프를 이용한 승강장치를 들 수 있다.
로프형 승강장치는 엔진형 동력 승강장치로서, 위험상황 발생시에 로프나 줄을 이용하여 사람을 탈출할 때 이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는, 고층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이 고층 건축물에서 화재와 같은 위험한 일이 발생하는 경우, 로프를 이용하여 화재 현장에서 안전한 장소로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의 로프에 사람이 매달리게 되면, 상기 로프가 서서히 지면쪽으로 하강하여 안전한 곳으로 이동되면서 탈출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에는, 루프와; 상기 루프를 감아 올리기 위한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와; 상기 루프, 풀리, 감속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판과; 그리고 결합판의 상부방향에 결합되는 덮개판 등으로 구성되는 완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311643호에는 V형브레이크에서 먼저 감속 효과를 줌으로써, 감속휠에서는 고체중자가 매달린 경우에도 저체중자가 매달린 것과 같은 하중을 느끼므로, 과체중자라도 저체중자와 마찬가지로 낮은 속도로 완강할 수 있으며, 또한, V 형브레이크가 피난자의 체중의 일부를 담당하므로, 다른 완강기 부품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장기간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완강기의 경우 10층 이하 건물에서만 설치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화재 발생 시 사용법을 모르거나 관리소홀로 인하여 사용 빈도가 극히 낮아, 소방관 및 별도의 소방 장비에 의한 구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이때 소방관 또는 소방 장비에 의한 구조방법은 크게 고가 사다리차를 이용한 방법과 소방관에 의한 로프방식으로 구분되며, 고가 사다리차는 국내 건물구조 및 특징으로 차량의 접근에 많은 애로점(불법주차, 건물의 간격, 건축구조물의 특성)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유로 인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긴급한 구조사항에 대응이 어려울 때가 많다.
그리고 로프에 의한 구조방식은 로프나 릴을 이용한 방식이 주가 되며, 손을 이용하여 하강 및 정지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근력과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로프나 릴을 이용한 방식은 장비의 이송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어, 다른 구조 현장에서 늘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맨홀 낙상사고 현장에서는 삼각대 릴을 이용하며, 이 경우 여러 사람이 삼각대 릴을 지지 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산악 구조 현장에서도 릴들을 이용하여 조난자를 구조하나, 이때도 역시 구조인원의 상당한 근력이 요구되며 부상자를 리프팅하기 위해 최소 2~3명 인원이 견인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터 또는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사용자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로프형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과 하강 동작과정에서 전기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는 브레이크가 파손되더라도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낙하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형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는, 이송용 로프를 권취하여 동력에 의하여 상기 로프를 상하로 이동하는 전자식 제동장치와 상기 이송용 로프를 기계식으로 상하 이동하는 기계식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로프형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는, 일정 회전범위량 내에서 외부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잠금해제레버; 상기 잠금해제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잠금해제레버의 회전에 연동해서 일정량만큼 전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진량만큼 회전하고, 상기 이송용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회전체에 의해서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해제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 내에서 상기 잠금해제레버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로프를 통과시키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는 로프를 상기 회전체가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 회전범위 내에서 상기 잠금해제레버의 회전동작에 연동해서 왕복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는, 전자식 제동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기계식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승강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중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가 높은 빌딩과 화재와 같은 위험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 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기계적인 제어를 통해서 로프를 상하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안전한 곳으로 사람을 이동시키는데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를 좌측에서 본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를 우측에서 본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에서 기계식 제동장치의 설명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에서 기계식 제동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되, 잠금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에서 기계식 제동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되, 해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에서 잠금해제레버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부재" 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어떠한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를 좌측에서 본 전체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를 우측에서 본 전체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는, 구동부(1) 내에 엔진 또는 모터를 직접 장착하고, 상기 엔진의 발생 동력으로 일정중량 범위 내의 부하를 안전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장치이다. 상기 구동부(1)는 원동기, 상기 원동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동기는 모터 또는 엔진으로 구현되며, 강력한 구동력이 필요한 경우 엔진을 적용하고, 사용의 편리성과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은 중량물을 이송하는 경우 모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 및 브레이크는 전자식을 적용하여 후술되는 제어모듈(5)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어모듈(5)이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동작을 수행되는 구성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는, 상기 구동부(1)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로프드럼(19)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드럼(19)에는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로프(21)가 권취되어 있다. 상기 로프드럼(19)은 측면에 V 홈이 형성된 풀리 구조이며, 필요한 경우 풀리홈 내면에는 로프(21)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단차 등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드럼(19)에 로프(21)가 권취되고, 상기 구동부(1)의 구동력으로 상기 로프드럼(19)이 회전하여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는, 전자식제동장치(15)와 기계식 제동장치(9)를 포함하는 이중안전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전자식제동장치(15)는 제어모듈(5)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식제동장치(15)는 상기 구동부(1) 내부의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의 상승과 하강 그리고 정지 동작 등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자식제동장치(5)는 적재되는 하중을 제한하는 기능과, 급하강 방지를 위한 속도제한 기능을 탑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대 허용 중량은 250kg이나, 승강과 하강에 적절한 적재하중은 120kg 이내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식제동장치(5)를 통해서 상승할 때의 승강속도는 최대 0.26m/s, 하강할 때는 하강속도는 최대 0.3m/s가 적절하다. 상기 승강속도와 하강속도는 적재하중 120kg일 때의 일 예시이다.
상기 제어모듈(5)은 로드셀 등을 이용한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에 실린 부하의 하중을 감지하는 부하감지장치(13), 그리고 마그네틱 센서 등을 이용한 속도 및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하강속도측정장치(11), 그리고 RFID 모듈(7) 등으로부터 검출신호 등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식제동장치(15)의 상승과 하강 그리고 정지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는, 상기 제어모듈(5) 및 전자식제동장치(15)를 포함한 전기를 필요로 하는 전기적 장치로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5)는 상기 부하감지장치(13)와 하강속도측정장치(11)의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전자식제동장치(15)를 통해서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를 적절한 속도로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5)은 상기 하강속도측정장치(11)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상승시에는 속도를 감속하는 제어도 수행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9)는, 상기 전자식제동장치(5)를 사용하지 않고도 로프형 승강장치를 상하로 이송할 수 있는 기계적 제어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9)는 전자식 제동장치(5)의 브레이크 기능 파손과 같이 비상상황에서 기계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기존의 기계식 제동장치의 상승동작과 하강동작시에 이송용 로프에 부여되는 브레이크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되는 기계식 제동장치는, 이송용 로프를 통과시키는 지지부(22), 상기 지지부(22)를 통과하는 로프(2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로프(21)를 가압시키는 회전체(26), 상기 회전체(26)가 상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프형 승강장치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로프(21)가 이동되어야 한다. 이때, 회전체(25a)가 로프(21)에 맞물리는 부분에는 하측으로 일정하게 톱니형태가 성형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로프(21)가 상부에서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회전체(25a)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프형 승강장치가 하강하기 위해서는 로프(21)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로프(21)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버리면, 로프형 승강장치와 함께 공중에 매달린 사람은 순식간에 지상으로 낙하되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는, 전자식 제동장치가 고장나는 비상상황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로프(21)가 하부에서 상부로의 이동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매우 제한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즉, 회전체(25a)는 스토퍼(24)에 의해서 상부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회전체(25a)가 로프(2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최상인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5a)와 로프(21)가 맞물리는 부분에 하측방향으로 일정하게 성형된 톱니형상이 상기 로프(21)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더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계적으로 조금씩 움직여서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오기 위해서는 상기 로프(2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금 풀어주는 동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에서 기계식 제동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되, 잠금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에서 기계식 제동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되, 해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계식 제동장치(9)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프드럼(19)에 권취되고 있는 로프(21)를 기계적으로 가압해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계식 제동장치(9)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프(21)의 가압정도를 조금 해제하여 로프가 일정량만큼씩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식 제동장치(9)는, 전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9)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4), 상기 지지부(24)의 상부에서 대략 180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잠금해제레버(23), 상기 지지부(24)에 지지되고 상기 잠금해제레버(23)의 회전에 의해서 로프(21)를 가압하는 회전체(2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계식 제동장치는, 상기 잠금해제레버(23)에 결합하고, 상기 잠금해제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일정량만큼 앞으로 전진해서 상기 회전체(25)를 시계방향으로 소정만큼 회전시키는 연결부(31), 상기 회전체(25)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24)는,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를 베이스에 고정 장착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부(24)는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9)를 상기 베이스에 전체적으로 지지시킨다.
상기 잠금해제레버(23)는, 도 5과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대략 180도의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해제레버(23)가 도 5의 위치에 있을 때는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잠금해제레버(24)가 도 6의 위치에 있을 때는 해제상태가 된다.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잠금해제레버(23)와 연결되어서 상기 잠금해제레버(23)가 180도 하부로 회전될 때, 화살표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회전체(25)를 시계방향으로 소정만큼 회전시킨다.
도 7은 상기 잠금해제레버(23)와 연결부(31)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잠금해제레버(23)는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성형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해제레버(23)의 회전과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재를 연결부(31)로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잠금해제레버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성형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 내에서 상기 잠금해제레버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잠금해제레버(23)의 180도 회전과 함께 상기 슬롯에 삽입상태를 유지하는 연결부가 같이 회전되고, 이 회전동작과 연계되어서 연결부(31)의 나사산의 체결위치가 변화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체와 맞물리고 있는 연결부의 앞단부는 화살표방향으로 소정만큼 전진한 상태가 된다.
상기 잠금해제레버(23)가 180도 회전하면,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레버의 위치는 하부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레버(23)의 슬롯을 통하여, 상기 잠금해제레버(23)를 상부로 밀어올리면, 다시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초기상태가 되어, 레버의 왕복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도시되고 있는 잠금해제레버의 구성은, 레버의 회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이, 레버의 회전 범위를 180도 범위 내로 한정하고, 상기 레버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슬롯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이 이루어짐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1)와 회전체(25)의 연동동작에서 중요한 점은, 상기 연결부(31)의 전진되는 양만큼 회전체(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량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5)는 상기 연결부(31)의 전진되는 양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프(2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저하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5)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졌을 때, 로프(21)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도 5에 도시된 상태보다는 약해진 상태가 된다.
상기 스토퍼(29)는, 상기 지지부(24) 또는 베이스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회전체(25)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량을 제한하고, 상기 회전체(25)에 의해서 로프(2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토퍼(29)는 로프(21)를 통과시키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29)를 통과하는 로프(21)를 상기 회전체(25)가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9)를 통과한 로프(21)는 로프드럼(19)에 1회전 권취되어, 상기 로프드럼(19)의 회전에 의하여 로프가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갖게 된다. 상기 회전체(25)가 로프(21)에 맞물리는 부분에는 하방을 향해 톱니모양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계식 제동장치(9)는 다음과 같이 동작되어진다.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는 로프(21)에 매달린 상태로 상승과 하강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이때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와 함께 사람이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로프형 승강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승과 하강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식 제동장치(15)가 고장났을 때, 기계식 제동장치(5)는 도 5와 같은 상태로 강제적으로 제어되어, 로프(21)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즉, 회전체(25)가 스토퍼(29)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이때 회전체(25)가 스토퍼(29)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로프(21)를 강하게 가압하여, 상기 로프(21)가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해제레버(23)를 하부로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해제레버(23)와 연결된 연결부(31)가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량만큼 전진한다. 상기 연결부(31)가 전진하면서 회전체(25)를 밀어주고, 상기 회전체(25)는 상기 연결부(31)의 전진되는 양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동작으로 상기 회전체(25)는 스토퍼(29)의 회전 제한 범위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체(25)로부터 로프(21)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소정만큼 약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프(2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소정만큼 약해지면,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와 사람으로 구성된 부하의 하중으로 조금씩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상기 로프(21)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도 5와 비교해서 매우 작은 정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로프(21)에 회전체(25)의 톱니부분이 맞물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로프의 이동은 매우 제한된다. 그러나 공중에 로프에 매달려 있는 로프형 승강장치와 사람의 하중, 그리고 중력에 의해서 지상으로 조금씩 내려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해제레버(23)를 180도의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로프가 조금식 이동되어 본 발명의 로프형 승강장치를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1 : 로프 23 : 잠금해제레버
24 : 지지부 25 : 회전체
29 : 스토퍼 31 : 연결부

Claims (4)

  1. 이송용 로프를 권취하여 동력에 의하여 상기 로프를 상하로 이동하는 전자식 제동장치와 상기 이송용 로프를 기계식으로 상하 이동하는 기계식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로프형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제동장치와 기계식 제동장치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일정 회전범위량 내에서 외부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잠금해제레버;
    상기 잠금해제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잠금해제레버의 회전에 연동해서 일정량만큼 전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진량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송용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회전체; 및
    상기 이송용 로프를 통과시키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량을 제한하면서 상기 회전체에 의해서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 회전범위 내에서 상기 잠금해제레버의 회전동작에 연동해서 왕복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가 하강할 때 로프와의 마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스토퍼의 제한된 회전범위까지 회전되어서 로프형 승강장치의 하강 범위를 제한하는 로프형 승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로프와 맞닿는 부분에 일정방향으로 톱니형상이 성형되고, 상기 로프의 이동시에 상기 톱니형상이 로프와 맞물리면서 로프의 이동을 제한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형 승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레버가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로프가 조금씩 이동되는 로프형 승강장치.
KR1020170064975A 2017-05-26 2017-05-26 로프형 승강장치 KR10189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75A KR101897154B1 (ko) 2017-05-26 2017-05-26 로프형 승강장치
US16/616,415 US11097135B2 (en) 2017-05-26 2017-12-21 Rope type elevating device
PCT/KR2017/015186 WO2018216867A2 (ko) 2017-05-26 2017-12-21 로프형 승강장치
CN201780091217.XA CN110662582B (zh) 2017-05-26 2017-12-21 线缆型升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75A KR101897154B1 (ko) 2017-05-26 2017-05-26 로프형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154B1 true KR101897154B1 (ko) 2018-09-12

Family

ID=6359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975A KR101897154B1 (ko) 2017-05-26 2017-05-26 로프형 승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97135B2 (ko)
KR (1) KR101897154B1 (ko)
CN (1) CN110662582B (ko)
WO (1) WO20182168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3395A1 (en) * 2021-05-31 2022-12-08 Fanø Kran-Service A/S A combined climbing assistant and fall arres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086A (en) * 1996-07-16 2000-05-02 Tractel, S.A. Device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fall of personnel working high above ground
KR200360258Y1 (ko) * 2004-06-01 2004-08-26 조성제 완강기
US20090084631A1 (en) * 2007-09-28 2009-04-02 D B Industries, Inc. Retractable Lifeline Assembly
KR20160012638A (ko) * 2014-07-25 2016-02-03 (주)화담알앤알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650A (en) * 1888-08-14 Rope fire-escape
GB2086547B (en) 1980-11-03 1984-09-19 Barton Ronald Sydney James Halyard stopper
US4474262A (en) * 1982-06-18 1984-10-02 Michael Bell Descent with manually operable brake
KR850002861A (ko) 1983-09-23 1985-05-20 장수영 벽판재의 조립식 설치방법
KR850002861Y1 (ko) 1984-02-29 1985-12-04 최경식 비상로우프용 구명기구
IL71719A (en) * 1984-05-02 1992-08-18 Dan Marom Rescue and glider device
US4632218A (en) * 1985-09-20 1986-12-30 Hannan Randy R Sliding descent device
US5402985A (en) * 1993-08-23 1995-04-04 Maxwell Winches Limited Rope winches
CN2176805Y (zh) 1994-01-25 1994-09-14 王德津 高层楼房救生器
US6283455B1 (en) * 1996-09-23 2001-09-04 Breeze Eastern Multi-mission recovery device
US6059266A (en) * 1996-09-23 2000-05-09 Ascherin; Terry C. Recovery device
KR19980026059A (ko) 1996-10-07 1998-07-1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형 소자 분리 방법
SE521204C2 (sv) * 1997-11-06 2003-10-07 Act Safe Systems Ab Klätteranordning
CN1281737A (zh) 1999-07-21 2001-01-31 杨力军 高空安全缓降器
US6685171B2 (en) * 2001-01-10 2004-02-03 Harken, Inc. Lifting device
GB2398054B (en) * 2003-01-24 2005-08-03 Ropepower Ltd Powered rope climbing apparatus
US6814185B1 (en) * 2003-05-15 2004-11-09 Meyer Ostrobrod Descent controller with safety brake
US20050039981A1 (en) * 2003-08-20 2005-02-24 Wooster Peter C. Evacuation device with releasing handles
US7934698B2 (en) * 2005-04-20 2011-05-03 Atlas Devices, Llc Powered rope ascender and portable rope pulling device
KR200413166Y1 (ko) 2006-01-11 2006-04-07 김재철 비상탈출장치
EP2373383B1 (en) * 2009-01-06 2018-03-14 Skylotec GmbH Descent device with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KR101026277B1 (ko) 2009-03-26 2011-03-31 이현태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KR101311643B1 (ko) 2012-05-14 2013-09-25 강희선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EP3027283B1 (en) * 2013-08-02 2022-11-09 Atlas Devices, LLC A powered ascender with a descent assist device
DK2915770T3 (en) * 2014-03-03 2017-01-23 Actsafe Systems AB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motor-driven system.
US9604087B2 (en) * 2015-06-30 2017-03-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ope climb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086A (en) * 1996-07-16 2000-05-02 Tractel, S.A. Device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fall of personnel working high above ground
KR200360258Y1 (ko) * 2004-06-01 2004-08-26 조성제 완강기
US20090084631A1 (en) * 2007-09-28 2009-04-02 D B Industries, Inc. Retractable Lifeline Assembly
KR20160012638A (ko) * 2014-07-25 2016-02-03 (주)화담알앤알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9731A1 (en) 2020-06-11
CN110662582B (zh) 2021-08-13
US11097135B2 (en) 2021-08-24
WO2018216867A3 (ko) 2019-01-24
WO2018216867A2 (ko) 2018-11-29
CN110662582A (zh)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9346A (en) Multipurpose device for moving persons or loads over a height difference
KR101650797B1 (ko) 기어 드라이브 조립체에 결합된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슈를 구비하는 승강기 카 제동장치
US5927438A (en) Personnel lifting-lowering system
KR101815311B1 (ko) 지능형 승강 장치
PT3019428T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contra quedas para uma plataforma
CN105358468B (zh) 竖井区域的扩展
CN105329737B (zh) 采用电气控制的防坠落系统、运载平台系统及其控制方法
EP2457862A3 (e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levator
CN202508816U (zh) 一种瞬时防坠落装置
CN102689836B (zh) 起重机的制动失效保护控制设备、方法、系统及工程机械
EP3574958B1 (en) Device for automatic lowering after a fall arrest at height
JP5174894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KR101897154B1 (ko) 로프형 승강장치
US5671824A (en) Vertically movable emergency egress system
KR101646497B1 (ko)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KR101849937B1 (ko) 로프형 승강장치의 거치대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KR20110029932A (ko) 비상 구난기
WO2015081423A9 (en) An elevator system (for silos, reservoirs, wind aeolian structures, electric towers, radio towers and frequency signals transmission towers, any other towers and any other high structures) with two emergency breaking safety device, a shock-proof system, a motorised (or engine or electric) winch and two lateral guiding tracks
CN108996371B (zh) 一种多楼层协同逃生装置及人员疏散方法
CN115704241A (zh) 悬架系统及悬架应急释放方法
JP667881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117340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KR101982932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JPH0826620A (ja) エレベーターの救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